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893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893B1
KR101877893B1 KR1020170005215A KR20170005215A KR101877893B1 KR 101877893 B1 KR101877893 B1 KR 101877893B1 KR 1020170005215 A KR1020170005215 A KR 1020170005215A KR 20170005215 A KR20170005215 A KR 20170005215A KR 101877893 B1 KR101877893 B1 KR 10187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lock
tread
tread block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2Replaceable t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0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 영역, 사이드월 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적어도 트레드 대응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장착홀을 구비하는 블록 장착부 및 상기 트레드 대응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블록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 트레드 블록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특히, 빙판이나 눈위에서의 차량 주행 시 타이어의 제어를 통한 안정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어의 주행 특성을 위한 타이어 관리 및 타이어의 비용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 및 관리 용이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 영역, 사이드월 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적어도 트레드 대응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장착홀을 구비하는 블록 장착부 및 상기 트레드 대응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블록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 트레드 블록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폐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월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과 이격되어 상기 사이드월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트레드 대응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 장착부의 장착홀은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일 영역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블록 장착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와 인접한 영역의 폭은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큰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본체부에 인접한 지지 영역 및 상기 지지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영역보다 폭이 작은 영역을 갖고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는 돌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면에는 그루브 또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표면 특성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블록 장착부로부터 탈부착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탈부착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 영역, 사이드월 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적어도 트레드 대응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의 본체부로부터 탈부착이 되는 블록 장착부 및 상기 블록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블록 장착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트레드 블록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은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트레드 블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트레드 블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0)는 본체부(1100), 블록 장착부(1200) 및 트레드 블록부(1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0)는 트레드 대응 영역(TA), 사이드월 영역(SW)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 대응 영역(TA)은 타이어(10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 영역(SW)은 트레드 대응 영역(TA)과 연결된다. 사이드월 영역(SW)의 영역 중 트레드 대응 영역(TA)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1000)를 휠(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BD)가 배치될 수 있다.
블록 장착부(1200)는 본체부(1100) 상에 배치된다. 또한, 블록 장착부(1200)는 본체부(1100)의 트레드 대응 영역(T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장착홀(1220)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블록 장착부(1200)는 트레드 대응 영역(T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장착부(1200)는 사이드월 영역(SW)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장착부(1200)는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 연장된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트레드 대응 영역(TA)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블록 장착부(12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1100)의 일 영역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블록 장착부(120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블록 장착부(1200)를 본체부(1100)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블록 장착부(1200)를 원하는 때에 분리도 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장착부(1200)를 탄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더라도 본체부(1100)의 공기압을 낮게 한 상태에서 블록 장착부(1200)를 본체부(1100)에 장착하고 난 후에 본체부(1100)의 공기압을 증가하면 블록 장착부(1200)는 본체부(1100)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타이어(10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블록 장착부(1200)는 본체부(1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블록 장착부(1200)는 하나 이상의 장착홀(1220)을 구비하고, 장착홀(1220)에는 후술할 트레드 블록부(1300)가 대응된다.
트레드 블록부(1300)는 트레드 대응 영역(TA)에 중첩되고 블록 장착부(1200)의 장착홀(1220)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드 블록부(1300)는 타이어(10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트레드 블록부(1300)는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1310, 1320, 13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는 3개의 트레드 블록 부재(1310, 1320, 13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로서 트레드 블록부(1300)는 다양한 개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서 트레드 블록부(1300)의 일 트레드 블록 부재(13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 블록 부재(1320)는 돌출 영역(1321) 및 지지 영역(1322)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 영역(1321)은 지지 영역(1322)에 연결되고 지지 영역(1322)으로부터 길게 돌출되고, 구체적으로 블록 장착부(1200)의 장착홀(1220)을 관통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지지 영역(1322)은 돌출 영역(1321)의 폭, 특히 돌출 영역(1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1322)과 연결된 영역의 폭(W21A)보다 큰 폭(W2)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1322)을 통하여 트레드 블록 부재(1320)는 블록 장착부(1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 영역(1322)의 일 영역, 예를들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은 블록 장착부(1200)와 본체부(1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출 영역(1321)은 지지 영역(13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폭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돌출 영역(1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1322)과 인접한 영역의 폭(W21A)은 지지 영역(1322)과 가장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W1B)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영역(1321)은 지지 영역(13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돌출 영역(1321)을 포함하는 트레드 블록 부재(1320)를 장착홀(122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원하는 때에 분리할 수 있다.
돌출 영역(1321)은 블록 장착부(1200)의 장착홀(1220)을 관통하고 장착홀(1220)을 지나치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 블록 부재(1320)는 높이(HA)를 갖고, 블록 장착부(1200)의 주된 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높이(HB)를 가질 수 있다.
돌출 영역(1321)의 상면, 즉 돌출 영역(1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1322)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영역은 타이어(10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영역(1321)의 상면의 전체면이 노면과 접할 수도 있다.
블록 장착부(1200)의 장착홀(1220)은 트레드 블록 부재(132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착홀(1220)은 제1 영역(1221) 및 제2 영역(12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영역(1221)은 트레드 블록 부재(1320)의 돌출 영역(1321)의 일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222)은 제1 영역(1221)과 연결되고 트레드 블록 부재(1320)의 지지 영역(13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222)은 본체부(110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트레드 블록 부재(1320)의 돌출 영역(1321) 및 지지 영역(1322)에 대응되도록 제1 영역(1221) 및 제2 영역(1222)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1222)은 제1 영역(1221)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 영역(1322)은 제2 영역(1222)에 배치되고, 제1 영역(1221)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트레드 블록 부재(1320)가 안정적으로 장착홀(12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장착부(1200)는 연장 영역(1230)을 구비할 수 있다. 연장 영역(1230)은 장착홀(1220)의 주변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고, 트레드 블록 부재(1320)의 돌출 영역(1321)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돌출 영역(1321)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연장 영역(1230)은 돌출 영역(1321)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돌출 영역(1321)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부(1300)는 블록 장착부(1200)에 탈부착을 할 수 있다. 즉, 트레드 블록부(1300)를 원하는 때에 블록 장착부(1200)에 배치하고, 원하는 때에 분리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의 본체부(1100)에 대한 공기압을 감소한 후에 트레드 블록부(1300)를 블록 장착부(1200)에 장착할 수 있고, 블록 장착부(1200)를 본체부(1100)에 장착 시에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어의 본체부(1100)의 공기압을 증가하여 본체부(1100)에 블록 장착부(1200) 및 트레드 블록부(1300)가 안정적으로 장착된 후에 타이어를 통한 차량 주행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원하는 때, 예를들면 트레드 블록부(1300)의 교체가 필요한 때에 타이어의 본체부(1100)에 대한 공기압을 감소한 후에 트레드 블록부(1300)를 블록 장착부(1200)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블록 장착부(1200)를 본체부(1100)에서 분리한 후에 트레드 블록부(1300)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레드 블록 부재(1320)는 돌출 영역(1321) 및 지지 영역(1322)을 구비한다. 돌출 영역(1321)은 각뿔대, 예를들면 사각뿔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돌출 영역(1321)은 기둥 형태로서 사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1322)은 돌출 영역(1321)과 연결되고 돌출 영역(1321)보다 넓은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영역(1322)의 측면은 경사면을 갖고, 돌출 영역(1321)에 인접한 영역으로 갈수록 지지 영역(1322)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 영역(1322)이 블록 장착부(1200)의 장착홀(1220)의 제2 영역(1222)에 안정적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레드 블록부(1320')는 돌출 영역(1321') 및 지지 영역(1322')을 구비한다. 돌출 영역(1321')은 각뿔대, 예를들면 사각뿔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돌출 영역(1321')은 기둥 형태로서 사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1322')은 돌출 영역(1321')과 연결되고 돌출 영역(1321')보다 넓은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돌출 영역(1321')의 상면, 즉 돌출 영역(1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1322')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이 단부의 면에는 표면 특성 제어부(1323')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특성 제어부(1323')는 복수 개의 그루브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굴절된 선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표면 특성 제어부(1323')는 돌출 영역(1321')의 영역 중 타이어를 통한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노면과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면 특성 제어부(1323')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직선 패턴의 그루브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곡선 패턴 그루브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불규칙한 복수의 그루브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트레드 블록부(1320")는 돌출 영역(1321") 및 지지 영역(1322")을 구비한다. 돌출 영역(1321")은 각뿔대, 예를들면 사각뿔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돌출 영역(1321")은 기둥 형태로서 사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1322")은 돌출 영역(1321")과 연결되고 돌출 영역(1321")보다 넓은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돌출 영역(1321")의 상면, 즉 돌출 영역(1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1322')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이 단부의 면에는 표면 특성 제어부(1323")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특성 제어부(1323")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곡면 그루브 패턴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반구와 유사한 형태의 오목한 복수 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면 특성 제어부(1323"B)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곡면 볼록 패턴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반구와 유사한 형태의 볼록한 복수 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표면 특성 제어부(1323"B)의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곡면 볼록 패턴을 통하여 노면과의 접착 특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본체부, 블록 장착부 및 트레드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 상에 블록 장착부를 배치하고, 블록 장착부의 장착홀에 대응하도록 트레드 블록부를 배치할 수 있다. 트레드 블록부를 통하여 타이어의 주행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블록부는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블록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에 따라 트레드 블록부의 마모 또는 변형 시 트레드 블록부를 교체 또는 트레드 블록부에 구비된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 중 교체가 필요한 트레드 블록 부재만 선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타이어의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노면 조건 또는 기후 조건에 따라 트레드 블록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절기에 사용하던 트레드 블록부를 동절기에 제거한 후에, 그보다 높이가 큰 트레드 블록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장착부가 마모된 경우에는 블록 장착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장착부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양한 트레드 블록부의 장착을 위하여 블록 장착부를 교체할 수 있다. 예를들면 블록 장착부에 구비된 장착홀의 형태에 따라 트레드 블록부의 형태가 결정되므로 원하는 트레드 블록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장착홀을 갖는 블록 장착부로의 교체를 원하는 때에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0)는 본체부(2100), 블록 장착부(2200) 및 트레드 블록부(230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0)는 트레드 대응 영역(TA), 사이드월 영역(SW)을 구비할 수 있다.
타이어(20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 대응 영역(TA)은 타이어(20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 영역(SW)은 트레드 대응 영역(TA)과 연결된다. 사이드월 영역(SW)의 영역 중 트레드 대응 영역(TA)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2000)를 휠(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BD)가 배치될 수 있다.
블록 장착부(2200)는 본체부(2100) 상에 배치된다. 또한, 블록 장착부(2200)는 본체부(2100)의 트레드 대응 영역(T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장착홀(2220)을 구비할 수 있다.
장착홀(222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후술할 트레드 블록부(2300)의 원하는 형태에 대응하도록 장착홀(2220)의 모양과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블록 장착부(2200)는 트레드 대응 영역(T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장착부(2200)는 사이드월 영역(SW)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장착부(2200)는 타이어(20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20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 연장된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트레드 대응 영역(TA)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블록 장착부(22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2100)의 일 영역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블록 장착부(220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블록 장착부(2200)를 본체부(2100)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블록 장착부(2200)를 원하는 때에 분리도 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장착부(2200)를 탄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더라도 본체부(2100)의 공기압을 낮게 한 상태에서 블록 장착부(2200)를 본체부(2100)에 장착하고 난 후에 본체부(2100)의 공기압을 증가하면 블록 장착부(2200)는 본체부(2100)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타이어(20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블록 장착부(2200)는 본체부(2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블록 장착부(2200)는 하나 이상의 장착홀(2220)을 구비하고, 장착홀(2220)에는 후술할 트레드 블록부(2300)가 대응된다.
트레드 블록부(2300)는 트레드 대응 영역(TA)에 중첩되고 블록 장착부(2200)의 장착홀(2220)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드 블록부(2300)는 타이어(20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트레드 블록부(2300)는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2310, 1320, 13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서 트레드 블록부(2300)의 일 트레드 블록 부재(23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 블록 부재(2320)는 돌출 영역(2321) 및 지지 영역(2322)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 영역(2321)은 지지 영역(2322)에 연결되고 지지 영역(2322)으로부터 길게 돌출되고, 구체적으로 블록 장착부(2200)의 장착홀(2220)을 관통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지지 영역(2322)은 돌출 영역(2321)의 폭, 특히 돌출 영역(2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2322)과 연결된 영역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2322)을 통하여 트레드 블록 부재(2320)는 블록 장착부(2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돌출 영역(2321)은 지지 영역(23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폭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돌출 영역(2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2322)과 인접한 영역의 폭은 지지 영역(2322)과 가장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영역(2321)은 지지 영역(23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돌출 영역(2321)을 포함하는 트레드 블록 부재(2320)를 장착홀(222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원하는 때에 분리할 수 있다.
돌출 영역(2321)의 상면, 즉 돌출 영역(2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2322)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영역은 타이어(20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영역(2321)의 상면의 전체면이 노면과 접할 수도 있다.
블록 장착부(2200)의 장착홀(2220)은 트레드 블록 부재(232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착홀(2220)은 제1 영역(2221) 및 제2 영역(22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영역(2221)은 트레드 블록 부재(2320)의 돌출 영역(2321)의 일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222)은 제1 영역(2221)과 연결되고 트레드 블록 부재(2320)의 지지 영역(23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222)은 본체부(210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트레드 블록 부재(2320)의 돌출 영역(2321) 및 지지 영역(2322)에 대응되도록 제1 영역(2221) 및 제2 영역(2222)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2222)은 제1 영역(2221)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 영역(2322)은 제2 영역(2222)에 배치되고, 제1 영역(2221)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트레드 블록 부재(2320)가 안정적으로 장착홀(222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장착부(2200)는 연장 영역(2230)을 구비할 수 있다. 연장 영역(2230)은 장착홀(2220)의 주변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고, 트레드 블록 부재(2320)의 돌출 영역(2321)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돌출 영역(2321)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연장 영역(2230)은 돌출 영역(2321)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돌출 영역(2321)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연장 영역(2230)은 돌출 영역(2321)의 외주면의 단부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장 영역(2230)은 돌출 영역(2321)의 외주면의 단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돌출 영역(2321)의 외주면의 일 영역이 연장 영역(2230)으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트레드 블록부(23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 블록부(2300)의 트레드 블록 부재(2320)의 돌출 영역(2321)은 다양한 형태의 기둥, 뿔대, 기타 불규칙한 돌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지지 영역(2322)은 돌출 영역(2321)과 연결되고 돌출 영역(2321)보다 넓은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영역(2321)의 상면, 즉 돌출 영역(2321)의 영역 중 지지 영역(2322)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이 단부의 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표면 특성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러한 다양한 표면 특성 제어부는 복수 개의 그루브 형태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굴절된 선형 패턴, 직선 패턴, 곡선 패턴 또는 불규칙한 복수의 그루브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면 특성 제어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곡면 그루브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반구와 유사한 형태의 오목한 복수 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표면 특성 제어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곡면 볼록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반구와 유사한 형태의 볼록한 복수 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본체부, 블록 장착부 및 트레드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 상에 블록 장착부를 배치하고, 블록 장착부의 장착홀에 대응하도록 트레드 블록부를 배치할 수 있다. 트레드 블록부를 통하여 타이어의 주행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블록부는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블록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에 따라 트레드 블록부의 마모 또는 변형 시 트레드 블록부를 교체 또는 트레드 블록부에 구비된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 중 교체가 필요한 트레드 블록 부재만 선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타이어의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노면 조건 또는 기후 조건에 따라 트레드 블록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절기에 사용하던 트레드 블록부를 동절기에 제거한 후에, 그보다 높이가 큰 트레드 블록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블록 장착부가 마모된 경우에는 블록 장착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장착부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양한 트레드 블록부의 장착을 위하여 블록 장착부를 교체할 수 있다. 예를들면 블록 장착부에 구비된 장착홀의 형태에 따라 트레드 블록부의 형태가 결정되므로 원하는 트레드 블록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장착홀을 갖는 블록 장착부로의 교체를 원하는 때에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0, 2000: 타이어
1100, 2100: 본체부
1200, 2200: 블록 장착부
1300, 2300: 트레드 블록부

Claims (14)

  1.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 영역, 사이드월 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적어도 트레드 대응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장착홀을 구비하는 블록 장착부; 및
    상기 트레드 대응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블록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 트레드 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본체부에 인접한 지지 영역 및 상기 지지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영역보다 폭이 작은 영역을 갖고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는 돌출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블록 장착부로 덮여 노면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 장착부의 장착홀은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트레드 블록 부재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되어 구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록 장착부를 제거 시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는 서로 간섭 없이 이동 및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폐곡선의 형태를 갖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월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과 이격되어 상기 사이드월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된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트레드 대응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타이어.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일 영역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블록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와 인접한 영역의 폭은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큰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면에는 그루브 또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표면 특성 제어부가 형성된 타이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블록 장착부로부터 탈부착이 되도록 형성된 타이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장착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탈부착이 되도록 형성된 타이어.
  14.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 영역, 사이드월 영역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적어도 트레드 대응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의 본체부로부터 탈부착이 되는 블록 장착부; 및
    상기 블록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블록 장착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트레드 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상기 본체부에 인접한 지지 영역 및 상기 지지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영역보다 폭이 작은 영역을 갖고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는 돌출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영역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블록 장착부로 덮여 노면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 블록부는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 장착부의 장착홀은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트레드 블록 부재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되어 구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록 장착부를 제거 시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 부재는 서로 간섭 없이 이동 및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타이어.
KR1020170005215A 2017-01-12 2017-01-12 타이어 KR10187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15A KR101877893B1 (ko) 2017-01-12 2017-01-12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15A KR101877893B1 (ko) 2017-01-12 2017-01-12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93B1 true KR101877893B1 (ko) 2018-07-12

Family

ID=6291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215A KR101877893B1 (ko) 2017-01-12 2017-01-12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818A (ja) * 1995-06-09 1996-12-17 Suzuki Sogyo Co Ltd スノーチェーン代替具
JP2000289421A (ja) * 1999-04-07 2000-10-17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ラグ付走行体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カバーシート
KR20020019865A (ko) * 2000-09-07 2002-03-13 김경환 트레드 교체형 타이어
KR100836441B1 (ko) * 2007-05-30 2008-06-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818A (ja) * 1995-06-09 1996-12-17 Suzuki Sogyo Co Ltd スノーチェーン代替具
JP2000289421A (ja) * 1999-04-07 2000-10-17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ラグ付走行体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カバーシート
KR20020019865A (ko) * 2000-09-07 2002-03-13 김경환 트레드 교체형 타이어
KR100836441B1 (ko) * 2007-05-30 2008-06-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9066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トレッドリング
US10406860B2 (en) Non-pneumatic tire
JP6646728B2 (ja) 空気式車両用タイヤ
KR101877893B1 (ko) 타이어
JP5401156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EP3539799B1 (en) Tire with main kerfs and sub-kerfs
KR101713237B1 (ko) 공기입 타이어
JP5529998B1 (ja) タイヤ
KR101711130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커프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공기입 타이어
KR102006902B1 (ko) 타이어
KR10184314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CN108349305B (zh) 充气轮胎
KR101711129B1 (ko) 스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JP5353975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901400B1 (ko) 타이어
JP201700763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01983B1 (ko) 타이어
JP7117457B2 (ja) タイヤに標示するための構造及び方法
KR102232827B1 (ko) 타이어
KR101735011B1 (ko) 공기입 타이어
JP6651072B1 (ja) エアレスタイヤ
US20190344844A1 (en) Elastic crawler
KR101690914B1 (ko) 자동차용 휠의 캡 결합구조
KR102217975B1 (ko) 타이어
KR102077250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