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701A -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701A
KR20220118701A KR1020210022441A KR20210022441A KR20220118701A KR 20220118701 A KR20220118701 A KR 20220118701A KR 1020210022441 A KR1020210022441 A KR 1020210022441A KR 20210022441 A KR20210022441 A KR 20210022441A KR 20220118701 A KR20220118701 A KR 20220118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fants
fixing buckle
fasten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733B1 (ko
Inventor
한봉천
배정현
한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노
Priority to KR102021002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영유아용 안전조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영유아용 안전조끼는: 착용자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부와, 후면부의 양측부와 각각 연결되고, 착용자의 정면을 감싸는 한 쌍의 정면부와, 한 쌍의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클부와, 한 쌍의 정면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SAFETY JACKET FOR INFANTS, APPARATUS FOR PROTECTING INFANTS OF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점식 안전벨트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에서 3점식 안전벨트와의 분리가 용이한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이나 충격이 가해질때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설치하고 있으며, 승차자에게 안전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에 설치되는 안전벨트는 정상적인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된 것으로, 신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어린이나 유아를 보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 대각방향으로 체결되는 어깨벨트가 신체의 목 부위에 위치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유아용 안전시트나 보호대를 사용하나, 이러한 영유아용 안전시트 및 보호대는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며, 설치 및 설치해제 과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에 영유아용 안전시트 및 보호대의 고정이 확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영유아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0233호(발명의 명칭: 어린이용 안전 시트, 공개일: 2020.09.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3점식 안전벨트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에서 3점식 안전벨트와의 분리가 용이한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유아용 안전조끼는: 착용자의 등을 감싸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양측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착용자의 가슴 및 배를 감싸는 한 쌍의 정면부;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클부; 및 한 쌍의 상기 정면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안전벨트는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선안전벨트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안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버클부는 복수개로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사선안전벨트 및 상기 수평안전벨트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정면부는, 상기 후면부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며, 상기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한 쌍의 정면본체부; 및 한 쌍의 상기 정면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정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정면본체부는, 상기 후면부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전면을 감싸며, 서로 겹쳐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정면몸체; 한 쌍의 상기 정면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는 제1설치밴드; 및 상기 정면몸체의 양측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설치밴드를 덮는 한 쌍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덮개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벨크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정면연장부는, 한 쌍의 상기 정면몸체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정면연장본체; 및 한 쌍의 상기 정면연장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는 제2설치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버클부는, 상기 제1설치밴드와 상기 제2설치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고정버클본체; 및 상기 고정버클본체의 양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선안전벨트 및 상기 수평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려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버클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버클후크부는, 상기 고정버클본체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버클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연결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선안전벨트 및 상기 수평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버클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이탈방지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연결부에서 상기 고정버클본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이탈방지부에는 파손유도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손유도홈부는 상기 고정버클이탈방지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의 일단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체결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고리부는, 상기 벨트부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체결고리홀부가 형성되는 체결고리본체; 및 상기 체결고리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체결고리본체에서 상기 체결고리본체와 마주보도록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제1체결후크; 및 상기 제1체결후크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체결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체결후크는 상기 제1체결후크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 및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착용자의 다리를 구속하는 스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착위치를 안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상기 착용자의 목부분에 착용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영유아용 안전조끼와 상기 헤드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안전조끼는 복수개의 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클부를 통해 3점식 안전벨트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버클부의 고정버클후크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거나, 파손유도홈부가 형성됨에 따라, 긴급상황에서 고정버클후크부를 쉽게 파손하여 고정버틀부로부터 3점식 안전벨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의 체결후크에서 벨트부에 결합되는 제1체결후크와 제2체결후크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에 따라, 긴급상황에서 체결후크를 벨트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착용자를 안전하게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 및 헤드레스트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에서 고정버클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에서 고정버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에서 체결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에서 고정버클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 및 헤드레스트가 수납된 수납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 및 헤드레스트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의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에서 고정버클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에서 고정버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에서 체결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헤드레스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 및 헤드레스트가 수납된 수납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1)는 영유아용 안전조끼(2), 헤드레스트(3) 및 수납케이스(4)를 포함한다. 영유아용 안전조끼(2)는 착용자의 신체를 감싸 착용자의 신체를 좌석에 고정시킨다.
헤드레스트(3)는 착용자(10)의 목부분에 착용되어 착용자(10)의 목을 보호한다.
수납케이스(4)는 영유아용 안전조끼(2)와 헤드레스트(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된다. 수납케이스(4)는 한 쌍의 케이스(미도시)와 한 쌍의 케이스를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는 지퍼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한 쌍의 케이스를 결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1(a),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유아용 안전조끼(2)와 헤드레스트(3)의 미사용시 수납케이스(4)에 영유아용 안전조끼(2)와 헤드레스트(3)를 보관하여 영유아용 안전조끼(2)와 헤드레스트(3)를 외부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안전조끼(2)는 후면부(100), 한 쌍의 정면부(200), 고정버클부(300), 체결부(400), 고리부(500), 스트랩부(600) 및 표시부(700)를 포함한다. 후면부(100)는 착용자(10)의 등을 감싼다.
한 쌍의 정면부(200)는 후면부(100)의 양측부와 각각 연결되고, 착용자(10)의 가슴 및 배를 감싼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정면부(200) 중 어느 하나는 후면부(100)의 일측부에서 착용자(10)의 가슴 및 배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정면부(200) 중 다른 하나는 후면부(100)의 타측부에서 착용자(10)의 가슴 및 배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착용자(10)가 영유아용 안전조끼(2)를 착용했을 때, 후면부(100)는 착용자(10)의 등을 지지하며, 한 쌍의 정면부(200)는 양측상단부가 후면부(100)의 양측상단부와 연결되어 착용자(10)의 좌우측 가슴을 감싼다. 이때, 착용자(10)의 팔은 후면부(100)의 양측상단부와 정면부(200)의 양측상단부 사이를 관통하게 된다.
고정버클부(300)는 한 쌍의 정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안전벨트(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시킨다(도 2, 도 5 참조). 일 예로, 고정버클부(300)는 한 쌍의 정면부(20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장착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정면부(200)의 상측부 즉, 한 쌍의 정면본체부(210) 중 어느 하나와 사선방향으로 접촉되는 사선안전벨트(21)를 고정버클부(30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정면부(200)의 하측부 즉, 한 쌍의 정면연장부(220)에 수평방향으로 접촉되는 수평안전벨트(22)를 고정버클부(30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400)는 한 쌍의 정면부(200)를 체결한다. 체결부(400)는 착용자(10)의 좌측가슴을 감싸는 한 쌍의 정면부(200) 중 어느 하나와, 착용자(10)의 우측가슴을 감싸는 한 쌍의 정면부(200)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되도록 서로 체결한다.
복수개의 안전벨트(20)는 3점식 안전벨트로,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선안전벨트(21)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안전벨트(22)를 포함한다.
고정버클부(300)는 복수개로 한 쌍의 정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사선안전벨트(21) 및 수평안전벨트(22)를 고정한다.
한 쌍의 정면부(200)는 한 쌍의 정면본체부(210)와 한 쌍의 정면연장부(2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정면본체부(210)는 후면부(100)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고정버클부(300)가 장착되고, 체결부(400)에 의해 체결된다.
한 쌍의 정면연장부(220)는 한 쌍의 정면본체부(210)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고정버클부(300)가 장착된다.
한 쌍의 정면본체부(210)는 한 쌍의 정면몸체(211), 제1설치밴드(212) 및 한 쌍의 덮개부(21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정면몸체(211)는 후면부(100)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착용자(10)의 전면을 감싸며, 서로 겹쳐져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정면몸체(211)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벨크로(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벨크로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지퍼 또는 단추 등으로 변경가능하다.
제1설치밴드(212)는 한 쌍의 정면몸체(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고정버클부(30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제1설치밴드(212)는 한 쌍으로 한 쌍의 정면몸체(211)에 각각 사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버클부(300)가 정면몸체(211)와 제1설치밴드(2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미도시)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로 인해, 고정버클부(300)가 제1설치밴드(212)에 장착되어 정면본체부(210)에 사선안전벨트(21)를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덮개부(213)는 정면몸체(211)의 양측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제1설치밴드(212)를 덮는다. 한 쌍의 덮개부(213)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벨크로(213a)가 구비된다. 이로써, 한 쌍의 덮개부(213)가 서로 쉽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정면연장부(220)는 한 쌍의 정면연장본체(221)와 제2설치밴드(2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정면연장본체(221)는 한 쌍의 정면몸체(211)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설치밴드(222)는 한 쌍의 정면연장본체(2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고정버클부(30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제2설치밴드(222)는 한 쌍으로, 한 쌍의 정면연장본체(22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고정버클부(300)가 각각 장착된다. 고정버클부(300)가 정면연장본체(221)와 제2설치밴드(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미도시)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로 인해, 고정버클부(300)가 제2설치밴드(222)에 장착되어 정면연장부(220)에 수평안전벨트(22)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버클부(300)는 고정버클본체(310)와 한 쌍의 고정버클후크부(320)를 포함한다. 고정버클본체(310)는 제1설치밴드(212)와 제2설치밴드(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한 쌍의 고정버클후크부(320)는 고정버클본체(310)의 양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사선안전벨트(21) 및 수평안전벨트(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려 결합된다. 고정버클후크부(320)는 한 쌍의 고정버클연결부(321)와 한 쌍의 고정버클이탈방지부(3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버클연결부(321)는 고정버클본체(310)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된다.
한 쌍의 고정버클이탈방지부(322)는 한 쌍의 고정버클연결부(321)에서 일측으로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장형성되고, 사선안전벨트(21) 및 수평안전벨트(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 이탈을 방지한다.
일 예로, 한 쌍의 고정버클이탈방지부(322)는 한 쌍의 고정버클연결부(321)에서 고정버클본체(310)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도 7(a), 도 7(b) 참조).
다른 예로, 한 쌍의 고정버클이탈방지부(322)에는 파손유도홈부(322a)가 형성될 수 있다. 파손유도홈부(322a)는 고정버클이탈방지부(322)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도 8(a), 도 8(b) 참조).
이로 인해, 긴급한 상황에서 사선안전벨트(21) 및 수평안전벨트(22)로부터 영유아용 안전조끼(2)를 분리할 경우, 고정버클부(300)의 고정버클이탈방지부(322)를 쉽게 파손시켜 영유아용 안전조끼(2)를 사선안전벨트(21) 및 수평안전벨트(22)즉, 3점식 안전벨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체결부(400)는 벨트부(410)와 체결고리부(420)를 포함한다(도 2, 도 5, 도 9 참조). 벨트부(410)는 후면부(100) 및 정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벨트부(410)는 후면부(100) 및 정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고리부(420)는 벨트부(410)의 일단부(411)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부(410)의 타단부(412)와 체결된다. 체결고리부(420)는 벨트부(410)의 일단부(411) 상에서 이동하면서 벨트부(4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벨트부(410)의 타단부(412)는 일정 부분이 겹쳐져 접힌 상태에서 박임질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도 9 기준) 체결고리부(420)가 관통되는 체결홀부(412a)가 형성된다.
체결고리부(420)는 체결고리본체(421)와 체결후크(422)를 포함한다. 체결고리본체(421)는 벨트부(410)의 일단부(41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체결고리홀부(421a)가 형성된다. 일 예로, 체결고리홀부(421a)는 한 쌍으로 체결고리본체(421)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벨트부(410)의 일단부(411)가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후크(422)는 체결고리본체(421)와 연결되고, 벨트부(410)의 타단부(412)에 결합된다. 체결후크(422)는 제1체결후크(422a)와 제2체결후크(422b)를 포함한다. 제1체결후크(422a)는 체결고리본체(421)에서 체결고리본체(421)와 마주보도록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벨트부(410)의 타단부(412)를 관통한다.
제2체결후크(422b)는 제1체결후크(422a)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벨트부(410)의 타단부(412)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2체결후크(422b)는 제1체결후크(422a)와 직각을 이룬다. 이로 인해, 긴급한 상황에서 체결후크(422)를 벨트부(410)로부터 분리하여 착용자(10)를 영유아용 안전조끼(2)를 안전하게 구할 수 있다.
고리부(500)는 한 쌍의 정면부(2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고리부(500)는 한 쌍의 정면연장본체(22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스트랩부(600)는 고리부(500) 및 체결부(400)와 결합되며, 착용자(10)의 다리를 구속한다. 스트랩부(600)는 스트랩(610)과 스트랩후크(620)를 포함한다. 스트랩(610)은 복수개로 가닥으로 이루어진다. 스트랩후크(620)는 스트랩(61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고리부(500) 및 체결부(400)의 벨트부(410)에 결합된다. 이때, 스트랩후크(620)는 후면부(100)에 위치되는 체결부(400)의 벨트부(410)에 결합된다. 일 예로, 스트랩(610)은 세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끝단부에 각각 스트랩후크(620)가 결합된다.
표시부(700)는 한 쌍의 정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안전벨트(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착위치를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700)는 정면부(200)의 제1설치밴드(212) 및 제2설치밴드(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700)가 화살표로 제1설치밴드(212) 및 제2설치밴드(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 아니라, 표시부(700)는 다각형 등 다른 문양이나 글씨 등으로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안전조끼(2)는 3점식 안전벨트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긴급상황에서 3점식 안전벨트와의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2 : 영유아용 안전조끼 10 : 착용자
20 : 안전벨트 21 : 사선안전벨트
22 : 수평안전벨트 100 : 후면부
200 : 정면부 210 : 정면본체부
211 : 정면몸체 212 : 제1설치밴드
213 : 덮개부 213a : 벨크로
220 : 정면연장부 221 : 정면연장본체
222 : 제2설치밴드 300 : 고정버클부
310 : 고정버클본체 320 : 고정버클후크부
321 : 고정버클연결부 322 : 고정버틀이탈방지부
322a : 파손유도홈부 400 : 체결부
410 : 벨트부 411 : 일단부
412 : 타단부 412a : 체결홀부
420 : 체결고리부 421 : 체결고리본체
421a : 체결고리홀부 422 : 체결후크
422a : 제1체결후크 422b : 제2체결후크
500 : 고리부 600 : 스트랩부
610 : 스트랩 620 : 스트랩후크
700 : 표시부
3 : 헤드레스트 4 : 수납케이스

Claims (18)

  1. 착용자의 등을 감싸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양측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착용자의 가슴 및 배를 감싸는 한 쌍의 정면부;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클부; 및
    한 쌍의 상기 정면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안전벨트는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선안전벨트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안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버클부는 복수개로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사선안전벨트 및 상기 수평안전벨트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3. 제 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정면부는,
    상기 후면부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며, 상기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한 쌍의 정면본체부; 및
    한 쌍의 상기 정면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정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4. 제 3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정면본체부는,
    상기 후면부의 양측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전면을 감싸며, 서로 겹쳐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정면몸체;
    한 쌍의 상기 정면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는 제1설치밴드; 및
    상기 정면몸체의 양측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설치밴드를 덮는 한 쌍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5. 제 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덮개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벨크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6. 제 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정면연장부는,
    한 쌍의 상기 정면몸체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정면연장본체; 및
    한 쌍의 상기 정면연장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클부가 장착되는 제2설치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버클부는,
    상기 제1설치밴드와 상기 제2설치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고정버클본체; 및
    상기 고정버클본체의 양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선안전벨트 및 상기 수평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려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버클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버클후크부는,
    상기 고정버클본체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버클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연결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서로 마주보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선안전벨트 및 상기 수평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버클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9. 제 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이탈방지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연결부에서 상기 고정버클본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0. 제 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고정버클이탈방지부에는 파손유도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유도홈부는 상기 고정버클이탈방지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의 일단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체결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리부는,
    상기 벨트부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체결고리홀부가 형성되는 체결고리본체; 및
    상기 체결고리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체결고리본체에서 상기 체결고리본체와 마주보도록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제1체결후크; 및
    상기 제1체결후크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체결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후크는 상기 제1체결후크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6.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 및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착용자의 다리를 구속하는 스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7.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정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안전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착위치를 안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안전조끼.
  18. 제 1항 내지 제 17항의 어느 하나의 영유아용 안전조끼;
    상기 착용자의 목부분에 착용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영유아용 안전조끼와 상기 헤드레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KR1020210022441A 2021-02-19 2021-02-19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KR10250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41A KR102509733B1 (ko) 2021-02-19 2021-02-19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41A KR102509733B1 (ko) 2021-02-19 2021-02-19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701A true KR20220118701A (ko) 2022-08-26
KR102509733B1 KR102509733B1 (ko) 2023-03-15

Family

ID=8311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441A KR102509733B1 (ko) 2021-02-19 2021-02-19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7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717A (ja) * 2007-06-26 2009-01-15 Howashi:Kk 締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締着具並びに医療用装具
KR101871164B1 (ko) * 2017-07-14 2018-06-27 김민선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US20190135225A1 (en) * 2017-11-08 2019-05-09 Hoon Y. Kim Adjustable restrai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717A (ja) * 2007-06-26 2009-01-15 Howashi:Kk 締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締着具並びに医療用装具
KR101871164B1 (ko) * 2017-07-14 2018-06-27 김민선 조끼형 보조 구속 시스템
US20190135225A1 (en) * 2017-11-08 2019-05-09 Hoon Y. Kim Adjustable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733B1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548A (en) Vehicular passenger restraint systems
US4234229A (en) Safety harness for infants
US8491058B2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vest for vehicles
US5178439A (en) Child safety belt sleeve
US20160200288A1 (en) An improved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with six restraint points
KR101225929B1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KR101026860B1 (ko) 어린이용 안전시트
KR101716568B1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KR20220118701A (ko) 영유아용 안전조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유아 보호장치
KR101931805B1 (ko) 유아용 안전 벨트 시트 장치
GB2423057A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e.g. for pregnant women
KR101562801B1 (ko) 차량용 보조 안전벨트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KR200463003Y1 (ko) 조끼형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JP2002125718A (ja) バックルの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人体保護服
KR20036114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JP2000225918A (ja) 安全保護服
JP2001151074A (ja) 安全被服
JP6643463B2 (ja) シートベルト用補助具
KR102249205B1 (ko) 아동용 안전시트
KR200254070Y1 (ko) 차량용 어린이 보조시트
KR20030012296A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200195725Y1 (ko) 안전피복
KR101963394B1 (ko) 좌석 일체형 카시트
KR20200001443U (ko) 사중 고정 반려동물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