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192B1 -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192B1
KR101866192B1 KR1020160164121A KR20160164121A KR101866192B1 KR 101866192 B1 KR101866192 B1 KR 101866192B1 KR 1020160164121 A KR1020160164121 A KR 1020160164121A KR 20160164121 A KR20160164121 A KR 20160164121A KR 101866192 B1 KR101866192 B1 KR 10186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ircumferential surface
cross
axle
sid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욱
권대성
김동환
Original Assignee
류형욱
권대성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욱, 권대성, 김동환 filed Critical 류형욱
Priority to KR102016016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03Steerabl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과; 모터와 모터 샤프트 상에 축결합된 구동기어 및 모터 샤프트의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2개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프레임; 및 2개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크로스 빔과, 사이드 프레임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중공부를 갖추고 크로스 빔의 양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채널, 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하고 한쌍의 채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환봉, 및 환봉의 나선홈 상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 내주면에 나선돌기를 갖추고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맞물리게 배치된 종동기어를 구비한 차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Vehicle frame assembly having a front axle being displace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은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조적으로, 자동차는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차체는 차실, 엔진 룸, 트렁크 룸 등의 자동차 외형을 구성하는 부분이며, 섀시는 엔진, 동력전달장치, 현가장치, 브레이크 장치 등의 자동차 주행에 필요로 구성을 의미한다.
프레임은 앞서 기술된 섀시를 차체에 설치하는 부분으로, 설치 부품과 하중 등을 지지한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특허문헌 1과 같이 적하중에 의한 비틀림, 진동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갖는 프레임 보강 구조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종래기술과 같은 프레임 보강 구조는 단순히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해 주행중인 차량에서 회전(코너링,cornering)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이 쏠리는 현상에 대한 보안책을 간과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38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차량 코너링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전륜 차축을 횡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과;
모터와 모터 샤프트 상에 축결합된 구동기어 및 모터 샤프트의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2개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프레임; 및
2개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크로스 빔과, 사이드 프레임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중공부를 갖추고 크로스 빔의 양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채널, 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하고 한쌍의 채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환봉, 및 환봉의 나선홈 상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 내주면에 나선돌기를 갖추고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맞물리게 배치된 종동기어를 구비한 차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을 통해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차축 프레임을 횡방향으로 변위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환봉 외주면에 종동기어를 배치되는데, 종동기어의 회전을 통해 환봉을 횡방향으로 밀어붙이기 위해 원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차축 프레임은 나선돌기의 형성방향을 따라 종동기어의 관통공 내주면에 볼 베어링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구동기어의 타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톱니형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샤프트 외주면 둘레에 디스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크의 일측면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구동기어의 타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구비된 톱니형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형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은 디스크 외주면 둘레에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은 환봉의 횡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그립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 프레임의 변위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채널의 중공부의 내주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용홈과 내주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용홈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2 수용홈은 다수의 롤러 베어링을 배치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은 채널의 제1 수용홈 내부에 결합되도록 사이드 프레임의 외주면 상부에 제1 걸림돌기와 채널의 제2 수용홈 내부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하부에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륜 차축을 사이드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너링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무게중심의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링 각 발생을 감소시켜 좌측 차륜과 우측 차륜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분산시켜 신뢰할 수 있는 안정성과 승차감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동력전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전륜 차축의 좌측 변위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전륜 차축의 우측 변위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는, 코너링 시 원심력 등의 외력 영향으로 인해 차량의 무게중심을 회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무게중심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롤링 각 발생을 감소시켜 좌측 차륜과 우측 차륜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분산시켜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하부를 지지하고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10)과; 사이드 프레임(10)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프레임(20); 및 차량 차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의 좌우측에 차량의 전륜을 위치시킬 수 있는 차축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는데, 차축 프레임(30)이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동력전달부를 통해 횡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축 프레임(30)의 양단부는 조향장치의 조절을 통해 선회 궤적을 가지는 전륜(미도시)을 구비하는데, 차축 프레임과 전륜의 연결을 돕는 현가장치와 전륜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암(lever arm), 스프링 운동을 통해 쿠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여기서 배제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사이드 프레임(10)은 차량의 길이방향(혹은 전후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전륜과 후륜 사이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10)의 전방은 좌우측에 차량의 전륜을 위치시킬 수 있는 차륜 위치 지점을 가로질러 차축 프레임(30)을 배치하는 한편, 차축 프레임(30)과 평행하게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10)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되어 있는 크로스 프레임(20)을 구비한다. 크로스 프레임(20)은 차축 프레임(30)의 후방에 배치되게 도해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차축 프레임(30)의 전방에 배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크로스 프레임(20)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10)에서 횡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있는 차축 프레임(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횡방향 강성을 지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크로스 프레임(20)은 모터(M)와 이 모터 샤프트(M1)에 축지지되는 원통형상의 구동기어(210) 및 모터 샤프트(M1)의 끝단을 지지하는 브라켓(250)을 구비한다.
모터(M)는 크로스 프레임(20) 상에 위치고정되어 구동기어(210)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한편, 브라켓(250)은 모터(M)와 대향되게 크로스 프레임(20) 상에 안착된다. 브라켓(250)은 샤프트(M1)의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부재이며, 브라켓(250)은 모터와 대향면되는 일측면에 안착홈부를 형성하고 안착홈부 내주면에 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기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둘레에 치상돌기를 구비한 피니언(pinion)기어일 수 있으며 샤프트(M1) 상에 결합배치되어, 샤프트(M1)의 회전력에 종속되어 회전구동하게 되어 있다. 구동기어(210)는 모터(M)와 브라켓(250)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는데, 바람직하기로 구동기어(210)는 크로스 프레임(2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구동기어(210)는 브라켓(250)과 대향되는 타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211)를 구비한다. 크로스 프레임(20)은 구동기어(210)와 브라켓(250) 사이에 디스크(230)를 배치할 수 있으며, 모터 샤프트(M1)는 디스크(230)의 내부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로 삽입되어 디스크(2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구동기어(210)와 동축선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디스크(230)는 모터 샤프트(M1)의 회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스크(230)의 일측면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톱니형 돌기(231)를 구비한다. 구동기어(210)의 톱니형 돌기(211)와 디스크(230)의 톱니형 돌기(231)를 서로 맞물리도록 근접배치함으로써, 디스크(230)의 제동을 통해 구동기어(2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20)은 브라켓(250)의 일측면 전방에 배치된 디스크(230) 외주면 둘레에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캘리퍼(240;caliper)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브레이크 캘리퍼(240)는 전기식 혹은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디스크(230)를 캘리퍼 내부의 패드로 밀착시켜 디스크(230)를 제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모터(M)의 스위치 온(on)/오프(off)를 통해 구동기어(2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캘리퍼(240)의 작동을 통해서도 구동기어(2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차축 프레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10)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크로스 빔(310)과,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중공부를 갖추고 크로스 빔(310)의 양 단부에 배치된 채널(320), 한쌍의 채널(320) 사이에 개재되고 외주면에 나선홈(332)을 구비한 환봉(330), 및 환봉(330)의 나선홈(332) 상에 배치되고 구동기어(210)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기어(340)로 이루어져 있다.
차축 프레임(30)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10)에 전륜 위치부 둘레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중공부(321)를 갖춘 채널(320)을 구비하는데, 사이드 프레임(10)의 전륜 위치부가 횡방향, 즉 좌우측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채널(320)의 중공부(321) 내부에 삽통된다. 한쌍의 채널(320)은 평행하게 배열된 크로스 빔(310)과 환봉(330)을 통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으며, 횡방향 강성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채널(320)과 사이드 프레임(10) 간에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채널(320)은 중공부(321)의 내주면 상부에 제1 수용홈(321a)과 내주면 하부에 제2 수용홈(321b)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수용홈(321a,321b)은 사이드 프레임(10)의 횡방향 변위 방향과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의 변위방향을 안내할 수 있으며 차축 프레임(30)의 종방향 이동(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사이드 프레임(10)은 채널(320)의 제1 수용홈(321a) 내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외주면 상부에 제1 걸림돌기(10a)와 함께 채널(320)의 제2 수용홈(321b) 내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외주면 하부에 제2 걸림돌기(10b)를 구비한다.
차축 프레임(30)의 횡방향 변위시, 사이드 프레임(10)이 차축 프레임(30)의 채널(320)의 중공부(321) 내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마찰이나 동력손실을 줄이면서 횡방향이동가능하도록 제2 수용홈(321b)에 다수의 롤러 베어링(322)을 구비한다.
특별하기로, 종동기어(340)는 이의 외주면 둘레에 치상돌기를 구비한 피니언 기어일 수 있으며, 구동기어(210)와 치합되도록 맞물릴 수 있게 환봉(3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종동기어(340)는 이의 내부영역에서 축선방향으로 천공된 관통공(341)을 형성하고, 관통공(34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돌기(342)를 나선방향으로 형성한다.
종동기어(340)는 구동기어(210)와 맞물려 회전하는데, 이때 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원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종동기어(340)는 크로스 프레임(20)의 지지바아(미도시)를 통해 환봉 외주면 둘레에서 나사결합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현수방식으로 지지보유되어 구동기어(21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는 종동기어의 회전을 통해 환봉(330)의 용이한 횡방향 변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종동기어(342)의 내주면에 나선돌기(342)를 대신하여 볼 베어링(미도시)을 나선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으며 나선돌기 상에 볼 베어링을 장착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차축 프레임(30)의 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크로스 프레임(20)에서 환봉(330)으로 뻗어 있는 그립부(260;grip)를 구비한다. 그립부(260)는 환봉(330)을 필요시 파지하여 환봉의 횡방향 변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a)는 전륜 차축의 좌측 변위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전륜 차축의 우측 변위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코너링 시 차체의 전륜 차축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종래의 차량은 코너링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는 반대방향, 즉 바깥방향으로 차체가 기울어져 조향하면서 안정성과 승차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은 전륜 차축을 회전하는 바깥방향으로 차량의 조향각 등에 맞춰 강제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무게중심을 회전하는 바깥방향으로 이동시켜 코너링시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만약 모터(M)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기어(210)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3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토크를 전달받게 된다. 제자리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340)는 종동기어의 관통공(341)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돌기(342)와 환봉(330)의 나선홈(332) 간에 나사결합에 의해 상대적으로 환봉(330)을 강제로 좌측으로 밀어붙이게 되고 환봉의 좌측 이동에 종속되어 차축 프레임(30)을 좌측방향으로 변위시켜, 차량의 전방측 무게중심을 채널의 중공부 크기만큼 좌측으로 변동될 수 있게 한다(도 4 참조).
이와 달리, 모터(M)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기어(210)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3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토크를 전달받게 된다. 제자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340)는 환봉(300)을 강제로 우측으로 밀어붙이게 되고 환봉의 우측 이동에 종속되어 차축 프레임(30)을 우측방향으로 변위시켜, 차량 전방측의 무게중심을 채널의 중공부 크기만큼 우측으로 변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사이드 프레임,
20 ----- 크로스 프레임,
210 ----- 구동기어,
240 ----- 브레이크 캘리퍼,
250 ----- 브라켓,
30 ----- 차축 프레임,
310 ----- 크로스 빔,
320 ----- 채널,
330 ----- 환봉,
340 ----- 종동기어,
M ----- 모터.

Claims (10)

  1.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10)과;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샤프트(M1) 상에 축결합된 구동기어(210) 및 상기 샤프트(M1)의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250)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사이드 프레임(10)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프레임(20); 및
    상기 2개의 사이드 프레임(10)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크로스 빔(31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중공부(321)를 갖추고 상기 크로스 빔(310)의 양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채널(320), 외주면에 나선홈(332)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채널(3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환봉(330), 및 상기 환봉(330)의 나선홈(332) 상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341) 내주면에 나선돌기(342)를 갖추고 상기 구동기어(210)와 치합되도록 맞물리게 배치된 종동기어(340)를 구비한 차축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M)의 구동을 통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10) 상에서 상기 차축 프레임(30)을 횡방향으로 변위이동시킬 수 있는,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340)는 상기 구동기어(210)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원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고정되어 있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축 프레임(30)은 나선돌기(342) 형성방향을 따라 볼 베어링을 배치하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210)는 타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톱니형 돌기(211)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프레임(20)은 상기 모터의 샤프트(M1) 외주면 둘레에 디스크(230)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디스크(230)는 일측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기 톱니형 돌기(211)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형 돌기(231)를 구비하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프레임(20)은 상기 디스크(230) 외주면 둘레에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캘리퍼(240)를 추가로 구비하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프레임(20)은 상기 환봉(330)의 횡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그립부(260)를 추가로 구비하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32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의 변위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321)의 내주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수용홈(321a)과 내주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용홈(321b)을 구비하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홈(321b)은 다수의 롤러 베어링(322)을 배치하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은 외주면 상부에 상기 제1 수용홈(321a) 내에 안착되는 제1 걸림돌기(10a)와 외주면 하부에 상기 제2 수용홈(321b) 내에 안착되는 제2 걸림돌기(10b)를 구비하는,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KR1020160164121A 2016-12-05 2016-12-05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KR10186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121A KR101866192B1 (ko) 2016-12-05 2016-12-05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121A KR101866192B1 (ko) 2016-12-05 2016-12-05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192B1 true KR101866192B1 (ko) 2018-06-12

Family

ID=6262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121A KR101866192B1 (ko) 2016-12-05 2016-12-05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8419A (ko) 2022-11-10 202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프레임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896B2 (ja) * 1987-12-15 1995-08-02 シユタイル−ダイムレル−プーフ・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前車軸を駆動される自動車
KR100333881B1 (ko) 1999-12-11 2002-04-25 류정열 자동차 프레임 보강 구조
KR20030055449A (ko) * 2001-12-26 200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멀티링크형 현가장치
JP2005517564A (ja) * 2002-02-12 2005-06-16 ツェットエフ レムフェルダー メタルヴァーレ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用のスタビライザー
KR20110110326A (ko) * 2009-02-20 2011-10-0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이드 레일식 차량용 대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896B2 (ja) * 1987-12-15 1995-08-02 シユタイル−ダイムレル−プーフ・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前車軸を駆動される自動車
KR100333881B1 (ko) 1999-12-11 2002-04-25 류정열 자동차 프레임 보강 구조
KR20030055449A (ko) * 2001-12-26 200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멀티링크형 현가장치
JP2005517564A (ja) * 2002-02-12 2005-06-16 ツェットエフ レムフェルダー メタルヴァーレ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用のスタビライザー
KR20110110326A (ko) * 2009-02-20 2011-10-0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이드 레일식 차량용 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8419A (ko) 2022-11-10 202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프레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971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4942739B2 (ja) 後輪操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原動機付き車両
US9376139B2 (en) Ball screw having bearing compensation
US2008002279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JP6887498B2 (ja) ステアリング伝動機構および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WO2019044262A1 (ja) 車両用駆動装置
JP2007168708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6386903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車両用転舵装置
US20120024103A1 (en) Steering column device
JP4604978B2 (ja) 車両用駆動輪構造
KR101866192B1 (ko) 횡방향 변위가능한 전륜 차축을 갖춘 자동차 프레임 조립체
JP2007118749A (ja) 車両用懸架装置
JP469668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604977B2 (ja) 車両用駆動輪構造
JP6001166B2 (ja) 自動車両のための駆動されるアクスルギア
JP7419893B2 (ja) 電気自動車用駆動装置、駆動ユニットおよび電気自動車
JP6912986B2 (ja) ブレーキキャリパ装置
RU2565631C2 (ru) Система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859051B1 (ko) 스프링 회전형 능동 서스펜션
KR20040033578A (ko) 횡강성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후륜현가장치
CN112770951A (zh) 电驱动轴
JP639026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0250905A1 (ja) 転舵装置
JP7172865B2 (ja) 転舵装置
KR102501282B1 (ko) 인 휠 드라이브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