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423B1 -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 Google Patents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423B1
KR101869423B1 KR1020160177631A KR20160177631A KR101869423B1 KR 101869423 B1 KR101869423 B1 KR 101869423B1 KR 1020160177631 A KR1020160177631 A KR 1020160177631A KR 20160177631 A KR20160177631 A KR 20160177631A KR 101869423 B1 KR101869423 B1 KR 10186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lux cored
manganese steel
arc welding
wel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근
한일욱
이상철
김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는 중량%로, C: 0.05~0.30%, Si: 0.4~0.7%, Mn: 3.0~10.0%, P: 0.02% 이하, S: 0.01% 이하, Ni: 3.0~7.0%, Cr: 10.0~18.0%, Mo: 3.0% 이하(0 초과), Cu: 2.0% 이하(0 초과),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외피는 P: 0.01% 이하, S: 0.01% 이하, C: 0.015~0.025%, Si: 0.02% 이하, Mn: 0.2% 이하, 및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FLUX CORED ARC WELDING MATERIAL FOR HIGH MANGANESE STEEL}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자성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변압기 등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높은 강도와 함께, 우수한 비자성 특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니켈과 크롬이 다량 첨가된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강도가 낮고 가격이 높다는 점이 문제가 있다.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페라이트계 또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페라이트계 또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높은 자성을 가지며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비자성 특성을 갖추기 위해서 강 중에 Mn 및 C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높게 한 고망간강이 개발되어 왔다.
이에 고망간강의 특성 중 비자성 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이 개발되었으며, 이에 맞춤형 용접재료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C의 함량이 낮은 수준으로 관리되나, 고망간강의 경우 C의 함량이 높은 수준으로 관리되는 특징이 있어 기존 스테인리스강에 적용되던 용접재료로 용접시 용접부 균열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88144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는, 외피 및 상기 외피 내부에 플럭스가 충진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중량%로, C: 0.05~0.30%, Si: 0.4~0.7%, Mn: 3.0~10.0%, P: 0.02% 이하, S: 0.01% 이하, Ni: 3.0~7.0%, Cr: 10.0~18.0%, Mo: 3.0% 이하, Cu: 2.0% 이하,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P: 0.01% 이하, S: 0.01% 이하, C: 0.015~0.025%, Si: 0.02% 이하, Mn: 0.2% 이하,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된 용접부는 -29℃에서 50J/mm 이상의 충격 인성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접부는 380MPa 이상의 항복 강도, 600MPa 이상의 인장 강도, 30%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시 용접부의 균열 발생율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한 용접부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한 용접부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들 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 와이어 외피 내부에 플럭스가 충진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대한 것으로, 용접 재료는 외피를 포함하여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전체의 금속성분 조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는, 중량%로, C: 0.05~0.30%, Si: 0.4~0.7%, Mn: 3.0~10.0%, P: 0.02% 이하, S: 0.01% 이하, Ni: 3.0~7.0%, Cr: 10.0~18.0%, Mo: 3.0% 이하, Cu: 2.0% 이하,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각 합금원소의 특성 및 조성범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C: 0.05~0.30%
C는 용접부의 강도를 확보하고, 용접부의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강력한 원소이다. C의 함량이 0.30%를 초과하면, 용접 중 공정 화합물을 과다하게 형성해 고온균열과 용접 퓸(Fume) 및 스패터 발생을 조장하며, 망간, 크롬 등의 합금원소와 결합하여 MC, M23C6 등의 카바이드를 생성하여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Si : 0.4~0.7%
Si는 용접시 Mn가 함께 복합 탈산 효과의 극대화 및 용접 비드의 퍼짐성을 위해서 첨가시키는 원소이다. 이러한 Si의 함량이 불충분(0.4% 미만)하면 용접부의 유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반면에 Si의 함량이 0.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부 내의 편석 등을 유발하여 충격 인성을 저하시키고 공정화합물이 과다하게 석출되어 용접 균열 감수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Mn: 3.0~10.0%
Mn은 오스테나이트를 생성시키는 주요 원소로서 용접 중 산소, 황과 반응해 탈산, 탈황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Mn은 C의 고용도가 매우 높은 원소로 Mn을 일정량 첨가함에 따라 다량의 C를 포함하고 있는 모재의 용접시 C의 고용도를 높이고 용접시 균열 발생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만일 Mn의 함량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오스테나이트가 생성되지 않아 강도가 저하되며, C를 충분히 고용하지 못하여 용접시 균열 발생율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Mn의 함량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석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고온균열이 유발되며, 유해한 흄(Fume)이 발생될 수 있다.
P: 0.02% 이하, S: 0.01% 이하
P와 S는 미량 첨가에 의해서도 저융점화합물을 쉽게 생성하여 재료의 융점을 저하시켜 고온 균열 감수성이 증가하므로, 가급적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각 0.02%, 0.01%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 S 모두 0.01%를 넘지 않도록 제한한다.
Ni : 3.0~7.0%
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첨가되는 성분이다. Ni을 3.0% 이상 첨가하게 되면 충격인성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용접이음부내의 적층결함에너지(stacking fault energy, SFE)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충격 인성을 증가시킨다. 반면, Ni은 용접부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소일 뿐만 아니라 용접 재료의 가격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므로 7.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r : 10.0~18.0%
Cr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내산화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Cr을 10.0% 미만 첨가시, 충분한 내산화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없으며, Cr을 18.0% 초과 첨가시, 고온에서 페라이트 및 크롬탄화물이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Mo : 3.0% 이하(0 초과)
Mo는 강도 향상을 위해서 첨가될 수 있으며, 아울러, Mo계열의 탄화물을 미세하게 석출시켜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Mo의 함량은 0.01%이상 첨가하는 경우 강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석출물은 저온 및 고온에서의 충격인성 저하를 유발하게 되며, 3.0%를 초과하면, 연성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이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2.0% 이하(0 초과)
Cu도 Ni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첨가되는 성분이다. Cu를 첨가하게 되면 충격인성은 증가하게 되나, 2.0% 초과시 균열 민감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이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는, 외피 및 외피 내부에 플럭스가 충진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전체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조성 중 상기 외피는 P: 0.01% 이하, S: 0.01% 이하, C: 0.015~0.025%, Si: 0.02% 이하, Mn: 0.2% 이하,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비자성 강재로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하기 위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의 외피는 C: 0.08% 이하, Si: 0.08% 이하, Mn: 2.0% 이하, P: 0.04% 이하, S: 0.03% 이하, Ni: 8~11%, Cr: 18~20%를 포함한다.
상술한 성분계를 포함하는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된 용접부는 -29℃에서 50J/mm 이상의 충격 인성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접부는 380MPa 이상의 항복 강도, 600MPa 이상의 인장 강도, 30%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중량%로, C: 0.4%, Mn: 22%, Si: 0.3%, P: 최대 0.03%, S: 최대 0.01%를 포함하는 고망간강에 대하여, 하기 표 1의 성분계를 가지는 직경이 1.6mm인 와이어를 이용하여 1.5kJ/mm 입열량으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을 실시하였다. 상기 FCAW시 전류, 전압, 용접속도, 층간온도는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C Si Mn P S Ni Cr Mo Cu
실시예1 0.103 0.619 3.419 0.001 0.008 5.752 17.21 0.02 0.01
실시예2 0.223 0.481 9.762 0.007 0.007 3.629 10.74 0.01 0.01
실시예3 0.152 0.523 6.421 0.014 0.009 4.923 11.65 2.52 0.01
실시예4 0.092 0.498 5.521 0.012 0.009 6.572 16.23 0.04 1.98
실시예5 0.251 0.523 4.231 0.008 0.002 4.352 15.23 0.02 0.07
비교예1 0.078 0.706 5.350 0.021 0.003 7.772 16.72 0.04 0.12
비교예2 0.181 0.526 9.436 0.022 0.004 5.102 11.94 0.02 0.08
비교예3 0.210 0.324 7.463 0.019 0.004 6.762 13.42 0.03 0.10
비교예4 0.174 0.542 9.1 0.022 0.005 5.299 12.16 0.024 0.08
모재 두께(mm) 용접 자세 용접 극성 보호 가스 전류 (A) 전압 (V) 용접 속도 (cpm) 층간 온도 (℃)
판 맞대기 접합 12 플랫 (flat) DC(+) 100% CO2 180~220 25~28 20~35 Max. 150
상기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후 형성된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용접부의 균열 발생 여부를 육안 관찰하였으며, 상기 용접부 시편의 인장 시험 후, 항복 강도,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기계적 성질 중 충격인성은 샤르피 충격시험(-29℃)을 통해 용접부의 충격 흡수 에너지(vE)를 평가하였다.
용접부 균열 여부 충격 인성 값 (-29℃) (J/mm) 항복 강도 (MPa) 인장 강도 (MPa) 연신율(%)
실시예1 양호 68 385 612 31.2
실시예2 양호 72 423 643 39.2
실시예3 양호 52 412 632 34.2
실시예4 양호 54 395 616 35.2
실시예5 양호 67 445 693 33.2
비교예1 균열 - - - -
비교예2 균열 - - - -
비교예3 균열 - - - -
비교예4 균열 - - -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한 용접부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한 용접부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은 상기 실시예 1의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간의 용접 후 용접부 단면을 관찰한 결과로 용접부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는 상기 비교예 1의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간의 용접 후 용접부 단면을 관찰한 결과로 상기 실시예와 달리 용접부에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내용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된 용접부는 -29℃에서 50J/mm 이상의 충격 인성값을 가지며, 380MPa 이상의 항복 강도, 600MPa 이상의 인장 강도, 30%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며, 용접부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외피 및 상기 외피 내부에 플럭스가 충진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 이루어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중량%로, C: 0.05~0.30%, Si: 0.4~0.7%, Mn: 3.0~10.0%, P: 0.02% 이하, S: 0.01% 이하, Ni: 3.0~7.0%, Cr: 10.0~18.0%, Mo: 3.0% 이하(0 초과), Cu: 2.0% 이하(0 초과),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P: 0.01% 이하, S: 0.01% 이하, C: 0.015~0.025%, Si: 0.02% 이하, Mn: 0.2% 이하,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고망간강을 모재로 하여 용접된 용접부는 -29℃에서 50J/mm 이상의 충격 인성값을 가지는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380MPa 이상의 항복 강도, 600MPa 이상의 인장 강도, 30%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KR1020160177631A 2016-12-23 2016-12-23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KR10186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31A KR101869423B1 (ko) 2016-12-23 2016-12-23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31A KR101869423B1 (ko) 2016-12-23 2016-12-23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423B1 true KR101869423B1 (ko) 2018-06-21

Family

ID=6280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31A KR101869423B1 (ko) 2016-12-23 2016-12-23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4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710A (ko) *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및 이를 이용한 용접이음부
KR102221969B1 (ko) * 2020-03-24 2021-03-02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 용접성이 우수한 자동용접용 솔리드와이어
CN112894199A (zh) * 2021-01-20 2021-06-04 浙江鸿途焊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超低温高锰钢的熔化极气体保护焊药芯焊丝
KR102269556B1 (ko) * 2020-08-28 2021-06-2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용접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Mn강 Annular의 맞대기 FCAW 용접방법
KR20230132902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세아에삽 극저온용 고망간강 용접을 위한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594A (ja) * 1985-08-31 1987-03-10 Aichi Steel Works Ltd 高Mn非磁性鋼の溶接法
KR100188144B1 (ko) 1997-01-15 199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측정 장치
DE19908034A1 (de) * 1999-02-24 2000-09-07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Fülldraht zum Schweißen und Schweißverfahren
KR101560897B1 (ko) * 2013-12-06 2015-10-15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KR20160078621A (ko)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용 tig 용접 재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594A (ja) * 1985-08-31 1987-03-10 Aichi Steel Works Ltd 高Mn非磁性鋼の溶接法
KR100188144B1 (ko) 1997-01-15 199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측정 장치
DE19908034A1 (de) * 1999-02-24 2000-09-07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Fülldraht zum Schweißen und Schweißverfahren
KR101560897B1 (ko) * 2013-12-06 2015-10-15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KR20160078621A (ko)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용 tig 용접 재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710A (ko) *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및 이를 이용한 용접이음부
KR102045634B1 (ko) 2017-12-13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및 이를 이용한 용접이음부
KR102221969B1 (ko) * 2020-03-24 2021-03-02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 용접성이 우수한 자동용접용 솔리드와이어
KR102269556B1 (ko) * 2020-08-28 2021-06-2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용접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Mn강 Annular의 맞대기 FCAW 용접방법
CN112894199A (zh) * 2021-01-20 2021-06-04 浙江鸿途焊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超低温高锰钢的熔化极气体保护焊药芯焊丝
KR20230132902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세아에삽 극저온용 고망간강 용접을 위한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423B1 (ko)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JP5387168B2 (ja) フラックス入り高張力鋼用溶接ワ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7192B2 (ja) ガスシールド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US20080099455A1 (en) Flux-cored wire for gas shielded arc welding for creep-resisting steels
JP4958872B2 (ja) 大入熱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方法
KR102208029B1 (ko)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와이어,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및 용접 이음
JP2011173124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方法
JP2019063868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用溶接材料
KR20160130312A (ko) 강도, 인성 및 내sr균열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
KR102237487B1 (ko)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202214A (ja) 溶接金属部の靱性が優れた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方法
KR101657836B1 (ko) 극저온 인성, 내열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JP2018075613A (ja) 非消耗ノズル式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方法及び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2011224612A (ja) 靭性が優れた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継手
EP3795709B1 (en) High chromium creep resistant weld metal for arc welding of thin walled steel members
EP3795708B1 (en) High chromium creep resistant weld metal for arc welding of thick walled steel members
JPWO2015151521A1 (ja) 溶接継手
KR20190070710A (ko)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및 이를 이용한 용접이음부
KR20170082304A (ko) 내 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6977409B2 (ja) 安定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溶接部材
JP2011206828A (ja) 細径多電極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溶接ワイヤ
KR100581027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264606B1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20180074415A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대입열 용접이음부
KR20140084655A (ko)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금속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