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210B1 - 스러스트 베어링 - Google Patents

스러스트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210B1
KR101893210B1 KR1020137028431A KR20137028431A KR101893210B1 KR 101893210 B1 KR101893210 B1 KR 101893210B1 KR 1020137028431 A KR1020137028431 A KR 1020137028431A KR 20137028431 A KR20137028431 A KR 20137028431A KR 101893210 B1 KR101893210 B1 KR 10189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flange
claw
r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979A (ko
Inventor
하루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583Details of specific parts of races
    • F16C33/586Details of specific parts of races outside the space between the races, e.g. end faces or bore of inner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583Details of specific parts of races
    • F16C33/585Details of specific parts of races of raceways, e.g. ribs to guide the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 F16C19/30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consisting of rollers held in a c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588Races of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링의 플랜지에 걸림 결합 클로를 형성함으로써 유지기와의 일체화를 도모한 경우에 있어서, 제조공정에서 외측 링이 서로 얽히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외측 링(11)의 플랜지(15)에 내부 지름 쪽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클로(16)가 설치된 스러스트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클로(16)의 돌출량(h1)이, 가상의 외측 링(11a)의 플랜지 선단 가장자리의 높이(h2)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h1≤h2)로 설정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나의 외측 링(11)의 걸림 결합 클로(16)에 다른 외측 링의 플랜지가 얽히는 것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본 발명은, 스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궤도 링과 유지기를 비(非)분리 상태로 일체화한 스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이나 샤프트에 대한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 링(outer ring)과 유지기를 비분리 상태로 일체화한 스러스트 베어링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외측 링과 유지기의 일체화를 위해, 외측 링의 플랜지 선단부에 돌출편(Projecting piece)을 설치하고, 이것을 굽힘 가공에 의해 궤도 면 상으로 돌출하도록 굴곡시킴으로써 걸림 결합 클로(claw)를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된다(특허문헌 1). 도 29 내지 도 32는, 이러한 스러스트 베어링에 사용되는 외측 링(1)의 예이다.
상기 외측 링(1)에 있어서는, 외주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2)의 둘레 방향의 복수 부위에 있어서, 플랜지(2)의 선단부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돌출편에 대해 내부 지름 쪽으로 굽힘 가공을 함으로써, 전동(轉動) 면(3) 상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클로(4)를 설치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83339호
그러나 상기 외측 링(1)의 대량 생산 공정에 있어서 동종(同種)의 외측 링(1)이 다량으로 집합하는 부분(예컨대 반송공정, 조립공정, 연마공정 등)에 있어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외측 링(1)의 걸림 결합 클로(4)와 다른 동일 구조의 외측 링(1a)의 걸림 결합 클로(4a)가 서로 얽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저해된다.
또한,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결합 클로(4)와 다른 외측 링(1a)의 플랜지(2a)가 얽히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동일 구조의 외측 링이 다량으로 집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걸림 결합 클로 상호(相互) 간의 얽힘, 걸림 결합 클로와 플랜지의 얽힘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의 외측 링을 가진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지름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갖는 외측 링과, 소요(所要) 수의 롤러를 유지한 유지기의 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의 선단 가장자리에 내부 지름 쪽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클로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결합 클로에 의해 외측 링과 유지기가 비분리 상태로 일체화된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상기 외측 링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선을 가진 동일 구조의 가상의 외측 링이 상기 외측 링의 일정한 기준선과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며, 상기 외측 링의 상기 플랜지가 설치된 면 위에 상기 가상의 외측 링이 그 플랜지가 설치된 면이 상기 기준선 쪽을 향한 상태로 놓이며, 상기 양 궤도 링의 걸림 결합 클로와 플랜지 또는 플랜지 상호 간이 2점에서 걸림 결합한 한계(限界)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와 상기 가상의 외측 링의 플랜지와의 사이에, 제로(0) 이상의 지름방향 틈새(δ) 또는 축 방향의 틈새(φ)가 존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여기서, 「한계 걸림 결합 상태」란, 외측 링과 가상의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와 플랜지 또는 플랜지 상호 간이 걸림 결합한 상기 상태 중, 양자가 지름 방향으로 가장 접근한 상태를 말한다. 상기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에 대하여 가상의 외측 링의 플랜지가 걸림 결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얽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한계 걸림 결합 상태를 초과하면 외측 링과 가상의 외측 링은 분리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얽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계 걸림 결합 상태는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에 대해 가상의 외측 링의 플랜지가 가장 접근한 상태이기 때문에, 얽힐 가능성이 가장 높아지지만, 그 상태에 있어서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와 가상의 외측 링의 플랜지와의 사이에 제로(0) 이상의 지름 방향 틈새(δ) 또는 축 방향의 틈새(φ)가 존재하면, 걸림 결합 클로와 플랜지는 틈새(δ) 또는 틈새(φ)의 부분에서 분리 상태에 있기 때문에, 걸림 결합 상태에 있지 않아 얽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플랜지의 축 방향의 높이(H2)가, 상기 걸림 결합 클로의 축 방향의 내부 높이(H3)를 초과하는 높이(H2>H3)로 설정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1개의 걸림 결합 클로에 다른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가 얽히는 것, 즉 걸림 결합 클로끼리 얽히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궤도 링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궤도 링 상호 간의 얽힘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으로서의 궤도 링의 운반·반송이 용이해진다. 또, 그 후의 연마 등의 공정에 있어서도 작업성도 향상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1-X1 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외측 링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X2-X2 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X3-X3 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외측 링의 얽힘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5-X5 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외측 링의 다른 얽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6-X6 선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외측 링의 다른 얽힘 상태를 설명하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7-X7 선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14는 외측 링의 다른 얽힘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8-X8 선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의 X4-X4 선의 화살선도이다.
도 17은 걸림 결합 클로 상호 간의 비얽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외측 링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은 외측 링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외측 링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외측 링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스러스트 베어링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X9-X9 선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3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실시형태 3의 다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4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4의 다른 스러스트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종래예의 외측 링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X10-X10 선의 화살선도이다.
도 31은 걸림 결합 클로의 얽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2는 걸림 결합 클로와 플랜지의 얽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외측 링(11)과 내측 링(12), 이들의 사이에 개재(介在)된 소요 수의 롤러(13) 및 이들 롤러(13)를 둘레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지기(14)에 의해 구성된다. 외측 링(11)의 플랜지(15) 및 내측 링(12)의 내부 지름 플랜지(21)에 각각 설치된 걸림 결합 클로(16) 및 걸림 결합 클로(22)가 유지기(14)의 외주 가장자리 및 내주 가장자리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외측 링(11), 내측 링(12) 및 유지기(14)의 3개의 부재가 비분리 상태로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외측 링(11)의 걸림 결합 클로(16)는, 플랜지(15)의 선단 가장자리에 내부지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둘레방향 등배(等配) 위치의 여러 부위(도시된 경우에는 8곳)에 단속(斷續) 상태로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5)의 선단부 내부 지름면에 단차(段差; 18)가 설치되며, 그 단차(18) 분(分)만큼 얇아진 선단부(19)(도 4, 도 5 참조)까지가 플랜지(15)이다. 그 선단부(19)에 둘레방향 단속 위치에 원호(圓弧)형상의 돌출편을 설치하고, 그 돌출편의 부분에 굽힘 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걸림 결합 클로(16)가 형성된다.
걸림 결합 클로(16)의 돌출 형상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최대의 돌출 높이가 되고, 그 양측은 돌출 높이가 점차 감소하며, 양 단부에 있어서 제로(0)가 되는 원호형상을 이룬다. 걸림 결합 클로(16)의 전체 길이를 W1, 인접하는 걸림 결합 클로(16) 상호 간의 길이를 W2로 하면, 도시된 경우에는 W1>W2이지만, W1<W2인 경우나, W2가 제로(0) 또는 제로에 가까운 경우 등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부지름 쪽으로의 돌출 높이(h1)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즉,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측변의 중점(中點(M); 걸림 결합 클로(16)에서의 최대 돌출부)을 지나는 지름방향의 선(S)과, 플랜지(15)의 외주원(外周圓) 간의 교점(交點)을 N으로 한다. 교점(N)에 그은 접선을 기준선(T)으로 한다. 기준선(T)으로부터의 걸림 결합 클로(16)의 높이가 돌출 높이(h1)이다. 상기 돌출 높이(h1)는, 일정한 베어링 틈새(x) 및 플랜지(15)의 판 두께(y) 및 걸림 여유(z)의 합, 즉, h1 = x+y+z이다. 상기 걸림 여유(z)에 의해 유지기(14)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외측 링(11)에 대해서는, 그 제조공정에 있어서 다른 동일한 외측 링(11)과의 얽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 결합 클로(16)의 돌출 높이(h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준선(T)으로부터 높이(h2)에 있는 후술하는 가상의 외측 링(11a, 도 7 참조)의 플랜지(15a)의 선단 위치(걸림 결합선(L)으로 나타냄)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 즉 h1≤h2의 관계(이하, '제 1의 비얽힘 조건'이라 함)가 있도록 설정된다.
이하, 걸림 결합 클로(16)의 길이(W1)와, 인접하는 걸림 결합 클로(16) 상호 간의 길이(W2)의 관계에 대하여, 경우별로 상기 제 1의 비얽힘 조건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W1<W2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링(11)과 동일한 구조인 다른 외측 링(11a; 외측 링(11)과 구별하기 위해 이것을 '가상의 외측 링(11a)'이라 부름. 가상의 외측 링(11a)의 각 부의 부호에도 이것에 대응된 외측 링(11)의 각 부의 부호에 'a'를 붙여 나타냄)을 이용하여, 외측 링(11)의 플랜지(15)를 설치한 쪽의 면 위에, 가상의 외측 링(11a)을 축선 방향이 직교하고, 또한 플랜지(15a)를 설치한 면이 상기 기준선(T) 쪽을 향하는 자세로 놓는다. 그 자세를 유지한 채로 가상의 외측 링(11a)을 기준선(T, 도 6 참조)과 평행하게 그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다(도 7, 도 8의 백색 화살표 A 참조).
이때, 가상의 외측 링(11a)의 외주 면을 외측 링(11)의 전동면(20)에 접촉시키면서 지름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면, 외측 링(11)의 플랜지(15)에 대하여 가상의 외측 링(11a)의 플랜지(15a)가 2점(a1, b1)에서 걸림 결합한다(도 7, 도 8의 실선 상태). 여기서, 가상의 외측 링(11a)을 전동면(2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비걸림 결합 상태가 되기 때문에, 지름 방향으로 더 평행 이동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외측 링(11)의 걸림 결합 클로(16)에 대하여 가상의 외측 링(11a)의 플랜지(15a)가 지름방향으로 한층 접근했을 때, 그 이상 접근하면 플랜지(15a)가 걸림 결합 클로(16)의 단면(端面)에 닿거나, 그 위로 올라가 비걸림 결합 상태가 되는 한계점에 도달한다. 그때의 가상의 외측 링(11a)을 도 7 및 도 8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상기 2점의 위치를 a2, b2로 나타낸다. 이러한 한계점에 도달한 걸림 결합 상태를 한계 걸림 결합 상태라 부른다.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는, 외측 링(11)과 가상의 외측 링(11a)이 가장 얽히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한계 걸림 결합 상태를 초과하면, 가상의 외측 링(11a)은 외측 링(11)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미 얽힘은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얽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기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상기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점(a2, b2)을 연결하는 직선을 걸림 결합선(L)으로 한다(도 6, 도 7 참조). 걸림 결합선(L)은 플랜지(15a)의 상단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선으로서, 상기 걸림 결합선(L)의 상기 기준선(T)으로부터의 높이(h2)를 걸림 결합선(L)의 높이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결합 클로(16)의 돌출 높이(h1)가, 걸림 결합선(L)의 높이(h2)와 같거나 작을 경우(h1≤h2)에는, 걸림 결합 클로(16)가 가상의 외측 링(11a; 실제로는 동일 구조인 다른 외측 링(11))의 플랜지(15a)에는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얽히는 일은 일어날 수 없다. h1≤h2의 관계를 '제 1의 비얽힘 조건'이라 부른다. h1≤h2의 관계는, 외측 링(11)의 걸림 결합 클로(16)와 가상의 외측 링(11a)의 플랜지(15a)의 상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외측 링(11)의 지름 방향 틈새(δ, 도 8 참조)의 크기가 제로(0) 이상임을 의미한다.
요컨대, 지름방향으로 대면하여 접촉한 상태(틈새가 제로인 상태), 또는 지름방향으로 분리된 상태(틈새가 유한치(有限値)임)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클로(16)와 플랜지(15a)는 걸림 결합할 수 없으며, 따라서 얽히는 일도 없다.
h1>h2이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걸림 결합 클로(16)와 플랜지(15a)는 오버 랩되어, 지름방향 틈새(δ)가 마이너스(-δ)가 되기 때문에, 양자는 걸림 결합 상태에 있으므로 얽히기 쉽다.
또한, 제 1의 비얽힘 조건은, 걸림 결합 클로(16)의 돌출 높이(h1)에 관련되며, 돌출 형상에는 직접 관련되지 않지만, 결함 발생의 곤란성, 만일 얽혔을 경우의 분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걸림 결합 클로(16)의 돌출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호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W1>W2의 경우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외측 링(11)과 가상의 외측 링(11a)을 조합하여, 가상의 외측 링(11a)을 기준선(T)과 평행하게 그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다(도 11, 도 12의 백색 화살표(A) 참조).
이때, 가상의 외측 링(11a)의 외주면을 외측 링(11)의 전동면(20)에 접촉시키면서 평행 이동시키면, 어느 점에서 외측 링(11)의 플랜지(15)에 대해 가상의 외측 링(11a)의 플랜지(15a)가 2점(a1, b1)에서 걸림결합한다(도 11 및 도 12의 가상의 외측 링(11a)의 실선 상태 참조). 또, 가상의 외측 링(11a)을 계속해서 평행 이동시키려면, 가상의 외측 링(11a)의 외주면을 외측 링(11)의 전동면(20)으로부터 떨어뜨릴 필요가 있다.
가상의 외측 링(11a)을 외측 링(11)의 전동면(20)으로부터 떨어뜨려 평행 이동시켰을 경우(도 12의 2점 쇄선, 도 13 참조), 가상의 외측 링(11a)의 인접하는 2개의 걸림 결합 클로(16a)가 점(a3, b3)에 있어서 외측 링(11)의 걸림 결합 클로(16)와 걸림 결합하여 한계 걸림 결합 상태가 된 것으로 한다.
이때, h1>h2이어도 걸림 결합 클로(16)와의 간섭이며, 도 12와 같이, 걸림 결합 클로(16)의 최대 돌출부(걸림 결합 클로(16)의 중점(中點))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클로(16)와 플랜지(15a)의 사이에 축 방향 틈새(φ)가 생기기 때문에, 외측 링(11)은 가상의 외측 링(11a)에 걸림 결합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얽힘도 발생할 수 없다.
만일, 상기 한계 걸림 결합 상태로부터 상기 틈새(φ)가 제로가 되는 위치까지 평행 이동시켜, 걸림 결합 클로(16) 상의 2점(a4, b4)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플랜지(15a)가 걸림 결합 클로(16)의 아래로 깊이 들어갈 수는 없다(도 14, 도 15 참조).
따라서, h1>h2라 하더라도, 상기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걸림 결합 클로(16)와 플랜지(15a)의 사이에 축 방향 틈새(φ)가 존재할 때(이하, '제 2의 비얽힘 조건'이라 함)에는, 얽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려면, 걸림 결합 클로(16)를 곡률(曲率)이 작은 원호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 결합 클로(16)의 외측 링(1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내부 높이(H3)는, 플랜지(15)의 외측 링(1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H2)보다 낮다. 즉, 양자의 높이에는 H2>H3의 관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관계가 있으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외측 링(11)의 걸림 결합 클로(16)에 대하여, 다른 쪽의 외측 링(11a)의 걸림 결합 클로(16a)가 접근하여도, 서로 플랜지(15, 15a)가 맞닿음에 따라, 걸림 결합 클로(16, 16a)가 서로 내측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 이 때문에, 걸림 결합 클로(16, 16a) 상호 간의 얽힘이 방지된다. H2>H3을 '제 3의 비얽힘 조건'이라 부른다.
다음으로, 외측 링(11)의 그 밖의 형상, 특히, 걸림 결합 클로(16)의 형상의 다른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8은,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측변이 직선이고, 인접하는 다른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측변과 연속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팔각형을 이루고 있다. 걸림 결합 클로(16)의 상호 간의 상술한 거리(W2)는 제로(0)이다. 각 정점(頂点)에 있어서도 돌출량이 남아 있으며, 걸림 결합 클로(16)의 강성(剛性)은 비교적 높다. 도 19는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측변과 유지기(14)가 걸림 여유(z)를 가지고 축 방향으로 걸림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측변이 팔각형을 이루고 있으나, 정점에 있어서는 돌출량이 제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상기한 경우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정점에서는, 약간이지만 플랜지(15)의 일부가 노출된다.
도 21의 경우에는, 상기 도 18의 경우에 있어서, 각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측변의 형상을 외주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형 원호선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의 곡률 반경(半徑; R)과, 외측 링(11)의 반경(r) 및 걸림 결합 클로(16)의 돌출량(h1)의 관계는, R>r-h1의 관계로 설정된다. 이는, 만일, R이 상기 관계식의 우변(右邊)보다 작은 것으로 하면, 다각형의 정점 부근에서의 돌출량이 커져, 유지기(14)의 조립이 어려워진다는 점에 따른 것이다.
이상의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제 1의 비얽힘 조건(h1≤h2), 제 3의 비얽힘 조건(H2>H3)을 만족하는 한, 동일한 외측 링(11) 상호 간이 얽히는 일은 없다. 또, 이러한 걸림 결합 클로(16)는, 도 18과 도 21의 경우에는 플랜지(15)가 노출되는 일이 없으며, 도 20의 경우에는, 노출된다고 하여도 약간이기 때문에, 상기 제 1의 비얽힘 조건을 적용할 것까지도 없이, 동일 형상의 다른 외측 링(11)과 서로 읽히는 일은 없다.
도 22의 경우에는, 걸림 결합 클로(16)의 내측변의 형상이, 내부 지름 쪽으로 부푼 볼록형 원호선으로 되어 있으며, 걸림 결합 클로(16)의 상호 간에 플랜지(15)가 비교적 길게 노출되어 있다. 즉, 걸림 결합 클로(16)가 단속(斷續)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얽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상기 제 1의 비얽힘 조건을 만족하는 한, 얽히는 일은 없다.
또, 도 18 내지 도 22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 3의 비얽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상 기술한 스러스트 베어링은, 예컨대, 자동차용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이나 컴프레서 등에서 이용된다.
(실시형태 2)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실시형태 2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축의 편심(偏心) 회전이 있었을 경우에 있어서 유지기(14)가 궤도 링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유지기와 궤도 링의 지름 방향의 베어링 내부 틈새를 편심량의 2배보다 크게 설정한 스러스트 베어링에 적용할 수 있다.
편심량이 비교적 큰 베어링부에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할 경우에는, 편심량의 2배보다 크게 돌출하는 걸림 결합 클로를 스테이킹(staking)에 의해 형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굽힘 가공에 의해 걸림 결합 클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은 특히 유효하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 2와 같이 유지기(14)와 외측 링(11)의 플랜지(15)의 사이에 편심량의 2배보다 큰 베어링 내부 틈새(x)가 형성되어, 축의 편심 회전에 의해서도 플랜지(15)와의 접촉이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상의 베어링 내부 틈새(x)는 지름방향의 양측으로 반씩 나눈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실시형태 3)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실시형태 3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술한 실시형태 1의 스러스트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외측 링(11), 내측 링(12) 및 유지기(14)의 3개의 부재가 비분리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유지기(14)의 단면 형상이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다르게 되어 있다. 외측 링(11)의 구조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제조공정에서 얽히는 일은 없다. 내측 링(12)은 내부 지름 플랜지(21)를 가지며, 그 내부 지름 플랜지(21)에 설치된 걸림 결합 클로(22)에 의해 유지기(14)와의 일체화를 도모하고 있다.
(실시형태 4)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실시형태 4의 스러스트 베어링은, 외측 링(11)과, 롤러(13)를 유지한 유지기(14)로 이루어지며, 외측 링(11)의 걸림 결합 클로(16)에 의해 유지기(14)를 걸림 결합한 2개의 부재가 비분리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경우의 외측 링(11)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제조공정에서 얽히는 일은 없다.
11, 11a; 외측 링
12; 내측 링
13; 롤러
14; 유지기
15, 15a; 플랜지
16, 16a; 걸림 결합 클로(claw)
18; 단차
19; 선단부
20; 전동(轉動)면
21; 내부 지름 플랜지
22; 걸림 결합 클로

Claims (9)

  1. 외부 지름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갖는 외측 링과, 소요(所要) 수의 롤러를 유지한 유지기의 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의 선단 가장자리에 내부 지름 쪽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클로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결합 클로에 의해 외측 링과 유지기가 비분리 상태로 일체화된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상기 외측 링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선을 가진 동일 구조의 가상의 외측 링이 상기 외측 링의 일정한 기준선과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며, 상기 외측 링의 상기 플랜지가 설치된 면 위에 상기 가상의 외측 링이 그 플랜지가 설치된 면이 상기 기준선 쪽을 향한 상태로 놓이며, 상기 외측 링과 상기 가상의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와 플랜지 또는 플랜지 상호 간이 2점에서 걸림 결합한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와 상기 가상의 외측 링의 플랜지와의 사이에, 제로(0) 이상의 지름방향 틈새(δ) 또는 축 방향의 틈새(φ)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의 걸림 결합 클로와 가상의 외측 링의 플랜지와의 사이의 지름방향 틈새(δ)는, 상기 걸림 결합 클로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돌출량(h1)이, 상기 한계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가상의 외측 링의 플랜지 선단 가장자리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h2)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h1≤h2)로 설정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축 방향의 높이(H2)가, 상기 걸림 결합 클로의 축 방향의 내부 높이(H3)를 초과하는 높이(H2>H3)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클로의 둘레방향 길이(W1)와, 걸림 결합 클로 상호 간의 둘레방향 길이(W2)의 관계가, W1>W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와 플랜지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베어링 내부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 결합 클로가 상기 베어링 내부 틈새보다 크게 내부 지름 쪽으로 돌출되도록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클로가 둘레방향으로 단속(斷續)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클로의 내측변이 서로 연속되며, 그 내측변에 의해 다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클로의 내측변의 돌출 형상이 오목형 원호형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원호형상의 곡률 반경(R)과, 상기 외측 링의 반경(r)과 상기 돌출량(h1)이 R>r-h1의 관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유지한 유지기가 상기 외측 링과 내측 링의 사이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내측 링의 내주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에 상기 유지기에 대한 걸림 결합 클로가 설치되며, 외측 링, 유지기, 내측 링의 3개의 부재가 비분리 상태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KR1020137028431A 2011-04-15 2012-04-12 스러스트 베어링 KR101893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1112 2011-04-15
JPJP-P-2011-091112 2011-04-15
JPJP-P-2012-059950 2012-03-16
JP2012059950A JP5864317B2 (ja) 2011-04-15 2012-03-16 スラスト軸受
PCT/JP2012/060018 WO2012141247A1 (ja) 2011-04-15 2012-04-12 スラスト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979A KR20140020979A (ko) 2014-02-19
KR101893210B1 true KR101893210B1 (ko) 2018-08-29

Family

ID=4700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431A KR101893210B1 (ko) 2011-04-15 2012-04-12 스러스트 베어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11890B2 (ko)
EP (1) EP2698553B1 (ko)
JP (1) JP5864317B2 (ko)
KR (1) KR101893210B1 (ko)
CN (1) CN103459870B (ko)
WO (1) WO2012141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3678B2 (ja) * 2014-07-28 2019-12-0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ラスト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43714A (ja) * 2019-03-05 2020-09-1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及びその組立て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281A1 (en) 2002-03-04 2003-09-04 Norio Fujioka Thrust bearing
US20100247020A1 (en) 2007-10-22 2010-09-30 Rino Fukami Thrust roller bear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285A (en) * 1976-04-12 1977-08-16 Ina Bearing Company, Inc. Thrust bearing
US4883374A (en) * 1988-05-03 1989-11-28 The Torrington Company Thrust bearing assembly
US5114249A (en) * 1989-10-26 1992-05-19 Ina Walzlager Schaeffler Kg Axial rolling bearing
DE9201121U1 (de) * 1992-01-31 1992-04-09 Ina Wae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Axial-Lagereinheit
JP2003083339A (ja) * 2001-09-07 2003-03-19 Ntn Corp スラスト軸受
US7104699B2 (en) * 2001-09-28 2006-09-12 Timken Us Corporation Thrust bea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7247878A (ja) * 2006-03-20 2007-09-27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およびスラストころ軸受用軌道輪の製造方法
JP2008039031A (ja) * 2006-08-04 2008-02-21 Nsk Ltd スラストころ軸受
WO2008090703A1 (ja) * 2007-01-24 2008-07-31 Ntn Corporation スラストころ軸受およびトルクコンバータ
JP5569590B2 (ja) * 2011-02-02 2014-08-13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13079718A (ja) * 2011-09-20 2013-05-02 Nsk Ltd レース付スラストころ軸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281A1 (en) 2002-03-04 2003-09-04 Norio Fujioka Thrust bearing
US20100247020A1 (en) 2007-10-22 2010-09-30 Rino Fukami Thrust roller be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64317B2 (ja) 2016-02-17
EP2698553A4 (en) 2014-10-29
US9611890B2 (en) 2017-04-04
CN103459870A (zh) 2013-12-18
EP2698553B1 (en) 2018-07-04
KR20140020979A (ko) 2014-02-19
US20140072256A1 (en) 2014-03-13
CN103459870B (zh) 2017-05-24
WO2012141247A1 (ja) 2012-10-18
JP2012229799A (ja) 2012-11-22
EP2698553A1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05353A1 (ja) 円錐ころアッセンブリおよび円錐ころ軸受
JP5175139B2 (ja) 二輪車スタータ用の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EP2103825A1 (en) Retainer for thrust roller bearing and thrust roller bearing
JP2011085219A (ja) 転がり軸受
JP6613678B2 (ja) スラスト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93210B1 (ko) 스러스트 베어링
JP6079308B2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用予備保持器
US8337092B2 (en) Retainer-equipped roller
JP2007232114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7064428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EP2123925A1 (en) Thrust roller bearing
JP2009019701A (ja) 分割型針状ころ軸受
JP5154084B2 (ja) スラストころ軸受および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6258262A (ja) 複列転がり軸受
JP2005172037A (ja) ころ軸受
JP2012247039A (ja) スラストニードル軸受
JP2010053885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8232280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8281036A (ja) 円すいころ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08214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7046645A (ja) スラストころ軸受およびトルクコンバータ
JP4563885B2 (ja) 針状ころ軸受
JP5312408B2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9168104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14005919A (ja) スラスト軸受の保持器、保持器付きころ、およびスラスト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