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75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75B1
KR101891475B1 KR1020120001860A KR20120001860A KR101891475B1 KR 101891475 B1 KR101891475 B1 KR 101891475B1 KR 1020120001860 A KR1020120001860 A KR 1020120001860A KR 20120001860 A KR20120001860 A KR 20120001860A KR 101891475 B1 KR101891475 B1 KR 10189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nput
display device
imag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956A (ko
Inventor
이동헌
권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475B1/ko
Priority to EP13150176.9A priority patent/EP2613550B1/en
Priority to JP2013000128A priority patent/JP6140450B2/ja
Priority to CN201310002317.4A priority patent/CN103200455B/zh
Priority to US13/735,209 priority patent/US9753561B2/en
Publication of KR2013008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입력장치로부터 버튼 조작을 통한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버튼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입력장치로부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설정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PUT APPARATUS,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의 표시 형태를 제어하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공하는 영상에 대한 처리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해당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외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바, 후자의 예시로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있다.
여기서, 입력장치의 사용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입력부를 가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입력부는 사용자에게 의해 가압 또는 토글(toggle)되는 복수의 키(key)/버튼(button)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버튼을 조작하면, 입력장치는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버튼 조작을 통한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현재 설정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 상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상태를 전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조작되는 동안에 상기 제1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입력은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버튼의 조작을 통한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현재 설정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 상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상태를 전환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상태를 전환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조작되는 동안에 상기 제1아이템의 표시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입력은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라서 제1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1입력에 이어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현재 설정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상기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와;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또는 상기 터치패드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기 설정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1입력에 따라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제1입력에 이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에 따라서 상기 현재 설정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입력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채널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입력장치의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1유아이 영상의 예시도,
도 5는 도 4와 같이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의 터치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2유아이 영상의 예시도,
도 6은 도 5와 같이 제2유아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의 드래그에 따라서 아이템 선택이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입력장치의 버튼이 토글됨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1유아이 영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
도 8은 도 7과 같이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재차 토글한 경우에 제1유아이 영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도 8과 같이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터치한 경우에 표시되는 제2유아이 영상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data)/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는 입력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 가능한 TV로 구현되며, 입력장치(20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구현 예시와 상이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컴퓨터본체(미도시)에 접속된 모니터이며, 입력장치(200)가 해당 컴퓨터본체(미도시)와 통신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외부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 또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입력장치(200)는 이러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사용자 조작이 수행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부(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 22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 또는 토글(toggle) 조작되는 버튼(210)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패드(touch-pad)(220)를 포함한다.
입력장치(200)는 버튼(210) 또는 터치패드(2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를 생성하며, 이 생성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입력장치(200)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14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210) 및 터치패드(220)를 포함하는 입력부(210, 22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통신부(140)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230)와, 입력장치(2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유선/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서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로부터의 영상데이터 패킷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제1통신부(14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제1제어부(15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통신부(140)는 입력장치(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일방향 통신 예시에 관해서만 설명하나, 제1통신부(140)는 제1제어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입력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통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구현시키기 위해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규격을 따른다.
제1제어부(150)는 제1통신부(140)에 수신되는 커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50)는 제1통신부(14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커맨드가 수신되면, 이 커맨드에 대응하여 영상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50) 및 영상처리부(12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표현하나, 제어부(150) 및 영상처리부(120)는 하나의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입력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버튼(210)은 입력장치(200) 외측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버튼(21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제어부(240)에 대해 대응 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의하여 제2제어부(240)가 버튼(210)의 가압 또는 토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버튼(210)은 그 구현 예시가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기계적 또는 전자적 구조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드(220)는 입력장치(200) 외측에 사용자에 의해 터치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터치패드(220)는 자체 판면 상의 소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과, 터치 이후에 소정 방향 및 거리로 진행된 사용자의 드래그(drag) 동작 등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 형태에 따라서, 제2제어부(240)에 대해 대응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대응 정보는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 위치의 좌표나,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는 이동 방향 및 이동량 정보 등을 포함한다.
터치패드(220)는 판면 상을 터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가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식이나, 또는 전하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2통신부(230)는 제2제어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 또는 커맨드를 제1통신부(14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제2통신부(230)는 제1통신부(140)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마련된다. 제2통신부(230)는 제1통신부(140)에 대한 일방향 송신 뿐 아니라, 제1통신부(140)와의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제어부(240)는 버튼(210) 또는 터치패드(22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해당 버튼(210) 또는 터치패드(220)를 통한 입력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2제어부(240)는 생성한 제어신호를 제2통신부(230)에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해당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영상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채널 선택, 또는 영상표시 모드와 같은 다양한 동작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기능에 대한 유아이(UI, user interface)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아이 영상은 해당 기능의 설정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며, 유아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입력장치(20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 해당 기능의 설정상태를 변경 적용한다.
여기서, 아이템은 유아이 영상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며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통해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오브젝트(object)로서, 각 아이템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서비스 등에 관련된 각각의 설정 상태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사용자가 유아이 영상 내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을 결정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재 상태로부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설정 상태로 이행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아이 영상이 방송 채널 리스트인 경우, 유아이 영상 내의 각 아이템은 유효 방송 채널 번호에 각각 대응한다. 사용자가 방송 채널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 번호의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유아이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입력장치(200)의 버튼(210)과 터치패드(2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구분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버튼(21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정 기능이 호출되면 해당 기능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터치패드(220)를 사용하여 해당 영상 내에서 예를 들면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버튼(210)과 터치패드(220) 사이의 연계 조작이 없으므로 터치패드(220)의 활용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적 또는 기계적 구성인 버튼(210)의 특성과, 사용자가 표면 상을 문질러 이동하는 등의 드래그 동작이 가능한 터치패드(220)의 특성을 조합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장치(200)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동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200)에서 소정의 물리적인 버튼(210)을 누르면, 해당 버튼(210)에 의해 동작되는 기능은 간략(brief) 동작과 풀(full) 동작으로 구성되며, 해당 기능은 영상 또는 컨텐츠를 탐색하거나 또는 설정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튼(210)이 눌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간략한 비주얼 사용자 인터페이스(visual user interface) 요소, 즉 유아이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터치할 경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보다 확장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이고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버튼(210)의 조작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내에서 하나의 아이템만 표시되며 버튼(210)의 토글에 따라서 이전 또는 다음 아이템으로만 이동 가능하다면, 터치패드(220)를 터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내에서 전체 아이템들이 표시된다.
또는, 하나의 버튼(210)을 반복적으로 눌러 토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인 기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터치파면 토글되는 전체 값을 표시하여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포커스 또는 커서를 이동시켜 원하는 값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패드(220)를 드래그하여 해당 요소를 스크롤하거나 또는 값을 변경하며, 또는 탭 동작을 통해 아이템이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10)을 누르는 동작을 소극적인 조작으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터치 또는 드래그하는 동작을 적극적인 조작으로 구분하면, 사용자의 동기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소극적인 조작의 단순한 조작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기 수준에 맞게 단순하고 간략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반면, 사용자의 동기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탐색 또는 설정하고자 하는 상태인 바,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소 복잡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동작 구성을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의 버튼(210)이 눌리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게 마련된 간략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표시하고, 입력장치(200)의 터치패드(220)가 터치되면 상기 표시된 간략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확장시켜 표시한다. 여기서, 확장된 인터페이스 요소는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이용하여 제어 또는 조정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간략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확장되는 동작의 조건에 있어서, 버튼(210) 입력 후 디스플레이부(130)에 간략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표시된 상태에 한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200)는 두 개의 페어(pair)를 이루는 버튼(210), 예를 들면 사방향 커서 키 중에서 상측이동 키 및 하측이동 키, 또는 좌측이동 키 및 우측이동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페어를 이루는 버튼(210)을 눌러 이전 또는 다음 컨텐츠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해당 버튼(210)이 눌리면 컨텐츠 전환과 동시에 컨텐츠와 연관된 그래픽 요소를 표시한 후, 터치패드(220)가 터치되면 확장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여 컨텐츠를 탐색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소정 값을 증감시키도록 두 개의 페어를 이루는 버튼(210)이 눌리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설정된 값이 표시된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패드(220)가 조작되면 소정의 확장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값을 조정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동일한 버튼(210)을 반복적으로 눌러 값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에서, 해당 버튼(210)이 눌리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정된 현재 값을 표현하는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패드(220)가 터치되면 전체 값의 목록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이용하여 값을 변경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버튼(210) 조작에 의한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버튼(21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재 설정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을 표시하고,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입력장치(200)로부터 터치패드(220)를 통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한 현재 설정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아이템을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의 버튼(210)에 의한 기 설정된 제1입력이 수행되면 제1유아이 영상을 표시하고,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입력장치(200)의 터치패드(220)를 통한 기 설정된 제2입력이 수행되면 제1유아이 영상보다 확장된 기능의 제2유아이 영상을 전환 표시한다.
여기서, 제1유아이 영상은 제1아이템을 포함하고, 제2유아이 영상은 제1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을 포함한다. 바꾸어 설명하면, 제2유아이 영상이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제1유아이 영상이 이들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일부를 포함한다고 할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버튼(210)의 조작에 의한 입력이 수행되면 제1유아이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220)의 조작에 의한 입력이 수행되면 현재 표시중인 제1유아이 영상에서 제2유아이 영상으로 전환 표시한다.
제1유아이 영상은 제2유아이 영상에 포함되는 아이템 중에서 일부 아이템만을 포함하고, 제1유아이 영상에 포함되는 아이템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재 설정 상태에 대응한다. 이로써, 제2유아이 영상은 제1유아이 영상에 비해 기능 상 확장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로써, 버튼(210) 및 터치패드(22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방송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입력장치(200)의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방송채널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소정 제1채널의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장치(200)의 버튼(210)이 조작되면(31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채널인 제1채널의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유아이 영상을 표시한다(410). 본 유아이 영상은 앞서 설명한 제1유아이 영상에 해당한다.
버튼(210)이 조작되는 동안, 즉 사용자가 버튼(210)을 계속 가압하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채널의 채널번호 표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버튼(210)이 조작되는 동안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1채널의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유아이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터치패드(220)가 터치되면(32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채널과 함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표시 가능한 유효 채널번호들을 추가 확장시킨 유아이 영상을 표시한다(420). 본 유아이 영상은 앞서 설명한 제2유아이 영상에 해당하며, 제2유아이 영상의 각 유효 채널번호들은 앞서 설명한 아이템에 해당한다.
즉, 버튼(210)이 조작됨에 따라서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되고,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패드(220)가 터치됨에 따라서 제1유아이 영상으로부터 제2유아이 영상이 전환 표시된다.
제2유아이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가 터치패드(220) 상을 드래그하면(33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드래그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서 채널번호의 선택을 전환한다(430).
소정 채널번호가 전환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 상을 탭(tap)하면(34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전환 선택된 채널번호를 적용하여, 해당 채널번호의 영상을 표시한다(440). 여기서, 탭 동작은 사용자가 터치패드(220) 상을 일단 터치했다가 릴리즈(release)하는 동작을 지칭한다.
이와 같이, 입력장치(200)를 통한 버튼(210) 및 터치패드(220)의 동작 연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상에 제1유아이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유아이 영상의 확장 인터페이스인 제2유아이 영상으로 전환 표시가 가능하다.
이하, 입력장치(200)의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의 예시에 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입력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은 앞선 도 3의 예시에 따른다.
도 4는 입력장치(200)의 버튼(210)이 가압 시 표시되는 제1유아이 영상(520)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CH6의 영상(510)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210)을 가압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510)의 채널번호인 CH6을 나타내는 제1유아이 영상(520)을 표시한다.
도 5는 제1유아이 영상(520)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220)의 터치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2유아이 영상(530)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아이 영상(520)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터치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아이템인 CH6에 대해, 유효 채널번호들의 아이템인 CH2, CH3, CH4, CH5, CH7, CH8, CH9를 추가 확장시킴으로써 제2유아이 영상(530)을 전환 표시한다.
제2유아이 영상(530)이 포함하는 복수 아이템인 CH2, CH3, CH4, CH5, CH6, CH7, CH8, CH9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표시 영상(510)에 대응하는 채널번호의 아이템인 CH6을 선택 상태로 표시한다. 본 선택 상태는 아이템을 하이라이트시키거나, 커서로 지시하거나, 해당 아이템의 크기를 차별화하여 표시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제2유아이 영상(530)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220)의 드래그에 따라서 아이템 선택이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아이 영상(5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 상의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선택 상태인 아이템 CH6을 기준으로 각 아이템들의 스크롤 이동을 수행한다(540). 이러한 스크롤 이동에 따라서, 본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 아이템 CH4, CH5, CH6, CH7, CH8, CH9, CH10, CH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선택 상태가 전환된다. 본 도면에 따르면, 제2유아이 영상(530)에서 아이템의 선택 상태가 CH6에서 CH8로 전환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의 탭 동작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 선택 상태인 아이템 CH8의 선택이 결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CH8의 영상(550)을 전환 표시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버튼(210)의 종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입력장치(200) 상에 설치되는 버튼(210)의 특성 또는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버튼(210)은 토글 동작에 의해 커서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상하 이동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유아이 영상(520, 도 4 참조)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입력장치(200)는 제1유아이 영상의 표시를 위한 별도의 핫키(hot-key)가 지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채널번호의 변경방법을 예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다양한 변경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제1유아이 영상(620)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소정 영상(610)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버튼(210)을 토글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영상(610)의 표시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1유아이 영상(620)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영상의 표시 모드가 스포츠(sports), 영화(movie), 다이나믹(dynamic), 스탠다드(standard)의 네 가지로 분류되고, 현재 표시 모드가 다이나믹 모드라고 하면, 제1유아이 영상(620)은 다이나믹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만을 포함한다.
도 8은 도 7과 같이 제1유아이 영상(6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210)을 다시 토글한 경우에 제1유아이 영상(630)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제1유아이 영상(620, 도 7 참조)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210)을 다시 토글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토글 동작에 따라서 제1유아이 영상(630)을 다이나믹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 예를 들면 스탠다드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으로 전환되도록 표시한다. 즉, 버튼(210)의 토글 동작에 따라서 제1유아이 영상(630)에 포함되는 아이템이 전환될 수 있다.
도 9는 제1유아이 영상(6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터치한 경우에 표시되는 제2유아이 영상(640)의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제1유아이 영상(620) 또는 도 8의 제1유아이 영상(6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터치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복수의 영상 표시 모드, 예를 들면 스포츠, 영화, 다이나믹, 스탠다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2유아이 영상(640)을 표시한다.
제2유아이 영상(64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20)를 상하로 드래그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상태가 전환되게 표시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1통신부
150 : 제1제어부
200 : 입력장치
210 : 버튼
220 : 터치패드
230 : 제2통신부
240 : 제2제어부

Claims (1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처리하고, 선택 가능한 복수의 아이템에 관한 유아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하는 영상처리부와;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만 포함하는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제1아이템이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현재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을 포함하는 목록으로 변경 확장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제1아이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하나의 아이템으로 변경된 여전히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 상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상태를 전환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조작되는 동안에 상기 제1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은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선택 가능한 복수의 아이템에 관한 유아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만 포함하는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제1아이템이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현재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을 포함하는 목록으로 변경 확장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제1아이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하나의 아이템으로 변경된 여전히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여전히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 상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상태를 전환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상태를 전환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템만 포함하는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조작되는 동안에 상기 제1아이템의 표시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은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라서 제1입력이 수행되면 유아이 영상이 복수의 아이템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만 포함하는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입력에 이어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제1아이템이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현재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을 포함하는 목록으로 변경 확장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상기 제2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버튼 및 터치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또는 상기 터치패드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기 설정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1입력에 따라서 유아이 영상이 복수의 아이템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설정 상태와 관련된 제1아이템만 포함하는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간략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입력에 이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제2입력에 따라서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제1아이템이 상기 제1아이템 및 상기 현재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아이템을 포함하는 목록으로 변경 확장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요소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20001860A 2012-01-06 2012-01-0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89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60A KR101891475B1 (ko) 2012-01-06 2012-01-0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EP13150176.9A EP2613550B1 (en) 2012-01-06 2013-01-03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JP2013000128A JP6140450B2 (ja) 2012-01-06 2013-01-04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CN201310002317.4A CN103200455B (zh) 2012-01-06 2013-01-05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输入装置和显示***
US13/735,209 US9753561B2 (en) 2012-01-06 2013-01-07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nput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60A KR101891475B1 (ko) 2012-01-06 2012-01-0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956A KR20130080956A (ko) 2013-07-16
KR101891475B1 true KR101891475B1 (ko) 2018-09-28

Family

ID=4787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860A KR101891475B1 (ko) 2012-01-06 2012-01-0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3561B2 (ko)
EP (1) EP2613550B1 (ko)
JP (1) JP6140450B2 (ko)
KR (1) KR101891475B1 (ko)
CN (1) CN1032004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51B1 (ko) * 2013-05-30 2020-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3648040A (zh) * 2013-11-18 2014-03-19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智能电视应用程序选项的快捷切换方法及装置
GB201408258D0 (en) 2014-05-09 2014-06-25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Television display and remote control
KR102593437B1 (ko) * 2016-03-14 2023-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23763B2 (en) 2017-04-28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82153B1 (ko) * 2017-04-28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7291A1 (en) * 2010-04-28 2011-11-03 Jinyoung Choi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5557B1 (en) * 2000-04-10 2004-07-20 Interlink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touch pad to screen mapping
US20040263377A1 (en) * 2000-08-03 2004-12-30 Risi Christopher P.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0811339B1 (ko) * 2001-10-11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원격제어 시스템 및방법
JP4109902B2 (ja) * 2002-05-27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4254950B2 (ja) * 2003-09-0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US7250940B2 (en) 2003-12-31 2007-07-31 Symbol Technologies, Inc.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e
US8316394B2 (en) * 2006-03-24 2012-11-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intelligent navigation and display features
GB2460061B (en) * 2008-05-14 2012-06-13 Sony Uk Ltd Remote control handset
KR101324191B1 (ko) 2008-09-26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입력방법
KR101561911B1 (ko) 2009-03-23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7291A1 (en) * 2010-04-28 2011-11-03 Jinyoung Choi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43774A (ja) 2013-07-22
CN103200455B (zh) 2018-10-02
EP2613550A1 (en) 2013-07-10
CN103200455A (zh) 2013-07-10
KR20130080956A (ko) 2013-07-16
EP2613550B1 (en) 2017-10-11
US9753561B2 (en) 2017-09-05
US20130176229A1 (en) 2013-07-11
JP6140450B2 (ja)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240B2 (en)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US11991409B2 (en)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9147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693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8403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93906B1 (ko) 영상처리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26135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screen channel selection
US20130176223A1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40240263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7938A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EP2869587A1 (en) Multimedia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synchronizing screen, and method for same
JP2013143139A (ja) 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14029269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7205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8076A (ko)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596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765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106564B2 (ja) 放送受信装置
EP264275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6104631A1 (ja) 遠隔操作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70092855A (ko) Osd 화면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