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39B1 - 계단용 난간지주 - Google Patents

계단용 난간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39B1
KR101852139B1 KR1020170057351A KR20170057351A KR101852139B1 KR 101852139 B1 KR101852139 B1 KR 101852139B1 KR 1020170057351 A KR1020170057351 A KR 1020170057351A KR 20170057351 A KR20170057351 A KR 20170057351A KR 101852139 B1 KR101852139 B1 KR 101852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handrail
variable
fixed
st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구 filed Critical 김현구
Priority to KR102017005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engthwise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계단용 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계단에 난간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계단의 시작부분과 계단의 끝부분에 구비된 계단용 난간지주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는 바닥에 고정지주의 하부가 맞대어져 직립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지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가변지주가 맞대어지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변지주의 상단부에 L자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L자 브라켓에 핸드레일 고정편이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 결합되어지며, 상기 핸드레일 고정편에 핸드레일의 하부가 얹혀져 나사못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가변지주가 고정지주에 대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가변지주의 상단부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일측의 핸드 레일과 타측의 핸드레일의 중심이 일치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작업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용 난간지주{HANDRAIL FOR STAIRS}
이 건 발명은 계단용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단의 바닥에 직립되게 구비된 고정지주의 양측으로 가변지주가 맞대어져 직결나사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변지주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가변지주의 상단부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층과 층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에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형태를 갖는 계단이 시공되어 있고, 시공된 계단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과정에서 추락 또는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난간은 각각 계단 상부면으로 구비된 지주 받침대에 난간 지주의 하부가 결합되어지고, 난간 지주의 상부에 핸드 레일의 하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되어 있다.
핸드 레일의 U턴부에는 U형태로 벤딩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기울기나 방향이 변경되는 다른 핸드 레일 사이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간은 핸드 레일을 받치는 각각의 지주 받침대 및 난간 지주가 모든 계단에 각각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지주 받침대와 난간 지주의 소모량이 증가됨에 따라 시공비가 증가되며 동시에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 레일의 U턴부에 연결부재가 맞대어지게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핸드 레일의 일측단부와 핸드 레일의 타측단부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 연결부재를 맞대어 결합시키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983호(2012.11.07)
이 건 발명은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난간이 계단에 시공되어지는 과정에서 고정지주의 양측으로 구비된 가변 지주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미소간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측의 핸드 레일과 타측의 핸드레일의 중심이 용이하게 일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계단에 난간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계단의 시작부분과 계단의 끝부분에 구비된 계단용 난간지주(A)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A)는 바닥에 고정지주(10)의 하부가 맞대어져 직립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가변지주(20)가 맞대어지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고정지주(10)는 중공형 지주부재(12)로 구비되어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2)의 양측에 평평한 형태를 갖는 맞대기면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주(20)는 외측에 직결나사(DS)가 관통되어지도록 다수개의 위치결정홀(20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주(10)의 맞대기면부(121)에 상기 가변지주(20)의 내측면이 상, 하 및 좌, 우로 이동되어 상기 가변지주(20)의 위치결정홀(201)에 2개 이상의 직결나사(DS)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기 가변지주(20)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변지주(20)의 상단부에 L자 브라켓(21)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지주(20)의 상단부에 L자 브라켓(21)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L자 브라켓(21)에 핸드레일 고정편(22)이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 결합되어지며, 상기 핸드레일 고정편(22)에 핸드레일(R)의 하부가 얹혀져 나사못(S)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주(10)는 볼트홀(111)이 형성된 지지편(11)의 상부에 중공형 지주부재(12)의 하부가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2)의 상부에 지주캡(13)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2)는 양측에 평평한 형태를 갖는 맞대기면부(121)가 형성되어 가변지주(20)의 외부 내측면이 맞대어져 2개 이상의 직결나사(DS)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지주(20)는 외측에 위치결정홀(201)이 형성되어 직결나사(DS)가 관통되게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지주(20)의 측면에 다수개의 난간대(4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난간대(40)를 구성하는 난간부재(410)의 양측에는 난간캡(420)이 끼워지고, 상기 난간부재(410)의 양측단부에 밴드형 고정부재(430)가 구비되어 나사못(S)으로 가변지주(2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간대(40)의 난간부재(410) 가로방향으로는 중간에 보강지주(50)가 세로방향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보강지주(50)는 하부가 지지브라켓(51)에 의하여 바닥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L자 브라켓(21)의 수직편(210) 상부에는 암나사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 고정편(22)의 일측에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상기 L자 브라켓(21)의 암나사홀(211)에 상기 핸드레일 고정편(22)의 관통홀(221)이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계단의 바닥에 직립되게 구비된 고정지주의 양측으로 가변지주가 맞대어져 직결나사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변지주가 고정지주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로 미세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변지주의 상단부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계단에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난간이 시공되어지는 과정에서 가변지주에 의하여 고정되는 일측의 핸드 레일과 타측의 핸드 레일의 중심이 용이하게 일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계단용 난간의 일측면 전체를 공장에서 난간측면세트(Side set of railings)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난간 시공에 따른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난간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을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지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에 있어 고정지주, 가변지주, 난간대 및 핸드레일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지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에 있어 고정지주, 가변지주, 난간대 및 핸드레일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지주(A)는 계단에 핸드 레일(R)을 갖는 난간이 시공되어지는 과정에서 일측의 핸드 레일(R)과 타측의 핸드 레일(R)의 중심이 용이하게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의 시작부분과 계단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난간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난간지주(A)는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에 맞대어지게 결합되는 가변지주(2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변지주(20)의 측면에는 난간대(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핸드 레일(R)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지주(10)는 계단의 바닥에 하부가 얹혀진 상태로 맞대어져 직립되게 구비되어 있고,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단의 바닥에 볼트(B)로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지주(10)는 볼트홀(11)이 형성된 지지편(111)의 상부에 중공형 지주부재(12)의 하부가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충분한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2)의 상부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미관을 돋보이도록 하는 지주캡(1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2)의 양측은 평평한 형태를 갖는 맞대기면부(121)가 수직된 형태를 가지며 일측의 맞대기면부(121)와 타측의 맞대기면부(121)가 서로 평행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변지주(20)의 외부 내측면이 서로 맞대어져 직결나사(Direct Screw; DS)로 결합됨으로서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변지주(20)의 상단부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후 즉, 일측의 핸드 레일(R)이 설치되는 부분과 타측의 핸드 레일(R)이 설치되는 높이가 일치되도록 한 후 직결나사(DS)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지주(20)는 상단에 핸드 레일(R)이 결합되는 가운데 측면에 다수개의 난간대(4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가변지주(20)가 맞대어지게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변지주(20)는 상단부에 암나사부(211)를 갖는 L자 브라켓(21)이 형성됨으로서 관통홀(221)을 갖는 핸드레일 고정편(22)이 볼트(B)에 의하여 상기 암나사부(211)에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핸드레일 고정편(22)은 상부에 핸드 레일(R)의 밑면이 얹혀져 나사못(S)으로 고정되는 과정에서 볼트(B)가 관통홀(221)을 통하여 암나사부(211)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임의 각도로 회동하여 핸드 레일(R)이 핸드레일 고정편(22)에 의하여 안정되게 지지 또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L자 브라켓(21)의 수직편(210) 상부에는 암나사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 고정편(22)의 일측에 관통홀(221)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L자 브라켓(21)의 암나사홀(211)에 상기 핸드레일 고정편(22)의 관통홀(221)이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편(21)은
Figure 112017043747243-pat00001
형태를 가지며,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서 핸드 레일(R)이 가변지주(20)의 외측 즉, 계단방향으로 더 돌출 또는 노출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간혹 핸드 레일(R)을 붙잡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가변지주(20)에 걸리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변지주(20)는 외측에 위치결정홀(201)이 형성되어 직결나사(DS)가 관통되게 삽입됨으로서 가변지주(20)가 고정지주(10)의 맞대기면부(12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직결나사(DS)에 의하여 고정지주(10)에 맞대어지게 결합되는 가변지주(20)는 상기 고정지주(10)에서 상,하 및 좌,우로 미세하게 이동가능하며, 가변지주(20)의 상단부에 구비된 L자 브라켓(21)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서 일측 핸드 레일(R)의 끝부분과 타측 핸드 레일(R)의 시작부분이 일치될 수 있다. 즉, 계단에 난간지주를 시공 또는 설치하는 과정에서 시공상의 오차로 인하여 계단의 기울기가 상이할 경우, 일측 핸드 레일(R)과 타측 핸드 레일(R)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어려우나 이때, 고정지주(10)에 맞대어는 가변지주(20)가 직결나사(DS)에 의하여 고정되기 이전에 가변지주(20)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즉, 상기 고정지주(10)의 맞대기면부(121)에 상기 가변지주(20)의 외부 내측면이 상, 하 및 좌, 우로 이동되어 임의 위치에 맞대어지게 하여 상기 가변지주(20)에 형성된 위치결정홀(201)에 2개 이상의 직결나사(DS)가 관통되어 상기 가변지주(20)가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나사결합되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L자 브라켓(21)이 핸드 레일(R)의 하부로 근접되도록 하거나, L자 브라켓(21)에 볼트(B)로 결합된 핸드 레일 고정편(22)이 핸드 레일(R)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변지주(20)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난간대(40)는 계단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낙하 또는 추락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난간대(40)는 난간부재(410)의 양측에 난간캡(420)이 끼워져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미관이 돋보일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난간부재(410)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밴드형 고정부재(430)가 나사못(S)으로 가변지주(20)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난간대(40)의 난간부재(410)는 중간에 별도의 보강지주(50)가 결합되어 난간부재(41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지주(50)는 하부가 지지브라켓(51)에 의하여 바닥에 결합되도록 할 경우, 더 한층 증가된 보강력이 제공됨으로서 난간부재(410) 사이의 상하부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더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계단용 난간지주(A)는 먼저, 계단의 시각부분의 모서리와 계단의 끝부분의 모서리의 바닥에 지주부재(12)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편(111)이 안착되도록 한 후 지지편(111)에 형성된 볼트홀(11)을 이용하여 볼트(B)에 의하여 바닥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볼트(B)는 앵커볼트가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일측 핸드레일(R)의 하부에 핸드레일 고정편(22)이 맞대어져 관통홀(221)을 통해 나사못(S)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핸드레일 고정편(22)이 결합된 가변지주(20)의 내측면이 지주부재(12)의 일측으로 형성된 맞대기면부(121)에 맞대어지도록 하고, 이어 일측의 핸드레일(R)과 계단의 바닥이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가변지주(20)를 이용하여 고정지주(10)에 직결나사(DS)로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타측의 핸드 레일(R) 하부에 동일한 과정을 통해 가변지주(20)가 구비되도록 한 후 가변지주(20)의 내측면이 지주부재(12)의 타측에 형성된 맞대기면부(121)에 맞대어지도록 한다.
다음, 일측 핸드 레일(R)의 중심에 대하여 타측 핸드 레일(R)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도4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주(1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가변지주(20)를 이동시키거나, 도5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주(10)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가변지주(20)를 이동시킴에 따라 타측 핸드 레일(R)의 중심이 변화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측 핸드 레일(R)의 중심에 타측 핸드 레일(R)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직결나사(DS)를 이용하여 타측의 가변지주(20)가 고정지주(10)의 타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 핸드 레일(R)과 타측 핸드 레일(R)의 중심이 일치되어 이어지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난간부재(410)의 양측단부에 밴드형 고정부재(430)가 감싼형태를 갖도록 한 후 나사못(S)을 이용하여 가변지주(2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가변지주(20)의 측면에 다수개의 난간대(40)가 결합된다. 이때, 난간대(40)의 난간부재(410) 중간에 보강지주(50)를 결합시켜 난간부재(41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강지주(50)의 하부가 지지브라켓(51)에 의하여 바닥에 결합되도록 할 경우, 더 한층 증가된 보강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계단용 난간이 현장에서 조립되어 시공되어지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상기 일측 및 타측의 고정지주(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계단용 난간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전체를 공장에서 제작한 난간측면세트(Side set of railings)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난간측면세트는 일측의 가변지주(20)와 타측의 가변지주(20)의 외측면에 난간대(40)가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구조를 말하며, 이 때 상기 난간대(40)를 구성하는 난간부재(410)에는 보강지주(50)가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의 가변지주(20) 상단부에는 핸드레일(R)까지 결합되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난간 시공에 따른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계단의 상부와 하부로 위치된 지주간 거리를 실측한 후 난간측면세트를 제작 조립하고, 이어 상기 고정지주에 상기 난간측면세트를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난간지주 B:볼트
R:핸드레일 DS:직결나사
10:고정지주 11:고정편
12:지주부재 13:지주캡
20:가변지주 21:L자 브라켓
22:핸드레일 고정편 40:난간대
50:보강지주 51:지지브라켓

Claims (7)

  1. 계단에 난간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계단의 시작부분과 계단의 끝부분에 구비된 계단용 난간지주(A)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A)는 바닥에 고정지주(10)의 하부가 맞대어져 직립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가변지주(20)가 맞대어지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고정지주(10)는 중공형 지주부재(12)로 구비되어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2)의 양측에 평평한 형태를 갖는 맞대기면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주(20)는 외측에 직결나사(DS)가 관통되어지도록 다수개의 위치결정홀(20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주(10)의 맞대기면부(121)에 상기 가변지주(20)의 외부 내측면이 상, 하 및 좌, 우로 이동되어 임의 위치에 맞대어지게 하여, 상기 가변지주(20)에 형성된 위치결정홀(201)에 2개 이상의 직결나사(DS)가 관통되어 상기 가변지주(20)가 상기 고정지주(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변지주(20)의 상단부에 L자 브라켓(21)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난간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10)는 볼트홀(111)이 형성된 지지편(11)의 상부에 중공형 지주부재(12)의 하부가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2)의 상부에 지주캡(13)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난간지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주(20)의 측면에 난간대(40)가 가로방향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난간지주.
  6. 삭제
  7. 삭제
KR1020170057351A 2017-05-08 2017-05-08 계단용 난간지주 KR10185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51A KR101852139B1 (ko) 2017-05-08 2017-05-08 계단용 난간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51A KR101852139B1 (ko) 2017-05-08 2017-05-08 계단용 난간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139B1 true KR101852139B1 (ko) 2018-04-25

Family

ID=6208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351A KR101852139B1 (ko) 2017-05-08 2017-05-08 계단용 난간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703A (ko) * 2020-03-31 2021-10-08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구조체
KR20230122925A (ko) * 2022-02-15 2023-08-22 주식회사 성신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71Y1 (ko) * 2002-07-19 2002-10-11 혜성금속주식회사 시공건물의 계단난간용 지주장치
JP4636924B2 (ja) * 2005-04-19 2011-02-23 積水樹脂株式会社 手摺支柱
KR101263171B1 (ko) * 2011-04-28 2013-05-10 김현구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71Y1 (ko) * 2002-07-19 2002-10-11 혜성금속주식회사 시공건물의 계단난간용 지주장치
JP4636924B2 (ja) * 2005-04-19 2011-02-23 積水樹脂株式会社 手摺支柱
KR101263171B1 (ko) * 2011-04-28 2013-05-10 김현구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703A (ko) * 2020-03-31 2021-10-08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구조체
KR102454852B1 (ko) * 2020-03-31 2022-10-14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KR20230122925A (ko) * 2022-02-15 2023-08-22 주식회사 성신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KR102654377B1 (ko) * 2022-02-15 2024-04-04 주식회사 성신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729Y1 (ko)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KR20110009067U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을 갖는 이동식 비계장치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20200053252A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1179916B1 (ko)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KR101570672B1 (ko) 난간대 각도 조절용 지주 체결구
KR101634503B1 (ko) 목교
KR102090329B1 (ko)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KR100918194B1 (ko) 건축구조물용 조립식 계단손잡이 시설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KR200378136Y1 (ko) 조립식 계단 난간
KR2012012198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KR102028013B1 (ko) 건축용 케이지장치
KR101036707B1 (ko)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GB2428729A (en) A scaffold stair unit
JP4986419B2 (ja) 仮設階段
KR101384290B1 (ko) 건축구조물에 결합되는 벤치 결합장치
KR101690504B1 (ko) 난간용 지주와 이를 이용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KR101127204B1 (ko) 교량 점검용 구조물
CN110056208B (zh) 一种快速安装可调的工具式临时楼梯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JPH07197616A (ja) 階段およびその組み立て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