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669B1 - 계단용 난간 - Google Patents

계단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669B1
KR101894669B1 KR1020170066083A KR20170066083A KR101894669B1 KR 101894669 B1 KR101894669 B1 KR 101894669B1 KR 1020170066083 A KR1020170066083 A KR 1020170066083A KR 20170066083 A KR20170066083 A KR 20170066083A KR 101894669 B1 KR101894669 B1 KR 10189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rame
frame
pair
fix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향숙
Original Assignee
임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향숙 filed Critical 임향숙
Priority to KR102017006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구성품들이 상호 장탈착 가능하게 조립 연결 또는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품들의 적재 또는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며, 더 나아가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구성품에 대해서만 보수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계단용 난간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계단용 난간에 있어서, 하측 평바닥과 상측 평바닥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주,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 하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평바닥과 상측 평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을 따라 배치되는 하측 연결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 상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측 연결 프레임,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간살 파이프, 상기 간살 파이프 하측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 사이와 상기 간살 프레임 상측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사이를 각각 장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단용 난간{BALUYSTRADE FOR STAIRWAY}
본 발명은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구성품들이 상호 장탈착 가능하게 조립 연결 또는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품들의 적재 또는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며, 더 나아가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구성품에 대해서만 보수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계단이나 베란다 등의 난간에 설치되어 보행하거나 서 있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시공된다. 특히, 계단에 시공되는 난간은 계단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수직 포스트와 수직 포스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평 포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는 원형이나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계단에 시공되는 난간은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수평 포스트의 양단부를 용접하여 수직 포스트에 수평 포스트를 결합하거나 수직 포스트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수직 포스트의 삽입공으로 수평 포스트를 삽입하고 나서 삽입공의 주변을 용접하여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단용 난간은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수평 포스트를 용접하기 때문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수평 포스트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하고, 절단된 단부를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기 때문에 계단의 경사도에 부합하게 수평 포스트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절단 및 용접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수평 포스트에 대한 양단부의 절단이 불량하거나 절단된 수평 포스트와 수직 포스트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난간의 변형이나 손상되기 때문에 난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738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계단의 경사와 평행하게 핸드레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여 난간의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계단용 난간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핸드레일만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할 뿐, 펜스의 전체는 여전히 부피가 큰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용접 등에 의하여 형성하는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체 구조물의 시공 및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여전히 필요 이상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일부분이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경우, 전체를 이탈시켜 보수 또는 교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이 필요 이상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738호(공고일자 : 2016년 10월 07일, 발명의 명칭 : 계단용 난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각각의 구성품들이 상호 장탈착 가능하게 조립 연결 또는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품들의 적재 또는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며, 더 나아가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구성품에 대해서만 보수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용 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계단용 난간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계단용 난간에 있어서, 하측 평바닥과 상측 평바닥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주,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 하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평바닥과 상측 평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을 따라 배치되는 하측 연결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 상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측 연결 프레임,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간살 파이프, 상기 간살 파이프 하측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 사이와 상기 간살 파이프 상측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사이를 각각 장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연결구의 상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하측부는 상기 간살 파이프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연결구의 상측부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각의 하측 및 상측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장착판이 각각 부착 결합되고,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의 양단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의 양단에는 각각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상호 볼트 조립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계단용 난간에 의하면, 각각의 구성품들이 상호 장탈착 가능하게 조립 연결 또는 체결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구성품들의 적재 또는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에 의한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 및 시공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품들 각각을 장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구성품에 대해서만 보수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상하측 연결 프레임과 간살 파이프가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상측(하측) 연결 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커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고정 지주와 상측(하측) 연결 프레임의 제1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고정 지주와 상측(하측) 연결 프레임의 제2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계단용 난간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의 설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상하측 연결 프레임과 간살 파이프가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100)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하층과 상층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계단의 에지 부분을 따라 배치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계단(1)은 하층과 계단 참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계단 참과 상층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과 계단 참 그리고 계단 참과 상층 사이에 배치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100)은 하측 평바닥(3)과 상측 평바닥(5)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1)의 에지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 평바닥(3)이 하층의 평평한 부분이면, 상기 상측 평바닥(5)은 계단 참이 될 수 있고, 상기 하측 평바닥(3)이 계단 참 부분이면, 상기 상측 평바닥(5)은 상층의 평평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후자, 즉 상기 하측 평바닥(3)이 계단 참에 해당되고, 상기 상측 평바닥(5)이 상층의 평평한 부분인 것에 대해서만 도면 부호가 표시되어 있지만, 전자의 경우에도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측 평바닥(5)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1)의 에지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100)은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측 평바닥(5)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주(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체결되는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측 연결 프레임(50),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사이에 배치 형성되는 간살 파이프(70) 및 상기 간살 파이프(70)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각각에 연결하는 연결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는 그 사이에 상기 계단(1)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기 상측 평바닥(5)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 지주(10)는 고정판(미도시)에 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을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기 상측 평바닥(5)에 앵커 볼트 등을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되게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기 상측 평바닥(5)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계단용 난간(100)을 구성하는 상기 고정 지주(10)가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기 상측 평바닥(5)에 각각 하나씩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참에는 인접하여 두 개의 고정 지주(1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계단 참에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 지주(10) 중 하나는 하층의 평평한 부분(하측 평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지주와 쌍을 이루어서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층의 평평한 부분(상측 평바닥)에 고정 설치되되는 고정 지주와 쌍을 이루어서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때, 상기 계단 참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 지주(10)는 별도의 결합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각각의 계단용 난간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키고, 결과적으로 계단용 난간의 고정성, 견고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평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더욱더 최소화시켜 계단용 난간의 고정성, 견고성 및 안정성을 더욱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하측 연결 프레임(30), 상측 연결 프레임(50) 및 간살 파이프(70) 중, 적어도 하나는 상측 계단(해당 계단용 난간이 설치되는 계단의 위쪽에 형성되는 계단)의 측면에 별도의 보강 연결 수단(미도시)을 통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여주는 두 개의 계단용 난간에서 아래쪽에 형성되는 계단용 난간은 계단 참(도 1에서 도면부호 3으로 표시된 부분)과 상층의 평평한 부분(도 1에서 도면부호 5로 표시된 부분)에 형성되는 연속된 계단의 측면 부분과 별도의 보강 연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계단용 난간은 수평 방향으로의 고정성, 견고성 및 안정성도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기 상측 평바닥(5)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주(10)의 각 하측은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에 의하여 체결된다. 즉,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각 하측에 체결되고 상기 계단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장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상기 고정 지주(1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각 하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측 평바닥(5)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1)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은 상기 연속 형성되는 계단과 상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지만, 사람 및 물건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의 공간이 크지 않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은 상기 고정 지주(10)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은 상기 고정 지주(10)와 별도의 분리된 구성품으로 적재, 운반, 이동,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에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경우, 이 문제가 되는 하측 연결 프레임(30)만 간단히 탈착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삭제
상기 하측 평바닥(3)과 상기 상측 평바닥(5)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주(10)의 각 상측은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의하여 체결된다. 즉,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각 상측에 체결되고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에 가능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역시 장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상기 고정 지주(1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50)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각 상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은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동일한 수직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은 동일한 수직면에 배치될 수 있고 평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 형성되는 간살 파이프(70)들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상기 간살 파이프(70)들은 길이 규격을 일원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구성품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이를 이용한 시공 또는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역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동일하게 상기 고정 지주(10)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은 상기 고정 지주(10) 및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별도의 분리된 구성품으로 적재, 운반, 이동,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경우, 이 문제가 되는 하측 연결 프레임(50)만 간단히 탈착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체결되는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사이는 장탈착 가능하게 간살 파이프(7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간살 파이프(70)는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사이에 장탈착 가능하게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사이에 배치 형성된다.
즉, 상기 간살 파이프(70)는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상기 인접 배치되는 간살 파이프(70) 사이의 간격은 규격이 있으면 그에 따르고, 그렇지 않으면 대략 15c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의 발빠짐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면 된다.
상기 간살 파이프(70)는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간살 파이프(70)의 하측은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간살 파이프(70)의 상측은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간살 파이프(70)는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완전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간살 파이프(70)는 연결구(90)를 통해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각각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90)는 상기 간살 파이프(70) 하측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 사이와 상기 간살 프레임(70) 상측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사이를 각각 장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즉, 상기 연결구(90)는 상기 간살 파이프(70)의 상측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을 상호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간살 파이프(70)의 하측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을 상호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간살 파이프(70) 역시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간살 파이프(90)들은 상기 고정 지주(10),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 및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과 별도의 분리된 구성품으로 적재, 운반, 이동,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경우, 이 문제가 되는 간살 파이프(70)만 간단히 탈착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90)는 모두 동일한 구조,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간살 파이프(70)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각각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고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난간(100)에 의하면, 각각의 구성품(고정 지주(10), 하측 연결 프레임(30), 상측 연결 프레임(50), 간살 파이프(70))들이 상호 장탈착 가능하게 조립 연결 또는 체결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구성품들의 적재 또는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에 의한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 및 시공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품들 각각을 장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손상 또는 하자가 발생한 구성품에 대해서만 보수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100)은 상기 연결구(90)에 의하여, 상기 간살 파이프(70)의 하측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이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간살 파이프(70)의 상측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이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기 연결구(90)는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을 용이하게 연결하고 착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연결된 상태에서 견고하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30, 50) 역시 상기 연결구(9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상태에서 안정성과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상기 연결구(90)의 제1 구조에 따른 구체적인 형태가 도 3에 예시하고 있고, 상기 연결구(90)에 연결되는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 또는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제1 구조에 따른 구체적인 형태가 도 4에 예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상측 연결 프레임(50)을 예시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은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단지 배치 방향만 반대로 하여 배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구조 및 특징 및 연결 방법은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30, 50)을 상호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구(90)는 당연히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단지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30, 5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구(90)는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을 손쉽게 연결하고 착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구의 하측부는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간단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연결구의 상측부는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에 안정되게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볼트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은 상기 연결구(90)의 상측부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몰부(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특징은 당연히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구(90)를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30, 50)에 용이하게 연결(장착)하고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각각에는 상기 연결구(90)의 상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함몰부(5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90)의 하측부는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연결구(90)의 상측부는 상기 함몰부(55)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 조립된다.
이를 위한 상기 연결구(9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구(90)는 베이스판(91)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삽입봉(93)이 돌출 형성되고, 상부에는 연결편(95)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봉(93)은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삽입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연결편(95)은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하측 연결 프레임(30))에 삽입 지지된 상태로 볼트 조립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베이스판(91)은 원판형 형상을 가지고, 그 하부에는 상기 삽입봉(93)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봉(93)은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삽입봉(93)은 상기 간살 파이프(70)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삽입 배치되고, 그 형상은 상기 간살 파이프(70)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다만, 상기 삽입봉(93)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판(9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봉(93)이 원통형 형상을 가지면, 상기 삽입봉(93)의 외경은 상기 원판형의 베이스판(91)의 외경보다 작게 돌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봉(93)이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간살 파이프(70)는 상기 베이스판(91)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스토핑된다.
상기 베이스판(91)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편(95)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편(95)은 상기 베이스판(91)의 상부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판 조각 형상을 가지되, 상부가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며, 볼트 조립을 위한 볼트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95)은 후술할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하측 연결 프레임(30))에 형성된 함몰부(55)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 볼트 조립되는 부분에 해당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조립을 위한 볼트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고,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상기 함몰부(55)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가 라운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편(95)의 상부는 후술할 상기 함몰부(55)의 상부면(도 4에서 도면부호 57로 표기됨)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은 그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계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구(90)는 상기 연결편(95)의 하측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9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 지지부(9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 지지부(97)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하측 연결 프레임(30))에 형성되는 돌출부(53)를 안착 지지하여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과 상기 연결구(90)가 연결된 상태에서 더욱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구(90)는 상기 삽입봉(93)이 상기 간살 파이프(70)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연결편(95)이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하측 연결 프레임(30))에 삽입 지지된 상태로 볼트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하측 연결 프레임(30)) 역시 상기 연결편(95)이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하측 연결 프레임(30))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사이에 길게 배치 형성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몸체(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돌출부(53) 및 상기 돌출부(53)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51)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몸체(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함몰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53)는 상기 함몰부(55)에 삽입 지지되는 상기 연결구(90)의 연결편(95)의 측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연결편(95)과 볼트 조립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53)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볼트 조립홀이 형성되고, 도 4에서는 상기 돌출부의 제1 외측면(54)을 보여주고, 거기에 볼트 조립홀이 상호 이격되어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함몰부(55)는 상기 돌출부(53)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보이는 면에 해당되는 상기 돌출부의 제1 외측면(54)과 상기 함몰부의 제1 내측면(56)은 동일한 면을 이루고, 상기 돌출부의 제1 외측면(54)과 상기 함몰부의 제1 내측면(56)은 상기 연결편(95)의 일측면에 면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편(95)과 상기 돌출부(53)는 볼트 조립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함몰부(55)에 삽입 지지되는 상기 연결편(95)은 상기 함몰부(55) 내에서 볼트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라운딩 형상의 상부가 상기 함몰부의 상부면(57)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이 좀 더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측 연결 프레임(50)과 연결구(90) 간의 고정성 및 안정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편(95)이 상기 함몰부(55)에 삽입 지지되어 볼트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53)의 하단은 상기 연결구(90)의 안착 지지부(97)에 안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이 상기 연결구(90)에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측 연결 프레임(50)과 연결구(90) 간의 고정성 및 안정성을 더욱더 보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30, 50) 사이를 상기 연결구(90)에 의하여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 사이의 연결 구조 및 각각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간살 파이프(70)와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 사이의 연결 구조 및 각각의 기술적 특징으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와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30, 50)의 체결 구조 및 이에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구성하는 고정 지주(10)와 상측(하측) 연결 프레임(50(30))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상측 연결 프레임(50)(하측 연결 프레임(30))의 양단에는 도 5에 도시된 커버(60)가 부착 연결되어 마감처리된다. 즉,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 및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각 양단은 상기 커버(60)로 마감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에 체결된다.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의 하측에 하나씩 대응되어 체결되고,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의 상측에 하나씩 대응되어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의 양단에는(구체적으로 커버(60)에는) 제2 체결부(61)가 돌출 형성되고, 당연히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양단에도(구체적으로 커버(60)에도) 동일하게 제2 체결부(6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체결부(61)는 상기 커버(6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결합 볼트(도 7에서 도면부호 63으로 표기됨)에 의하여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6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에는 대응하는 제1 체결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25)는 상기 고정 지주(10)에 부착 장착되는 장착판(21)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체결부(25)가 돌출 형성된 상기 장착판(21)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의 각 상측 및 하측에 부착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 각각의 하측 및 상측에는 제1 체결부(25)가 형성된 장착판(21)이 각각 부착 결합되고,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30)의 양단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50)의 양단에는 각각 제2 체결부(6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1 체결부(25)와 상기 제2 체결부(61)는 상호 볼트 조립에 의하여 체결되고, 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는 상기 상하측 연결 프레임(30, 50)에 장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25)와 상기 제2 체결부(61)는 상호 삽입된 상태 또는 면접촉된 상태로 볼트 조립되어 체결되되,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하측 연결 프레임)이 수직 방향으로 경사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하측 연결 프레임)은 계단 상측에서 계단을 따라 다양한 경사 각도로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1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체결부(25)가 형성되는 상기 장착판(21)은 상기 고정 지주(10)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조립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장착판(21)은 상기 고정 지주(10)에서 장착 위치가 미세하게 조정되는 경우가 요청될 수도 있고, 결합된 상태에서 좀 더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판(21)은 양측단에서 상기 고정 지주(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 지주(10)는 상기 가이드부(23)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설치 또는 시공자는 상기 가이드부(23)를 상기 가이드 홈(11)에 삽입하여 가이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판(21)을 결합 위치에 볼트 조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수직 방향으로 미세한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23)가 상기 가이드 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판(21)을 수직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여 정확한 장착 위치를 결정한 후 볼트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장착판을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이 없이 수직 방향으로는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정확한 장착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더 나아가 장착된 장착판을 좀 더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강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 : 계단 3 : 하측 평바닥
5 : 상측 평바닥 10 : 고정 지주
11 : 가이드 홈 20 : 체결구
21 : 장착판 23 : 가이드부
25 : 제1 체결부 30 : 하측 연결 프레임
50 : 상측 연결 프레임 51 : 몸체
53 : 돌출부 54 : 돌출부의 제1 외측면
55 : 함몰부 56 : 함몰부의 제1 내측면
57 : 함몰부의 상부면 60 : 커버
61 : 제2 체결부 63 : 결합 볼트
70 : 간살 파이프 90 : 연결구
91 : 베이스판 93 : 삽입봉
95 : 연결편 97 : 안착 지지부
100 : 계단용 난간

Claims (3)

  1. 계단용 난간에 있어서,
    하측 평바닥과 상측 평바닥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지주;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 하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평바닥과 상측 평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을 따라 배치되는 하측 연결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 상측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측 연결 프레임;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간살 파이프; 상기 간살 파이프 하측과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 사이와 상기 간살 파이프 상측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사이를 각각 장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구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하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간살 파이프에 삽입 배치되는 삽입봉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판 조각 형상을 가지되, 상부가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는 연결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사이에 길게 배치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함몰부로 구성되고,
    동일한 면을 이루는 상기 돌출부의 제1 외측면과 상기 함몰부의 제1 내측면은 상기 연결구의 연결편의 일측면에 면 접촉되고, 상기 함몰부에 삽입 지지되는 상기 연결편은 상기 함몰부 내에서 볼트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라운딩 형상의 상부가 상기 함몰부의 상부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 지주 각각의 하측 및 상측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장착판이 각각 부착 결합되고, 상기 하측 연결 프레임의 양단과 상기 상측 연결 프레임의 양단에는 각각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상호 볼트 조립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장착판은 양측단에서 상기 고정 지주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지주는 상기 가이드부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난간.
  2. 삭제
  3. 삭제
KR1020170066083A 2017-05-29 2017-05-29 계단용 난간 KR10189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83A KR101894669B1 (ko) 2017-05-29 2017-05-29 계단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83A KR101894669B1 (ko) 2017-05-29 2017-05-29 계단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669B1 true KR101894669B1 (ko) 2018-10-04

Family

ID=6386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83A KR101894669B1 (ko) 2017-05-29 2017-05-29 계단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6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417B1 (ko) 2021-01-11 2021-04-01 주식회사 라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듀얼형 급배기 유로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계단 난간을 이용한 공기순환 시스템
KR102621321B1 (ko) 2022-12-23 2024-01-04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계단 난간 모듈
KR102645409B1 (ko) 2023-10-15 2024-03-11 주식회사 태진핸드레일 내화성 계단난간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69Y1 (ko) * 2001-12-18 2002-03-15 박종생 계단용 난간 조립구
KR100997684B1 (ko) * 2008-04-30 2010-12-02 주식회사 성은이엠 조립식 난간
KR200458474Y1 (ko) * 2009-06-25 2012-02-22 안건형 난간대 회동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69Y1 (ko) * 2001-12-18 2002-03-15 박종생 계단용 난간 조립구
KR100997684B1 (ko) * 2008-04-30 2010-12-02 주식회사 성은이엠 조립식 난간
KR200458474Y1 (ko) * 2009-06-25 2012-02-22 안건형 난간대 회동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417B1 (ko) 2021-01-11 2021-04-01 주식회사 라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듀얼형 급배기 유로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계단 난간을 이용한 공기순환 시스템
KR102621321B1 (ko) 2022-12-23 2024-01-04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계단 난간 모듈
KR102645409B1 (ko) 2023-10-15 2024-03-11 주식회사 태진핸드레일 내화성 계단난간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669B1 (ko) 계단용 난간
US20110265396A1 (en) Connector system for building modules
US20140150188A1 (en) Post and Hand Rail Assembly for Modular Ramp
KR102146338B1 (ko) 비노출형 체결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
US20080196330A1 (en) Public Access Stair System
US4707957A (en) Preassembled platform stairway
FI82522C (fi) Terrassanlaeggning.
KR102008888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KR20140090041A (ko)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570672B1 (ko) 난간대 각도 조절용 지주 체결구
KR20100089645A (ko)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KR101738329B1 (ko) 조립식 철재 침대
KR101920252B1 (ko) 계단 난간
TWI751278B (zh) 臨時支架
KR20180003332A (ko)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101052076B1 (ko)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JP2017053110A (ja) 斜め柱の設置方法
KR101808460B1 (ko)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41635B1 (ko) 가변 좌석
KR2012012198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20180136749A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JP6377238B1 (ja) 組立式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