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058B1 -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058B1
KR101883058B1 KR1020160108404A KR20160108404A KR101883058B1 KR 101883058 B1 KR101883058 B1 KR 101883058B1 KR 1020160108404 A KR1020160108404 A KR 1020160108404A KR 20160108404 A KR20160108404 A KR 20160108404A KR 101883058 B1 KR101883058 B1 KR 10188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lens holder
support member
axis direction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309A (ko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058B1/ko
Priority to CN201710304054.0A priority patent/CN107786792B/zh
Priority to CN201720479358.6U priority patent/CN206932300U/zh
Priority to KR1020180005204A priority patent/KR1023839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04N5/225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를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 광학필터가 광축방향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의 상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경보다 외경이 크게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재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홀더가 광축방향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재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가 광축방향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자동초점기능(Auto Focus)을 구현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광축방향으로 지지부재의 내측까지 연장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모듈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점점 슬림화되면서 카메라모듈도 슬림화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 특히 슬림 카메라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서 종래와 같은 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슬림화 정도는 한계가 있다.
같은 조건에서 슬림 카메라모듈을 만들기 위해서는 특별한 패키지 기술이 그 회사의 기술이라고 판단되며 그것이 시장 경쟁력이라고 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현재 많은 회사에서 구현하고 있는 COB(Chip on Board) 방식으로 렌즈, 하우징, 필터, 센서, 회로기판 등으로 카메라모듈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슬림화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슬림화를 이루기 위한 구조의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림화를 이룰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를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 광학필터가 광축방향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의 상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경보다 외경이 크게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재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홀더가 광축방향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재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가 광축방향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자동초점기능(Auto Focus)을 구현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광축방향으로 지지부재의 내측까지 연장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모듈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종래 구조의 간단한 변경으로 자동초점기능(Auto Focus)의 성능을 유지 또는 개량하면서 카메라모듈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이 개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따른 카메라모듈(10)은 소형화 및 슬림화를 이루기 어려운 구조로, 렌즈배럴(11), 하우징(12), IR 필터(광학필터, 13), 이미지센서(14) 및 회로기판(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배럴(1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며,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렌즈배럴(11)의 하부에는 하우징(12)에 고정되는 IR 필터(광학필터, 13)가 구비되고, 하우징(12)의 하부는 이미지센서(14)가 상면에 부착된 회로기판(15)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렌즈배럴(11)의 상부로 입사된 광이 렌즈들을 거쳐 IR 필터(광학필터, 13)를 지나 이미지센서(14)에 수광되면서 촬상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서 IR 필터(광학필터, 13)를 하우징(12)에 고정구비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12a)가 구비되고, 렌즈배럴(11)을 포함하는 렌즈홀더는 지지부재(12a)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하우징(12)에는 지지부재(12a)가 구비되어 광축방향(카메라 모듈(10)의 두께 방향)으로 공간을 차지하며, 지지부재(12a)의 영향으로 렌즈홀더는 지지부재(12a)의 상부에만 구비될 수밖에 없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10)는 IR 필터(광학필터, 13)를 하우징(12)에 고정구비하는 구조에 의해 카메라 모듈(10)의 광축방향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이 개시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소형화 및 슬림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제공된 것으로, 렌즈배럴(110), 렌즈홀더(115), 하우징(120), 광학필터(130) - IR 필터 등 -, 이미지센서(140), 회로기판(15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렌즈배럴(110), 렌즈홀더(115), 광학필터(130) - IR 필터 등 -, 이미지센서(140), 회로기판(150)을 수용한다. 물론, 이미지센서(140)는 회로기판(150)에 장착되고, 회로기판(150)이 하우징(120)의 바닥면을 형성하듯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카메라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 등을 보호한다. 그리고, 하우징(120)은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되지 용이한 구조를 구비한다.
렌즈배럴(110)은 그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피사체의 이미지를 카메라모듈(100) 내부의 이미지센서(140)로 모아주기 위한 것으로,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렌즈홀더(115)의 내부에 고정끼움될 수 있다.
렌즈홀더(115)는 렌즈배럴(110)을 내부에 수용하고, 광축방향 또는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즉, 렌즈홀더(115)는, 자동초점조절인 오토포커스(AF, Auto Focus)를 위해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손떨림보정 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의 구현을 위해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오토포커스 기능과 손떨림보정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는 렌즈홀더(115)와 하우징(120)에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각각 코일과 마그넷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이미 공지된 기능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렌즈홀더(120)는 렌즈배럴(110)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광학필터(130) 등과 같이 주변에 장착된 부품을 보호한다.
여기서, 렌즈홀더(120)는 렌즈배럴(110)이 결합되는 내주면에 렌즈배럴(110)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광학필터(130), 가령, IR 필터 등은 적외선 영역의 파장들을 제거해 주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 말하자면, 카메라폰의 카메라는 CCD나 CMOS를 사용하여 빛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서 화상을 만드는데 이들 빛 신호라는 것은 사람들이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400-700nm)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 ~1150 nm)까지도 감지하게 되어서 실제 색이나 화상하고는 관계없는 신호가 감지기를 포화시켜 버리게 되므로 적외선 영역의 파장들을 제거해 주기 위해 (IR-Cut Filter) 필요하다.
이미지센서(140)는 외부의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저장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기존의 필름을 대신하여 이미지센서가 외부의 화상을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미지센서는 CCD와 CIS 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CCD는 Charge Coupled Device 의 약자로 전하결합소자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CIS 는 CMOS Image Sensor 의 약자로 상보성 금속산화물반도체를 이용한 것이다.
CCD는 전자형태로 신호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이고, CIS는 전압형태로 신호가 전달된다. 전압의 형태로 신호가 전달되면 전압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잡음이 전압신호가 섞여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전자신호를 이용한 CCD가 CIS 보다 접음에 강하다.
한 화소의 면적 중에 수광부가 차지하는 비율을 Fill Factor(개구율)이라고 하는데, 수광부의 면적이 클수록 동일한 입사광에 대해서 많은 빛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광부의 면적이 증가하면 생성되는 전자의 수도 많아지게 된다.
즉, 신호로 사용되는 전자의 수가 많아져서 감도는 좋아지고, 잡음에 비해 신호의 크기가 커져 잡음에도 강하게 된다. CIS는 전자를 전압으로 변형해줘야하는 회로를 화소내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CCD에 비해 개구율이 낮다. 이것은 CCD가 CIS 보다 화질면에서 뛰어남을 설명해준다.
CCD는 CIS보다 높은 개구율 특성을 가지고 있고, 전자를 신호로 하여 잡읍에 강한면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주로 사용되는 CMOS 공정을 사용할 수 없고 주변 회로부분을 ON Chip화 할 수 없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고 집적도가 낮다. 또한 CCD는 다수의 전압을 이용하여 소비전력이 높습니다. 반면, CIS는 단일의 전압으로 회로를 구동시키고 CMOS를 사용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회로기판(150)은 상부에 이미지센서(140)를 고정 장착한 상태로 하우징(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부에 전기회로나 각종 수동소자 및 집적회로가 장착된 것이다. 여기서, 이미지센서(140)는 회로기판(150)에 와이어본딩(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플립칩 방식에 의해 별도의 와이어본딩 없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광학필터(130)는 하우징(120)에서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120a)의 광축방향 하부면에 고정장착된다. 광학필터(130)는 지지부재(120a)의 하부면에 접착제 등을 매개로 본딩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20a)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120a)는 원주방향으로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출편일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의 전체높이를 결정하는 TTL 길이(렌즈배럴부의 상단으로부터 이미지센서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카메라의 화소 및 종류에 따라 일정하므로, TTL 길이에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에서 카메라모듈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배럴(110)이 이미지센서(140)와 상부면과 최대한 가까이 구비되도록 하여 TTL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10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므로 카메라모듈(100)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광학필터(130)는 하우징(120)에서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120a)의 광축방향 하부면에 고정장착된다. 그리고, 렌즈배럴(110)을 구비하는 렌즈홀더(115)가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에 오토포커싱을 위해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일반적인 구조라면 렌즈배럴(110)은 지지부재(120a)를 기준으로 하단부가 광축방향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에에서는 렌즈배럴(110)이 광축방향으로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즉, 광축방향으로 렌즈배럴(110)과 지지부재(120a)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렌즈배럴(110)과 지지부재(120a)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조적으로 설명하면, 렌즈배럴(110)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0)은 지지부재(120a)와의 간섭 없이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배럴(110)은 렌즈홀더(115)의 하단부보다 광축방향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115)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내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렌즈배럴(110)이 렌즈홀더(115)에 끼워지는 구조이며, 렌즈배럴(110)이 지지부재(120a)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당연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렌즈홀더(115)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홀더(115)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부재(120a)에 걸림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20a)의 광축방향 하부면에는 광학필터(130)가 구비되므로, 렌즈배럴(110)과 광학필터(130)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렌즈홀더(115)의 하단부에서 렌즈배럴(110)의 돌출 길이(d1)는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두께(D1)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광학필터(130)는 지지부재(120a)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 접착제의 두께까지 고려한다면 렌즈홀더(115)의 하단부에서 렌즈배럴(110)의 돌출 길이(d1)는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두께(D1)와 대략 비슷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1)이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과 렌즈배럴(111)의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렌즈배럴(111)을 제외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에에서는 렌즈배럴(111)이 광축방향으로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즉, 광축방향으로 렌즈배럴(111)과 지지부재(120a)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렌즈배럴(111)과 지지부재(120a)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조적으로 설명하면, 렌즈배럴(111)은 광축방향 하단부가 단차지게 구비되며, 단차부에 의해 직경이 가장 작게되는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1)은 지지부재(120a)와의 간섭 없이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1)의 하단부는 렌즈홀더(115)의 하단부보다 광축방향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115)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내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렌즈배럴(111)이 렌즈홀더(115)에 끼워지는 구조이기는 하나, 렌즈배럴(111)에 단차가 구비되어 있어 하단부의 외경이 지지부재(120a)의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렌즈홀더(115)의 내경은 무관하기 때문이다.
또한, 렌즈홀더(115)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홀더(115)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부재(120a)에 걸림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20a)의 광축방향 하부면에는 광학필터(130)가 구비되므로, 렌즈배럴(111)과 광학필터(130)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렌즈배럴(111)의 단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돌출 길이(d2)는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두께(D1)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광학필터(130)는 지지부재(120a)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 접착제의 두께까지 고려한다면 렌즈배럴(111)의 단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돌출 길이(d2)는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두께(D1)와 대략 비슷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2)이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과 렌즈홀더(116)의 형상과 렌즈배럴(112)과 렌즈홀더(116)의 결합구조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를 제외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에에서는 렌즈배럴(112)이 광축방향으로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즉, 광축방향으로 렌즈배럴(112)과 지지부재(120a)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렌즈배럴(112)과 지지부재(120a)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조적으로 설명하면, 렌즈홀더(116)은 광축방향 하단부가 단차지게 구비되며, 단차부에 의해 직경이 가장 작게되는 광축방향 하단부까지의 내부에 렌즈배럴(112)이 끼움고정된다.
그리고, 렌즈홀더(116)의 단차부에 의해 직경이 가장 작게되는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2)을 내부에 구비하는 렌즈홀더(116)의 하단부가 지지부재(120a)와의 간섭 없이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2)의 하단부는 렌즈홀더(115)의 하단부보다 광축방향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116)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렌즈배럴(112)이 렌즈홀더(116)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부재(120a)의 내부로 이동해야 하므로 당연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렌즈홀더(115)의 단차부를 기준으로 광축방향 상측의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홀더(116)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차부의 외측이 지지부재(120a)에 걸림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20a)의 광축방향 하부면에는 광학필터(130)가 구비되므로, 렌즈배럴(112)과 광학필터(130)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렌즈홀더(116)의 단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돌출 길이(d3)는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두께(D1)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광학필터(130)는 지지부재(120a)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 접착제의 두께까지 고려한다면 렌즈홀더(116)의 단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돌출 길이(d2)는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두께(D1)와 대략 비슷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3)이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과 렌즈홀더(117)의 형상과 렌즈배럴(113)과 렌즈홀더(117)의 결합구조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를 제외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에에서는 렌즈배럴(113)이 광축방향으로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즉, 광축방향으로 렌즈배럴(113)과 지지부재(120a)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렌즈배럴(113)과 지지부재(120a)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조적으로 설명하면, 렌즈홀더(117)는 내부에 렌즈배럴(113)이 끼움고정되고, 렌즈홀더(117)는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이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3)을 내부에 구비하는 렌즈홀더(117)의 하단부가 지지부재(120a)와의 간섭 없이 지지부재(120a)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배럴(113)의 하단부는 렌즈홀더(117)의 하단부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렌즈배럴(113)의 하단부가 돌출내거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117)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지지부재(120a)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렌즈배럴(113)이 렌즈홀더(117)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부재(120a)의 내부로 이동해야 하므로 당연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렌즈홀더(117)의 상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하부 하우징(121)의 내경보다 외경이 크게 구비되는 걸림턱(117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117)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림턱(117a)이 하부 하우징(121)에 걸림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걸림턱(117a)의 스토퍼 역할을 위해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21)과 하부 하우징(121)을 상부에서 덮어주는 상부 하우징(1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121)의 상단부는 걸림턱(117a)이 걸림되도록 하우징(120)의 내부에 단차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20a)의 광축방향 하부면에는 광학필터(130)가 구비되므로, 렌즈배럴(113)과 광학필터(130)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렌즈홀더(117)의 걸림턱(117a)의 하면에서 렌즈홀더(117)의 하단부까지의 길이(d4)는 하부 하우징(121)의 상단부에서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하부면까지의 길이(D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광학필터(130)는 지지부재(120a)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 접착제의 두께까지 고려한다면 렌즈홀더(117)의 걸림턱(117a)의 하면에서 렌즈홀더(117)의 하단부까지의 길이(d4)는 하부 하우징(121)의 상단부에서 지지부재(112a)의 광축방향 하부면까지의 길이(D2)와 대략 비슷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101, 102, 103: 카메라모듈
110, 111, 112, 113: 렌즈배럴
115, 116, 117: 렌즈홀더
120: 하우징
130: 광학필터
140: 이미지센서
150: 회로기판

Claims (16)

  1.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를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
    광학필터가 광축방향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의 상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경보다 외경이 크게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의 광축방향 하단부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재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홀더가 광축방향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재는 일체로 구비되는 카메라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광축방향의 하단부가 단차지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광축방향의 하단부 중 단차부를 기준으로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내측 부분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재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는 카메라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광축방향의 하단부가 단차지게 구비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광축방향의 하단부 중 단차부를 기준으로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측 부분의 외경은 상기 지지부재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카메라모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홀더는 광축방향 하단부가 나란한 카메라모듈.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상기 단차부의 광축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광축방향 두께보다 작은 카메라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광축방향 하부면에 광학필터가 고정되는 카메라모듈.
  16. 삭제
KR1020160108404A 2016-08-25 2016-08-25 카메라모듈 KR10188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04A KR101883058B1 (ko) 2016-08-25 2016-08-25 카메라모듈
CN201710304054.0A CN107786792B (zh) 2016-08-25 2017-05-03 相机模块
CN201720479358.6U CN206932300U (zh) 2016-08-25 2017-05-03 相机模块
KR1020180005204A KR102383945B1 (ko) 2016-08-25 2018-01-15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04A KR101883058B1 (ko) 2016-08-25 2016-08-25 카메라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204A Division KR102383945B1 (ko) 2016-08-25 2018-01-15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09A KR20180023309A (ko) 2018-03-07
KR101883058B1 true KR101883058B1 (ko) 2018-08-24

Family

ID=6135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404A KR101883058B1 (ko) 2016-08-25 2016-08-25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3058B1 (ko)
CN (2) CN20693230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058B1 (ko) * 2016-08-25 2018-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CN108495012B (zh) * 2018-05-29 2024-02-02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镜筒底座组合结构及包含该结构的摄像模组
TWI773831B (zh) * 2018-09-21 2022-08-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模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2174B2 (en) * 2001-05-18 2006-08-15 Konica Corporation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pickup lens
CN201207097Y (zh) * 2008-05-21 2009-03-11 凤凰光学(广东)有限公司 超薄型手机摄像镜头
KR101595998B1 (ko) * 2009-05-25 2016-0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2231000A (zh) * 2009-10-21 2011-1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包括该镜头模组的相机模组
US8520328B2 (en) * 2010-02-05 2013-08-27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WO2013190918A1 (ja) * 2012-06-18 2013-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当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当該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9766424B2 (en) * 2013-09-13 2017-09-1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150115504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CN105744131B (zh) * 2016-03-15 2019-07-05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阵列摄像模组及其线路板组件和制造方法
CN205407993U (zh) * 2016-03-09 2016-07-27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摄像头模组
KR101883058B1 (ko) * 2016-08-25 2018-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86792B (zh) 2021-04-27
CN206932300U (zh) 2018-01-26
KR20180023309A (ko) 2018-03-07
CN107786792A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3178B2 (en) Camera module capable of easily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 camera module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KR101188575B1 (ko) 촬상 장치 및 그 배열 방법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KR101883058B1 (ko) 카메라모듈
KR101300316B1 (ko) 카메라모듈
KR20110058094A (ko) 렌즈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US20080285968A1 (en) Compact camera module package structure
KR102293357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12814A (ko) 카메라 모듈
US8139146B2 (en) Camera module, method of focusing the same, and device for focusing the same
US20140036146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73561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383945B1 (ko) 카메라모듈
US8792043B2 (en) Focus-fixed camera module
KR20140023551A (ko) 카메라 모듈
JPWO2007043508A1 (ja) 撮像装置
KR101892821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001862A1 (en) Camera module
JP6295613B2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101901709B1 (ko) 카메라모듈
KR101912285B1 (ko) 홍채인식 겸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260354B1 (ko) 촬상 렌즈 및 촬상 모듈
KR101771846B1 (ko) 카메라모듈
US10506140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