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330B1 -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330B1
KR101860330B1 KR1020160179751A KR20160179751A KR101860330B1 KR 101860330 B1 KR101860330 B1 KR 101860330B1 KR 1020160179751 A KR1020160179751 A KR 1020160179751A KR 20160179751 A KR20160179751 A KR 20160179751A KR 101860330 B1 KR101860330 B1 KR 10186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ring
injection hole
chemical solution
solu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성
허동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102016017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1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using materials with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이 제2 유닛에 연결되고, 제3 유닛은 제2 유닛을 관통하여 제1 유닛에 연결 고정되어 변위 조작에 의하여 제1 유닛을 제2 유닛의 일단부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수축 또는 신장하는 다양한 동작을 허용하되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이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상시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통해 척추미세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통해 척추미세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테타는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직접 신체에 삽입되는 모든 수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물품으로써, 혈관 주사용, 요도 삽입용, 기도삽입용, 복강경 수술용 카테타 등 다양한 신체 삽입을 위한 카테타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들 중에서 등록특허 제10-0476972호의 "풍선 척추 성형술의 카테터구조"와, 등록특허 제10-1266967호의 "척추 성형시술용 풍선 카테터" 등과 같은 것들은 척추 시술용으로 활용되는 카테터 장치라 할 수 있다.
선행기술들은 카테터의 말단에 팽창 가능한 풍선과 같은 부재를 구비하여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협착을 해소하거나, 척추뼈 주변의 협착된 신경들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한다는 원리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모두 풍선과 같이 팽창 가능한 부재의 팽창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 자체가 매우 힘들어, 병변 부위가 아닌 곳을 건드리는 치명적인 수술 사고로 이어질 우려 또한 다분하였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476972호 등록특허 제10-12669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통해 척추미세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까지 함몰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 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상기 제1 유닛과 연통되는 약액 주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호스 본체와,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으로 단차지게 일정 깊이로 함몰되며, 상기 약액 주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원통 형상의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의 일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과 평행하게 상기 호스 본체 및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2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가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조작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양단 관통의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액 주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중심부는 상기 약액 주입홀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상기 약액 주입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이 제2 유닛에 연결되고, 제3 유닛은 제2 유닛을 관통하여 제1 유닛에 연결 고정되어 변위 조작에 의하여 제1 유닛을 제2 유닛의 일단부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수축 또는 신장하는 다양한 동작을 허용하되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이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상시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자연스레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치명적인 수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제2 유닛의 제2 단부측을 향하여 후퇴한 후 튕겨나가듯 신장되는 동작과 함께, 제2 유닛의 제1 단부와 제1 유닛이 제2 유닛의 제2 단부측에 대하여 좌우로 구부러지는 동작을 허용하여, 가늘고 미세하며 협소한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가벼운 충격이나 미세한 조작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해 냄으로써 우수한 시술 결과를 피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분해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분해 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이 결합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에 내장되며, 스프링(500)은 이러한 제3 유닛(300)의 변위 조작후 원위치 복귀, 즉 제1, 2 유닛(100, 200)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이하 미도시)를 통하여 삽입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척추 주변의 병변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가벼운 충격을 가하여 협착 조직 등을 분리하거나 약액을 배출시켜 세척하는 배출로를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통상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후술할 제2 유닛(200)보다 경도가 높고, 내구성과 내부식성 및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과 연결되는 제1 단부(201)와, 제1 단부(201)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1 단부(201)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202)를 포함하며, 제2 단부(202)측에 비하여 제1 단부(201)측의 경도가 낮은 것으로, 후술할 제3 유닛(300)의 도 3과 같은 다양한 변위 조작에 의한 구부러짐과 수축 등의 각종 형상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3 유닛(300)은 제2 단부(202)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단부(201)를 통하여 제1 유닛(100)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301)와, 제2 단부(202)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302)를 포함하며, 제4 단부(302)를 변위시킴으로써 제1 단부(201)측을 포함한 제1 유닛(100)이 제2 유닛(200)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제2 단부(202)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스프링(500)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제2 유닛(200)에 대하여 제1 유닛(100)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자연스레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치명적인 수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400)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1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후술할 제3 유닛(300)은 단차부(120)의 끝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헤드부(110)에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단차부(120)의 끝면으로부터 헤드부(110)까지 함몰되어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 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130, 1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고정홈(130, 130) 각각의 중심부는, 고정홈(130, 130) 각각에 안착 고정될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의 동시 또는 순차적인 조작에 지장이 없도록, 단차부(120) 끝면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역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호스 본체(210)와 안착홈(22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호스 본체(210)는 제1 단부(201)로부터 제2 단부(202)까지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제1 단부(201)측으로부터 제2 단부(202)까지 제1 유닛(100)과 연통되는 약액 주입홀(400)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안착홈(220)은 호스 본체(210)의 제1 단부(201)의 끝면으로부터 제2 단부(202)측으로 단차지게 일정 깊이로 함몰되며, 약액 주입홀(40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스프링(500)이 안착되는 원통 형상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유닛(100)의 단차부(120)는 안착홈(220)에 삽입되고, 제3 유닛(300)은 약액 주입홀(400)과 평행하게 호스 본체(210) 및 안착홈(220)을 관통하여 제1 유닛(100)의 고정홈(130, 130)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유닛(200)을 이루는 호스 본체(210)는, 도 3과 같이 제1 단부(201)로부터 순차적으로 선단부(211)와 연성부(212)와 경성부(213)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선단부(211)는 안착홈(22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며, 연성부(212)는 후술할 경성부(213)보다는 경도가 낮으므로, 굴곡이나 수축 등의 형상 변형을 더욱 쉽게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경성부(213)는 선단부(211) 및 연성부(212)를 제외한 호스 본체(210)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정 정도의 경도를 가지며 제3 유닛(300)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약액 주입홀(400)의 외측에 형성되며, 호스 본체(210)의 제2 단부(202)의 끝면으로부터 안착홈(220)의 바닥면까지 관통되어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가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조작홀(230, 2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조작홀(230, 230) 각각의 중심은 약액 주입홀(400)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지되, 한 쌍의 조작홀(230, 230) 각각은, 전술한 제1 유닛(100)의 한 쌍의 고정홈(130, 130)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제3 단부(301)로부터 제4 단부(302)까지의 거리가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스프링(500)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중 하나의 조작 와이어(310, 310)를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 유닛(10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측과 함께 일측으로 휘어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모두를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 유닛(100)은 도 9와 같이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측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측은 수축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일련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의 제4 단부(302)는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조작 본체(610)와 조작 레버(630)가 외주면 양측에 구비된 조작 다이얼(62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작 본체(610) 내부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다이얼(62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조작 레버(630)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제1 유닛(100)의 헤드부(110)가 도 7 및 도 8과 같이 호스 본체(210)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구부러지는 회동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본체(610) 내부에서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전, 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다이얼(620) 자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조작 버튼(640)의 전후진 조작에 의하여, 제1 유닛(100)의 헤드부(110)가 도 9(b)와 같이 호스 본체(210)측으로 근접했다가, 즉 수축되며 후퇴했다가, 도 9(a)와 같이 호스 본체(210)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즉 신장되며 전진하는 진퇴 동작을 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500)은 양단 관통의 코일 스프링(500)이며,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들은 도 5와 같이 코일 스프링(50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액 주입홀(400)을 더 구비하여, 제2 단부(202)측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관(이하 미도시)을 통하여 세척용 약액을 공급하여 피시술자의 병변 부위의 2차 감염을 방지하고 소독과 살균 및 세척을 실시하는 약액의 공급통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500)의 중심부는 약액 주입홀(400)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들은 약액 주입홀(400)의 외측에 약액 주입홀(40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10과 같이, 헤드부(110)와 단차부(120)를 포함하되, 제3 유닛(300), 즉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들은 단차부(120)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프링(500)의 일단부는 단차부(120)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된 조작 와이어(310, 310)들 각각의 제3 단부(301)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도 11과 같이, 제3 유닛(300), 즉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의 제3 단부(301)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프링(500)의 일단부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용접 고정된 제3 단부(301)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유닛(300)은, 도 12와 같이,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의 제3 단부(301)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프링(500)은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에 장착되며, 스프링(500) 각각의 일단부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추가적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이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측을 향하여 후퇴한 후 튕겨나가듯 신장되는 동작과 함께,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와 제1 유닛(100)의 헤드부(110)가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측에 대하여 좌우로 구부러지는 동작을 허용하여, 가늘고 미세하며 협소한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가벼운 충격이나 미세한 조작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해 냄으로써 우수한 시술 결과를 피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통해 척추미세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헤드부
120...단차부
130, 130...고정홈
200...제2 유닛
201...제1 단부
202...제2 단부
210...호스 본체
220...안착홈
230, 230...조작홀
300...제3 유닛
301...제3 단부
302...제4 단부
310, 310...조작 와이어
400...약액 주입홀
500...스프링
610...조작 본체
620...조작 다이얼
630...조작 레버
640...조작 버튼
700...용접부

Claims (11)

  1.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까지 함몰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 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4.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상기 제1 유닛과 연통되는 약액 주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호스 본체와,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으로 단차지게 일정 깊이로 함몰되며, 상기 약액 주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원통 형상의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의 일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과 평행하게 상기 호스 본체 및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2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가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조작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단 관통의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액 주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중심부는 상기 약액 주입홀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상기 약액 주입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9.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10.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KR1020160179751A 2016-12-27 2016-12-27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KR10186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51A KR101860330B1 (ko) 2016-12-27 2016-12-27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51A KR101860330B1 (ko) 2016-12-27 2016-12-27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330B1 true KR101860330B1 (ko) 2018-05-23

Family

ID=6245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751A KR101860330B1 (ko) 2016-12-27 2016-12-27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3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5845A (zh) * 2021-09-29 2022-01-14 四川合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气性不易脱落的膏药贴
KR20220028878A (ko) *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828A (ja) * 1999-11-12 2001-07-03 Biosense Webster Inc 注入カテーテル
JP2010220824A (ja) * 2009-03-24 2010-10-0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内視鏡用湾曲形成具および内視鏡セット
KR20120015939A (ko) * 2010-08-13 2012-02-22 (주)세원메디텍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828A (ja) * 1999-11-12 2001-07-03 Biosense Webster Inc 注入カテーテル
JP2010220824A (ja) * 2009-03-24 2010-10-0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内視鏡用湾曲形成具および内視鏡セット
KR20120015939A (ko) * 2010-08-13 2012-02-22 (주)세원메디텍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8A (ko) *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KR102452158B1 (ko) 2020-08-31 2022-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CN113925845A (zh) * 2021-09-29 2022-01-14 四川合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气性不易脱落的膏药贴
CN113925845B (zh) * 2021-09-29 2024-01-09 四川合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气性不易脱落的膏药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09435B (zh) 医疗器械及处置方法
RU2531345C2 (ru) Наконечник катетера с пружиной
JP4883874B2 (ja) 脊柱を治療する外科用器具及び方法
JP5848445B2 (ja) 支持足部を備えた内視鏡器具
JP7188847B2 (ja) 操縦可能な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US10159497B2 (en) Device to aid in the deployment of a shape memory instrument
US8388520B2 (en) Shape control endoscope
JP2011143253A (ja) 棘突起間の動的デバイス
JP6311031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2347945B1 (ko) 관절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미세 수술기구
WO2006034396A2 (en) Ballo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JP5347425B2 (ja) 血栓吸引カテーテル組立体
US10821002B1 (en) Inflatable spinal implan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8014030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aterials into the Nose
KR101860330B1 (ko)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US9889286B2 (en) Fiducial deployment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6811318B2 (ja) カテーテル及び医療機器の製造方法
TWI688415B (zh) 導管系統以及血管內的導管
US20230000585A1 (en) Marking element for marking tissue
WO2014045870A1 (ja) 穿刺具組立体
JP2010213800A (ja) カテーテル
JP2008161264A (ja) 穿刺装置
JP2019058198A (ja) 医療デバイスおよび処置方法
US20200178764A1 (en) Visualization and spacemaking devices
JP2003290247A (ja) アブレーション用電極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