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972B1 -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972B1
KR101895972B1 KR1020150157664A KR20150157664A KR101895972B1 KR 101895972 B1 KR101895972 B1 KR 101895972B1 KR 1020150157664 A KR1020150157664 A KR 1020150157664A KR 20150157664 A KR20150157664 A KR 20150157664A KR 101895972 B1 KR101895972 B1 KR 10189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enopausal
present
disord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081A (ko
Inventor
고병섭
박선민
이혜원
육진아
박인실
김수란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72B1/ko
Priority to CN201680065678.5A priority patent/CN108367038A/zh
Priority to US15/974,324 priority patent/US20180271923A1/en
Priority to PCT/KR2016/005755 priority patent/WO2017082501A1/ko
Publication of KR2017005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bstract

본 발명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은 포도당 대사 장애 및 지질 대사 장애를 대표하는 비만, 골 항상성 장애를 대표하는 골다공증, 및 에너지 대사 장애를 대표하는 홍조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이므로, 갱년기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또는 식품 및 의약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disorder comprising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extract}
본 발명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번행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폐경이 나타난 이후의 약 1년까지를 폐경이행기, 더 흔히는 갱년기라고 하며 그 기간은 일반적으로 평균 4~7년 정도이다. 대한폐경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50대 여성 중 약 89%가 갱년기 증상을 겪는다. 폐경은 포도당 대사, 지질 대사, 골 항상성 및 에너지 대사에 대한 장애를 나타내며(Tiano and Mauvais-Jarvis, 2012; Wildman and Sowers, 2011), 이로 인해 폐경기 여성에서 구체적으로 안면홍조, 발한, 비뇨생식기계의 위축에 따른 증상(질 건조감, 반복적인 질 감염과 요로계 감염으로 인한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정신적 불안정(집중장애 및 단기 기억장애, 불안과 신경과민, 기억력 감소), 피부관절계 변화(피부 건조와 위축, 근육통, 관절통), 골다공증의 진행으로 인한 골절의 증가, 체질량지수(BMI)의 증가 등과 같은 갱년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합성에스트로겐 호르몬제제의 투여는 이러한 장애들을 일부 해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유방암, 자궁 내막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소플라본, 플라보노이드, 리그난 등의 에스트로겐과 기능 및 구조가 유사한 식물 유래의 천연 에스트로겐인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상기 이소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천연 화합물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작용한다는 증거가 늘어감에 따라 갱년기 장애를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 위한 후보 물질로서 천연 약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여성 갱년기장애 개선에 효과를 갖는 홍삼 복합물 조성물(한국공개특허 10-2006-0061323) 등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그들의 효능은 여전히 확신할 수 없는 실정이다(Cano et al., 2008; Somjen et al., 2008).
따라서, 갱년기 여성에 있어서 상기 조절제와 같은 활성을 지니면서도, 갱년기 장애를 개선하는 피토에스트로겐을 포함하는 새로운 식물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그러나 갱년기 장애는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한 포도당 대사, 지질 대사, 골 항상성 및 에너지 대사에 대한 복합적 장애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이 중 하나의 장애를 개선하더라도 다른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전반적인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는 갯상추 또는 뉴질랜드 시금치로 불려지는 석류풀과(Aizoaceae)에 속하는 다년생풀이다. 뉴질랜드나 중국, 일본,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남아메리카 등지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남부 및 제주도 지방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군락지를 형성하여 생육하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번행초를 약초로서 귀하게 여겼으며, 산에서 나는 약초인 '삽주뿌리', 나무인 '예덕나무'와 함께 위장에 좋은 3대 약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위장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번행초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한방에서는 암, 위염, 위궤양, 위산과다, 소화불량 등의 위장병 치료에 사용하는 귀한 약제로 취급하고 있다. 이외에도, 번행초 추출물이 세포사멸 억제 활성을 가지므로 간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이 공지된 바 있지만(한국등록특허 10-0483183), 상기 번행초의 갱년기 장애에 대한 효과는 밝혀진 바 없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약초를 이용하여 갱년기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이 포도당 대사 장애, 지질 대사 장애, 골 항상성 장애 및 에너지 대사 장애 등을 포함하는 폐경기 또는 갱년기 장애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는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은 내장 지방, 피하 지방, 혈청 포도당 수치, 인슐린 수치, HOMA-IR 농도, 중성지방 수치 및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 일일 에너지소비량 및 지방 산화량은 증가시키며; 골 미네랄 밀도를 증가시키며; 또는 피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므로, 골다공증, 비만, 홍조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갱년기 장애를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란, 석류풀과(Aizoaceae)에 속하는 다년생풀을 의미한다. 높이는 40 내지 60cm이고, 털은 없으나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서거나 옆으로 뻗는다. 우리나라는 남부 및 제주도 지방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군락지를 형성하여 생육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번행초의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는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 본 발명에서 번행초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이란, 번행초를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번행초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번행초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물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코올이 용매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이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본 발명의 번행초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갱년기 장애"란, 월경이 중단되는 시기인 갱년기에 생기는 다양한 이상 증상들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하며, 대체로 난소의 기능이 노화로 인해 저하되어 여성호르몬을 적게 내기 때문에 몸속에 호르몬의 불균형이 일어나 생기게 된다. 상기 갱년기 장애는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한 증상을 나타내며, 상기 증상은 포도당 대사 장애, 지질 대사 장애, 골 항상성 장애 및 에너지 대사 장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포도당 대사 장애 및 상기 지질 대사 장애를 대표하는 증상으로는 비만; 상기 골 항상성 장애를 대표하는 증상으로는 골다공증; 및 상기 에너지 대사 장애를 대표하는 증상으로는 홍조를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구체적인 예로 상기 갱년기 장애는 골다공증, 홍조 또는 그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난소를 제거하여 갱년기를 유도한 랫트(rats)에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한 결과, 자궁 주위 지방 및 복막후강 지방을 포함하는 내장 지방의 질량 및 엉덩이(hip) 및 다리(leg) 부분의 피하 지방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표 1 및 도 1 내지 2); 일일 에너지 소비량 및 지방 산화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표 1); 혈청 포도당 수치, 인슐린 수치, HOMA-IR 농도, 중성지방 수치 및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나, HDL 콜레스테롤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표 2, 도 3 내지 4); 골 미네랄 밀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도 5); 피부의 온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6). 이는,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대표적인 갱년기 이상 증상인 비만, 골다공증 또는 홍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갱년기 장애를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갱년기 장애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갱년기 장애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갱년기 장애가 발병되거나 또는 발병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번행초, 추출물, 분획물, 갱년기 장애, 예방 및 치료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갱년기 장애가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번행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1일 0.0001 내지 100 mg/체중 kg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0 mg/체중 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상기 권장 투여량을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그 투여 경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강, 직장, 국소,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비측내 또는 흡입 등을 통하여 투여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번행초, 추출물, 분획물, 갱년기 장애 및 예방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이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은 포도당 대사 장애 및 지질 대사 장애를 대표하는 비만, 골 항상성 장애를 대표하는 골다공증, 및 에너지 대사 장애를 대표하는 홍조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이므로, 갱년기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또는 식품 및 의약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난소 제거 랫트에서, 지방제외체중(Lean body mass)에 대한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Control: 난소 제거 랫트, positive-control: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난소 제거 랫트).
도 2는 난소 제거 랫트에서, 지방체중(Fat body mass)에 대한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Control: 난소 제거 랫트, positive-control: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난소 제거 랫트).
도 3은 난소 제거 랫트에서, 경구내당능 조사 결과에 따른 혈청 인슐린 농도(AUC of serum insulin)에 대한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Control: 난소 제거 랫트, positive-control: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난소 제거 랫트). 구체적으로, 혈당이 증가할 때의 인슐린 분비능을 보여주며, 혈청 인슐린을 측정한 결과에서 0 내지 50분 및 50 내지 120분 동안의 혈당 변화 곡선의 면적을 계산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혈청 인슐린에 대한 총 곡선하면적의 평균은 사다리꼴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도 4는 난소 제거 랫트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는 랫트의 인슐린 내성 검사(insulin tolerance test)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인슐린을 복강으로 주입하였을 때의 혈청 포도당 수준(Serum glucose levels)에 대한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의 효과를 보여준다(Control: 난소 제거 랫트, positive-control: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난소 제거 랫트). 구체적으로, 5시간 동안 금식 시킨 랫트에 인슐린(0.75 U/kg 몸무게)을 복강 내 주사한 후, 90분 동안 15분마다 측정하였다.
도 5는 난소 제거 랫트에서, 골 미네랄 밀도(Bone mineral density)에 대한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Control: 난소 제거 랫트, positive-control: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난소 제거 랫트). 모든 값은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Tukey 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같은 열에서 a 및 b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첨자는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난소 제거 랫트에서, 꼬리 피부의 온도(Tail skin temperature)에 대한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Control: 난소 제거 랫트, positive-control: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난소 제거 랫트). 모든 값은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Tukey 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같은 열에서 a 및 b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첨자는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번행초 추출물의 제조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채취한 번행초를 사용하였고, 상기 번행초 시료양의 10배의 물 또는 에탄올을 첨가한 후, 70℃에서 12시간 처리하여 번행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0.4μm 필터로 여과한 후, 진공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갱년기 유발 동물모델 제작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의 갱년기 장애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갱년기가 유발된 마우스 동물모델을 제작하였다.
랫트의 난소를 절제하여 갱년기를 유발하였고, 상기 랫트의 갱년기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궁 무게 및 여성호르몬의 일종인 17β-에스트라디올(17β-estradiol)의 혈청 내 수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랫트를 희생시킨 후 자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혈청 17β-에스트라디올 농도는 RIA kit(Linco 사)로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난소 제거 랫트의 갱년기 유발 여부 평가
난소유지
정상 대조군
(n=12)
대조군
(n=12)
번행초
(n=12)
양성 대조군
(n=12)
자궁 무게 (g) 0.68 0.23±0.07b 0.23±0.07b 0.61±0.22a
혈청 17β-에스트라디올 수치 (pg/ml) 6.2±0.9 1.7±0.5b 1.8±0.6b 7.5±1.2a
(모든 값은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Tukey 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같은 열에서 a 및 b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첨자는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난소유지 정상 대조군 랫트에 비하여,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지 않은 대조군 난소 제거 랫트 및 상기 추출물을 급이한 난소 제거 랫트는 자궁 무게 또는 혈청 17β-에스트라디올 수치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반해 호르몬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 난소 제거 랫트는 정상 대조군 랫트와 자궁 무게 또는 상기 호르몬 수치가 비슷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난소를 제거한 랫트는 갱년기가 잘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번행초 추출물의 비만 개선 효능 확인
실시예 1-1. 내장 지방에 대한 효능 확인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의 갱년기성 비만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가 절제됨과 동시에 비만이 유도된 랫트(rats)에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고, 내장 지방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난소가 절제된 랫트에게 덱스트린(dextrin)과 함께 탄수화물 40% 에너지(En%), 단백질 20 En% 및 지방 40 En%로 구성되는 고지방 식이(high-fat diet; HFD)를 급이하였다. 상기 고지방 식이에 2%(w/w)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도록 하여 8주 동안 자유식이하도록 공급하였다. 한편, 양성 대조군은 난소제거 랫트에 호르몬 제제인 17β-에스트라디올(17β-estradiol)을 투여하였으며, 고지방 식이와 함께 덱스트린을 혼합한 식이를 8주 동안 공급하였다. 이후, 실험 종료시에, 몸무게, 자궁 주위 지방 및 복막후강(Retroperitoneum) 지방을 포함하는 내장 지방의 질량, 에너지 소비량 등을 측정하였다.
상기 에너지 소비량은 간접적 열량 측정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8주 동안 급이한 이후, 6시간의 공복 상태를 유도한 후에 명/암 사이클에서 암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였다. 열량측정 파라미터를 분석하기 위해 컴퓨터로 조절되는 O2 및 CO2 측정 시스템(BIOPAC Systems, Inc., Goleta, CA)을 갖춘 대사 챔버(기류 = 800 ml/분)를 이용하였으며, RQ(respiratory quotient) 및 REE(resting energy expenditure)는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평균 산소 섭취량(VO2) 및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VCO2)은 30분에 걸쳐 측정하였다. 실험 후 데이터는 1분 간격으로 평균을 냈으며, VO2 및 VCO2 값은 몸 크기(kg0 . 75)로 교정하였다. 탄수화물 및 지방 산화는 비-단백질 산소 섭취량, 즉, 상대적인 산화 비율 및 산화된 기질의 그램(g) 당 소비된 산소량으로 계산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실험 종료시의 대사적 파라미터
대조군
(n=12)
번행초
(n=12)
양성 대조군
(n=12)
몸무게 (g) 404±27a 389±20a 369±26b
몸무게 증가량 (g) 99.6±14.2a 83.2±12.3b 70.0±11.5c
자궁 주위 지방 (g) 15.1±2.6a 11.3±2.1c 7.2±1.6d
복막후강 지방 (g) 9.9±1.8a 6.4±2.7b 5.7±1.6c
내장 지방 (g) 25.0±4.1a 17.7±3.8b 12.9±2.6c
자궁 무게 (g) 0.23±0.07b 0.23±0.07b 0.61±0.22a
열량 섭취량
(Kcal/day)
12.9±2.1 15.4±4.4 13.9±3.3
일일 에너지 소비량
(kcal/ kg0.75/day)
101±13b 118±14a 117±15a
탄수화물 산화
(mg/ kg0.75/min)
6.5±0.8a 4.4±0.6c 5.6±0.7b
지방 산화량
(mg/kg0.75/min)
4.2±0.7d 8.1±1.2a 6.9±0.8b
(모든 값은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Tukey 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같은 열에서 a, b, c 및 d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첨자는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지 않은 대조군 난소 제거 랫트에 비하여, 상기 추출물을 급이한 난소 제거 랫트는 몸무게 증가량, 자궁 주의의 지방, 복막후강의 지방 및 내장 지방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추출물을 급이한 난소 제거 랫트는, 대조군 난소 제거 랫트뿐만 아니라 난소를 제거하여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 랫트보다도 일일 에너지 소비량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지방 산화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 랫트는 자궁의 무게가 증가한 반면, 번행초 추출물 투여 랫트는 자궁의 무게가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자궁의 무게 증가는 호르몬 치료의 대표적인 부작용 중의 하나로서, 자궁이 증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상기 결과를 통해, 번행초 추출물은 목적하는 갱년기 장애를 부작용 없이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 및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추출물을 급이한 난소 제거 랫트는 지방을 제외한 엉덩이(hip) 및 다리(leg) 부분의 지방을 제외한 무게가 증가한 반면, 지방의 무게는 감소함을 확인하여,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내장 지방뿐만 아니라 피하 지방에 대해서도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혈액에 대한 효능 확인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의 갱년기성 비만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가 절제됨과 동시에 비만이 유도된 랫트에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고, 혈액에 포함된 비만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방법으로 난소가 절제된 랫트에게 번행초를 급이하였다. 이후, 실험 종료시에, 상기 랫트들을 하룻밤 금식시킨 후, 혈청 포도당(serum glucose), 인슐린(insulin) 및 중성 지방(triglyceride)의 질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랫트들을 16시간 금식시킨 후, 꼬리에서 피를 채취하여 공복 혈청 포도당 레벨은 Beckman의 혈당 측정기로 측정하였고, 혈청 인슐린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공복 혈당, 음식 및 물 섭취량 및 몸무게는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에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인슐린 저항성의 표지로 사용되는 HOMA-IR(homeostasis model assessment estimate of insulin resistance) 농도를 계산하였으며, 상기 계산에는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1]
HOMA-IR = 공복 인슐린 (μIU/ml) × 공복 글루코오스 (mM) / 22.5
하룻밤 금식시킨 랫트의 혈청 중성지방, 포도당 및 인슐린 수치
. 대조군
(n=12)
번행초
(n=12)
양성 대조군
(n=12)
포도당 수치
(mg/dL)
129±14a 108±12b 109±13b
인슐린 수치
(ng/mL)
1.45±0.25a 0.88±0.16c 1.14±0.19b
HOMA-IR 10.4±1.5a 5.3±0.8d 6.8±0.9c
중성지방 수치
(mg/dL)
73.8±6.8a 63.1±5.3b 65.7±5.8b
총 콜레스테롤
(mg/dL)
103.5±8.4a 95.3±7.8b 85.0±7.6c
HDL 콜레스테롤
(mg/dL)
19.4±1.2b 22.1±1.7a 23.2±1.5a
(모든 값은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Tukey 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같은 열에서 a, b, c 및 d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첨자는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상기 표 3, 및 도 3 및 4에서 볼 수 있듯이,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지 않은 대조군 난소 제거 랫트에 비하여, 상기 추출물을 급이한 난소 제거 랫트는 혈청 포도당 수치, 인슐린 수치, HOMA-IR 농도, 중성지방 수치 및 총 콜레스테롤은 모두 감소하나, HDL 콜레스테롤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상기 항목 모두에서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 랫트보다 더 우수하거나 비슷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번행초 추출물의 골다공증 개선 효능 확인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의 갱년기성 골다공증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가 절제된 랫트에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고, 골 미네랄 밀도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방법으로 난소가 절제된 랫트에게 번행초를 급이하였다. 이후, 실험 종료시에, 상기 랫트들의 골 미네랄 밀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케타민(ketamine, 100 mg/kg 몸무게) 및 자일라진(Xylazine, 10 mg/kg 몸무게)을 이용하여 랫트를 마취시키고, 엎드려 놓은 후 테이프를 이용하여 뒷다리가 외회전(external rotati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엉덩이, 무릎 및 발목 관절은 90° 구부리게 하였다. 소동물에서 골밀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흡광계(pDEXA Sabre; Norland Medical Systems Inc., Fort Atkinson, WI, USA)를 이용하여 듀얼-에너지 X-선 흡광분석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통해 실험 실시 후 11주차에 우대퇴골 및 요추부(lumbar spine)에서 골 미네랄 밀도를 측정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복부 지방 및 제지방(lean mass)을 DEXA(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통해 측정하였다. 상기 흡광계는 제조사로부터 공급된 팬텀을 이용하여 매일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지 않은 대조군 난소 제거 랫트에 비하여, 상기 추출물을 급이한 난소 제거 랫트는 엉덩이(hip) 및 다리(leg)의 골 미네랄 밀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골 미네랄 밀도 증가 효과에 대하여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 랫트보다 더 우수하거나 비슷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번행초 추출물의 홍조 개선 효능 확인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의 갱년기성 홍조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가 절제된 랫트에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고, 홍조유발시 수반되는 피부의 온도증가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방법으로 난소가 절제된 랫트에게 번행초를 급이하였다. 이후, 실험 종료시에, 상기 랫트들의 꼬리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매주 화요일 10시에 체중을 측정하기 전에 적외선 체온계로 꼬리의 피부의 온도를 3번 측정하여 평균 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번행초 추출물을 급이하지 않은 대조군 난소 제거 랫트에 비하여, 상기 추출물을 급이한 난소 제거 랫트는 꼬리 피부의 온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17β-에스트라디올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 랫트보다 피부 온도 감소에 대하여 더 우수하거나 비슷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장애는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은 포도당 대사 장애, 지질 대사 장애, 골 항상성 장애 및 에너지 대사 장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상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장애는 비만, 골밀도 감소, 홍조 또는 그의 조합인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갱년기 장애가 발병되거나 또는 발병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8. 번행초(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50157664A 2015-11-10 2015-11-10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664A KR101895972B1 (ko) 2015-11-10 2015-11-10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201680065678.5A CN108367038A (zh) 2015-11-10 2016-05-31 含有番杏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更年期障碍的组合物
US15/974,324 US20180271923A1 (en) 2015-11-10 2016-05-3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disorders, containing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extract
PCT/KR2016/005755 WO2017082501A1 (ko) 2015-11-10 2016-05-31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664A KR101895972B1 (ko) 2015-11-10 2015-11-10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81A KR20170055081A (ko) 2017-05-19
KR101895972B1 true KR101895972B1 (ko) 2018-09-07

Family

ID=5869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664A KR101895972B1 (ko) 2015-11-10 2015-11-10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71923A1 (ko)
KR (1) KR101895972B1 (ko)
CN (1) CN108367038A (ko)
WO (1) WO2017082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05B1 (ko) 2018-07-19 2019-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번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6721A (ko) 2019-05-28 2020-12-08 동아제약 주식회사 동충하초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8629C (zh) * 2001-06-21 2006-10-11 协和发酵工业株式会社 含有植物体粉末的植物提取物的制造方法
KR100483183B1 (ko) * 2002-03-26 2005-04-14 김철호 세포사멸 억제 활성을 갖는 번행초 추출물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090012286A (ko) * 2007-07-25 2009-02-03 백운 회전축이 움직이는 경첩
KR101108885B1 (ko) * 2008-05-26 2012-01-31 주우홍 항당뇨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활성을 갖는 번행초 추출물
KR101515915B1 (ko) * 2013-06-26 2015-04-29 주식회사 휴먼허브 갱년기 장애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물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G11201701029TA (en) * 2014-08-29 2017-03-30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with wrapper with detachable tab
CN104435734A (zh) * 2014-12-19 2015-03-25 王春兰 一种用于子宫肌瘤护理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501A1 (ko) 2017-05-18
US20180271923A1 (en) 2018-09-27
CN108367038A (zh) 2018-08-03
KR20170055081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604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JP5275251B2 (ja) 肝臓疾患を予防及び処置するための組合せ薬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20060022668A (ko) 고급지방산 유도체 함유 조성물 및 음식물
EP1618875B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lowering
KR20210122167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5972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7363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749967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51845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0126B1 (ko) 민들레 추출물 또는 민들레 함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갱년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028602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extracts of Schisandra fructus, Eucommiae cortex and Lycii fructus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bone diseases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JP2013515716A (ja) Adhd疾患を予防および治療するためのウツボグサ抽出物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20120089045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10140933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87271B1 (ko) 손바닥 선인장 추출물 및 부채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080088163A (ko) 호장근 분획물을 함유하는 신경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1574B1 (ko)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