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773B1 - 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773B1
KR101894773B1 KR1020120109086A KR20120109086A KR101894773B1 KR 101894773 B1 KR101894773 B1 KR 101894773B1 KR 1020120109086 A KR1020120109086 A KR 1020120109086A KR 20120109086 A KR20120109086 A KR 20120109086A KR 101894773 B1 KR101894773 B1 KR 10189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aments
nonwoven fabric
melting point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2379A (en
Inventor
최진환
조희정
이민호
김진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5158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947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773B1/en
Publication of KR2014004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7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3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base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organometall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selenium or tellurium atom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터프팅 공정 후에도 양호한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카페트 기포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한 카페트용 기포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들; 및 3 내지 6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은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의 함량들은 각각 70 내지 95 wt% 및 5 내지 30 wt%이다.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 내지 95 %이다.A polyester type nonwoven fabric which can be usefully used for carpet bubbles because of having good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a tufting process,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base material for a carpet including the same.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4 to 10 denier; And second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3 to 6 denier. The first filaments comprise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50 DEG C and the second filaments comprise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0 DEG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polyester. The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in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are 70 to 95 wt% and 5 to 30 wt%, respectively.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70 to 9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페트용 기포지{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nonwoven fabric, a polyester nonwoven fabric,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cover for a carpet,

본 발명은 터프팅 공정 후에도 양호한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카페트 기포지(primary backing substrate for carpet)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페트용 기포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hich can be usefully used for a primary backing substrate for carpet because it has good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a tufting process,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base fabric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카페트 기포지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섬유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페트 기포지를 이용해 카페트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니들에 의해 카페트사를 카페트 기포지에 이식하는 터프팅(Tufting) 공정이 필요하다. In general, polyester nonwoven fabrics made of polyester filament fibers are widely used as a carpet support. However, in manufacturing the carpet using such a carpet bubble, a tufting process is required to implant the carpet yarn into the carpet bubble by the needles.

이때, 니들(Needle)에 의해 카페트사를 이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이루는 필라멘트 섬유들이 니들에 의해 파손되어 부직포의 강도, 신율 또는 인열강력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filament fibers constituting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are broken by the needles during the process of carpet yarn transfer by needles, and the properties such as strength, elongation or tear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are deteriorated.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된 바 있지만, 아직까지 기술적으로나 상업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ese drawbacks, various schemes have been proposed, but it is still technically and commercially insufficient.

예를 들어, 한국 특허 공개 제 1998-0061102 호에는, 2 가지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이용해 필라멘트 섬유 및 웹을 형성한 후, 니들 펀칭을 실시하고, 캘린더롤을 통과시켜 카페트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인 제조 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니들 펀칭에 의해 필라멘트 섬유를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필라멘트 섬유의 파손이 나타나기 때문에 카페트사를 심는 터프팅 공정 후의 파손이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터프팅 후의 물성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을 여전히 나타내며, 카페트 기포지용으로 적용하기에 곤란한 점이 있다.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0061102, filament fibers and a web are formed using two polyester polymers, needle punching is performed, and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for carpet bubble is manufactured through a calender roll Method is disclosed. However, this method is not only complicated in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but also causes breakage of the filament fibers during binding of the filament fibers by needle punching, so that breakage after the tufting step of planting the carpet yarn becomes more serious.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is method still shows a disadvantage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after tufting are largely lowered, which is difficult to apply for carpet bubbles.

또한, 한국 특허 공개 제 2001-0053138 호에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유산(PLA)을 복합 방사법으로 방사해 이형 단면사를 제조하는 과정 등을 거쳐 카페트 기포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방사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방사 결점이 발생하기 쉽고, 폴리유산의 높은 가격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진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53138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carpet bubble through a process of spinning a polyester and a polylactic acid (PLA) by a combined spinning process to produce a cross-section yarn. However, such a method tends to cause radiation defects because of poor radioactivity,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at a high price of polylactic acid.

따라서, 보다 단순화된 공정 및 낮은 제조 원가로도 제조 가능하며, 터프팅 공정 후에도 양호한 물성을 가짐에 따라 카페트 기포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a nonwoven fabric which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r process and a lower manufacturing cost, and which can be preferably used as a carpet bubble because of its good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the tuft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페트용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capable of preventing problems caused by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of the related art,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nonwoven fabric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터프팅 공정 후에도 양호한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카페트 기포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hich can be usefully used for carpet bubbles because it has good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the tufting step.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터프팅 공정 후에도 양호한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카페트 기포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단순화된 공정을 이용하여 낮은 제조 원가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yester nonwoven fabric which can be usefully used for carpet bubbles because of its good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the tufting process at a low manufacturing cost by using a simplified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터프팅 공정 후에도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는 카페트 기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pet bubble exhibiting good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the tufting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그러한 기술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학습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은 물론이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정된 구조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Fur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in part be obvious from the description. Alternatively,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learned through practice of the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written description and claims hereof as well as the appended drawings.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들; 및 3 내지 6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로서,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은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의 함량들은 각각 70 내지 95 wt% 및 5 내지 30 wt%이며,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4 to 10 denier; And second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3 to 6 denier, wherein the first filaments comprise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50 캜, and the second filaments comprise a first polyest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in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is 70 to 95 wt% and 5 to 30 wt%, respectively,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70 to 9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1 필라멘트들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단계; 제2 필라멘트들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로 웹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이 서로 접착하도록 상기 웹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웹 내의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70 내지 95 wt%이고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의 70 내지 95 %가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이 각각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first filament, comprising: spinning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50 캜 to form first filaments; Radiating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0 캜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polyester to form second filaments; Forming a web with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heating the web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dhere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first polyester in the web is 70 to 95 wt% and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are each radi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can be 70 to 95% of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들; 및 3 내지 6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포함하는 카페트용 기포지로서,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은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의 함량들은 각각 70 내지 95 wt% 및 5 내지 30 wt%이며,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용 기포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first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4 to 10 denier; And a polyester nonwoven fabric comprising second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3 to 6 denier, wherein the first filaments comprise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 캜 or higher, Wherein the filaments comprise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polyester by at least 20 DEG C, the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in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being 70 to 95 wt% and 5 To 30 wt%, and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70 to 9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본 발명에 따르면, 터프팅 공정 후에도 인장 강도, 신율 및 인열 강력 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카페트 기포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even after the tufting step. Therefore, the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carpet bubbl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라멘트들로 형성된 웹에 열을 가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필라멘트들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직포는 별도의 니들 펀칭 공정 없이 단순화된 공정 및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aments can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simple process of applying heat to the web formed of filaments.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t a simplified process and at low cost without a separate needle punching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페트용 기포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olyester nonwoven fabric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base fabric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부직포는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들 및 3 내지 6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들을 포함한다.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4 to 10 denier and second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3 to 6 denier.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은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The first filaments include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50 캜. And the second filaments include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polyester by at least 20 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는 250 내지 280 ℃의 융점을 갖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는 180 내지 230 ℃의 융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yester has a melting point of 250 to 280 캜, and the second polyester has a melting point of 180 to 230 캜.

상기 제 2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 180 ℃ 미만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를 후가공하는 과정에서 열수축이 발생해 치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 2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 230 ℃를 초과하면, 주변의 다른 필라멘트들과의 접착을 위해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부를 녹이는데 요구되는 열접착 온도가 높아진다. 지나치게 높은 열접착 온도는 인열강력과 같은 부직포 물성, 특히, 터프팅 공정 후 물성을 저하시킨다. If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polyester is less than 180 캜, heat shrinkage may occur during the post-processing of the carpet base fabric including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resulting in poor dimension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polyester is higher than 230 캜, the heat bonding temperature required to mel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ilament is increased for adhesion with other surrounding filaments. Excessively high heat bonding temperatures reduce the properties of nonwoven fabrics such as tear strengths, especially after tufting.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약 0.655 정도의 고유 점도(I.V.)를 갖는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를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로 사용할 수 있다.As the first polyester, for example, a conventional polyester polymer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about 0.655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naphthalene terephthalate may be used as the first polyester.

상기 제 2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는, i) 상술한 제1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가 아디프산 또는 이소프탈산과 공중합되어 보다 낮은 융점을 갖게 된 공중합체, ii)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이 자체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polyester polymer may include: i) a copolymer in which the first polyester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naphthalene terephthalate) described above is copolymerized with adipic acid or isophthalic acid to have a lower melting point, ii) Polymers having low melting points themselves such as polybutylene terephthalate or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can be used.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제2 필라멘트들은 이들에 열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 필라멘트들과 쉽게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이 상기 제1 필라멘트들과 함께 상기 부직포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니들 펀칭 등의 공정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더라도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끼리 쉽게 접착되어 부직포가 제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직포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생산된 본 발명의 부직포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은 니들 펀칭 공정으로 인해 야기되는 손상을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다. The second filaments formed of the second polyester having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can be easily adhered to the first filaments when heat is applied thereto.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laments ar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nonwoven fabric together with the first filaments. Even if the steps such as needle punching are not performed separately,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re easily bonded together, .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onwoven fabric can be simplified, but also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contained in the finally produced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 damage caused by the needle punching process .

더욱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상기 제2 필라멘트들 외에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카페트 제조를 위한 터프팅(Tufting) 공정시, 필라멘트들의 유동성이 확보됨으로써 니들(Needle)에 의한 필라멘트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부직포가 카페트 제조에 이용될 경우, 저융점의 상기 제2 필라멘트들만 구성된 부직포에 비해 터프팅 공정 시 니들에 의한 필라멘트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터프팅 공정 후에도 인장강도, 인열강력 등의 부직포 물성이 우수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first filaments in addition to the second filaments, fluidity of the filaments is ensured during the tuft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carpets, Filament damage can be minimized. As a result, whe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carpets, the filament damage by the needles in the tufting process can be minimized as compared with the nonwoven fabric composed of only the second filaments having a low melting point, and even after the tufting process, Nonwoven fabric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the like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excellent.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의 함량들은 각각 70 내지 95 wt% 및 5 내지 30 wt%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in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are 70 to 95 wt% and 5 to 30 wt%, respectively.

만약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5 wt% 미만이면, 고융점의 상기 제1 필라멘트들만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인 경우가 되기 때문에, 열접착만으로는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시키는 부직포가 제조될 수 없으며, 필라멘트 파손을 야기하는 니들펀칭 등의 별도의 공정이 부직포 제조를 위해 요구될 것이다. If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ester is less than 5 wt%, the nonwoven fabric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nonwoven fabric composed of only the first filaments having a high melting point.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satisfying the required strength can not be produced by thermal bonding only, A separate process such as needle punching which causes filament breakage will b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

반면,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30 wt%를 초과하면, 부직포 내 접착제 성분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가 카페트용 기포지로 사용될 경우 터프팅 공정에 의한 필라멘트 파손이 발생할 것이고, 그 결과 터프팅 공정에 의한 기포지 물성 저하가 심각해질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ester exceeds 30 wt%, the adhesive component in the nonwoven fabric becomes too large, so that when the nonwoven fabric is used as a base paper for carpet, the filament breakage due to the tufting process will occur, The degrad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due to the tinning process will become serious.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들 및 3 내지 6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들을 포함한다.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4 to 10 denier and second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3 to 6 denier.

상기 제1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데니어 미만이면 단위 면적 당 제1 필라멘트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가 카페트용 기포지로 사용되어 터프팅 공정을 거치게 될 경우 니들에 의한 필라멘트의 파손이 상당히 발생하게 될 것이고, 그 결과 터프팅 공정에 의한 기포지 물성 저하가 심각해질 것이다. 반면, 제1 필라멘트의 섬도가 10 데니어를 초과하면,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의 균일성이 심각히 저해되어 그 상업적 유용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If the fineness of the first filament is less than 4 deniers,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per unit area is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nonwoven fabric is used as a bubble for carpet and subjected to a tufting process, the filaments are considerably damaged by the needles As a result, the degradation of the bubble properties by the tufting process will become serious. On the other hand, if the fineness of the first filament exceeds 10 denier, the uniformity of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using the first filament will be seriously impaired and the commercial usefulness thereof will be lost.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섬도가 3 데니어 미만이면, 냉각 공정에서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절단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섬도가 6 데니어를 초과하면, 냉각 공정(예를 들어, 웹 형성 직후 수행되는 냉각 공정)에서 상기 제2 필라멘트의 냉각이 적절히 수행되지 않아 때문에 상기 제2 필라멘트들끼리의 접착이 야기되어 부직포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그 결과 부직포의 상업적 유용성이 상실될 것이다.If the fineness of the second filament is less than 3 deniers, the second filament is cut in the cooling step. On the other hand, if the fineness of the second filament exceeds 6 denier, cooling of the second filament is not performed properly in a cooling process (for example, a cooling proces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web is formed) Adhesion is caused to degrade the uniformity of the nonwoven fabric, and as a result, the commercial usefulness of the nonwoven fabric will be lost.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 내지 95 %이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5 내지 30 %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70 to 9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is 5 to 30 %to be.

만약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95 %를 초과하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5 % 미만일 경우에는, 부직포 내에서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접착 포인트들의 개수가 너무 적어 상기 부직포가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없다. If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exceeds 9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is less than 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The number of the bonding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is so small that the nonwoven fabric can not have the predetermined strength.

반면,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 % 미만이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30 % 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직포 내에서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접착 포인트들의 개수가 너무 많아 상기 부직포가 2% 이상의 높은 열수축율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터프팅 공정 시 상기 제2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제2 폴리에스테르 상당량이 백분(white power) 형태로 탈락하게 되어 상기 부직포의 강도 저하가 심화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less than 70%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is more than 30%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 The number of the bonding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in the nonwoven fabric is so high that the nonwoven fabric has a high heat shrinkage ratio of 2% or more and the second polyester equivalent amount constituting the second filament during the tufting process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is deteriorated by dropping in the form of white power.

요약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들 상술한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부직포 내에서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접착 포인트들의 개수가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포인트들의 개수 최적화를 통하여, i) 터프팅 공정시 야기될 수 있는 필라멘트 손상이 억제됨으로써 터프팅 공정 후에도 기포지(부직포)가 우수한 강도, 신율, 및 인열강력을 나타낼 수 있고, ii) 최종 부직포의 열수축율이 2% 미만으로 조절됨으로써 기포지(부직포)의 열적 안정성 및 형태 안정성이 담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포함하는 기포지가 백 코팅(Back Coating: 터프팅 공정 후 카페트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포지 후면에 PVC와 같은 소재를 코팅하는 공정)과 같이 추가적 가열을 요구하는 후공정을 거칠 경우에도 그 형태가 거의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In summ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imiting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constituting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to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number of the bonding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in the nonwoven fabric can be optimized have. By optimizing the number of such bonding points, i) the filament (nonwoven fabric) can exhibit excellent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even after the tufting process due to suppression of filament damage which can be caused in the tufting process, ii) By controlling the heat shrinkage of the nonwoven fabric to less than 2%, the thermal stability and morphological stability of the base paper (nonwoven fabric) can be secured. Specifically, the base sheet including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jected to additional heating such as back coating (a process of coating a material such as PVC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prevent the carpet yarn from being removed after the tufting process) Even if the post-processing is required, the shape can be maintained almost as it is.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그 표면상에 도포되어 있는 유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제의 함량은 상기 부직포의 중량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실리콘계 화합물,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제가 사용될 수 있다. Optionally, the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emulsion coated on its surface. The content of the emulsion may be 0.2 to 2.0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As the emulsion, an ester compound or a silicone compound commonly used, for example, an emulsion containing a polydimethylsiloxane as a main component may be used.

이러한 유제는 터프팅 공정에서 사용되는 니들과 부직포의 필라멘트 간의 마찰 및 이에 따른 필라멘트의 파손을 억제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유제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으로 지나치게 작아지면 상기 터프팅 공정에서의 니들과 필라멘트 섬유 간의 마찰이 발생해 필라멘트 섬유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커지면 지나친 유제의 사용으로 끈적거리거나 장기 보관시 유제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Such an emulsion suppresses the friction between the needle used in the tufting process and the filaments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us the breakage of the filament. When the content of the emulsion is excessively reduced to less than 0.2% by weight, the needles in the tufting step The filament fiber may be damaged due to friction between filament fibers. If the filament fiber is excessively larger than 2.0 wt%, the use of an excessive emulsion may cause migration of the emulsion during sticky or long-term storage.

카페트용 기포지에 요구되는 강도 등의 물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80 내지 12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질 수 있다.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weight per unit area of 80 to 120 g / m < 2 >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required for a carpet bubb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카페트사의 이식을 위한 터프팅 공정시 필라멘트 파손이 적절히 억제되어 터프팅 공정 후에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카페트 기포지용으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이를 이루는 필라멘트들을 열접착시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용이하고 단순하게 되며, 그 제조 단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다. The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uitably used for carpet bubbles because the filament breakage is suitably suppressed during the tufting process for transplanting the carpet yarn to exhibi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the tuft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thermally adhering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제1 필라멘트들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단계, 제2 필라멘트들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로 웹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이 서로 접착하도록 상기 웹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pinning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250 캜 or more to form first filaments, Lt; 0 > C or less, forming a web with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heating the web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dhere to each other do.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웹 내의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70 내지 95 wt%이고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의 70 내지 95 %가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이 각각 방사된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first polyester in the web is 70 to 95 wt% and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70 to 95% of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are respectively emitted.

이러한 제조 방법을 통하여, 터프팅 후에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특히, 니들 펀칭 공정 등의 부가적 공정 없이도 상기 필라멘트 섬유를 용이하게 열접착시킴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With this manufactu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tufting. In particular, the filament fiber can be thermally adhered easily without additional steps such as a needle punching step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에스테르를 각각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형성을 위하여 제1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고, 상기 제2 필라멘트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한다. First,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are melted into respective extruders. The first polyester is then spun for the formation of the first filaments and the second polyester is spun fo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fila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의 방사는 하나의 구금을 통해 동시에 수행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가 혼섬방사(spinning and mixing) 방식에 의해 방사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is carried out simultaneously through one detent.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are spun by a spinning and mixing process.

상기 혼섬방사는 4,500 내지 5,000m/min의 방사 속도로 수행될 수 있고. 이렇게 방사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는 고압의 공기 연신장치를 이용하여 충분히 연신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용 구금 홀들의 직경 및 상기 연신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특정 섬도 범위(제1 필라멘트: 4 내지 10 데니어, 제2 필라멘트: 3 내지 6 데니어)를 갖는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이 얻어질 수 있다.The mixed radiation may be performed at a spinning speed of 4,500 to 5,000 m / min.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thus irradiated are sufficiently stretched using a high-pressure air stretching apparatus. (First filament: 4 to 10 denier, second filament: 3 to 6 denier) by adjusting the diameter and degree of drawing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 holes, Filamen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가 통과하는 각각 통과하는 상기 구금의 홀들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 내지 95 %로 조절될 수 있다(즉,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5 내지 30 %로 조절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number of holes of the nip passing throug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in the range of 70 to 95 (I.e.,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can be adjusted to 5 to 30%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이어서, 개섬법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로 웹(web)을 형성시킨 후, 상기 웹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을 접착시킴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한다. Next, a web is form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by a filament method,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re bonded by applying heat to the web to produce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이때, 상기 필라멘트들 간의 접착을 위해 사용되는 열원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 제조 공정에서 적용되는 고온/고압의 캘린더롤이나 엠보스롤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열풍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a heat source used for bonding between the filaments, a calender roll or an emboss roll at a high temperature / high pressure generally used in a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used, but hot air is more preferably used.

상기 고온/고압의 롤에 의해 필라멘트 섬유를 열접착하는 경우, 부직포의 강도 또는 신도와 같은 물성은 높게 나타나지만, 그만큼 부직포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필라멘트들이 과도하게 밀집된 상태로 된다. 이는 부직포 내에서의 필라멘트의 운동성을 악화시키며, 이로 인해 터프팅 공정에서 니들에 의한 필라멘트의 파손이 다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롤에 의해 엠보싱된 부분에서 필라멘트가 많이 융착되는데, 이 융착 부분을 니들이 통과할 때 필라멘트의 파손이 더욱 심각해진다. 결과적으로, 최종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터프팅 공정 후의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어 카페트 기포지로 이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When the filament fibers are thermally adhered by the high-temperature / high-pressure roll,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strength or elongation of the nonwoven fabric are high, but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is thinned so that the filaments become excessively dense. This worsens the mobility of the filaments in the nonwoven fabric, which can result in many filament breakage by the needles in the tufting process. Particularly, a lot of filaments are fused at the portion embossed by the roll, and breakage of the filament becomes more serious when the needle passes through the fused portion. As a resul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ally produced polyester nonwoven fabric after the tufting process may be significantly lowered,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be used as a carpet bubble paper.

이에 반해, 상기 열풍을 이용해 상기 필라멘트들끼리 열접착시키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고도, 상기 제2 필라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상대적으로 저융점의 제2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시켜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끼리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초기 물성뿐만 아니라 터프팅 공정 후의 물성까지도 모두 우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aments are thermally adher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hot air, the second polyester having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contained in the second filament is melted and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Can be easily adhered to each other. Accordingly, not only the initial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al polyester nonwoven fabric but also the physical properties after the tufting process can be excellent.

상기 열풍을 이용한 열접착 공정에서는, 텐터(Tenter)와 같이 열풍을 분사하는 열고정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열풍의 온도는 상기 제 2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열풍을 이용한 접착을 수행하기 전에 저온/저압의 캘린더롤에 의해 웹 형태로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을 살짝 눌러주어 균일한 두께의 부직포가 되도록 조정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heat bonding step using the hot air, a heat fixing device for emitting hot air such as a tenter can be used, and the temperature of such hot air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polyester. Alternatively, a process may be performed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laminated in the form of a web are pressed by a low-temperature / low-pressure calender roll before the adhesion using hot air to obtain a nonwoven fabric of uniform thickness .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 필라멘트들 간의 접착을 위해 상기 웹을 가열한 후에, 상기 열접착된 웹의 표면에 상기 웹의 중량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의 유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may include heating the web to bond the filaments, and then applying 0.2 to 2.0 wt% of the emulsion to the surface of the thermally adhered web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web Step < / RTI >

이와 같이, 소정 함량의 유제를 부직포의 표면에 도포함에 따라, 터프팅 공정에서 사용되는 니들 및 부직포를 이루는 필라멘트 섬유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고, 상기 터프팅 공정에서의 필라멘트 섬유의 파손을 더욱 줄여 터프팅 공정 후의 부직포의 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유제를 지나치게 많이 도포하는 경우, 끈적거리거나 부직포의 장기 보관시 유제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emulsion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needles used in the tufting process and the filament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further reduce the breakage of the filament fibers in the tufting proces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nonwoven fabric after the tinning process can be further improved. However, when the emulsion is applied in an excessively large amount, migration of the emulsion during sticking or long-term storage of the nonwoven fabric may occur, which is not preferable.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는 초기 물성 및 터프팅 공정 후의 물성이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카페트 기포지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both initial physical properties and physical properties after the tufting process, and therefore can be usefully used as a carpet base paper.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기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 (Production of filament fiber)

아디프산과 공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Co-PET(AA)/융점: 210 ℃]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PET/융점: 255 ℃)를 방사온도 288 ℃에서 연속 압출기를 이용하여 각각 용융시켰다. 이어서, 상기 Co-PET(AA) 및 PET를 혼섬방사함으로써, 상기 PET로 이루어진 제1 연속 필라멘트들 및 상기 Co-PET(AA)로 이루어진 제2 연속 필라멘트들이 각각 형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Co-PET(AA) 및 PET가 구금을 통해 분출된 후 25 ℃의 냉각풍으로 고화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속 필라멘트들이 형성되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속 필라멘트들이 형성될 때, 고압의 공기 연신 장치를 이용한 연신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었다.(PET / AA: melting point: 210 ° C)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 (PET / melting point: 255 ° C) copolymerized with adipic acid were melted at a spinning temperature of 288 ° C using a continuous extruder . Then, the first continuous filaments made of PET and the second continuous filaments made of Co-PET (AA) were formed by the mixed-spinning of Co-PET (AA) and PET.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filaments were formed while the Co-PET (AA) and the PET were ejected through the spinneret and then solidified by cooling wind at 25 ° C.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filaments were formed, a drawing process using a high-pressure air drawing apparatus was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러한 혼섬방사가 수행될 때,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80%가 되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20%가 되도록, 상기 구금의 홀들이 상기 PET 및 Co-PET(AA)를 위해 각각 배분되었다. 또한,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이 약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이 약 4 데니어의 섬도를 갖도록 상기 연신 정도가 조절되었다. 또한, 상기 구금으로부터 토출되는 전체 중합체 중 상기 PET 및 Co-PET(AA)의 함량이 각각 85wt% 및 15wt%가 되도록, 상기 구금을 통한 상기 PET 및 Co-PET(AA)의 토출량이 조절되었다.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80%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is 20%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 The holes of the cage were distributed for the PET and Co-PET (AA), respectively. Further, the degree of stretching was adjusted so that the first filaments had a fineness of about 10 denier and the second filaments had a fineness of about 4 denier. In addition,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ET and Co-PET (AA) through the nipping was adjusted so that the content of the PET and the Co-PET (AA) in the entire polymer discharged from the nipping was 85 wt% and 15 wt%, respectively.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Production of spunbond nonwoven fabric)

통상의 개섬법에 의해 연속 이동하는 금속제 네트(net) 상에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을 웹(web) 형태로 적층시켰다. 이어서, 열풍장치를 이용해 상기 웹을 가열하여 상기 Co-PET(AA)의 용융점에서 상기 웹의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이 서로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 g/㎡ 인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were laminated in the form of a web on a metal net (net) continuously moved by a common filament method. Next, by heating the web using a hot air device to adhere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of the web at the melting point of the Co-PET (AA), a 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per unit area of 100 g / .

(유제 처리 공정) (Tanning process)

위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상기 부직포 중량에 대하여 1.0 wt%의 유제로 처리하였다.The nonwoven fabric prepared above was treated with an emulsion of 1.0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실시예 2Example 2

상기 구금으로부터 토출되는 전체 중합체 중 상기 PET 및 Co-PET(AA)의 함량이 각각 95wt% 및 5wt%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ET and the Co-PET (AA) in the entire polymer discharged from the detergent was 95 wt% and 5 wt%, respectively.

실시예 3Example 3

상기 구금으로부터 토출되는 전체 중합체 중 상기 PET 및 Co-PET(AA)의 함량이 각각 70wt% 및 30wt%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ET and the Co-PET (AA) was 70 wt% and 30 wt%, respectively, in the entire polymer discharged from the detente.

실시예 4Example 4

혼섬방사가 수행될 때,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95%이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5%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Whe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9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is 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5Example 5

혼섬방사가 수행될 때,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이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30%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Whe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was 70%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was 30%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Example 6 6

이소프탈산과 공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Co-PET(IPA)/융점: 208℃]가 Co-PET(AA) 대신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Except that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Co-PET (IPA) / melting point: 208 占 폚] copolymerized with isophthalic acid was used in place of Co-PET (AA) .

실시예 7Example 7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융점: 224℃]가 Co-PET(AA) 대신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melting point: 224 ° C) was used instead of Co-PET (AA).

실시예 8Example 8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융점: 221℃]가 Co-PET(AA) 대신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TT (melting point: 221 ° C) was used instead of Co-PET (AA).

실시예 9Example 9

상기 제1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데니어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A polyester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neness of the first filament was 4 denier.

실시예Example 10 10

상기 부직포 중량에 대하여 2.0 wt%의 유제로 상기 부직포가 처리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A polyester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onwoven fabric was treated with an oil emulsion of 2.0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구금으로부터 토출되는 전체 중합체 중 상기 PET 및 Co-PET(AA)의 함량이 각각 96wt% 및 4wt%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ET and the Co-PET (AA) was 96 wt% and 4 wt%, respectively, in the entire polymer discharged from the detent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구금으로부터 토출되는 전체 중합체 중 상기 PET 및 Co-PET(AA)의 함량이 각각 69wt% 및 31wt%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ET and the Co-PET (AA) in the entire polymer discharged from the detergent was 69 wt% and 31 wt%, respectively.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혼섬방사가 수행될 때,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96%이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4%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Whe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96%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is 4%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혼섬방사가 수행될 때,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69%이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31%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Whe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was 69%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was 31%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상기 제1 필라멘트의 섬도가 3 데니어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polyester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neness of the first filament was 3 denier.

위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들의 구성에 대한 특징들을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tion of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s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단위면적 당
중량
(g/m2)
Per unit area
weight
(g / m 2 )
제1 필라멘트The first filament 제2 필라멘트The second filament 유제
함량
(중량%)
emulsion
content
(weight%)
성분ingredient 융점
(℃)
Melting point
(° C)
개수
비율
(%)
Count
ratio
(%)
함량
(%)
content
(%)
성분ingredient 융점
(℃)
Melting point
(° C)
개수
비율
(%)
Count
ratio
(%)
함량
(%)
content
(%)
실시예1Example 1 100100 PETPET 255255 8080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15
15
1.01.0
실시예2Example 2 100100 PETPET 255255 8080 95
95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5
5
1.01.0
실시예3Example 3 100100 PETPET 255255 8080 70
70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30
30
1.01.0
실시예4Example 4 100100 PETPET 255255 9595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55 15
15
1.01.0
실시예5Example 5 100100 PETPET 255255 7070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3030 15
15
1.01.0
실시예6Example 6 100100 PETPET 255255 8080 85
85
Co-PET
(IPA)
Co-PET
(IPA)
208208 2020 15
15
1.01.0
실시예7Example 7 100100 PETPET 255255 8080 85
85
PBTPBT 224224 2020 15
15
1.01.0
실시예8Example 8 100100 PETPET 255255 8080 85
85
PTTPTT 221221 2020 15
15
1.01.0
실시예9Example 9 100100 PETPET 255255 8080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15
15
1.01.0
실시예10Example 10 100100 PETPET 255255 8080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15
15
0.20.2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100100 PETPET 255255 8080 96
96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4
4
1.01.0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00100 PETPET 255255 8080 69
69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31
31
1.01.0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100100 PETPET 255255 9696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44 15
15
1.01.0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100100 PETPET 255255 6969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3131 15
15
1.01.0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100100 PETPET 255255 8080 85
85
Co-PET
(AA)
Co-PET
(AA)
210210 2020 15
15
1.01.0

* 상기 표 1에서,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을 나타내고, AA는 아디프산을 나타내고, IPA는 이소프탈산을 나타내고, PBT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나타내며, PTT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나타낸다.
In Table 1, PET represent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A represents adipic acid, IPA represents isophthalic acid, PBT represents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TT represents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들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열수축율을 측정하였고, 또한, 터프팅 공정 전후의 인장 강도, 신율 및 인열 강력을 측정하였으며. 이들 측정 결과들을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heat shrinkage of polyester nonwoven fabric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tufting proces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se measuremen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험예 1: 인장 강도(kg.f/5cm)/신율(%)Experimental Example 1: Tensile strength (kgf / 5 cm) / elongation (%)

KS K 0521 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 세로 = 5cm × 20cm 크기의 부직포 시편을 INSTRON사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상/하 5cm× 5cm 지그로 물린 후 인장속도 200mm/min으로 측정하였다.KS K 0521 method was used. Specifically, a nonwoven fabric specimen of 5 cm × 20 cm in width × length was measured with a measuring device of INSTRON Co., Ltd., with a 5 cm × 5 cm jig top / bottom at a tensile speed of 200 mm / mi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인열Tear 강력 ( strong ( kgkg .f).f)

KS K 0536 (Single Tongue)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 세로 = 7.6cm × 20cm 크기의 부직포 시편을 가운데 부분을 7cm 절개한 후 INSTRON사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300mm/min으로 측정하였다. KS K 0536 (Single Tongue) method was used. Specifically, a nonwoven fabric sample of 7.6 cm × 20 cm in width × length was cut at 7 cm in the center, and then measured at a tensile speed of 300 mm / min using an INSTRON measuring machine.

실험예 3: 터프팅 공정Experimental Example 3: Tufting process

1/10 게이지로 세팅된 터프팅 머신에서 부직포에 대한 터프팅 공정을 실시하였다. 터프팅 공정 진행 후, 상기 실험예 1 및 2에 기재된 방법들로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The tufting process on the nonwoven fabric was performed in a tufting machine set to 1/10 gauge. After the tufting process,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the methods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abov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4: 열수축율Heat shrinkage

JIS L 1906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열수축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 세로 = 25cm × 25cm의 부직포 시편 내에 가로× 세로 = 20cm × 20cm의 선을 표시하고, 그 가운데 10cm 부분에 가로 및 세로로 선을 더 표시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시편을 180℃의 열풍 오븐 내에 3분간 방치한 후 처리 전/후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을 아래의 식에 적용시킴으로써 각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열수축율을 산출하였다.The heat shrinkage of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was measured using the JIS L 1906 method. Specifically, a line of width × length = 20 cm × 20 cm was displayed in a nonwoven fabric specimen of width × length = 25 cm × 25 cm, and a line was furth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displayed on a 10 cm portion thereof. The specimens thus prepared were allowed to stand in a hot air oven at 180 ° C for 3 minutes, and the change in length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as measured. The heat shrinkage of each polyester nonwoven fabric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measured values to the following formula.

수축율(%) = [(L1 - L2)/L1] × 100Shrinkage (%) = [(L1 - L2) / L1] x 100

여기서, L1은 열처리 전의 길이이고, L2는 열처리 후의 길이이다.Here, L1 is the length before the heat treatment and L2 is the length after the heat treatment.


터프팅 공정 전Before the tufting process 터프팅 공정 후After the tufting process 열수축율
(%)
Heat shrinkage
(%)
비고
Remarks
인장강도
(MD/CD)
(kg.f/5cm)
The tensile strength
(MD / CD)
(kgf / 5cm)
신율
(MD/CD)
(%)
Elongation
(MD / CD)
(%)
인열강력
(MD/CD)
(kg.f)
Tear strength
(MD / CD)
(kg.f)
인장강도
(MD/CD)
(kg.f/5cm)
The tensile strength
(MD / CD)
(kgf / 5cm)
신율
(MD/CD)
(%)
Elongation
(MD / CD)
(%)
인열강력
(MD/CD)
(kg.f)
Tear strength
(MD / CD)
(kg.f)
실시예1Example 1 19.0/18.519.0 / 18.5 28.0/30.028.0 / 30.0 9.2/9.59.2 / 9.5 14.5/14.214.5 / 14.2 27.5/28.027.5 / 28.0 7.5/8.27.5 / 8.2 1.01.0 실시예2Example 2 17.2/17.517.2 / 17.5 27.1/27.927.1 / 27.9 9.0/9.19.0 / 9.1 14.3/13.814.3 / 13.8 28.1/27.828.1 / 27.8 7.7/7.87.7 / 7.8 0.70.7 실시예3Example 3 21.0/19.821.0 / 19.8 31.0/30.231.0 / 30.2 9.5/9.29.5 / 9.2 15.1/14.315.1 / 14.3 27.2/27.127.2 / 27.1 7.5/7.67.5 / 7.6 1.21.2 실시예4Example 4 18.5/18.118.5 / 18.1 27.5/29.227.5 / 29.2 9.1/8.99.1 / 8.9 14.3/15.114.3 / 15.1 27.6/29.027.6 / 29.0 8.1/8.38.1 / 8.3 0.30.3 실시예5Example 5 22.1/20.322.1 / 20.3 30.8/31.230.8 / 31.2 9.3/9.29.3 / 9.2 16.2/15.916.2 / 15.9 26.8/29.126.8 / 29.1 7.5/7.57.5 / 7.5 1.11.1 실시예6Example 6 19.2/18.219.2 / 18.2 29.3/26.829.3 / 26.8 9.1/8.39.1 / 8.3 15.2/13.815.2 / 13.8 25.8/26.325.8 / 26.3 7.3/7.67.3 / 7.6 1.01.0 실시예7Example 7 20.1/18.220.1 / 18.2 29.5/28.729.5 / 28.7 8.3/8.78.3 / 8.7 13.9/14.813.9 / 14.8 26.8/27.726.8 / 27.7 7.1/6.87.1 / 6.8 0.80.8 실시예8Example 8 18.8/17.618.8 / 17.6 28.6/27.228.6 / 27.2 8.5/8.88.5 / 8.8 14.2/14.614.2 / 14.6 13.9/13.813.9 / 13.8 7.0/7.37.0 / 7.3 0.90.9 실시예9Example 9 18.9/20.218.9 / 20.2 29.5/31.229.5 / 31.2 8.9/8.18.9 / 8.1 13.5/13.313.5 / 13.3 26.1/25.526.1 / 25.5 6.3/6.56.3 / 6.5 0.80.8 실시예10Example 10 19.0/18.519.0 / 18.5 28.0/30.028.0 / 30.0 9.2/9.59.2 / 9.5 14.2/14.014.2 / 14.0 27.3/26.827.3 / 26.8 7.2/7.97.2 / 7.9 1.01.0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16.2/16.316.2 / 16.3 25.0/24.825.0 / 24.8 7.1/7.97.1 / 7.9 11.6/11.611.6 / 11.6 25.1/24.325.1 / 24.3 4.2/5.64.2 / 5.6 0.80.8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22.8/23.322.8 / 23.3 31.2/32.031.2 / 32.0 6.8/6.66.8 / 6.6 12.8/12.412.8 / 12.4 26.8/26.426.8 / 26.4 4.0/4.34.0 / 4.3 1.31.3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16.1/16.216.1 / 16.2 24.6/23.824.6 / 23.8 6.7/6.26.7 / 6.2 11.6/11.911.6 / 11.9 22.6/22.922.6 / 22.9 4.2/4.54.2 / 4.5 0.30.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22.2/24.122.2 / 24.1 31.2/33.031.2 / 33.0 8.2/8.18.2 / 8.1 14.2/13.214.2 / 13.2 26.9/28.926.9 / 28.9 4.3/4.94.3 / 4.9 2.02.0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19.8/20.219.8 / 20.2 29.6/27.829.6 / 27.8 6.3/6.16.3 / 6.1 10.2/9.810.2 / 9.8 27.5/26.327.5 / 26.3 3.2/3.33.2 / 3.3 1.51.5 ×
×

* 상기 표 2에서, 비고는 카페트 기포지용으로서의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평가를 나타낸 것이며, ◎ 는 매우 적합함, ○는 적합함, △는 적합하지 않음, × 매우 적합하지 않음을 표시한 것이다.
In the above Table 2, the remarks show an evalu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carpet can be used as a base for a carpet, ⊚ is very suitable, ◯ is suitable, △ is not suitable, and x is not very suitable.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10의 부직포는 터프팅 공정 전에도 우수한 인장 강도, 신율 및 인열 강력의 물성을 나타내며, 터프팅 후에도 이러한 물성들이 크게 저하되지 않고 유지될 뿐만 아니라, 2.0% 미만의 낮은 열수축율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ferring to Table 2, the nonwoven fabrics of Examples 1 to 10 exhibit excellent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properties even before the tufting process. Such properties are not significantly deteriorated even after tufting, Of the total heat shrinkage.

이에 비해, 제2 필라멘트의 함량(즉, 공중합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작거나 큰 비교예 1 및 2의 부직포들은 터프팅 공정 전후의 물성이 모두 현저히 낮거나(비교예 1), 터프팅 공정 전에는 어느 정도의 물성이 발현되나 열수축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터프팅 공정 후에 물성이 많이 저하됨이 확인되었다(비교예 2). In contrast, the nonwoven fabric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which the content of the second filaments (that is, the content of the copolymer) was too small or too large,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hysical properties before and after the tufting process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a certain degree of physical properties were exhibited, but the heat shrinkage ratio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hysical properties after the tufting step were greatly lowered (Comparative Example 2).

또한, 제2 필라멘트의 개수 비율이 너무 낮거나 높은 비교예 3 및 4의 부직포들도 역시, 터프팅 공정 전후의 물성이 모두 현저히 낮거나(비교예 3), 부직포의 열수축율이 2.0%로 지나치게 높고 터프팅 공정으로 인해 부직포 물성이 큰 폭으로 저하되며, 터프팅 공정 시 다량의 백분 발생이 관찰되었다(비교예 4). Also, the nonwoven fabrics of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in whi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second filaments was too low or too high,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physical properties before and after the tufting process (Comparative Example 3), or the heat shrinkage of the nonwoven fabric was excessively low The properties of the nonwoven fabric were greatly reduced due to the high tufting process, and a large amount of white matter was observed during the tufting process (Comparative Example 4).

또한, 제1 필라멘트의 섬도가 지나치게 작은 비교예 5의 부직포는 터프팅 공정 후의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력이 지나치게 낮아 카세트 기포지용으로 적절히 사용될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fineness of the first filament was too small had too low a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after the tufting process and could not be suitably used for cassette foams.

Claims (12)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에 있어서,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들; 및
3 내지 6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은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라멘트들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의 함량들은 각각 70 내지 95 wt% 및 5 내지 30 wt%이며,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총 개수의 70 내지 95 %이며,
2.0% 미만의 열수축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In the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First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4 to 10 denier; And
And second filaments having a fineness of 3 to 6 denier,
Wherein the first filaments comprise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lt; RTI ID = 0.0 &gt; 250 C,
Wherein the second filaments comprise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polyester by at least 20 캜,
The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s in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are 70 to 95 wt% and 5 to 30 wt%, respectively,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filaments is 70 to 95% of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a heat shrinkage ratio of less than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는 250 내지 280 ℃의 융점을 갖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는 180 내지 230 ℃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lyester has a melting point of 250 to 280 DEG C,
And the second polyester has a melting point of 180 to 230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ester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 naphthalene terephtha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가 아디프산 또는 이소프탈산과 공중합된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olyester is a copolymer in which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naphthalene terephthalate is copolymerized with adipic acid or isophthalic acid, polybutylene terephthalate, or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제1항에 있어서,
표면 상에 유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n emulsion on the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는 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lyester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ulsion contains an ester compound or a silicone compound.
제1 필라멘트들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250℃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단계;
제2 필라멘트들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2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로 웹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이 서로 접착하도록 상기 웹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웹 내의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70 내지 95 wt%이고 상기 제1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의 개수의 70 내지 95 %가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들이 각각 방사되며,
2.0% 미만의 열수축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방법.
Spinning a first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50 캜 to form first filaments;
Radiating a second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of at least 20 캜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polyester to form second filaments;
Forming a web with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nd
Heating the web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adhere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tent of said first polyester in said web is 70 to 95 wt% and the number of said first filaments is 70 to 95% of the number of said first and second filaments, Polyesters are each radiated,
And a heat shrinkage ratio of less than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의 방사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의 방사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inning of the first polyester and the spinning of the second polyester a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이 각각 4 내지 10 데니어 및 3 내지 6 데니어의 섬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필라멘트들을 연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stretching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prior to forming the web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each have a fineness of 4 to 10 denier and 3 to 6 denier, Method of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에 열을 가하는 단계는 열풍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web is performed using hot ai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웹의 표면에 유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n emulsion to the surface of the heated web.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포함하는 카페트용 기포지. A carpet support comprising the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of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120109086A 2012-09-28 2012-09-28 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KR101894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86A KR101894773B1 (en) 2012-09-28 2012-09-28 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86A KR101894773B1 (en) 2012-09-28 2012-09-28 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79A KR20140042379A (en) 2014-04-07
KR101894773B1 true KR101894773B1 (en) 2018-09-04

Family

ID=5065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086A KR101894773B1 (en) 2012-09-28 2012-09-28 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7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798B1 (en) * 2015-06-26 2020-02-1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Dimensional Stable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7209B1 (en) * 2016-09-07 2018-06-20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Latent crimping typed two component conjugated yarn with high sens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26009B1 (en) * 2018-03-28 2021-11-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polyester non-woven having improved impregnation of softening agent
KR102362233B1 (en) 2018-12-21 2022-02-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Non-woven for Dryer Sheet
KR102617462B1 (en) * 2020-12-30 2023-12-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Non-woven fabric, carpet and method for preparing for the same
KR20230094660A (en) * 2021-12-21 2023-06-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ester nonwoven fabric with suppressed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during tufting process,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te for carp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44B1 (en) 2006-01-19 2006-11-28 주식회사 코오롱 Preparation method of gradient structured spunbond nonwoven fabric
KR101117779B1 (en) * 2011-07-19 2012-03-09 프르덴베르그 파 이스턴 스펀웹 컴퍼니 리미티드 Dual layers composite fabrics of polyester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woven fabric used as primary backing cloth for artificial tur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58B1 (en) * 2008-12-19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ester nonwoven fabrics, its preparation method and carpet primary backing substrate
KR101194359B1 (en) * 2009-06-30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ester nonwoven fabrics, its preparation method and carpet primary backing substr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44B1 (en) 2006-01-19 2006-11-28 주식회사 코오롱 Preparation method of gradient structured spunbond nonwoven fabric
KR101117779B1 (en) * 2011-07-19 2012-03-09 프르덴베르그 파 이스턴 스펀웹 컴퍼니 리미티드 Dual layers composite fabrics of polyester spunbond nonwoven fabrics and woven fabric used as primary backing cloth for artificial tur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79A (en)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773B1 (en) Polyester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e for Carpet Comprising The Same
KR101194358B1 (en) Polyester nonwoven fabrics, its preparation method and carpet primary backing substrate
KR101194359B1 (en) Polyester nonwoven fabrics, its preparation method and carpet primary backing substrate
KR20130035414A (en) Polyester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133454B1 (en) Mixed continuous fiber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41531A (e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JP2013072148A (en) Fibe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269632C (en) Stretchable composite sheets and processes for making
KR102031790B1 (en) Improved Thermoform Spunbonded Nonwoven for Primary Carpet B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486331B2 (e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KR20140119351A (en) Dimensional Stable Spunbonded Nonwoven for Primary Carpet B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37496B1 (en) Improved Plasticity Spunbonded Nonwoven for Primary Carpet B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33774A (en) Non-woven for carpet backing with improved pull-out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79804B1 (en) Polyester spunbond nonwoven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8204168A (en) Biodegradable long fiber non-woven fabric
KR20170001319A (en) Dimensional Stable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113327A (en) Spunbonded Nonwoven for Primary Carpet Backing Having Higher Pile Yarn Holding Strength Property
KR101755034B1 (en) Polyester Spunbonded Nonwoven for Primary Carpet B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779014B1 (en) Non-woven fabric for primary carpet bac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2742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for carpet backing with improved forming property
KR101819726B1 (en) Long Fiber Type Thermal Adhesive Sheet Of Excellent Adhesion And Breathability
KR102617462B1 (en) Non-woven fabric, carpet and method for preparing for the same
KR20180000887A (en) Non-woven Fabric for Primary Carpet Backing in Carpet Preparing Proc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94660A (en) Polyester nonwoven fabric with suppressed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during tufting process,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primary backing substrate for carpet
JP2024500449A (en)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