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458B1 -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458B1
KR101898458B1 KR1020170164477A KR20170164477A KR101898458B1 KR 101898458 B1 KR101898458 B1 KR 101898458B1 KR 1020170164477 A KR1020170164477 A KR 1020170164477A KR 20170164477 A KR20170164477 A KR 20170164477A KR 101898458 B1 KR101898458 B1 KR 10189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ag
retaining wall
composite
back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Priority to KR102017016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가 한쌍의 셋트를 이루어 구조체내에 분리 수용되어 복합 모듈을 이루고, 이 모듈이 각각의 복합포대옹벽층을 형성함으로써 식생과 자연에 어울리며, 견고하고 경제적인 식생 활착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구조물은 다단식의 계단형으로 튼튼하며 경사진 하천 주변의 식생에 특히 유리하다.

Description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Vegetation gabion type recruit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und type sack}
본 발명은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 게비온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도로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 등의 정비시에 사면안정과 치수안정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옹벽, 게비온 (gabion) 옹벽, 블럭식 옹벽, 석축, 콘크리트 블럭, 돌망태 등의 구조물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물들에는 식생 활착할 수 있는 공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에 이러한 구조물들을 사용하여 도로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 등을 정비하는 경우에는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특허 제10-1677876호에서, 씨앗줄과 황마 네트를 포함하는 씨앗줄 네트를 형성하고, 씨앗줄 네트를 합성 섬유 포대의 내부에 규격에 맞게 재단한 후 합성 섬유 포대 내에 주입하고, 합성 섬유 포대를 포대 수용체 내에 삽입하고, 합성 섬유 포대 내에 왕겨와 황토를 혼합한 식생용 상토를 주입한 후 합성 섬유 포대의 개봉된 입구를 재봉하여 합성 섬유 포대를 매트로 제조하고, 연결핀을 이용하여 합성 섬유 포대가 내장된 포대 수용체를 갖는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를 개시하였다.
또, 다른 특허 제10-1137233호는 제1 및 제2 식생포대를 상하로 적층하고, 연결구로 연결한 옹벽지지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특허 제10-1219289호는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생포대의 덮개부가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들이 내장된 씨줄을 포함하는 식생포대를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특허 제10-1162548호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식생백(50“)과 잡석층(60”)을 3단 배열하고 그 주위를 그물망(11“,12”,13“,15”)이 둘러쌓아 이루어지는 식생 보강 게비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그물망은 철선으로 제작되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산화로 부식되기 쉬우며 내구성이 약하고 씨앗과 토양의 유출이 심한 단점이 있다. 또, 게비온 측단에 배치되는 식생백(50’)은 2층의 식생용지와 네트층으로 형성한 백 안에 토사를 충전하는 것이므로 제작이 불편하고 설치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 부피가 큰 3단의 적층 구조를 1단위로 설치하므로, 하천 굴착 공간이 협소하거나 경사가 완만한 곳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런데 식생 활착용 포대 조립체를 하천과 같은 물이 많은 지역에 구축하는 경우 수분의 흡수와 배수 문제를 해결하고, 전체 구조를 견고히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편리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시공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고려하여 섬유형 폴리프로필렌 네트를 이용한 식생포대를 이용하여 전방에는 씨앗 발육을 위한 최적 환경을 제공하면서 후방에는 이를 견고히 지지하고 주변 지하 환경에 적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도록 안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식생 활착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며, 견고하고 경제적인 복합 포대 옹벽을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 식생포대, 쇄석장에서 채굴된 잡석 또는 현지의 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석이나 유용토 충전용으로, 상기 식생포대보다 길이가 길며 식생포대를 지지하는 뒷채움포대 및 상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동시에 수용하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비수밀성 격벽으로 구성되는 구획부를 가진 구조체; 로 이루어지는 복합 포대 구조체를 준비하는 공정; (2) 현장에서 터파기 작업 후 기초옹벽을 설치하는 공정; (3) 상기 복합 포대 구조체를 기초옹벽 위에 설치하는 공정; 및 (4) 상기 식생포대에 상토를 충전하고, 상기 뒷채움 포대에 혼합석이나 유용토를 충전하여 복합포대옹벽을 구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 및 (4)의 공정을 반복하여 복수층의 계단형 복합포대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부층 복합포대옹벽의 전면을 아래층의 구획부에 맞추어 시공하여 높이, 길이 및 폭이 정렬된 복수층의 계단형 복합포대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4)의 공정 이후, 복합포대옹벽의 상면을 부직포로 미싱 작업을 통해 덮고, 구조체의 상면을 철망으로 덮은 후 철망이 덮인 상면에 흙을 포설하여 다짐질 작업을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포대덮게부는 장섬유 폴리에스터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식생포대덮게부는 하천용이 아닐 경우 미싱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이 경우 식생이 가능한 여러 식생매트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상토 충전용의 식생포대, 쇄석장에서 채굴된 잡석 또는 현지의 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석이나 유용토 충전용으로, 상기 식생포대보다 길이가 길며 식생포대를 지지하는 뒷채움포대 및 상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동시에 수용하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비 수밀성 격벽의 구획부를 가진 구조체; 로 이루어지는 복합 포대 구조체를 준비하는 공정; (2) 현장에서 터파기 작업 후 기초옹벽을 설치하는 공정; (3) 상기 복합 포대 구조체를 기초옹벽 위에 설치하는 공정; 및 (4) 상기 복합 포대 구조체를 폴리에틸렌 연결선을 이용하여 철망에 고정하는 공정; 및 (5) 상기 식생포대에 상토를 충전하고, 상기 뒷채움 포대에 혼합석이나 유용토를 충전하여 복합포대옹벽을 구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 포대는 식생식물이 자랄 수 있는 상토를 내부에 충전하고, 전면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한 네트가 설치되어 식생식물의 씨앗이 네트를 통하여 상기 상토에 직접 활착되고, 전면의 가장자리에는 식생식물의 씨앗을 내장한 씨줄이 형성됨으로써 식생식물이 전면부에서 활착 및 성장하도록 하며, 지지체인 철망과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비하고, 상기 뒷채움포대는 쇄석장에서 채굴된 잡석 또는 현지의 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석이나 유용토가 내부에 충전되며, 상기 식생포대보다 길이가 길며 식생포대의 후방에서 식생포대를 지지하고, 하부에 모래나 암석을 충전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배수층이 형성되며, 장섬유 폴리에스터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동시에 수용하고,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며 식생포대가 훼손 또는 매몰된 경우 장섬유 폴리에스터 재질의 뒷채움포대는 토석에 매립될 수 있도록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분리한 비수밀성 격벽을 가진 구조체; 로 이루어지는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포대에 상토를 충전하여 식생과 생태계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각각 성질이 다른 재질을 충전하여 식생 환경에 적합하면서 견고하고 경제적으로 유용한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포대옹벽을 다층으로 경사식 계단으로 설치하여 환경에 어울리고 미려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뒷채움포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포대 및 뒷채움포대를 수용한 구조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포대, 뒷채움포대 및 지지체를 이용하여 시공한 식생 활착 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 활착 구조물의 설치 공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식생포대에 상토, 뒷채움포대에 잡석을 채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합포대옹벽의 상면을 부직포로 덮고 철망을 덮은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완성된 식생 활착 구조물 준공의 전경을 시점부에서 종점부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선행특허의 게비온 옹벽의 조립 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옹벽을 다층으로 시공한 후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ⅰ),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연결', '설치' 또는 '부착'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간의 직접적인 연결 또는 직접적인 설치나 부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것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한 연결, 설치 또는 부착을 포함하는 것으로 최대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복합포대구조체는 크게 식생포대, 뒷채움포대 및 이들을 감싸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지지체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아연도금철망 또는 일반 도색철망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대(1)의 사시도이다.
식생포대(1)는 예를 들어 장섬유 폴리에스터로 제작되는 포대 또는 박스이다. 장섬유 폴리에스터는 끊기지 않고 뽑아낸 섬유를 모아 하나의 원사로 만든 것으로 주로 의류용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식생포대를(1)를 펼치고 절첩하여 사각형 프레임(10)을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식생포대(1)의 상면은 개방된다.
식생포대(1)의 전면(18)에는 네트가 설치된다. 네트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제작된다. 섬유형 폴리프로필렌 네트는 장섬유 폴리에스터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키고 섬유를 보강하는 용도로서 식생 구조물의 내구 년한을 증가시킬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이용된다.
전면(18)의 위쪽 테두리에는 다른 포대 또는 구조체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한 시접(12; seam width; '솔기‘ 또는 ’솔기‘가 접혀 들어간 부분)이 형성되고, 시접의 한쪽에는 지지체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있어 연결선(14)을 설치할수 있도록 한다 연결선(14)과 대향하는 전면(18)의 다른 쪽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식생식물의 씨앗을 내장한 씨줄(16)이 형성된다. 시접(12)은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식생 포대(1)는 예를 들어 가로 1,000mm, 세로 200 ~ 250mm, 높이 500 ~ 1,000mm로 제작된다.
이상 설명한 식생포대(1)는 기존의 어느 것도 적절히 채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자연 환경과 구조체에 따라 크기, 연결구 및 씨줄의 형상과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뒷채움포대(2)의 사시도이다.
뒷채움포대(2)는 식생포대(1)와 같이, 예를 들어 장섬유 폴리에스터로 제작되는 포대 또는 박스이다. 도 2는 뒷채움포대(1)를 펼치고 절첩하여 사각형 프레임(20)을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뒷채움포대(2)의 상면은 개방된다.
뒷채움포대(2) 전면 및 측면의 위쪽 테두리에는 다른 포대 또는 구조체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한 시접(22)이 형성되고, 시접(22)의 경계에는 지지체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이용해 연결선(24)를 설치한다. 연결선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연결선을 주로 사용하여 부식등을 예방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확보할수 있도록 한다.
뒷채움포대(2)는 예를 들어 가로 1,000mm, 세로 700 ~ 750mm, 높이 500 ~ 1,000mm로, 지중에 충분히 매설되는 세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중의 하나는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를 구조적으로 일체화하여 복합 포대를 형성한 점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제공되는 지지체(3)는 아연 도금 재질의 게비온이 일반적이나,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를 동시에 수용하고 변형 없이 지지할 수 있는 한 어떤 구조의 프레임도 활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3)는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를 수용하고 있다. 지지체(3)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작된다. 식생포대(1)는 지지체(3)의 앞쪽에, 뒷채움포대(2)는 뒤쪽에 위치하며,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의 수용 공간은 비 수밀성 격벽 구획부(30)에 의하여 분리된다. 앞서의 예라면, 뒷채움포대(2)의 세로 길이는 식생포대(1)의 세로 길이의 약 3배이므로, 비 수밀성 격벽 구획부(30)는 지지체(3)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비 수밀성 격벽 구획부(30)는 지지체(3)의 높이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식생 포대(1)와 뒷채움포대(2)의 충전재가 섞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3)의 상면(32)은 옹벽 설치 전에는 개방된 상태이나, 도 3에서는 예를 들어 철망으로 상면(32)이 폐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의 경계부는 식생포대(1)의 후면(18a), 뒷채움포대(2)의 전면(26)에 더하여 비 수밀성 격벽 구획부(30)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두 포대(2)는 하나의 지지체(3) 내에서 적어도 물리적으로,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전면의 외부환경과 직접 맞닿은 식생부의 식생포대가 훼손 또는 손상되어 상토가 유출되더라도 뒤채움포대는 토석에 매립되어지는 형태의 적층구조로서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은 물론 폴리에스터재질의 장섬유는 토석에 매립할 경우 그 부식년한이 통상적으로 최대 100년이라는 문헌이 있음을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구조체로 축조되는 복합포대를 이용한 게비온 옹벽은 최대 100년의 내구년한을 확보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상 기술한 하이브리드형 또는 복합형의 식생 및 뒷채움 포대수용 지지체를 제작할 수 있는 한 어떠한 변경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포대(1), 뒷채움포대(2) 및 지지체(3)를 이용하여 시공한 식생 활착 구조물(50)의 측단면도이다. 식생포대(1), 뒷채움포대(2) 및 지지체(3)는 한 단위로 각각의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100)을 형성하고 있다. 구조물(50)은 6층의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100)을 포함한다.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100)은 지면 또는 지층을 따라 각각의 층에서 복수열 배열된다.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100)의 비 수밀성 격벽 구획부(30)를 기준으로 전방, 즉 외관이 보이는 부분에는 식생포대(1)가 위치하고, 후방, 즉 지중, 경사 또는 비탈 내부에는 뒷채움포대(2)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100)은 각각의 층에 대응하여 높이 방향으로 하나의 구조체(3)를 설치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 제10-1677876호와 같이 구조체를 3층으로 구분하고 다시 전후방으로 2등분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100)의 높이(H2)는 예를 들어 500mm이다.
구조물(50)은 지면(g)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기초옹벽(40)이 설치된다. 기초옹벽(40)은 터잡기 작업 후 설치되는 하부지지 옹벽으로, 식생과 직접 관계는 없지만 구조물(50)과 지반을 충분히 지지하는 강도로 제작된다. 기초옹벽(40)의 포대로는 장섬유폴리에스터를, 지지체는 도2에 도시한 지지체를 이용해도 좋다. 포대 내부에는 주변의 혼합석이나 유용토를 충전한다. 기초옹벽(40)의 높이(H1)는 약 1,000mm, 길이(H3)는 약 1,500mm로, 복합포대옹벽(100,...,100)보다 크게 제작된다.
기초옹벽(40)을 설치하고, 그 위에 제1층에 매립될 구조체(3)를 설치한 다음, 구조체(3) 내부의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상면부직포(52)로 두 포대(1,2)의 상면을 덮고, 철망(32)으로 구조체(3)의 상면을 덮는 것으로 제1층의 복합포대옹벽(100)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 제2층의 복합포대옹벽(100)의 전면은 제1층의 복합포대옹벽(100)의 구획부(30) 부분에서 시작한다. 상부층도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경사진 계단형의 복수층, 예를 들어 10층 구조물(50)을 시공할 수 있다.
제1층, 제3층 및 제5층의 식생포대(1) 내부에서 외부로는 배수관(60)을 설치하여 물을 하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중의 하나는 식생포대(1)에 식물, 특히 하천 주변의 식물이 생장하는데 적합한 상토를 충전하고, 뒷채움포대(2)에는 현장 주변의 혼합석이나 유용토를 충전하고, 뒷채움포대(2)의 하부에는 공극률이 큰 모래나 자갈을 충전하여 배수 효과를 높인 점에 있다.
상토는 특허 제10-1677876호에 개시한 것과 같이 왕겨 10~30%, 황토 혼합토를 70~9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거나, 하천 주변의 식물, 녹비 초생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뒷채움포대(2)에 충전되는 혼합석이나 유용토는 쇄석장에서 채굴된 잡석 또는 현지의 흙이나 모래를 담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은 구조체(3)의 전방 약 1/4부피를 상토가 점유하고, 나머지 부피를 혼합석이나 유용토가 점유하므로, 구조물(50)의 전면과 상면에서 주로 식생하는 식물의 씨앗과 종자의 발육 및 성장에 유리하고, 뒷채움포대(2)가 식생포대(1)를 뒤에서 지지하면서 경사 지중에 깊이 매립되므로 게비온 복합포대옹벽(100,...,100)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비 수밀성 격벽 구획부(30)로 인하여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가 분리되므로, 전면의 외부환경과 직접 맞닿은 식생부의 식생포대가 훼손 또는 손상되어 상토가 유출되더라도 뒤채움포대는 토석에 매립되어지는 형태의 적층구조로서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은 물론 폴리에스터재질의 장섬유는 토석에 매립할 경우 그 부식년한이 통상 최대 100년이므로때 이러한 구조체로 축조되는 복합포대를 이용한 게비온옹벽은 최대 100년의 내구년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에는 게비온 철망안 포대에 대부분 현장의 흙이나 자갈을 담고 씨줄에 수용된 식물용의 식생토는 지지체 외부에 별도로 산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으므로 식물의 발육에 불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하여 식생포대(1)의 상토가 특히 식물의 뿌리 성장에 적합한 지하 환경을 제공하므로 상기 단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상토는 식생포대(1)의 전면에 있는 씨줄(16)에 수용된 씨앗의 발육과 성장에 특히 유리하다.
또 종래에는 별도의 식생백을 이용하여 설치가 번거로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게비온 옹벽 구조체 안에 바로 상토를 충전하면 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뒷채움포대(2)의 하부에는 하천 경사면에 따라 배수를 원활히 하도록 공극률이 높은 모래나 암석을 충전한 배수층(20b)을 형성한다. 배수층(20b)은 현장의 물기가 많은 유용토를 뒷채움포대(2)에 충전할 때 수분을 배출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은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가 한쌍의 셋트를 이루어 구조체(3)내에 분리 수용되어 복합 모듈을 이루고, 이 모듈이 각각의 게비온 복합포대 옹벽(100,...,100)층을 형성함으로써 식생과 자연에 어울리며, 견고하고 경제적인 식생 활착 구조물을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5는 이상 설명한 식생 활착 구조물(50)의 설치 공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식생포대(1)와 뒷채움포대(2)를 준비한다(S10). 식생포대(1)의 전면에는 네트와, 연결구(14)와, 씨줄(1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구조체(3)로서 예를 들어 게비온 철망을 준비한다(S12).
다음, 구조체(3)의 구획부(30)를 기준으로 전방에는 식생포대(1), 후방에는 뒷채움포대(2)를 수용하여 복합포대구조체를 조립한다(S14). 복합포대구조체는 최종 구조물에 맞추어 복수 개 조립된다. 기초옹벽(40)을 위한 복수의 기초포대구조체도 같이 조립한다.
이와 같이 포대와 조립체의 조립이 끝나면, 설치 현장에서 터파기와 배수 작업을 실시한다(S16). 이어, 지면(g)을 기준으로 하부에 기초포대구조체를 매설하여 기초옹벽(S18)을 설치하고, 기초옹벽 내부를 혼합석이나 유용토로 충전한다(S20). 그리고, 기초옹벽의 상면을 부직포로 미싱 작업을 통해 덮는다(S22). 구조체의 상면을 철망으로 덮은 후 철망이 덮인 상면에 흙을 포설하여 다짐질 작업을 하는 공정을 하면 기초 옹벽의 설치가 완료된다.
다음, 조립된 복합포대구조체를 기초옹벽 위에 일렬로 설치한다(S24). 식생포대(1)에는 상토, 뒷채움포대(2)에는 혼합석이나 유용토로 구분하여 충전한다(S26). 이때 뒷채움포대(2)의 하부에는 배수층(20b)을 형성한다. 기존에는 구조체내에 일률적으로 잡석이나 유용토를 충전하고 상토는 충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구조체의 설치 작업이 끝난 후 구조체의 전면 및 상면에 작업차로 상토를 덮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에서는 상토를 포함한 복합포대옹벽 설치 작업을 해당 층에서 완료하고 다음 층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식생포대(1)에 상토, 뒷채움포대(2)에 잡석을 채운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복합포대옹벽의 상면을 부직포로 미싱 작업을 통해 덮는다(S28). 구조체의 상면을 철망으로 덮은 후 철망이 덮인 상면에 흙을 포설하여 다짐질 작업을 하는 공정을 하면 제1층의 복합포대옹벽 설치가 완료된다.
단, 미싱작업은 하천용으로 축조할 경우에만 적용한다.
도 7은 상면을 부직포로 덮고 철망을 덮은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공정(S24,...,S28)을 반복하여 최종 구조물에 맞추어 복수층의 복합포대옹벽을 설치한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층 복합포대옹벽의 전면을 아래층의 구획부(30)에 맞추어 시공하면 높이, 길이 및 폭이 정렬된 계단형의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는 점에서 외관면에서 좋다.
이후 노출된 복합포대옹벽의 상면을 토양으로 되메움하고 현장 정리를 하는 것으로 시공 작업이 완료된다.
도 8은 완성된 식생 활착 구조물(50) 준공의 전경을 시점부에서 종점부로 도시한 예이다.
또, 이상의 공정과 대부분 공통되지만, 터파기 후, 폴리에틸렌연결선을 이용 하여 철망에 식생포대 및 기초포대를 조립하고, 설치 장소에 설치한 다음, 상토를 삽입하고 뒷채움용 토석을 삽입하며, 흙을 다진 후, 덮게부를 식생부직포로 핸드미싱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이후, 구조체의 상면을 철망으로 덮은 후, 되메우기를 실시한다. 이상의 공정을 반복하여 높이 1~5m의 게비온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상 설명한의 설치 공정들은 다만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현장 사정과 주위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각 공정에 붙인 부재번호는 설치 작업의 순서를 의미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식생포대(1)를 층마다 충전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긴 후 작업 종료 시점에서 일괄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공정의 특징은 도 1 내지 도 4에 개시한 복합 포대 구조체를 이용하여 하천 주변 환경에 적합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을 준공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이상 기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까지 미친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Claims (5)

  1. (1) 상토 충전용의 식생포대, 쇄석장에서 채굴된 잡석 또는 현지의 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석이나 유용토 충전용으로, 상기 식생포대보다 길이가 길며 식생포대를 지지하는 뒷채움포대 및 상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동시에 수용하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비 수밀성 격벽의 구획부를 가진 구조체; 로 이루어지는 복합 포대 구조체를 준비하는 공정;
    (2) 현장에서 터파기 작업 후 기초옹벽을 설치하는 공정;
    (3) 상기 복합 포대 구조체를 기초옹벽 위에 설치하는 공정; 및
    (4) 상기 복합 포대 구조체를 폴리에틸렌 연결선을 이용하여 철망에 고정하는 공정; 및
    (5) 상기 식생포대에 상토를 충전하고, 상기 뒷채움 포대에 혼합석이나 유용토를 충전하여 복합포대옹벽을 구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 포대는 식생식물이 자랄 수 있는 상토를 내부에 충전하고, 전면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한 네트가 설치되어 식생식물의 씨앗이 네트를 통하여 상기 상토에 직접 활착되고, 전면의 가장자리에는 식생식물의 씨앗을 내장한 씨줄이 형성됨으로써 식생식물이 전면부에서 활착 및 성장하도록 하며, 지지체인 철망과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비하고,
    상기 뒷채움포대는 쇄석장에서 채굴된 잡석 또는 현지의 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석이나 유용토가 내부에 충전되며, 상기 식생포대보다 길이가 길며 식생포대의 후방에서 식생포대를 지지하고, 하부에 모래나 암석을 충전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배수층이 형성되며, 장섬유 폴리에스터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동시에 수용하고,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며 식생포대가 훼손 또는 매몰된 경우 장섬유 폴리에스터 재질의 뒷채움포대는 토석에 매립될 수 있도록 식생포대와 뒷채움포대를 분리한 비수밀성 격벽 구획부를 가진 구조체; 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 포대의 전면부와 상면에 식생 식물이 활착 가능하고,
    상기 구조체는 아연 도금 재질의 게비온으로 제작되며,
    상기 식생포대의 전면의 위쪽 테두리에는 다른 식생 포대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한 시접이 형성되고, 시접의 한쪽에 상기 철망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선이 부착되며, 연결선과 대향하는 전면의 다른 쪽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식생식물의 씨앗을 내장한 씨줄이 형성되며, 시접은 측면까지 연장 가능하고,
    상기 비 수밀성 격벽 구획부에 의하여 상기 식생 포대 및 상기 뒷채움포대는 하나의 구조체 내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한,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의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 및 (5)의 공정을 반복하여 복수층의 계단형 복합포대옹벽을 구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의 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부층 복합포대옹벽의 전면을 아래층의 구획부에 맞추어 시공하여 높이, 길이 및 폭이 정렬된 복수층의 계단형 복합포대옹벽을 구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의 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4)의 공정 이후, 복합포대옹벽의 상면을 부직포로 미싱 작업을 통해 덮고, 구조체의 상면을 철망으로 덮은 후 철망이 덮인 상면에 흙을 포설하여 다짐질 작업을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구조물의 시공 방법.
  5. 삭제
KR1020170164477A 2017-12-01 2017-12-01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89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77A KR101898458B1 (ko) 2017-12-01 2017-12-01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77A KR101898458B1 (ko) 2017-12-01 2017-12-01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458B1 true KR101898458B1 (ko) 2018-09-17

Family

ID=6372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477A KR101898458B1 (ko) 2017-12-01 2017-12-01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4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89B1 (ko) * 2012-09-11 2013-01-09 솔라원 환경기술(주)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89B1 (ko) * 2012-09-11 2013-01-09 솔라원 환경기술(주)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20120021670A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JP2013518200A (ja) 垂直壁と高傾斜面緑化工法、及びこれに使われる骨材コンテナ、旋盤組立体と水供給装置
CN103362135B (zh) 防崩岗、护水土的网草护坡
KR101244710B1 (ko) 필터격벽을 구비한 언폴딩 개비온, 박스형 개비온 및 개비온 중첩-일체화 시공을 통한 호안 보강공법
WO2017052473A1 (en) A ba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A3089551C (en) Vegetation partition wire mesh including nonwoven fabric,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same
JP2003232023A (ja)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20100119853A (ko) 환경 친화형 조립식 돌망태
KR101898459B1 (ko) 복합포대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
KR20120021669A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N206467677U (zh) 基坑侧壁排水装置
KR101898458B1 (ko)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KR102215477B1 (ko) 복합포대 및 다기능 일체형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 구조물
KR100350423B1 (ko)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KR20070007688A (ko) 지오텍스타일-개비온 매트리스 복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친환경 사면 구조물 구축방법
CN109339095A (zh) 挡土墙排水***及其墙背反滤层施工方法
KR20150017597A (ko) 옹벽 구조
KR101171960B1 (ko) 농수로의 친환경 저류형 개량공법
KR102472346B1 (ko) 친환경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472362B1 (ko) 식생자루 및 식생자루를 이용한 광산지역 사면 녹화공법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CN219975613U (zh) 一种地貌恢复用生态袋错缝叠压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