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289B1 -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 Google Patents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289B1
KR101219289B1 KR1020120100414A KR20120100414A KR101219289B1 KR 101219289 B1 KR101219289 B1 KR 101219289B1 KR 1020120100414 A KR1020120100414 A KR 1020120100414A KR 20120100414 A KR20120100414 A KR 20120100414A KR 101219289 B1 KR101219289 B1 KR 10121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ody portion
vegetation bag
jut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솔라원 환경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라원 환경기술(주) filed Critical 솔라원 환경기술(주)
Priority to KR102012010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대는,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생포대로서, 입구를 통해 토석(土石)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몸체부와 몸체부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덮개부에는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포대의 내부에 하천 등과 같은 현장의 척박한 토양이 충전된 경우에도 식생포대에 식생이 양호하게 활착될 수 있고 식생포대의 친환경 기능이 강화된다.

Description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a vegetation bag containing seeds of green manure grass crop}
본 발명은 식생포대(vegetation ba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생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도로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 등의 정비시에 사면안정과 치수안정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옹벽, 게비온(gabion) 옹벽, 블럭식 옹벽, 석축, 콘크리트 블럭, 돌망태 등의 구조물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물들에는 식생(vegetation)이 활착할 수 있는 공간(habitat)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에 이러한 구조물들을 사용하여 도로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 등을 정비하는 경우에는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매진한 결과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을 발명하여 2005년 4월 8일자로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5-0029381)한 바 있고, 이 특허출원은 2005년 11월 2일자로 특허등록(등록번호 10-0525641)되었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도로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 등의 정비시에 부직포식생포대가 사용된다. 부직포식생포대의 한 면은 망사층과 고강도 PET 그물망층으로 구성된다. 망사층은 PET 부직포 망사, 황마 섬유 망사, 야자껍질 섬유 망사 중의 어느 하나이다. 망사층과 고강도 PET 그물망층의 사이에는 약 20cm 간격으로 양면테이프가 부착됨으로써 다수의 칸막이가 형성된다. 각각의 칸(cell)에는 다수의 양잔디 종자와 다수의 향토 초목 종자가 혼합되어 삽입된다. 부직포식생포대의 나머지 면들은 폴리에스터 장섬유부직포로 구성된다.
이 부직포식생포대는 보강형틀인 게비온 철망의 내부에 넣어져서 게비온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보강형틀 내부에 넣어진 부직포식생포대에는 현장의 토석(土石)이 충전된다. 토석이 충전된 게비온 구조체는 계단식으로 층층이 겹쳐 올려 쌓아짐으로써 절성토사면의 기초 또는 하천제방 둑체 등을 조성하거나,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사면 바닥에 펼쳐 설치됨으로써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사면을 안정화시킨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천 등과 같은 현장의 토석은 자갈과 모래질이 많이 섞인 척박한 토양이다. 이러한 척박한 토양 하에서는 식생생육이 좋지 않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식생포대에 양잔디 종자와 향토 초목 종자를 부착하고 식생포대의 내부에 현장의 척박한 토양을 충전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식생포대의 식생생육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B1) 10-052564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생포대로서 척박한 토양 하에서도 식생생육이 양호한 식생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대는,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생포대로서, 입구를 통해 토석(土石)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에는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내장된 씨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씨줄에 황마실을 엮은 황마 씨줄 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씨줄은 상기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을 펄프지로 감은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다수의 망눈을 갖는 그물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야자껍질 섬유로 침타하여 매트 형태로 제조된 코이어 블랑캣(coir blanket)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벌집구조 종이 패널과 상기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배양토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내장된 씨줄에 황마실을 엮은 황마 씨줄 네트, 상기 황마 씨줄 네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 그리고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이어 블랑캣(coir blanket)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황마 씨줄 네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벌집구조 종이 패널과 상기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배양토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골판지층 및 상기 골판지층에 접착된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박스(box) 형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포대에 녹비 초생식물 자생종 씨앗을 부착함으로써, 식생포대에 활착되는 녹비 초생식물에 의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토양으로 질소성분 비료가 제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양의 유기질 함량이 증가되어 토양이 비옥해짐으로써 지속적인 식생활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식생포대의 내부에 하천 등과 같은 현장의 척박한 토양이 충전된 경우에도 식생포대에 식생이 양호하게 활착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식생포대에 활착되는 녹비 초생식물은 내한성이 강하고 발아율이 높으며 그 뿌리 특유의 결합력으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토양을 보전하는 효과를 낳는다. 그리고, 식생포대에 활착되는 녹비 초생식물은 겨울철에는 푸른 식생의 관상이 가능하고 봄철에는 꽃의 관상까지 가능하므로 경관이 향상되는 효과를 낳는다. 또한, 식생포대에 활착되는 녹비 초생식물은 뿌리 엉김으로 잡초발생 억제 효과가 탁월하여 식물생태 환경이 건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대가 게비온 철망의 내부에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도1의 식생포대의 덮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2의 구성도이다.
도4는 도3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5는 도3 및 도4의 그물망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3 및 도4의 황마 씨줄 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도1의 식생포대의 덮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도7의 벌집구조 종이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도8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10은 도1의 식생포대의 몸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도1의 식생포대의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도1의 식생포대에 토석을 충전하기 전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도12의 몸체부에 토석을 충전한 후 덮개부로 덮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대(900)가 게비온(gabion) 철망(300)의 내부에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식생포대(900)는 보강형틀인 게비온 철망(300)의 내부에 넣어져서 게비온 구조체를 형성한다.
게비온 철망(300)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저항하며 식생포대(900)의 형태변형을 방지해주는 등 게비온 구조체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식생포대(900)는 직육면체 형태이다. 예를 들어, 식생포대(900)는 가로 2000mm, 세로 1000mm, 높이 300mm의 직육면체 형태이거나, 가로 1000mm, 세로 1000mm, 높이 300mm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식생포대(900)의 내부에는 토석(土石)이 충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식생포대(900)의 내부에는 시공 현장의 토석이 충전된다. 일반적으로, 모래, 자갈, 석재 등의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자원을 별도로 채취하기 위한 채석개발은 산림과 환경을 훼손하며, 외부로부터 이러한 자원을 운송해서 사용하게 되면 운반비의 증가로 인하여 공사비가 상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900)는 외부로부터 운송해온 토석이 아닌 시공 현장의 토석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을 대체할 수 있고, 산림과 환경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으며, 원거리 운송에 따른 운반비 증가를 막을 수 있다.
식생포대(900)와 게비온 철망(300)에 의해 형성되는 게비온 구조체는 계단식으로 층층이 겹쳐 올려 쌓아짐으로써 절성토사면의 기초 또는 하천제방 둑체 등을 조성하거나,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사면 바닥에 펼쳐 설치됨으로써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사면을 안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식생포대(900)는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식생포대(900)는 직육면체의 윗면을 형성하는 덮개부(200)와 나머지 면들을 형성하는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도2는 도1의 식생포대의 덮개부(200)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도2의 구성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덮개부(200)는 코이어 블랑캣(coir blanket)(210), 그물망(220), 황마 씨줄 네트(230)를 포함한다. 덮개부(200)의 밑면의 가장자리에는 몸체부와의 밀착을 위하여 테이프가 부착된다.
코이어 블랑캣(210)은 야자껍질 섬유를 침타하여 매트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코이어 블랑캣(210)은 보습기능이 뛰어나서 씨앗 발아를 촉진한다. 코이어 블랑캣(210)은 몸체부에 채워진 토사의 미세토립자가 식생포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에는 덮개부에 코이어 블랑캣 대신 PET 부직포 망사, 황마 섬유 망사, 야자껍질 섬유 망사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직조기로 만들어지는 이러한 망사들은 망눈이 크기 때문에 몸체부에 채워진 토사가 외부로 유출될 뿐만 아니라 보습기능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덮개부(200)에 코이어 블랑캣(210)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한다.
그물망(220)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의 인장강도는 3톤(ton) 이상이다. 따라서, 그물망(220)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고강도 그물망으로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다.
도5는 도3 및 도4의 그물망(220)을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그물망은(220)은 다수의 망눈(225)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각각의 망눈(225)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1mm일 수 있다. 이 다수의 망눈(225)은 몸체부에 채워진 토사가 식생포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 기능을 수행한다. 그물망(220)은 또한 식생포대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파열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6은 도3 및 도4의 황마 씨줄 네트(230)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황마 씨줄 네트(230)는 씨줄(232)에 황마실(234)을 엮어서 네트의 형태로 제조된 것이다.
씨줄(232)은 씨앗을 펄프지로 둘둘 감아서 만들어진다. 씨줄(232)에는 녹비 초생식물 자생종 씨앗이 내장된다. 예를 들어, 녹비 초생식물은 자운영, 헤어리베치, 크림손클로버 등이다. 녹비 초생식물 자생종 씨앗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녹비 초생식물은 공기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토양으로 질소성분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식생포대에 씨줄(232)을 통해 녹비 초생식물 자생종 씨앗을 부착하게 되면, 식생포대에 녹비 초생식물이 활착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토양으로 질소성분 비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토양의 유기질 함량이 증가되어 토양이 비옥해짐으로써 지속적인 식생활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녹비 초생식물은 내한성이 강하고 발아율이 높으며 그 뿌리 특유의 결합력으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토양을 보전하는 효과를 낳는다. 그리고, 녹비 초생식물은 겨울철에는 푸른 식생의 관상이 가능하고 봄철에는 꽃의 관상까지 가능하므로 경관이 향상되는 효과를 낳는다. 또한, 녹비 초생식물은 뿌리 엉김으로 잡초발생 억제 효과가 탁월하여 식물생태 환경이 건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생포대는 도로나 하천 등에서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식생포대의 내부에는 시공 현장의 토석이 충전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천 등과 같은 현장의 토석은 자갈과 모래질이 많이 섞인 척박한 토양이다. 이러한 척박한 토양 하에서는 식생생육이 좋지 않다. 그러나, 종래에는 식생포대에 양잔디 종자와 향토 초목 종자를 부착했기 때문에 식생포대의 식생생육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포대에 녹비 초생식물 자생종 씨앗이 부착됨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식생포대의 친환경 기능이 강화된다.
씨줄(232)은 황마실(234)과 일정한 간격으로 엮여서 황마 씨줄 네트(23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씨줄(232)과 황마실(234) 사이의 간격은 약 2.5cm일 수 있다. 황마 씨줄 네트(230)는 직조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덮개부에 씨앗을 부착하는 종래의 방식은 덮개부에 약 20cm 간격으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다수의 칸막이를 형성하고 이 칸막이들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칸(cell)의 내부에 씨앗을 삽입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 씨앗을 부착하게 되면 씨앗이 균일하게 부착되는 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씨줄(232)과 황마실(234)을 일정한 간격으로 직조한 네트 형태를 이용하여 씨앗을 부착함으로써 씨앗이 균일하게 부착되는 정도가 월등히 우수해진다. 이에 따라, 발아율이 극대화되어 식생포대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7은 도1의 식생포대의 덮개부(200)의 다른 실시예(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덮개부(200')는 코이어 블랑캣(210), 그물망(220), 황마 씨줄 네트(230) 및 벌집구조 종이 패널(panel)(24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덮개부(200')의 밑면의 가장자리에도 몸체부와의 밀착을 위하여 테이프가 부착된다.
도2 내지 도6의 덮개부(200)와 도7의 덮개부(200') 사이의 차이점은 벌집구조 종이 패널(240)의 유무에 있다. 도7의 덮개부(200')는 도2 내지 도6의 덮개부(200)의 하부에 벌집구조 종이 패널(24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도8은 도7의 벌집구조 종이 패널(240)을 도시한 것이고, 도9는 도8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벌집구조 종이 패널(240)은 다수의 수납공간(245)을 구비한다. 수납공간은 속이 비고 밑면이 막힌 육각 기둥 형태(245)로 이루어진다. 이 육각 기둥 형태의 내부에는 무균 처리되고 유기질 함량이 많은 배양토(미도시)가 충전된다. 상기 배양토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퍼라이트 등이 균형있게 배합되어 이화학적 특성으로 식물배양에 적합한 토양(상토)을 제공한다. 벌집구조 종이 패널(240)은 천연펄프 종이를 소재로 제조되므로, 육각 기둥 형태(245)의 밑면은 식생포대의 설치 이후에 시공 현장에 내리는 비 등과 같은 자연 현상에 의해 자연적으로 흐물어져서 없어지게 되어 발아된 녹비 초생식물의 뿌리가 아래로 뿌리 내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생포대의 내부에는 도로나 하천 등과 같은 시공 현장의 척박한 토석이 충전될 수 있다. 그런데, 도7의 덮개부(200')는 도2 내지 도6의 덮개부(200)를 구성하는 코이어 블랑캣, 그물망, 황마 씨줄 네트에 더하여 배양토가 충전된 벌집구조 종이 패널(240)을 추가로 더 포함함으로써 자운영, 헤어리베치, 크림손클로버와 같은 녹비 초생식물 종자가 발아하는데 최적의 토양조건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7의 덮개부(200')는 식생포대의 내부에 시공 현장의 척박한 토석이 충전되더라도 녹비 초생식물 종자의 발아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포대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10은 도1의 식생포대의 몸체부(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박스(box) 형태의 포대로 제조된다. 몸체부(100)는 상단 측면 부분이 덮개부와 서로 밀착됨으로써 내부에 충전된 토석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는 덮개부의 밑면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테이프가 상단 측면 부분에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몸체부(100)는 골판지에 부직포를 접착시켜 제조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는 외부의 골판지층과 내부의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도11은 도1의 식생포대의 몸체부(100)의 다른 실시예(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의 몸체부(100')와 도10의 몸체부(100)의 차이점은 소재에 있다. 도10의 몸체부(100)가 외부의 골판지층과 이에 접착된 내부의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도11의 몸체부(100')는 부직포만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11의 몸체부(100')는 장섬유부직포만으로 구성된다. 즉, 식생포대의 몸체부는 반드시 부직포에 접착된 골판지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부직포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식생포대에 도11의 몸체부(100')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도11의 몸체부(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생포대의 시공시에 부직포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몸체부(100')의 내부에 충전된 토석이 외부로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
그러나, 도10의 몸체부(100)는 부직포층에 더하여 이 부직포층에 접착된 골판지층을 포함함으로써 몸체부(100)의 내부에 충전된 토석이 최대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포대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12는 도1의 식생포대(900)에 토석을 충전하기 전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식생포대의 몸체부(100)가 게비온 철망(300)의 내부에 놓여져 있다. 몸체부(100)는 윗면이 존재하지 않는 직육면체의 형태이다. 이 존재하지 않는 윗면이 몸체부(100)에 토석을 충전하는 입구가 된다.
식생포대를 이용해서 토목구조물을 조성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게비온 철망(300)을 조립한다. 다음으로, 조립된 게비온 철망(300)의 내부에 식생포대의 몸체부(100)를 넣는다. 다음으로, 몸체부(100)의 입구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부에 시공 현장의 토석을 충전한다. 다음으로, 몸체부(100)의 입구를 덮개부와 게비온 철망으로 덮는다.
도13은 도12의 몸체부(100)에 토석을 충전한 후 덮개부(200)로 덮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을 참조하면, 덮개부(200)의 밑면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테이프를 몸체부(100)의 상단 측면 부분에 부착함으로써 몸체부(100)의 입구를 덮는다. 덮개부(200)로 몸체부(100)의 입구를 완전히 덮은 후에 식생포대의 윗면을 게비온 철망으로 덮으면 도1의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1의 게비온 구조체는 계단식으로 층층이 겹쳐 올려 쌓아짐으로써 절성토사면의 기초 또는 하천제방 둑체 등을 조성하거나,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사면 바닥에 펼쳐 설치됨으로써 절성토사면 또는 하천제방사면을 안정화시킨다.
시공 현장에 설치된 식생포대에는 식생이 활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공 현장에는 식생이 활착되는 식생대가 조성되어 환경친화적인 생태환경이 조성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건강한 자연경관 및 생태계가 조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는 식물의 식생 기반층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식생활착을 도모하므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흡수, 저감시키고 탄소를 흡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는 다양한 건설토목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는 매년 집중호우로 인한 제방 유실의 수방(水防) 대책 일환으로 시행되는 하천 정비 또는 비탈사면 훼손지 복구, 도로 경사면 붕괴의 사면 안정 녹화공사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는 친환경 토목구조물 조성의 용도에 맞추어 개발된 제품이므로 그밖에도 다양한 용도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는 택지개발내의 공원조성, 휴양림시설, 위락시설, 조경시설 등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대는 시공공정이 단순하여 저렴한 공사비로 시공할 수 있고, 장비사용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몸체부 200, 200': 덮개부
210: 코이어 블랑캣 220: 고강도 그물망
225: 망눈 230: 황마 씨줄 네트
232: 씨줄 234: 황마실
240: 벌집구조 종이패널 245: 수납공간
300: 게비온 철망 900: 식생포대

Claims (11)

  1.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생포대로서,
    입구를 통해 토석(土石)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들이 내장된 씨줄을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씨줄에 황마실을 엮은 황마 씨줄 네트를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씨줄은 상기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들을 펄프지로 감은 것인, 식생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야자껍질 섬유로 침타하여 매트 형태로 제조된 코이어 블랑캣(coir blanket)을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벌집구조 종이 패널; 및
    상기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배양토를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들이 내장된 씨줄에 황마실을 엮은 황마 씨줄 네트;
    상기 황마 씨줄 네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이어 블랑캣(coir blanket)을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황마 씨줄 네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벌집구조 종이 패널; 및
    상기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배양토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10. 토목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생포대로서,
    입구를 통해 토석(土石)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들이 부착된 것이고,
    상기 몸체부는 골판지층, 및 상기 골판지층에 접착된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인, 식생포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박스(box) 형태인 것인, 식생포대.
KR1020120100414A 2012-09-11 2012-09-11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1219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14A KR101219289B1 (ko) 2012-09-11 2012-09-11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14A KR101219289B1 (ko) 2012-09-11 2012-09-11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289B1 true KR101219289B1 (ko) 2013-01-09

Family

ID=4784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414A KR101219289B1 (ko) 2012-09-11 2012-09-11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28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45Y1 (ko) 2013-12-13 2014-06-27 (주)그린에이치엔테크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인양장치
KR101710983B1 (ko) 2016-06-28 2017-02-28 박미정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KR101710980B1 (ko) 2016-06-28 2017-03-13 박미정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KR200486017Y1 (ko) * 2017-07-25 2018-05-04 주식회사 에코피아 에코 식생블록
KR101898458B1 (ko) * 2017-12-01 2018-09-17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898459B1 (ko) * 2017-12-01 2018-10-29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복합포대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
KR20200013987A (ko) 2018-07-31 2020-02-10 김종철 식생 셀
CN114793757A (zh) * 2022-05-17 2022-07-29 漳州市农业科学研究所 一种利用长果黄麻籽栽培食用菌的方法
KR102533827B1 (ko) 2022-08-03 2023-05-18 김종철 하천 호안용 천연잔디 뗏장 식생포대와 식생망태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망태 호안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738U (ja) * 2001-12-17 2002-07-05 株式会社上田敷物工場 緑化基材
KR101043567B1 (ko) * 2011-02-07 2011-06-22 (주)자연과학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KR20110088020A (ko) * 2010-01-28 2011-08-03 주식회사 신한철강산업 생태복원매트가 결합된 매트리스 개비온
KR200455472Y1 (ko) * 2008-12-23 2011-09-06 이용천 식생 보호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738U (ja) * 2001-12-17 2002-07-05 株式会社上田敷物工場 緑化基材
KR200455472Y1 (ko) * 2008-12-23 2011-09-06 이용천 식생 보호판
KR20110088020A (ko) * 2010-01-28 2011-08-03 주식회사 신한철강산업 생태복원매트가 결합된 매트리스 개비온
KR101043567B1 (ko) * 2011-02-07 2011-06-22 (주)자연과학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45Y1 (ko) 2013-12-13 2014-06-27 (주)그린에이치엔테크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인양장치
KR101710983B1 (ko) 2016-06-28 2017-02-28 박미정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KR101710980B1 (ko) 2016-06-28 2017-03-13 박미정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KR200486017Y1 (ko) * 2017-07-25 2018-05-04 주식회사 에코피아 에코 식생블록
KR101898458B1 (ko) * 2017-12-01 2018-09-17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복합포대옹벽을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898459B1 (ko) * 2017-12-01 2018-10-29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복합포대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
KR20200013987A (ko) 2018-07-31 2020-02-10 김종철 식생 셀
CN114793757A (zh) * 2022-05-17 2022-07-29 漳州市农业科学研究所 一种利用长果黄麻籽栽培食用菌的方法
CN114793757B (zh) * 2022-05-17 2023-11-14 漳州市农业科学研究所 一种利用长果黄麻籽栽培食用菌的方法
KR102533827B1 (ko) 2022-08-03 2023-05-18 김종철 하천 호안용 천연잔디 뗏장 식생포대와 식생망태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망태 호안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CN203755318U (zh) 生态防护型边坡
US20120020745A1 (en) Tubular sock module with integrated geogrid extensions for constructing stabilized-earth walls and slopes
CN101818499A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及该***的实施方法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CN102972125B (zh) 一种填充植生基材的植被垫及其应用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WO2009111995A1 (en) Vegetation roof, especially pitched,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101879729B1 (ko)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칸막이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JP2003232023A (ja)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100922466B1 (ko) 식생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1936013B1 (ko) 친환경 식생용 흙망태
KR100930833B1 (ko) 식생매트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7688A (ko) 지오텍스타일-개비온 매트리스 복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친환경 사면 구조물 구축방법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CN205530294U (zh) 框格边坡
KR102223403B1 (ko) 식생 셀
KR101007023B1 (ko) 법면의 녹지조성용 식생네트
KR200461490Y1 (ko) 식생매트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KR100939668B1 (ko) 하천법면 설치용 친환경 식생체와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