KR101898833B1 -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833B1
KR101898833B1 KR1020177024290A KR20177024290A KR101898833B1 KR 101898833 B1 KR101898833 B1 KR 101898833B1 KR 1020177024290 A KR1020177024290 A KR 1020177024290A KR 20177024290 A KR20177024290 A KR 20177024290A KR 101898833 B1 KR101898833 B1 KR 10189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antiglare layer
resin
film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983A (ko
Inventor
준야 에구치
다스쿠 기타무라
쇼이치로 오구미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5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하드코트성과 방현성을 유지하면서, 면 반짝임의 발생과, 백색 흐려짐의 발생을 매우 높은 레벨로 억제할 수 있어, 높은 콘트라스트의 우수한 표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방현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 투과성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성 필름이며, 상기 방현층은 2종 이상의 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를 함유하고, 상기 응집체에 의해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기 방현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터치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최표면에는 반사 방지를 위한 광학 적층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사 방지용의 광학 적층체는, 광의 산란이나 간섭에 의해 상의 투영을 억제하거나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반사 방지용 광학 적층체의 하나로서, 투명성 기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한 방현성 필름이 알려져 있다. 이 방현성 필름은, 표면의 요철 형상에 의해 외광을 산란시켜서 외광의 반사나 상의 투영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광학 적층체는, 통상적으로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취급 시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드코트성을 부여하는 것도 요구된다.
종래의 방현성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광 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이산화규소(실리카) 등의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를 도포 시공하여 방현층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이들 방현성 필름은, 응집성 실리카 등의 입자의 응집에 의해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타입, 유기 필러를 수지 중에 첨가하여 층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타입, 또는 층 표면에 요철을 가진 필름을 라미네이트해서 요철 형상을 전사하는 타입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현성 필름은, 어느 쪽 타입이든, 방현층의 표면 형상의 작용에 의해 광 확산·방현 작용을 얻도록 하고 있어서, 방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요철 형상을 급준하게 하거나 많이 할 필요가 있지만, 요철이 급준하거나 많아지면, 도막의 헤이즈값(흐린 정도값)이 상승하여 백색 흐려짐이 발생하여,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타입의 방현성 필름은, 필름 표면에, 소위 '면 반짝임'이라 불리는 순간적인 광휘가 발생하여, 표시 화면의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면 반짝임은, 화상 표시 장치를 점등함에 있어서, 배면으로부터의 투과광이 화면에 도달했을 때에, 화면 표면에 미세한 휘도의 불균일이 나타나, 관찰자가 보는 각도를 바꾸어 가면, 그 휘도 얼룩의 위치가 바뀌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으로, 특히 전체면 백색 표시나 전체면 녹색 표시일 때에 현저하다.
여기서, 예를 들어 하드코트층과 방현층을 각각 적층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성 필름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이러한 층 구성의 반사 방지 필름은, 방현층 표면의 가는 요철 형상을 하드코트층과 마찬가지의 수지에 의해 스무싱함으로써, 매끄러운 기복을 갖고, 미소 요철이 적으면서, 볼록부 높이가 종래보다 낮은 요철로 변환시켜서, 하드코트성과 방현성을 유지하면서, 면 반짝임 및 백색 흐려짐의 발생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막 두께가 10㎛ 이상으로 되는 등 두꺼워져서, 최근의 방현성 필름의 박막화의 요청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미립자를 단독으로 이용하여 층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방현성 필름의 박막화를 도모하면, 미립자가 높이 방향으로 응집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표면 요철이 높아져서, 면 반짝임 또는 백색 흐려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을 작게 하여 표면 요철의 높이를 낮게 하고자 하면, 반대로 표면 요철의 높이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방현성이 없어져 버리기 쉬어, 안정적으로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매끄러운 요철 표면을 갖는 방현층으로서, 하드코트성과 방현성을 유지하면서, 면 반짝임 및 명실에서의 백색 흐려짐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면서, 암실에서의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1층 구성의 방현층을 구비한 방현성 필름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87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20103호 공보 국제출원 WO2006/08820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하드코트층이 단층이면서 10㎛ 미만의 박층이어도 하드코트성과 방현성을 유지하면서, 면 반짝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명실에서도 암실에서도, 화상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로 한 상태에서의 우수한 광택흑감(화면 표시에서의 젖은 것처럼 광택이 있는 흑색의 재현성)을 얻을 수 있는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명실에서의 광택흑감은 육안의 「백색 흐려짐」으로 평가하고, 암실에서의 광택흑감은 「암실 콘트라스트」로 평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백색 흐려짐」 또는 「암실 콘트라스트」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광 투과성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성 필름이며, 상기 방현층은 2종 이상의 구 형상의 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를 함유하고, 상기 응집체에 의해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기 방현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구 형상의 미립자는 1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및 1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0.3 내지 10.0㎛,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50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현층은 바인더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상기 바인더 입자는 상기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주위에 편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 입자는 퓸드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퓸드 실리카는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퓸드 실리카는 표면 처리로서 소수화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소수화 처리는 메틸 처리, 옥틸 실란 처리, 또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및 폴리불화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기 미립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탈크, 운모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판은 편광 소자 표면에 전술한 방현성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최표면에 전술한 방현성 필름, 또는 전술한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광 투과성 기재 위에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구비한 방현성 필름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방현층 중에 2종 이상의 미립자의 응집체를 함유시켜서, 이 응집체 부분에 의해 방현층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그 결과, 방현층 표면의 요철 형상이 형성된 것으로 함으로써, 단일의 종류 및 입경의 미립자(예를 들어, 실리카 미립자나 아크릴 스티렌 입자)에 의해 요철 형상을 형성한 종래의 방현층과 비교하여, 보다 매끄러운 요철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그 결과, 방현층이 단층이면서 10㎛ 미만의 박층이어도, 하드코트성과 방현성을 유지하면서, 면 반짝임의 발생과 백색 흐려짐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고, 암실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방현성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응집체가 막 두께보다 지나치게 작은 경우나 방현층 아래에 가라앉아 있는 경우 등에는, 응집체는 요철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볼록부 아래 위치뿐만 아니라, 오목부 아래 위치에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서는, 광학 현미경의 반사 관찰이나 투과 관찰(100배 내지 300배)에 의해, 대부분의 응집체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광 투과성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갖는다.
상기 광 투과성 기재는, 평활성, 내열성을 구비하며, 기계적 강도 및 광의 배향을 어지럽히지 않는 등의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 투과성 기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광 투과성 기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유연성이 풍부한 필름 형상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화성이 요구되는 사용 형태에 따라서,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거나, 또는 유리판의 판상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광 투과성 기재로는, 지환 구조를 가진 비정질 올레핀 중합체(Cyclo-Olefin-Polymer: COP) 필름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공액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등이 이용되는 기재로서, 예를 들어 니폰제온사가 제조한 제오넥스나 제오노아(노르보르넨계 수지),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사가 제조한 스미라이트 FS-1700, JSR사가 제조한 아톤(변성 노르보르넨계 수지), 미츠이화학사가 제조한 아펠(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티코나(Ticona)사가 제조한 토파스(Topas)(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히타치화성사가 제조한 옵토렛츠 OZ-1000 시리즈(지환식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대체 기재로서 아사히 가세이 가가쿠사가 제조한 FV 시리즈(낮은 복굴절률, 낮은 광탄성율 필름)도 바람직하다.
상기 광 투과성 기재의 두께로는, 2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30㎛, 상한이 200㎛이다. 광 투과성 기재가 판상체인 경우에는, 이들 두께를 초과하는 두께이어도 된다. 상기 광 투과성 기재는, 그 위에 상기 하드코트층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접착성 향상을 위해 코로나 방전 처리, 산화 처리 등의 물리적인 처리 외에, 앵커제 또는 프라이머라고 불리는 도료의 도포가 미리 행해져 있어도 된다. LCD용의 광 투과성 기재로서 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재료로 하는 경우, 상기 광 투과성 기재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박막화가 가능한 20 내지 65㎛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은 상기 광 투과성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2종 이상의 종류 또는 입경의 미립자가 응집하여 형성된 응집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표면의 요철 형상은 상기 응집체가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응집체에 의한 요철 형상은, 단일의 종류 및 입경의 미립자(예를 들어, 실리카 미립자만이나 아크릴스티렌 입자만이면서, 입경도 동일한 경우) 또는 그 응집체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보다 볼록부의 경사가 완만해져서 매끄러운 형상으로 된다. 이것은, 상기 응집체가 한쪽의 미립자 사이에 다른 쪽의 미립자가 잠입된 상태로 됨으로써, 주로 상기 한쪽의 미립자에 의해 형성되는 방현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볼록부)의 경사각이, 상기 미립자 사이에 잠입된 다른 쪽의 미립자의 영향에 의해, 상기 한쪽의 미립자 단체로 형성되는 요철 형상(볼록부)의 경사각보다 완만한 것으로 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상기 방현층이 후술하는 바인더 입자를 더 함유하는 경우, 상기 응집체는 단일의 미립자로 구성되는 것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미립자의 근방에 상기 바인더 입자가 편재됨으로써, 상기 응집체가 단일의 미립자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이 단일의 미립자는 높이 방향으로 응집하기 어려워진다. 그 밖에, 상기 미립자의 근방에 편재하는 상기 바인더 입자가, 상기 미립자의 요철 형상(볼록부)의 경사의 급준성을 줄이는 효과도 나타낸다고 추측하고 있다. 특히, 상기 바인더 입자가, 상기 응집체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편재됨으로써, 상기 볼록부의 경사의 급준성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는 재질이 다른 2종 이상의 입자이거나, 재질이 동일한 경우에는 입경이 다른 2종 이상의 미립자이다. 그 중에서도, 주로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볼록부)을 형성하는 입자 직경이 비교적 일치된 미립자와, 입자 직경의 변동이 비교적 큰(브로드한 입도 분포를 갖는) 미립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미립자의 재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 직경의 관계를 갖는 2종 이상의 미립자임으로써, 입자 직경이 일치된 한쪽의 미립자 사이에 입자 직경의 변동이 큰 다른 쪽의 미립자가 잠입된 구조의 응집체를 구성하기 쉬워, 전술한 매끄러운 요철 형상을 방현층 표면에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자 직경이 비교적 일치된 미립자」란, 중량 평균에 의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을 MV, 누적 25% 직경을 d25, 누적 75% 직경을 d75로 했을 때, (d75-d25)/MV가 0.25 이하인 경우를 의미하며, 상기 「브로드한 입도 분포를 갖는 미립자」란, 상기 (d75-d25)/MV가 0.25를 초과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누적 25% 직경이란, 입도 분포에서의 입경이 작은 입자부터 카운트하여, 25질량%로 되었을 때의 입자 직경을 말하며, 누적 75% 직경이란, 마찬가지로 카운트하여 75질량%로 되었을 때의 입자 직경을 말한다.
또한, 상기 입도 분포는, 광학 현미경으로 투과 관찰하여 얻은 사진의 화상 처리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현층에 있어서, 응집체를 구성하는 2종 이상의 미립자는 그 형상이 구 형상이다. 이러한 구 형상의 미립자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 높은 콘트라스트로, 광택흑감이 있는 표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 형상」이란, 예를 들어 진구 형상, 타원 구 형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소위 부정형을 제외하는 의미이다. 상기 미립자의 형상이 부정형이면, 후술하는 방현층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의 계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기 쉬워, 흑색 휘도가 상승하여 광택흑감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응집체를 구성함」이란,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의 한쪽의 미립자와 다른 쪽의 미립자의 거리 및 동종의 미립자의 거리가, 후술하는 2종 이상의 미립자 중 어느 한쪽의 평균 입경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는 1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및 1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미립자는 입자 직경이 비교적 일치된 것을 선택하고, 한편 무기 미립자는 입자 직경의 변동이 비교적 큰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를 선택함으로써, 무기 미립자는 유기 미립자에 비해 비중이 큰 것도 있고, 유기 미립자 사이에서 하방부에 무기 미립자가 잠입한 응집체를 구성하기 쉬워, 전술한 매끄러운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입자가 비교적 입자 직경이 일치한 것이며, 상기 무기 입자가 입자 직경의 변동이 비교적 큰 미립자이면, 방현층을 형성할 때에, 후술하는 바인더 수지(방사선 경화 수지)의 중합 수축에 의해 표면 요철이 형성될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로 표면의 요철을 형성하는 상기 유기 입자는 무기 미립자에 비해서 부드럽기 때문에, 상기 중합 수축에 추종하기 쉬어, 이러한 관점에서도 급준한 표면 요철(볼록부)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매끄러운 요철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방현성과 백색 흐려짐 방지성을 양립시키면서, 그 중에서도 면 반짝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면 반짝임을 보다 호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방현층에 미소하게 내부 산란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에 미소하게 내부 산란 효과를 갖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미립자의 굴절률과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에 약간의 차를 갖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상기 유기 미립자의 굴절률과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에 약간의 차를 갖게 하면, 구체적인 굴절률차로서는, 0.01 내지 0.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 및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이란, 방현층으로 한 후의 굴절률이다. 구체적인 굴절률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현성 필름을 제조 후, 그 방현층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내고, 이 단면에 노출된 유기 미립자나 바인더의 단면편을 잘라 취출하고, 아베굴절계로 직접 굴절률을 측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베케법 등 카길 시약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방현성 필름을 직접, 레이저 간섭에 의해 측정, 분광 반사 스펙트럼이나 분광 엘립소메트리 등을 측정하여, 상기 굴절률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미립자는 주로 방현층의 표면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미립자이며, 굴절률이나 입경의 제어가 용이한 미립자이다. 상기 응집체가 이러한 유기 미립자를 포함함으로써, 방현층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크기나 방현층의 굴절률의 제어가 용이하게 되어, 방현성의 제어와 면 반짝임 및 백색 흐려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미립자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및 폴리불화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굴절률의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미립자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유기 미립자의 함유량으로는, 상기 방현층 중 0.5 내지 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5질량% 미만이면, 방현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15.0질량%를 초과하면, 응집체가 많아지거나 또는 응집체가 지나치게 커져서, 백색 흐려짐 및/또는 면 반짝임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0.0질량%이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의 크기는 방현층의 두께 등에 맞춰서 적절히 결정되지만,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3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0.3㎛ 미만이면, 충분한 요철 형상을 방현층 표면에 형성할 수 없어,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의 방현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5.0㎛를 초과하면, 방현층 표면의 요철 형상이 커져, 면 반짝임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이다. 더욱 바람직하는 것은, 방현층 막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상한이 3.0㎛이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방현층의 두께에 대하여 2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방현층의 광학 현미경의 투과 관찰에 있어서 200 내지 1000배의 배율로 하여, 10개의 유기 미립자의 최대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서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는 구 형상이라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처리 소프트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상기 유기 미립자의 입경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현층의 두께로는, 2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다. 2㎛ 미만이면, 방현층 표면이 손상 받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으며, 6㎛를 초과하면, 방현층이 깨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방현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 내지 4㎛이다. 또한, 상기 방현층의 두께는, 방현층의 단면 STEM의 1000배 내지 3000배의 관찰에 있어서, 그 관찰 화면이나 관찰 사진 중에 층 중에서 광 투과성 기재와 수직인 방향으로 유기 미립자가 관찰되지 않는 부분 3점을 측정한 평균값이다. 또한, 상기 방현층의 단면 STEM 관찰 시에 최대 입경을 갖는 유기 미립자가 관찰되는 부분이면, 그 곳은 방현층의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방현층의 두께가 극대값으로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기 미립자가 관찰되지 않는 부분을 선택한다.
상기 유기 미립자는, 무기 미립자와의 친화성이 높아져서, 응집체를 보다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이 친수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 처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나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상기 유기 미립자의 표면에 공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는, 상기 응집체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유기 미립자 사이나, 유기 미립자의 상방부, 하방부에 잠입하도록 하여 방현층 중에 포함된다. 특히, 인접하는 상기 유기 입자의 사이에 상기 무기 미립자가 잠입함으로써, 인접하는 유기 미립자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방현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의 볼록부의 경사를 완만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 요철 형상을 매끄러운 것으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탈크, 운모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그 형상이 구 형상이면, 변화율이 거의 일정하므로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계면에서의 반사가 억제되고, 미광(迷光)의 발생이 적어 암실에서의 콘트라스트, 명실에서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구 형상 입자를 얻기 쉽기 때문에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으로는, 방현층 중 0.1 내지 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질량% 미만이면, 유기 미립자 사이에서 하방부에 무기 미립자가 잠입한 응집체를 구성하기 어려워, 전술한 매끄러운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10.0질량%를 초과하면, 백색 흐려짐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0질량%이다.
상기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50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500㎚ 미만이면, 방현층 중에서 상기 유기 미립자와의 응집체를 충분히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0㎛를 초과하면, 백색 흐려짐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응집체 내에서 유기 미립자의 하방에 존재시키기 쉬우므로 유기 미립자의 비중보다 2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방현층의 광학 현미경의 투과 관찰에 있어서 200 내지 1000배의 배율로 하고, 10개의 무기 미립자의 최대 직경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서 산출되는 값이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바인더 입자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바인더 입자는 상기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주위에 편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입자는 상기 유기 미립자와 무기 미립자의 응집체의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성분으로서, 후술하는 바인더 수지와는 다른 성분이다. 상기 바인더 입자가 상기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주위에 편재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응집체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 입자는 상기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주위에 편재하고 있음」이란, 방현층 중에서 바인더 입자가 단독으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가 소량이고, 대부분이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주위에 치우쳐서 모여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상태는 방현층의 단면 현미경 관찰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입자로는,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양쪽에 대하여 친화성이 높고, 그 자신이 응집하기 쉬운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퓸드 실리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퓸드 실리카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 200㎚ 이하의 입경을 갖는 비정질의 실리카를 말하며, 규소를 포함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기상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규소 화합물, 예를 들어 SiCl4를 산소와 수소의 불꽃 중에서 가수 분해하여 생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퓸드 실리카의 상품으로는, 예를 들어 닛본 아에로질사가 제조한 아에로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퓸드 실리카의 표면은 실라놀기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퓸드 실리카는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표면 처리로는, 소수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퓸드 실리카가 표면 처리되어 있음으로써, 퓸드 실리카를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표면에 적합하게 편재시킬 수 있어, 퓸드 실리카 자체의 응집력에 의해, 상기 유기 미립자와 무기 미립자에 의한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퓸드 실리카 자체의 내약품성 및 내비누화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표면 처리(소수화 처리)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퓸드 실리카가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표면에 과잉으로 존재하고, 응집력이 증가함으로써 적합한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없어, 백색 흐려짐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소수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메틸 처리, 옥틸 실란 처리, 또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 처리 등이 적합하다.
상기 퓸드 실리카의 함유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방현층 중 0.1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질량% 미만이면, 전술한 응집체를 충분히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5.0질량%를 초과하면, 백색 흐려짐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질량%이다.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퓸드 실리카를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표면에 적합하게 편재시킬 수 있어, 퓸드 실리카 자체의 응집력에 의한 상기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에 의한 응집체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퓸드 실리카의 형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일 수도 있지만, 평균 1차 입경이 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1㎚ 미만이면, 전술한 응집체를 충분히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00㎚를 초과하면, 응집에 의해 암실 콘트라스트가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이다. 또한, 상기 평균 1차 입경이란, 주사형과 투과형 전자 현미경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여기서, 상기 방현층을 STEM 등으로 현미경 관찰을 행한 경우, 평균 1차 입경이 상기 범위인 퓸드 실리카는 응집하여 염주 형상으로 연결하여 거대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거대화되어 있는 경우, 그 평균 입경은 20 내지 600㎚로 되어 있는 것이면, 방현층의 고투과율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600㎚를 초과하면, 투명성이나 암실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이다. 또한, 거대화한 상기 퓸드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방현층을 STEM으로 단면 관찰하여, 거대 입자 10점인 최대 직경의 평균값으로서 구해진다.
또한, BET법에 의한 상기 퓸드 실리카의 비표면적으로는, 100 내지 200㎡/g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g이다. 이 비표면적이면, 상기 응집 후에 생기는 응집체 전체의 평균 입경을 바람직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퓸드 실리카는, pH가 4.6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퓸드 실리카의 pH는, 미처리(친수성)이면, 통상적으로 4.0 내지 4.5이다. 이 때문에, 바람직한 pH로 하기 위해서, 상기 퓸드 실리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소수성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상기 응집체가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투명성의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자외선 또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단량체, 올리고머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등의 하나 또는 2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2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화합물, 또는 상기 다관능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의 폴리 (메트)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전술한 화합물을 PO, EO 등으로 변성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외에,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등도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용제 건조형 수지(열가소성 수지 등, 도포 시공 시에 고형분을 조정하기 위해 첨가한 용제를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피막으로 되도록 한 수지)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용제 건조형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할 때에, 도액의 점도의 조정이 용이하여 도액의 도포면의 피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제 건조형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결정성이면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중합체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막성, 투명성이나 내후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현층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응집체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층은, 예를 들어 전술한 2종 이상의 미립자 및 바인더 입자와,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후술하는 용제 등을 함유하는 방현층용 조성물을, 광 투과성 기재 위에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을 전리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는 상기 조성물 중에서는 응집체를 형성하고 있지 않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을 때에 상기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 중에서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가 응집체를 형성하게 되면, 전술한 매끄러운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의 한쪽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인 경우, 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비교적 비중이 무거워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 중에서 침강하기 쉽다. 그러나, 전술한 바인더 입자인 퓸드 실리카는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증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퓸드 실리카를 바인더 입자로서 함유함으로써,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방현층용 조성물 중에서의 침강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퓸드 실리카는 상기 응집체의 형성 촉진 기능과 함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침강을 방지하는 기능(즉, 방현층용 조성물의 가용 시간의 향상 기능)도 갖는다고 추측된다.
또한, 상기 도막 중에서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의 응집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에 첨가하는 용제로서, 극성이 높으면서 상대 증발 속도가 빠른 용제를 소정량 함유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극성이 높고 상대 증발 속도가 빠른 용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 중에서 2종의 미립자가 응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시간의 도액 조성물의 안정 보존성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을 때 다른 용제보다 먼저 휘발하기 때문에, 도막 중의 조성이 변성하여, 그 결과, 이 도막 중에서 상기 2종 이상의 미립자의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증발 속도란, 아세트산 부틸을 기준으로 하여, 개개의 용매(여기서는 용매 A로 함)의 증발 속도를 비로 나타낸 것으로,
상대 증발 속도=(아세트산 n-부틸이 증발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용매 A가 증발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으로 구해진다.
상기 극성이 높으면서, 상대 증발 속도가 빠른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상대 증발 속도: 1.54), 이소프로필알코올(상대 증발 속도: 1.5)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용제에 있어서의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함유량은, 전체 용제 중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0질량% 미만이면, 방현층용 조성물 중에서 상기 응집체가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함유량은,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 밖의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 탄소류(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에스테르류(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 알코올류(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 셀로솔브류(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셀로솔브 아세테이트류, 술폭시드류(디메틸술폭시드 등), 아미드류(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아실포스핀 옥시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 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인 경우에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계인 경우에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 에스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전리 방사선 갑형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5질량부 미만이면,, 형성하는 방현층의 하드코트 성능이 불충분해지게 되는 경우가 있고, 10.0질량부를 초과하면, 반대로 경화를 저해할 가능성도 나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 중에서의 원료의 함유 비율(고형분)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5 내지 70질량%, 특히 25 내지 6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에는, 방현층의 경도를 높게 하거나, 경화 수축을 억제하거나, 굴절률을 제어하는 등의 목적에 따라, 종래 공지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증점제, 착색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소포제, 레벨링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접착 부여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표면 개질제, 윤활 용이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은, 광 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며, 그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인트 셰이커, 비즈 밀, 니이더, 믹서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광 투과성 기재 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침지법, 스프레이법, 다이 코트법, 바 코트법, 롤 코터법, 메니스커스 코터법, 플렉소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비드 코터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을 경화시킬 때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형광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등 등의 광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파장으로는, 190 내지 380㎚의 파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코크로프트 월턴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미립자의 응집체에 의해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요철 형상을 매끄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방현층 표면의 요철의 평균 간격을 Sm으로 하고,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을 θa로 하고,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를 Ra로 하고, 요철의 10점 평균 조도를 Rz로 한 경우에,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 의해,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θa, Ra, Rz가 하한 미만이면,, 투영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θa, Ra, Rz가 상한을 초과하면, 면 반짝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Sm이 하한 미만이면,, 백색 흐려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Sm이 상한을 초과하면, 투영을 억제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50㎛<Sm<600㎛
0.1°<θa<1.5°
0.02㎛<Ra<0.25㎛
0.30㎛<Rz<2.00㎛
또한, 본 발명자들은, 광택흑감은 주로 방현층의 요철 형상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고저차가 큰 것의 영향을 받지만, 명실에서의 광택흑감은, 요철부의 고저차가 클 뿐만 아니라, 요철부의 고저차가 작은 것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현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을 4개의 파라미터로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Sm」은 요철의 평균 간격이며, 「θa」는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이다. 방현층에 존재하는 요철 형상에는, 볼록부의 높이가 평탄하거나, 또는 크거나 하는 부분이 있지만, 「Sm」 및 「θa」는 그것을 평균한 수치이다. 이러한 평균값에서는 볼록부의 높이가 다른 것이 복수 존재하고 있는 경우이어도 균일하게 된다. 그러나, 이 볼록 부분이 광택흑감을 좌우한다.
따라서, 요철부의 고저차가 큰 것의 한도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에서는, 상기 「Rz」라고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였다. 이 「Rz」는, 그 정의에 의해 가장 요철부의 고저차가 큰 것의 5점의 평균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Rz」를 이용함으로써, 요철부의 고저차가 큰 것의 한도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Rz」에서는, 요철부의 고저차가 작은 부분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요철부의 고저차가 작은 것(작은 요철)을 나타낼 수 없다. 이 작은 요철도 또한, 명실의 광택흑감을 좌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요철부의 고저차가 작은 것의 최적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서, 「Ra」라고 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현층의 요철 형상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이다. 하기식을 만족하면, 투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화상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로 한 상태에서의 우수한 광택흑감(화면 표시에서의 젖은 것처럼 광택이 있는 흑색의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θa, Ra, Rz 및 Sm이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하한 미만이면, 광택흑감을 얻을 수 없다.
100㎛<Sm<400㎛
0.10°<θa<0.80°
0.02㎛<Ra<0.15㎛
0.30㎛<Rz<1.20㎛
상기 방현층의 요철 형상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이다. 하기식을 만족하면, 투영 방지와, 화상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로 한 상태에서의 광택흑감이 보다 한층 우수한 것으로 된다.
120㎛<Sm<300㎛
0.10°<θa<0.42°
0.02㎛<Ra<0.12㎛
0.30㎛<Rz<0.80㎛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Sm, Ra 및 Rz는 JIS B 0601-1994에 준거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값이며, θa는 표면 조도 측정기: SE-3400 취급 설명서(1995. 07. 20 개정)(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에 기재된 정의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길이 L에 존재하는 볼록부 높이의 합(h1+h2+h3+…+hn)을 L로 나눈 값의 아크탄젠트{θa=tan-1((h1+h2+h3+…+hn)/L)}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m, θa, Ra, Rz는, 예를 들어 표면 조도 측정기: SE-3400/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 제품 등에 의해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85% 미만이면,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장착한 경우에, 색 재현성이나 시인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1%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에 따라서,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가 제조한 HM-150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헤이즈의 값이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이즈는, 방현층에 함유된 미립자에 의한 내부 확산에 의한 헤이즈 및 최표면의 요철 형상에 의한 표면 헤이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확산에 의한 헤이즈값은, 0.1% 이상, 20% 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상, 10% 미만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이상, 5% 미만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 헤이즈값은, 0.1% 이상, 20% 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상, 10% 미만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이상, 5% 미만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광택흑감을 얻기 위해서는, 내부 확산에 의한 헤이즈 및 표면 헤이즈의 값은, 모두 가능한 한 작은 쪽이 좋으며, 그것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 표면 헤이즈 값의 범위는, 0.1% 이상, 2% 미만, 내부 확산에 의한 헤이즈 값의 범위는, 2% 이상, 5% 미만의 범위이다.
또한, 내부 확산에 의한 헤이즈값은, 방현층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2 미만인 투명 수지를 방현성 필름 위에 도포하고, 표면 요철 형상을 평탄하게 하였을 때의 헤이즈값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의 값은, JIS K7136에 따라서,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가 제조한 HM-150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백색 흐려짐의 발생을 보다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현층 위에 저굴절률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률층은, 외부로부터의 광(예를 들어 형광등, 자연광 등)이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서 반사할 때, 그 반사율을 낮게 한다고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층이다. 저굴절률층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 실리카 또는 불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수지, 2) 저굴절률 수지인 불소계 수지, 3) 실리카 또는 불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 4) 실리카 또는 불화 마그네슘의 박막 등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불소 수지 이외의 수지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현층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와 마찬가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리카는 중공 실리카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중공 실리카 미립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99778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이들 저굴절률층은, 그의 굴절률이 1.45 이하, 특히 1.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30㎚ 내지 1㎛ 정도의 범위 내로부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률층은 단층으로 효과가 얻어지지만, 보다 낮은 최저 반사율, 또는 보다 높은 최저 반사율을 조정할 목적으로, 저굴절률층을 2층 이상 형성하는 것도 적절히 가능하다. 상기 2층 이상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저굴절률층의 굴절률 및 두께에 차이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계 수지로는, 적어도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또는 그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전리 방사선으로 경화하는 관능기, 열경화하는 극성기 등의 경화 반응성의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반응성의 기를 동시에 겸비하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이 중합성 화합물에 대하여 중합체란, 상기와 같은 반응성기 등을 전혀 갖지 못하는 것이다.
상기 전리 방사선으로 경화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불소 함유 단량체를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올레핀류(예를 들어 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부타디엔,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 등)를 예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것으로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부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헥실)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옥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데실)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α-트리플루오로메타크릴산 메틸, α-트리플루오로메타크릴산 에틸과 같은,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적어도 3개 갖는 탄소수 1 내지 14의 플루오로알킬기, 플루오로시클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로알킬렌기와,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불소 함유 다관능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등도 있다.
상기 열경화하는 극성기로서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수소 결합 형성기이다. 이들은, 도막과의 밀착성뿐만 아니라, 실리카 등의 무기 초미립자와의 친화성도 우수하다. 열경화성 극성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4-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플루오로에틸렌-탄화수소계 비닐에테르 공중합체; 에폭시,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페놀, 폴리이미드 등의 각 수지의 불소 변성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으로 경화하는 관능기와 열경화하는 극성기를 겸비하는 중합성 화합물로는,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의 부분 및 완전 불소화 알킬, 알케닐, 아릴에스테르류, 완전 또는 부분 불소화 비닐에테르류, 완전 또는 부분 불소화 비닐에스테르류, 완전 또는 부분 불소화 비닐케톤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불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 상기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1종과,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이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공중합체; 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1,1,2-트리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같은 불소 함유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이들 공중합체에 실리콘 성분을 함유시킨 실리콘 함유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실리콘 성분으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폴리)디페닐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아조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디메틸실리콘, 페닐메틸 실리콘, 알킬·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플루오로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메틸 수소 실리콘, 실라놀기 함유 실리콘, 알콕시기 함유 실리콘, 페놀기 함유 실리콘, 메타크릴 변성 실리콘, 아크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복실산 변성 실리콘,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머캅토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디메틸실록산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중합체 또는 중합체도, 불소계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불소 함유 화합물과,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적어도 1개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폴리올, 불소 함유 알킬폴리올, 불소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불소 함유 ε-카프로락톤 변성 폴리올과 같은 불소 함유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불소 원자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이나 중합체와 함께, 상기 방현층에 기재한 것 같은 각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응성기 등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제, 도포 시공성을 향상시키거나 방오성을 부여시키기 위해서 각종 첨가제, 용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기 저굴절률제 및 수지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용 조성물의 점도를 바람직한 도포성이 얻어지는 0.5 내지 5mPa·s(25℃),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3mPa·s(25℃)의 범위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선이 우수한 반사 방지층을 실현할 수 있으면서, 균일하고 도포 얼룩이 없는 박막을 형성할 수 있어, 밀착성이 특히 우수한 저굴절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의 경화 수단은 전술한 방현층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어도 된다. 경화 처리를 위하여 가열 수단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예를 들어 라디칼을 발생하여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개시시키는 열 중합 개시제가 불소계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의 층 두께 (㎚)dA는, 하기식 (1):
dA=mλ/(4nA) 식(1)
(상기 식에서,
nA는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m은 양의 홀수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1을 나타내며,
λ는 파장이며, 바람직하게는 480 내지 580㎚의 범위의 값임)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굴절률층은 하기식 (2):
120<nAdA<145 식(2)
를 만족하는 것이 저반사율화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서 다른 층(대전 방지층, 오염 방지층, 접착제층, 다른 하드코트층 등)의 1층 또는 2층 이상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전 방지층 및 오염 방지층 중 적어도 1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층은 공지된 반사 방지용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암실에서의 콘트라스트비가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80% 미만이면,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한 경우에 시인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기 콘트라스트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즉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냉음극관 광원에 확산판을 설치한 것을 이용하고, 2매의 편광판(삼성사 제품 AMN-3244TP)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판을 패러렐 니콜로 설치하였을 때에 통과하는 광의 정면에서의 휘도(Lmax)를 크로스 니콜로 설치하였을 때에 통과하는 광의 정면에서의 휘도(Lmin)로 나눈 값(Lmax/Lmin)을 콘트라스트로 하고, 방현성 필름(광 투과성 기재+방현층 등)의 콘트라스트(L1)를 광 투과성 기재의 콘트라스트(L2)로 나눈 값(L1/L2)×100(%)를 콘트라스트비로 한다.
또한, 상기 휘도의 측정에는, 색채 휘도계(탑콘사 제품 BM-5A)를 이용하여, 색채 휘도계의 측정각은 1°로 설정하고, 샘플 상의 시야 φ5㎜로 측정한다. 또한, 백라이트의 광량은, 샘플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2매의 편광판을 패러렐 니콜로 설치하였을 때의 정면에서의 휘도가 3600cd/㎡로 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명실에서의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도 상기 암실에서의 콘트라스트비와 마찬가지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광 투과성 기재 위에, 예를 들어 2종 이상의 미립자, 바인더 입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용제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방현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 및 방현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 방현층의 형성 방법으로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재료,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편광 소자의 표면에, 본 발명에 의한 방현성 필름을 상기 방현성 필름에서의 방현층이 존재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 형성함으로써,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판도,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편광 소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요오드 등에 의해 염색하고,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소자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라미네이트 처리에서는, 광 투과성 기재(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비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 처리에 의해, 접착성이 양호해져서 대전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최표면에 상기 방현성 필름 또는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한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LCD, PDP, FED, ELD(유기 EL, 무기 EL), CRT, 태블릿 PC,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의 대표적인 예인 LCD는, 투과성 표시체와, 상기 투과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LCD인 경우, 이 투과성 표시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이 상기 방현성 필름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광원 장치의 광원은 광학 적층체의 하측으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STN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판 사이에 위상차판이 삽입될 수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각 층간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인 PDP는, 표면 유리 기판(표면에 전극을 형성)과 이 표면 유리 기판에 대향하여 사이에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서 배치된 배면 유리 기판(전극 및 미소한 홈을 표면에 형성하고, 홈 내에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층을 형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PDP인 경우, 상기 표면 유리 기판의 표면, 또는 그의 전방면판(유리 기판 또는 필름 기판)에 전술한 방현성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기도 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전압을 걸면 발광하는 황화아연, 디아민류 물질: 발광체를 유리 기판에 증착하고, 기판에 거는 전압을 제어하여 표시를 행하는 ELD 장치, 또는 전기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여, 육안으로 확인되는 상을 발생시키는 CRT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각 표시 장치의 최표면 또는 그의 전방면판의 표면에 전술한 방현성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어떠한 경우에도, 텔레비전, 컴퓨터, 전자 페이퍼, 터치 패널, 태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CRT, 액정 패널, PDP, ELD, FED, 터치 패널 등의 고정밀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층이면서 박층이기 때문에, 저렴하며 내균열성이 우수하고, 하드코트성 및 방현성을 유지하면서, 면 반짝임 및 백색 흐려짐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되어, 그 결과, 암실에서도 높은 콘트라스트의 표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방현성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θa의 측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a는 실시예 8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배율 3000배이다.
도 2b는 실시예 8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배율 2만배이다.
도 3은 실시예 9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a)는 배율 3000배이며, (b)는 배율 1만배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a)는 배율 3000배이며, (b)는 배율 2만배이다.
도 5는 비교예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a)는 배율 3000배이며, (b)는 배율 2만배이다.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내용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광 투과성 기재(두께 80㎛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필름, 후지 필름사 제품, TD80UL)를 준비하고, 상기 광 투과성 기재의 편면에, 하기에 나타낸 조성의 방현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형성한 도막을 온도 50℃의 열 오븐 내에서 60초간 건조하고, 도막 중의 용제를 증발시켜, 자외선을 적산 광량이 5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4㎛ 두께(경화시)의 방현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1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방현층용 조성물)
유기 미립자(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입자, 평균 입경 2.0㎛, 굴절률 1.51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사 제품) 1질량부
구 형상 무기 미립자(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 평균 입경 2.0㎛, 굴절률 1.50, 미즈사와 가가쿠 고교사 제품) 3질량부
퓸드 실리카(AEROSIL R805 평균 입경 12㎚, 닛본 아에로질사 제품) 1질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다이셀·사이텍사 제품) 60질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V1700B, 닛본 고세 가가쿠사 제품) 4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바스프(BASF) 재팬사 제품) 6질량부
이르가큐어 907(바스프 재팬사 제품) 1질량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TSF4460,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품) 0.025질량부
톨루엔 105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질량부
시클로헥사논 15질량부
또한, 퓸드 실리카는 메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것이다.
(실시예 2)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2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0.3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4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8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5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퓸드 실리카의 배합량을 0.3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6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퓸드 실리카의 배합량을 4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7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퓸드 실리카(평균 입경 12㎚, 닛본 아에로질사 제품, 옥틸 실란을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를 1질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8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퓸드 실리카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9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유기 미립자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0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 및 퓸드 실리카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3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유기 미립자를 배합하지 않고, 무기 미립자로서 실리카(평균 입경 2.0㎛, 도소·실리카사 제품)를 3질량부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4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퓸드 실리카를, 평균 입경 16㎚로 표면 처리가 없는, 즉 친수성인 AEROSIL 130(닛본 아에로질사 제품 pH 4.0 내지 4.5, 비표면적 130㎡/g)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은, 초기부터 겔화, 침전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방현층을 형성할 수 없었다.
(참고예 1)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로서 부정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미즈사와 가가쿠 고교사 제품, 평균 입경 2.0㎛)를 3질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참고예 1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2)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8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참고예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3)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2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참고예 3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4)
유기 미립자로서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입자(평균 입경 1.0㎛, 굴절률 1.51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사 제품)를 사용하고, 그의 배합량을 10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로서 구 형상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평균 입경 0.5㎛, 굴절률 1.50, 미즈사와 가가쿠 고교사 제품)를 사용하고, 그의 배합량을 7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경화 시의 두께를 1.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참고예 4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5)
유기 미립자로서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입자(평균 입경 10.0㎛, 굴절률 1.51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사 제품)를 사용하고, 그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하고, 무기 미립자로서 부정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평균 입경 5㎛, 굴절률 1.50, 미즈사와 가가쿠 고교사 제품)를 사용하고, 그의 배합량을 3질량부로 하고, 퓸드 실리카의 배합량을 2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방현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경화 시의 두께를 1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참고예 5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5 및 참고예 1 내지 5에 따른 방현성 필름을 하기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도액 안정성)
방현성 필름 제작 후, 도액 탱크 중에 침전물이 없는 것을 ○, 방현층에 이물은 보이지 않지만 탱크에 침전물이 존재한 것을 △, 방현층에 이물이 보여지고 탱크에 침전물이 존재한 것을 ×로 하였다.
(방현성)
얻어진 방현성 필름의 방현성에 대하여, 흑색 아크릴판, 투명 점착, 평가 필름(점착측은 비도포 시공면)의 순서로 접착한 것을 명실 환경하에서 육안으로,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주위의 비침이 없어 양호
×: 주위의 비침이 눈에 띄어 보임
(명실의 광택흑감의 평가: 백색 흐려짐이 없어 광택이 있는 흑색으로 보일 지의 여부)
얻어진 방현성 필름의 백색 흐려짐에 대하여, 흑색 아크릴판, 투명 점착, 평가 필름(점착측은 비도포 시공면)의 순서로 접착한 것을 명실 환경하에서 육안으로,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표면이 백색 흐려짐이 없고, 명실에서 광택흑감이 매우 양호
○: 표면이 백색 흐려짐이 없고, 명실에서 광택흑감이 양호
×: 표면이 전면적으로 백색 흐려짐으로 보임
(면 반짝임 평가)
얻어진 방현성 필름의 방현성에 대하여, 암실에서, 라이트 박스, 140ppi의 블랙 매트릭스 유리, 평가 필름의 순서로 아래부터 겹친 상태를 육안으로,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면 반짝임이 거의 확인되지 않음
○: 면 반짝임이 충분히 호전됨
×: 면 반짝임 방지 효과 없음
(암실에서의 광택흑감의 평가: 암실 콘트라스트비)
암실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으로 냉음극관 광원에 확산판을 설치한 것을 사용하고, 2매의 편광판(삼성사 제품 AMN-3244TP)을 사용하여, 상기 편광판을 패러렐 니콜로 설치하였을 때에 통과하는 광의 정면에서의 휘도(Lmax)를 크로스 니콜로 설치하였을 때에 통과하는 광의 정면에서의 휘도(Lmin)로 나눔으로써, 방현성 필름(광 투과성 기재+방현층)의 콘트라스트(L1)와 광 투과성 기재의 콘트라스트(L2)를 구하고, (L1/L2)×100%를 산출함으로써 콘트라스트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휘도의 측정에는, 색채 휘도계(탑콘사 제품 BM-5A)를 사용하였다. 색채 휘도계의 측정각은 1°로 설정하고, 샘플 상의 시야 φ5㎜로 측정하였다. 백라이트의 광량은, 샘플을 설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2매의 편광판을 패러렐 니콜로 설치하였을 때의 휘도가 3600cd/㎡로 되도록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콘트라스트비가 90을 초과하는 것을 「콘트라스트가 높고, 암실에서 광택흑감이 매우 양호하다」라고 평가하고, 80을 초과, 90 이하인 것을 「콘트라스트가 높고, 암실에서 광택흑감이 양호하다」라고 평가하고, 80 이하인 것을 「콘트라스트가 낮고, 암실에서 광택흑감이 없다」라고 평가하였다.
(연필 경도)
얻어진 방현성 필름을 온도 25℃, 상대 습도 60%의 조건에서 2시간 조습한 후, JIS-S-6006이 규정하는 시험용 연필을 사용하여, JIS K5600-5-4(1999)로 규정하는 연필 경도 시험(500g 하중)을 행하여, 흠집이 생기지 않는 가장 높은 경도를 측정하였다.
(균열성)
JIS-K5600-5-1에 기재되어 있는 맨드릴 시험(금속제 원기둥에 샘플을 둘러 감는 시험)에 준하여, φ8㎜의 맨드릴 막대에 방현층을 외측으로 하여, 얻어진 방현성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감아, 균열(금)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또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로 표기하고, 균열이 발생한 것을 「×」로 표기하였다.
(요철의 평균 간격(Sm),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θa), 10점 평균 조도(Rz))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성 필름에 대하여,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요철의 평균 간격(Sm), 요철의 산술 평균 조도(Ra) 및 10점 평균 조도(Rz)를 측정하고, 도 1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θa)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Sm, Ra, θa 및 Rz의 측정에는, 표면 조도 측정기: SE-3400/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 제품을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1) 표면 조도 검출부의 촉침:
모델 번호/SE2555N (2μ 촉침), 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 제품
(선단 곡률 반경 2㎛/꼭지각: 90도/재질: 다이아몬드)
(2) 표면 조도 측정기의 측정 조건:
기준 길이(조도 곡선의 컷오프값 λc): 2.5㎜
평가 길이(기준 길이(컷오프값 λc)×5): 12.5㎜
촉침의 이동 속도: 0.5㎜/s
또한, 통상 컷오프값은 0.8㎜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에서는, 컷오프값을 2.5㎜로 설정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성 필름이 바람직한 요철 형상으로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고, 나아가서, 화상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로 한 상태에서의 우수한 광택흑감(화면 표시에서의 젖은 것처럼 보이는 광택이 있는 흑색의 재현성)을 얻을 수 있는 요철 형상이기 때문이다. 즉, 크게 완만한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요철 형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컷오프값을 2.5㎜로 설정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미립자 응집 상태)
방현성 필름의 단면을, STEM에 의해, 2000배 내지 30000배로 관찰하고, 유기 미립자와 무기 미립자가 응집체를 형성하고 있었던 것을 ○, 그 이외를 ×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7083911778-pat00001
표 1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모두 높은 암실에서의 콘트라스트비를 가짐과 함께, 방현성, 백색 흐려짐 방지성, 면 반짝임 방지성, 하드코트성 (연필 경도 및 균열성)이 모두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도 2a, 2b는 실시예 8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도 2a는 배율 3000배이며, 도 2b는 배율 2만배이다. 또한, 도 2a에서는,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응집체가 2개 관찰되었다. 또한, 도 3은 실시예 9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a)는 배율 3000배이며, (b)는 배율 1만배이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응집체가 2개 관찰되었다. 도 2a, 2b,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8 및 9에 따른 방현성 필름에서는, 방현층 중에서 유기 미립자와 무기 미립자가 응집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실시예 8에서는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주위에 퓸드 실리카가 편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9의 결과로부터, 퓸드 실리카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도액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백색 흐려짐 방지성의 평가가 「◎」이었던 실시예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표면 헤이즈의 값이 0.1% 이상, 2% 미만의 범위 내에 있으며, 내부 확산에 의한 헤이즈의 값이 2% 이상, 5% 미만의 범위 내에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모두 방현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이며, 도 5는 비교예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단면 STEM 사진으로, 모두, (a)는 배율 3000배이며, (b)는 배율 2만배이다.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에서는, 방현층에는 응집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퓸드 실리카도, 입자 주위에 편재되어 있다고 하기보다도, 방현층 전체에 분산되어 있었다.
또한, 방현층에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백색 흐려짐의 평가가 떨어지고, 방현층에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백색 흐려짐 및 면 반짝임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참고예 1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무기 미립자가 부정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었기 때문에, 암실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고, 참고예 2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았기 때문에, 백색 흐려짐 및 면 반짝임의 각 평가가 떨어지고, 참고예 3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무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았기 때문에, 백색 흐려짐 및 면 반짝임의 각 평가가 떨어지며, 참고예 4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방현층의 두께가 얇아, 연필 경도 시험이 떨어지는 것이며, 참고예 5에 따른 방현성 필름은, 방현층의 두께가 두꺼워, 균열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에서 얻어진 방현성 필름의 방현층의 표면에, 하기 조성의 저굴절률층용 조성물을, 건조 후(40℃×1분)의 막 두께가 0.1㎛로 되도록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재팬사 제품, 광원 H 밸브)를 이용하여, 조사선량 100mJ/㎠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경화시켜서 저굴절률층을 제조한다. 얻어진 저굴절률층을 구비한 방현성 필름은, 백색 흐려짐의 방지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이다.
(저굴절률층용 조성물)
중공 실리카 미립자(이 실리카 미립자의 고형분: 20질량%, 용액: 메틸이소부틸케톤, 평균 입경: 50㎚) 40질량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다이셀·사이텍사 제품) 10질량부
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127: 바스프 재팬사 제품) 0.35질량부
변성 실리콘 오일(X22164E: 신에츠 가가쿠사 제품) 0.5질량부
MIBK 320질량부
PGMEA 161질량부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은,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광 투과성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성 필름이며,
    상기 방현층은 2종 이상의 구 형상의 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를 함유하고,
    상기 응집체에 의해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기 방현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현층은 바인더 입자를 더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입자는 평균 1차 입경 1 내지 100㎚의 퓸드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2종 이상의 구 형상의 미립자는 1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및 1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현성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유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0.3 내지 10.0㎛,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500㎚ 내지 5.0㎛인 방현성 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 입자는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미립자의 주위에 편재하고 있는 방현성 필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는 표면 처리되어 있는 방현성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퓸드 실리카는 표면 처리로서 소수화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소수화 처리는 메틸 처리, 옥틸실란 처리, 또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 처리인 방현성 필름.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유기 미립자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및 폴리불화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립자인 방현성 필름.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탈크, 운모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립자인 방현성 필름.
  11.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판은 편광 소자 표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성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2. 최표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성 필름, 또는 편광 소자 표면에 상기 방현성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77024290A 2010-10-22 2011-10-21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98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7832 2010-10-22
JP2010237832 2010-10-22
JPJP-P-2011-193278 2011-09-05
JP2011193278 2011-09-05
PCT/JP2011/074280 WO2012053632A1 (ja) 2010-10-22 2011-10-21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951A Division KR101775194B1 (ko) 2010-10-22 2011-10-21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983A KR20170103983A (ko) 2017-09-13
KR101898833B1 true KR101898833B1 (ko) 2018-09-13

Family

ID=45975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290A KR101898833B1 (ko) 2010-10-22 2011-10-21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137012951A KR101775194B1 (ko) 2010-10-22 2011-10-21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951A KR101775194B1 (ko) 2010-10-22 2011-10-21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48407B2 (ko)
JP (1) JP5974894B2 (ko)
KR (2) KR101898833B1 (ko)
CN (2) CN103154781A (ko)
TW (1) TWI618950B (ko)
WO (1) WO2012053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789B1 (ko) 2012-04-19 2013-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3168569A1 (ja) * 2012-05-09 2013-11-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974709B2 (ja) * 2012-07-26 2016-08-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107184B2 (ja) * 2013-02-04 2017-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9207824B2 (en) 2014-03-25 2015-12-08 Hailiang Wang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ensors on polymer lenses
US9846356B2 (en) * 2014-04-14 2017-12-19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Film for transparent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transparent screen comprising same
TWI628457B (zh) * 2014-04-17 2018-07-0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防眩膜、偏光板、液晶面板以及影像顯示裝置
JP6640721B2 (ja) * 2014-07-04 2020-02-05 株式会社ホタルクス 有機elパネル用透明樹脂層、有機elパネル、有機el照明装置、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JP2016035574A (ja) * 2014-08-01 2016-03-17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052433A (ja) * 2014-08-01 2020-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60040922A (ko) * 2014-10-06 2016-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211460B1 (en) * 2014-10-24 2023-09-2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Light diffusion film
US10747372B2 (en) 2015-03-25 2020-08-18 Hailiang Wang Systems and high throughput methods for touch sensors
JP2016212269A (ja) * 2015-05-08 2016-12-15 株式会社ダイセル 反射防止材
US10294422B2 (en) 2015-07-16 2019-05-21 Hailiang Wang Etching compositions for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comprising silver nanowires
US10372246B2 (en) 2015-07-16 2019-08-06 Hailiang Wang Transferable nanocomposites for touch sensors
JP6676325B2 (ja) * 2015-10-01 2020-04-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676930B2 (ja) * 2015-11-09 2020-04-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KR102016710B1 (ko) 2016-01-07 2019-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CN108700684B (zh) * 2016-02-10 2019-06-18 株式会社凸版巴川光学薄膜 光学层叠体、偏光板及显示装置
CN108603954B (zh) * 2016-02-16 2019-12-13 株式会社凸版巴川光学薄膜 光学层叠体、偏光板及显示装置
KR101951863B1 (ko) 2016-03-14 2019-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821B1 (ko) 2016-03-14 2019-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1864B1 (ko) 2016-03-14 2019-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498146B2 (ja) * 2016-04-19 2019-04-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タッチパネル
CN107562251B (zh) * 2016-06-30 2020-09-15 宁波科廷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触摸传感器的可转移纳米复合材料
KR102090810B1 (ko) 2016-12-16 202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형성용 조성물,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8111054A2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형성용 조성물,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843962B2 (ja) * 2017-03-03 2021-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の前面板、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機能付きミラ−、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CN107290809A (zh) * 2017-07-20 2017-10-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抗眩层的制作方法及显示面板
JP7121479B2 (ja) * 2017-11-14 2022-08-18 株式会社トッパンTomoegawaオプティカルフィルム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表示装置
CN108663732B (zh) * 2018-05-10 2021-09-14 明基材料有限公司 一种低雾度防眩膜及偏光板
TWI667303B (zh) * 2018-08-02 2019-08-01 明基材料股份有限公司 硬塗層光學膜、具有此硬塗層光學膜的偏光板、及含此硬塗層光學膜及/或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JP6683983B2 (ja) * 2018-09-27 2020-04-22 大和製罐株式会社 撥液性の膜
KR102440277B1 (ko) * 2018-11-15 2022-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8883B1 (ko) * 2018-11-15 2022-08-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2837B1 (ko) * 2018-12-26 2021-02-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유/무기 하이브리드 광결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4548B1 (ko) 2019-01-02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8213B1 (ko) * 2019-01-14 2023-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20276A1 (ja) * 2021-04-16 2022-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拡散部を有する伸縮性樹脂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シ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650A (ja) * 2002-06-26 2004-01-2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防眩フィルム
JP2008304638A (ja) * 2007-06-06 2008-12-18 Sony Corp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0032916A (ja) 2008-07-30 2010-02-12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06A (ja) 1992-01-24 1994-01-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耐擦傷性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0103A (ja) 1996-07-05 1998-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JP2001002799A (ja) * 1999-06-17 2001-01-09 Konica Corp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4506070B2 (ja) * 2002-11-01 2010-07-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防眩層の形成方法、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防眩層形成用のインクジェット装置
EP1657268B1 (en) * 2003-08-21 2015-05-27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thereof
US7828889B2 (en) * 2003-12-18 2010-11-09 The Clorox Company Treatments and kits for creating transparent renewable surface protective coatings
JP4641829B2 (ja) * 2004-03-29 2011-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性積層体
JP2006143873A (ja) 2004-11-19 2006-06-08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樹脂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5102955B2 (ja) * 2005-01-06 2012-12-19 株式会社ジロオコーポレートプラン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DE102005007753A1 (de) 2005-02-18 2006-08-31 Wacker Chemie Ag Partikel mit geringer spezifischer Oberfläche und hoher Verdickungswirkung
TW200641387A (en) 2005-02-21 2006-1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optical multilayer body
JP2006335893A (ja) 2005-06-02 2006-12-14 Sumitomo Dow Ltd 光反射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反射板
US7505104B2 (en) * 2005-09-16 2009-03-17 Fujifilm Corporation Antiglare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70177271A1 (en) * 2006-02-02 2007-08-02 Fujifilm Corporatio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JP2009066757A (ja) 2006-02-03 2009-04-02 Nakajima Kogyo Kk 防眩フィルム
JP5554885B2 (ja) * 2006-04-18 2014-07-23 恵和株式会社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2007322779A (ja) * 2006-06-01 2007-12-13 Nitto Denko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8040063A (ja) * 2006-08-04 2008-02-21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性光拡散部材
KR101406122B1 (ko) * 2006-08-14 2014-06-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광학 적층체
KR101476462B1 (ko) 2006-08-18 2014-12-2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1535040A (zh) * 2006-11-16 2009-09-16 三菱树脂株式会社 阻气膜叠层体
US8163393B2 (en) * 2007-03-19 2012-04-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Anti-dazzling optical laminate
TWI413668B (zh) * 2007-05-16 2013-11-01 Lg Chemical Ltd 抗炫光膜用組成物及用其製備之抗炫光膜
US7960021B2 (en) * 2007-05-16 2011-06-14 Lg Chem, Ltd. 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anti-glar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JP2008287072A (ja) * 2007-05-18 2008-11-27 Fujifilm Corp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9058862A (ja) * 2007-09-03 2009-03-19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JP5216501B2 (ja) 2007-09-28 2013-06-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114438B2 (ja) * 2008-02-13 2013-0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085759A (ja) * 2008-09-30 2010-04-15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034712B1 (ko) * 2008-12-24 2011-05-17 제일모직주식회사 두 개의 방현입자가 중첩된 형태의 방현제를 포함하는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32761A1 (en) * 2010-03-18 2011-09-29 Lomasney Henry L Solar photovoltaic devices having optional batteries
WO2011129012A1 (ja) * 2010-04-16 2011-10-20 東ソー・エフテック株式会社 太陽電池用コート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129011A1 (ja) * 2010-04-16 2011-10-20 東ソー・エフテック株式会社 低屈折率膜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650A (ja) * 2002-06-26 2004-01-2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防眩フィルム
JP2008304638A (ja) * 2007-06-06 2008-12-18 Sony Corp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0032916A (ja) 2008-07-30 2010-02-12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4781A (zh) 2013-06-12
TWI618950B (zh) 2018-03-21
KR20130127984A (ko) 2013-11-25
KR101775194B1 (ko) 2017-09-05
JPWO2012053632A1 (ja) 2014-02-24
US10048407B2 (en) 2018-08-14
KR20170103983A (ko) 2017-09-13
JP5974894B2 (ja) 2016-08-23
CN107718800B (zh) 2021-05-18
TW201219861A (en) 2012-05-16
WO2012053632A1 (ja) 2012-04-26
CN107718800A (zh) 2018-02-23
US20130250414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33B1 (ko)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874740B2 (ja)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476582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18334B1 (ko)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974709B2 (ja)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167480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71692B1 (ko)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JP6064406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4016602A (ja)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4059334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44118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167697A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314384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134358A (ja) 防眩層用組成物、防眩層用組成物の調製方法及び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167696A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451717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4048345A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721067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292287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