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939A -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939A
KR20120015939A KR1020100078485A KR20100078485A KR20120015939A KR 20120015939 A KR20120015939 A KR 20120015939A KR 1020100078485 A KR1020100078485 A KR 1020100078485A KR 20100078485 A KR20100078485 A KR 20100078485A KR 20120015939 A KR20120015939 A KR 20120015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asing
wire
driven cylinder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873B1 (ko
Inventor
맹성호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주)세원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메디텍 filed Critical (주)세원메디텍
Priority to KR102010007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8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싱에 구비되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종동부와; 상기 케이싱에 축회전 가능하게 걸쳐진 카테터 방위조절부와; 약액유동로를 갖는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에 결합하며 카테터 방위조절부에 고정되는 카테터홀더와; 상기 카테터에 내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종동부에 고정되며 후방으로 당겨져 카테터를 휘게 하는 인장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별도로 가져 카테터의 삽입이 편리하고 정확하며, 또한 보조와이어의 휨성이 뛰어나 카테터가 구부러지는 것에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보조와이어를 케이싱의 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 중 보조와이어가 카테터의 전방으로 돌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하고, 케이싱 후단부에 주사기를 결합시킬 수 있어 약액의 주입시 카테터가 흔들리지 않아 시술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카테터를 구부리기 위한 트리거와 이에 종동하는 요소가 기어 결합하므로 동력전달효율이 좋다.

Description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in body}
본 발명은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신경외과에서 주로 행해지는 신경융해술은, 척추의 꼬리뼈 부분에 체내로 통하는 구멍을 확보하고 상기 구멍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상기 카테터를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카테터의 선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중추신경과 신경가지의 신경조직을 괴사시키거나 염증유발 물질 및 유착들을 제거하는 시술법이다. 이러한 신경융해술은 가령 허리디스크나 목디스크는 물론 만성 요통환자와 신경병증성 통증을 동반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신경융해술에 사용되는 카테터장치는, 카테터가 체내의 목적하는 지점을 원활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카테터를 적절히 구부리거나 펴는 등의 제어를 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카테터로 유도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카테터장치는 대략, 손으로 감싸 잡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카테터와, 상기 케이싱 외측에 설치되며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카테터를 구부리는 제어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던 카테터장치는, 카테터를 구부리는 것에는 별 어려움이 없으나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다.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한다는 의미는, 이를테면 카테터가 구부러지지 않고 직선으로 뻗어있다고 할 경우, 직선으로 뻗어있는 상태에서의 카테터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삼은, 축회전방향의 방위조절을 의미한다.
즉 종래의 카테터장치는, 카테터가 구부러진 상태이건 직선으로 뻗어있는 상태이건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케이싱 자체를 상기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보통 상기한 신경융해술에 있어서 체내에 카테터를 삽입하는 과정에는, 체내의 통로가 그만큼 복잡하므로, 카테터를 반복적으로 구부리는 것은 물론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등의 과정이 빈번히 요구된다.
시술자가 모니터를 통해 체내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손으로 (손의 감각만으로) 케이싱을 이리 저리 돌리는 작업은, 매우 불안정하고 불편한 일이며 카테터의 정밀한 경로선택이나 진입을 어렵게 함은 물론, 경우에 따라 카테터의 체내의 중요한 조직에 상처를 입힐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케이싱을 돌리다가 실수로 케이싱을 놓칠 경우에는 체내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터가 외부로 빠져나와 카테터의 삽입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
한편, 상기 카테터장치에는 보조와이어가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보조와이어는, 시술 중 모니터에 그 모습이 나타나 현재 카테터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잘 보이게 하는 목적의 것으로서, 카테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약액주입통로의 내부에 끼워져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보조와이어는, 가급적 모니터에 잘 보일 수 있도록 굵게 제작되므로 뻣뻣하여 잘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보조와이어가 잘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시술 중 카테터를 구부려야 할 경우 보조와이어가 카테터가 휘어지는 것을 방해하여 오히려 시술을 불편하게 한다. 또한 특히 보조와이어의 선단부가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될 수 도 있는데, 금속성의 보조와이어가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면 체내의 조직에 상처를 주고 구멍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별도로 가져 카테터의 삽입이 편리하고 정확하며, 또한 보조와이어의 휨성이 뛰어나 카테터가 구부러지는 것에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보조와이어를 케이싱의 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 중 보조와이어가 카테터의 전방으로 돌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하고, 케이싱 후단부에 주사기를 결합시킬 수 있어 약액의 주입시 카테터가 흔들리지 않아 시술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카테터를 구부리기 위한 트리거와 이에 종동하는 요소가 기어 결합하므로 동력전달효율이 좋은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일부는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트리거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상기 트리거의 회동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종동부와; 상기 케이싱에 걸쳐진 상태로 케이싱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와; 그 선단부가 체내의 목표지점에 도달하도록 체내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상기 목표지점으로 유도하는 내부통로를 갖는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에 결합하며 카테터 방위조절부에 고정되어, 축회전부의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하는 카테터홀더와; 상기 카테터에 내장되되 카테터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고, 그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카테터홀더와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통과해 케이싱 내부의 종동부에 고정되어 종동부의 직선운동시 카테터의 후방으로 당겨져 카테터를 휘게 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약액을 상기 카테터홀더를 통해 카테터의 내부통로로 공급하는 약액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내에서 상기 약액주입관과 연결되고 그 일부가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싱 외부에서 약액주입용 주사기와 결합하는 어뎁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 장치에는, 상기 어뎁터와 약액주입관과 카테터 방위조절부와 커테터홀더를 차례로 통과해 그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에 도달하고 후단부는 상기 어뎁터에 결합한 상태로, 카테터의 체내 삽입시 그 모습이 의료용 영상촬영장치의 화면에 나타남으로써, 체내 카테터의 위치를 파악하게 하는 보조와이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선단부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형태를 취하는 와이어본체와, 상기 와이어본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본체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어뎁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직경의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테터 방위조절부는; 상기 장착구멍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카테터홀더를 일부 수용 고정하는 수용구멍을 갖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직선상 선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케이싱의 외부에 위치하고, 그 내부에 상기 카테터홀더를 일부 수용 고정하며 시술자에 의해 축회전하는 조작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종동부는;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상태로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상기 인장와이어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종동실린더와, 상기 종동실린더와 트리거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트리거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상기 종동실린더를 직선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종동실린더를 카테터홀더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와이어를 인장하는 트랙션바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의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부분에는 구동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랙션바디는; 상기 트리거의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종동실린더측으로 연장되어 종동실린더와 연결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동실린더는 일정직경을 갖는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그 외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져 종동실린더에 아암을 연결하는 견인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종동실린더에는, 상기 와이어의 후단부를 종동실린더에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볼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별도로 가져 체내 카테터의 삽입이 편리하고 정확하며, 또한 보조와이어의 휨성이 뛰어나 카테터가 구부러지는 것에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보조와이어를 케이싱의 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 중 보조와이어가 카테터의 전방으로 돌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하고, 케이싱 후단부에 주사기를 결합시킬 수 있어 약액의 주입시 카테터가 흔들리지 않아 시술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카테터를 구부리기 위한 트리거와 이에 종동하는 요소가 기어 결합하므로 동력전달효율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카테터의 내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카테터홀더 및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보조와이어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주사기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장치(1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11)는, 그 일측에 손잡이부(15)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3)과, 상기 케이싱(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17)와, 상기 케이싱(13)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테터방위조절부(21)와,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에 장착되는 카테터홀더(23)와, 상기 카테터홀더(23)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며 시술시 체내에 삽입되는 카테터(25)와, 상기 케이싱(13)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싱(13)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결하는 어뎁터(19)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3)은 두 개의 케이싱편(13a,13b)을 조립 구성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길쭉한 형태를 취하여 한 손으로 감아 잡을 수 있다. 상기 케이싱(13)의 형상은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트리거(17)는 케이싱편(13a,13b)의 사이에 위치한 회동축(도 3의 13c)에 지지되어 화살표 F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것으로서,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카테터(25)를 구부리는 역할을 한다. 즉 트리거(17)를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시킨 각도에 비례하여 카테터(25)가 구부러지는 것이다.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케이싱(13)의 전방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부재로서 조작다이얼(21a)을 갖는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은 카테터방위조절부(21)의 일부분으로서 케이싱(13)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 부재이다. 시술자가 상기 조작다이얼(21a)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카테터홀더(23)와 카테터(23)가 같은 방향으로 축회전되고, 카테터(25)가 구부러져 있는 상태라면 카테터는 도 2의 화살표 z방향으로 회동한다.
도면부호 27은 캡이다. 상기 캡(27)은 중심의 관통구멍(27a)을 통해 카테터홀더(23)를 통과시킨 상태로 조작다이얼(21a)에 고정된다. 상기 카테터홀더(23)는 캡(27)에 지지되어 조작다아얼(21a)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에 대한 캡(27)의 고정은 접착식 또는 나사 결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3)의 후방단부에 위치한 어뎁터(19)는 관통로(19b)를 갖는 일정직경의 튜브로서, 케이싱(13)에 걸쳐져 고정된 상태로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킨다. 상기 어뎁터(19)는 케이싱(13)의 내부에서 약액주입관(도 3의 35)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어뎁터(19)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두 개의 걸림턱(1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9a)은 어뎁터(19)에, 후술할 고정캡(도 9의 41d)이나 주사기(도 10의 43)의 결합부(43a)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캡(41d)이나 결합부(43a)에 상기 걸림턱(19a)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어뎁터(19)가 있음으로 해서, 후술할 보조와이어(41)의 장착시 카테터(25) 내부에서의 보조와이어(41)의 움직임이 없어, 시술 중 가령 보조와이어(41)의 선단부가 카테터(25)의 선단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케이싱(13)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11)에서의 케이싱(13) 내부에는, 트랙션바디(31k)와, 종동실린더(33)와, 카테터방위조절부(21)가 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트랙션바디(31k)와 종동실린더(33)는 상호 링크된 상태로 트리거(17)에 의해 화살표 b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종동부(31)를 이룬다.
또한 상기 트리거(17)는 일측 케이싱편(13a)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축(13c)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3c)은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돌출부로서 그 중심부에 암나사구(13d)를 갖는다. 상기 암나사구(13d)는, 반대편 케이싱편(13b)의 볼트구멍(13e)에 일직선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편(13a,13b)을 상호 맞춘 상태로, 볼트구멍(13e)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암사사구(13d)에 체결함으로써 케이싱(13)에 대한 트리거(17)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트리거(17)의 케이싱(13) 내부에 삽입된 부분에는 구동기어부(1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부(17a)는 트랙션바디(31k)의 랙기어부(31a)에 치합하며 트리거(17)가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할 때 종동부(31)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각 케이싱편(13a,13b)의 전방부에는 장착구멍(13m)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구멍(13m)은 케이싱편(13a,13b)을 조립했을 때 일정직경을 갖는 구멍을 이루며, 그 내부에 카테터방위조절부의 걸림홈(21b)을 수용한다.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상기 장착구멍(13m)의 테두리부인 지지턱(13k)에 지지된 상태로 그 자리에서 축회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편(13a,13b)의 후방부에는 어뎁터장착구(13f)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어뎁터장착구(13f)도, 케이싱편(13a,13b)이 상호 조립됨에 따라 일정직경의 구멍을 이루며 그 내부에 상기 어뎁터(19)의 지지홈(19c)을 수용 고정한다. 상기 지지홈(19c)은 어뎁터의 주연부에 형성된 홈으로서 어뎁터장착구(13f)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어뎁터(19)에는 삽입부(19d)도 포함된다. 상기 삽입부(19d)는 케이싱(13)의 내부에서 약액주입관(35)과 결합하는 결합부위로서, 약액주입관(35)의 단부 내부로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약액주입관(35)은 일정직경을 갖는 플렉시블한 튜브로서, 그 일단부는 상기 어뎁터(19)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테터홀더(23)의 주입관삽입구(23d)에 결합한다.
상기 케이싱편(13a,13b)의 내향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돌기(13g,13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3g,13h)는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선형돌기로서, 그 사이에 트랙션바디(31k)의 날부(31c)와 아암부(31b)를 수용 지지하여 트랙션바디(31k)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카테터의 내부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트랙션바디(31k)는, 랙기어부(31a)와, 상기 랙기어부(31a)에 일체를 이루며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 사이에 상기 종동실린더(33)를 수용하는 아암부(31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랙기어부(31a)는 일정폭을 가지는 평기어로서 상기 트리거(17)의 구동기어부(17a)와 치합한다. 이와같이 트리거(17)와 트랙션바디(31k)가 기어를 통해 결합하므로 동력전달이 확실하여 카테터(25)의 제어를 매우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부(31a)의 하부에는 공간부(31e)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31e)에는 약액주입관(35)이 통과한다. 또한 상기 랙기어부(31a)의 양측부에는 일정두께의 날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부(31c)는 상기한 가이드돌기(13g)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아암부(31b)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종동실린더(33)를 수용한다. 상기 아암부(31b)의 대향면에는 두 개의 견인돌기(31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견인돌기(31d)는 상호 나란하며 그 사이에 수용홈(31f)을 갖는다.
상기 견인돌기(31d)는 종동실린더(3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2돌출부(33a,33b)를 걸어, 트리거가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할 때, 종동실린더(33)를 화살표 b방향으로 견인한다.
아울러 상기 아암부(31b)는 일정한 폭(w)을 가져 상기 가이드돌기(13h)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된다. 결국 상기 트랙션바디(31k)는 상기한 가이드돌기(13g,13h)에 가이드 되며 트리거에 연동하여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동실린더(33)는, 일단부가 막힌 원통형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 제 1,2돌출부(33a,33b)를 갖는다. 상기 제 1,2돌출부(33a,33b)의 사이에는 홈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2돌출부(33a,33b)는 링형 돌기로서 상호 평행하며, 상기한 견인돌기(31d)에 걸린 상태로 견인돌기가 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할 때 딸려간다.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중 제 2돌출부(33b)는, 아암부(31b)의 수용홈(31f)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종동실린더(33)의 내주면에는 선형돌출부(33f)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형돌출부(33f)는 종동실린더(3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형상을 갖는 선형돌기로서, 샤프트(21c)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토크전달홈(21e)에 끼워진다. 상기 선형돌출부(33f)가 토크전달홈(21e)에 끼워짐으로서, 샤프트(21c)의 축회전시 종동실린더(33)도 같이 축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종동실린더(33)의 후단부는 막혀있으며, 이 부위에 관통구멍(33e)과 와이어고정볼트(34)가 위치한다. 상기 관통구멍(33e)은 약액주입관(35)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 약액주입관(35)은 관통구멍(33e)을 통과해 종동실린더(33)의 내부공간(33d)과 샤프트(21c)의 수용구멍(21d)을 거쳐 카테터홀더(23)의 주입관삽입구(23d)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와이어고정볼트(34)는 상기 종동실린더(33)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로서,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를 종동실린더(3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를 그 외주면에 감은 상태로 종동실린더(3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인장와이어(37)를 종동실린더(33)에 링크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트랙션바디(31k)가 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인장와이어(37)가 후방으로 당겨진다. 인장와이어(37)가 후방으로 당겨짐에 의해 카테터(25)가 구부러짐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를 종동실린더(33)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와이어고정볼트(34)를 사용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고정방식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케이싱(13)의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21c)와, 상기 샤프트(21c)와 일체를 이루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조작다이얼(21a)과, 상기 조작다이얼(21a)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커버(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21c)는 일정 외경을 가지며 상기 종동실린더(33)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21c)의 외주면과 종동실린더(33)의 내주면은 상호 면접하며, 종동실린더(33)는 샤프트(21c)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샤프트(21c)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21c)의 외주면에는 두 개의 토크전달홈(21e)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토크전달홈(21e)은 샤프트(21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 및 깊이의 홈으로서, 종동실린더(33)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돌출부(33f)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다이얼(21a)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종동실린더(33)가 케이싱(13)의 내부에서 동시에 축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21c)의 내부에는 수용구멍(2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구멍(21d)은 샤프트(21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구멍으로서, 카테터홀더(23)에서의 삽입고정부(23b)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특히 상기 수용구멍(21d)의 내주면에는 평면부(21m)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21m)는 삽입고정부(23b)의 지지면(23c)와 접하여, 샤프트(21c)의 회전력을 카테터홀더(23)로 전달한다.
상기 샤프트(21c)의 선단부에는 걸림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1b)은 케이싱(13)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구멍(도 3의 13m)의 지지턱(13k)을 수용하는 홈이다. 상기 걸림홈(21b)에 지지턱(13k)이 끼워짐으로서,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그 자리에서 축회전은 가능하고 길이방향 이동은 불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홈(21b)의 전방에는 조작다이얼(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은 캡설치구(21f)를 갖는 원통형부재이다. 상기 캡설치구(21f)는 속이 빈 공간으로서 캡(27)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한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은 케이싱(13)의 전방부에 위치하며, 시술자가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마치 라디오의 다이얼을 돌리듯이) 조작하는 조작부위이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을 가령 우측손으로 조작할 때 케이싱(13)은 왼쪽손으로 잡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의 바닥면(21g) 중앙부에는 고정홈부(도 7의 21k)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부(21k)는 육각형의 홈으로서 카테터홀더(23)의 평판부(23a)를 수용한다.
한편, 상기 카테터홀더(23)는 카테터(25)의 후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3)에 고정된다. 상기 카테터홀더(23)는, 상기 수용구멍(21d)에 끼워지는 삽입고정부(23b)와, 고정홈부(21k)에 끼워지는 평판부(23a)와, 상기 평판부(23a)에 일체를 이루며 카테터(25)의 후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홀딩부(23e)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부(23e)는 캡(27)의 관통구멍(27a)을 통과해 캡(27)의 전방으로 얼마간 돌출되어 있다.
상기 카테터홀더(23)의 내부에는 주입관삽입구(2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입관삽입부(23d)는 약액주입관(35)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상기 주입관삽입부(23d)는 카테터(2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약액유동로(도 5의 25a)와 연통한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25)에 내장되어 있는 인장와이어(37)는, 카테터홀더(23)의 와이어통로(도 5의 23f)를 통해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고정볼트(34)에 의해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카테터홀더 및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먼저, 카테터(25)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렉시블한 도관으로서, 그 내부에 약액유동로(25a)를 갖는 카테터본체(25c)와, 상기 카테터본체(25c)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장와이어(37)를 포함하나. 상기 약액유동로(25a)는 약액주입관(35)을 통해 공급된 약액이 내부 유동하는 통로로서 약액을 카테터(25)의 선단부로 주사한다.
또한 상기 인장와이어(37)는 약액유동로(25a)와 평행하게 연장된 것으로서, 그 후단부가 상기 케이싱(13) 내부의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되어, 트리거(17)의 조작에 의해 종동실린더(33)가 당겨질 때 인장되어 카테터본체(25)를 구부러뜨린다.
상기 카테터본체(25c) 내에 인장와이어(37)를 설치할 수 있도록, 카테터본체(25c)의 내부에는 와이어수용구(25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수용구(25b)는 인장와이어(37)를 수용하는 통로로서 특히 인장와이어(37)의 선단부와 결합한다. 상기 인장와이어(37) 선단부와 카테터본체(25c)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인장와이어(37)의 단부에 고정부(37a)를 추가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고정부(37a)는 인장와이어(37) 단부를 뭉뚝하게 변형시킨 부분이다.
상기 인장와이어(3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테터본체(25c)의 내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카테터본체(25c)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한쪽으로 편심된 상태로 연장된다. 이와같이 인장와이어를 편심 위치시킴으로써, 인장와이어를 당길 때 카테터(25)가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다.
상기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가 카테터홀더(23)를 통해 케이싱(13)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홀더(23)의 내부에는 와이어통로(23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통로(23f)는 와이어수용구(25b)와 연결되는 통로이다. 상기 인장와이어(37)는 와이어통로(23f)를 통해 화살표 f방향으로 당겨진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가 와이어고정볼트(34)에 의해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부호 33m은 인장와이어(37)가 통과하는 와이어구멍이다. 여하튼 상기 인장와이어(37)를 와이어고정볼트(34)에 감은 상태로 와이어고정볼트(34)를 종동실린더(3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종동실린더(33)에 대한 와이어 후단부의 고정이 유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트리거(17)를 도 1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랙션바디(31k)와 종동실린더(33)가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돌기(도 3의 13g,13h)가 트랙션바디(31k)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한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그 자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하튼, 상기 트랙션바디(31k)에 의해 종동실린더(33)가 후방(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되어 있는 인장와이어(37)는 화살표 f방향으로 당겨진다. 인장와이어(37)가 당겨짐에 따라 카테터(25)가 화살표 z 방향으로 구부러짐은 상기한 바와같다. 상기 카테터(25)의 구부러진 정도는 트리거(17)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카테터(25)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조작다이얼(21a)을 좌우로 적절히 회전시켜 카테터(25)의 선단부가 체내의 경로를 올바로 찾아 들어갈 수 있게 조작한다.
상기 트리거(17)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카테터(25)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펼쳐져 대략 직선의 형태로 복귀한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보조와이어(41)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11)를 이용한 시술에는 보조와이어(41)가 같이 사용된다. 상기 보조와이어(41)는 시술시 의료용 영상 촬영장치(가령 엑스레이 촬영기)의 모니터상에 그 모습이 나타남으로써, 현재 체내의 카테터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와이어(41)는, 어뎁터(19)와, 약액주입관(35)과, 카테터본체(25c) 내부의 약액유동로(25a)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본체(41a)와,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어뎁터(1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캡(41d)과,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스프링(41c)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 스프링장착부(41b)로서, 매우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다른 부분보다 그 직경이 작게 제작되어 있고 스프링(41c)으로 커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1c)은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에 융착 과정을 통해 완벽히 고정되며 와이어본체(41) 선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길이는, 상기 고정캡(41d)을 어뎁터(19)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상기 카테터본체(25c)의 선단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이다.
상기 고정캡(41d)은, 상기 어뎁터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41f)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나선걸림부(41e)를 갖는다. 상기 나선걸림부(41e)는 어뎁터(19)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9)에 지지되는 암나사산형 돌출부이다. 따라서 상기 어뎁터(19)에 고정캡(41d)을 끼운 상태로 고정캡(41d)을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턱(19)이 나선걸림부(41e)에 걸려 어뎁터(19)에 대한 고정캡(41d)의 결합이 유지된다.
상기 고정캡(41d)이 어뎁터(19)에 결합함으로써,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 외부로 노출될 염려가 없다.
도 10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주사기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어뎁터(19)에 주사기(43)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주사기(43)는 실린더에 결합부(43a)가 마련되어 있는 공지의 주사기로서, 어뎁터(19)에 결합된 상태로 약액주입관(35) 내부로 약액을 주입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장치(11)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체내의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지점을 국소마취한 후, 해당 지점에 체내로 통하는 통로를 확보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천공기구가 사용된다.
상기 통로가 확보되었다면, 상기 보조와이어(41)를 장착한 상태의 카테터(25)를 상기 통로로 삽입하여 카테터(25)의 선단부를 약액 투입 지점으로 근접시킨다. 이 때 모니터를 통해 카테터(25)의 구부러짐 정도와 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카테터(25)가 최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카테터(25)의 구부러짐은 트리거(17)를 통해 조절되고, 방향은 카테터방위조절부(21)를 통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카테터(25)의 선단부가 목표지점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어뎁터(19)로부터 고정캡(41d)을 분리한 후 보조와이어(41)를 완전히 빼내고, 어뎁터(19)에 주사기(43)를 결합한다. 이 때 주사기(43)에 주입할 약액이 수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주사기(43)의 장착이 완료되었다면, 주사기의 피스톤을 서서히 가압하여 약액을 주입한다. 상기 약액이 필요한 정도로 주입되었다면, 트리거(17)를 놓고 카테터를 서서히 빼낸 후 시술을 마무리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카테터장치 13:케이싱 13a,13b:케이싱편
13c:회동축 13d:암나사구 13e:볼트구멍
13f:어뎁터장착구 13g,13h:가이드돌기 13k:지지턱
13m:장착구멍 15:손잡이부 17:트리거
17a:구동기어부 19:어뎁터 19a:걸림턱
19b:관통로 19c:지지홈 19d:삽입부
21:카테터 방위조절부 21a:조작다이얼 21b:걸림홈
21c:샤프트 21d:수용구멍 21e:토크전달홈
21f:캡설치구 21g:바닥면 21k:고정홈부
21m:평면부 23:카테터홀더 23a:평판부
23b:삽입고정부 23c:지지면 23d:주입관삽입구
23e:홀딩부 23f:와이어통로 25:카테터
25a:약액유동로 25b:와이어수용구 25c:카테터본체
27:캡 27a:관통구멍 31:종동부
31a:랙기어부 31b:아암부 31c:날부
31d:견인돌기 31e:공간부 31f:수용홈
31k:트랙션바디 33:종동실린더 33a:제 1돌출부
33b:제 2돌출부 33c:홈부 33d:내부공간
33e:관통구멍 33f:선형돌출부 33m:와이어구멍
34:와이어고정볼트 35:약액주입관 37:인장와이어
37a:고정부 41:보조와이어 41a:와이어본체
41b:스프링장착부 41c:스프링 41d:고정캡
41e:나선걸림부 41f:수용공간 43:주사기
43a:결합부

Claims (9)

  1.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일부는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트리거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상기 트리거의 회동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종동부와;
    상기 케이싱에 걸쳐진 상태로 케이싱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와;
    그 선단부가 체내의 목표지점에 도달하도록 체내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상기 목표지점으로 유도하는 내부통로를 갖는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에 결합하며 카테터 방위조절부에 고정되어, 카테터 방위조절부의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하는 카테터홀더와;
    상기 카테터에 내장되되 카테터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고, 그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카테터홀더와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통과해 케이싱 내부의 종동부에 고정되어 종동부의 직선운동시 카테터의 후방으로 당겨져 카테터를 휘게 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약액을 상기 카테터홀더를 통해 카테터의 내부통로로 공급하는 약액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내에서 상기 약액주입관과 연결되고 그 일부가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싱 외부에서 약액주입용 주사기와 결합하는 어뎁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장치에는,
    상기 어뎁터와 약액주입관과 카테터 방위조절부와 커테터홀더를 차례로 통과해 그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에 도달하고 후단부는 상기 어뎁터에 결합한 상태로, 카테터의 체내 삽입시 그 모습이 의료용 영상촬영장치의 화면에 나타남으로써, 체내 카테터의 위치를 파악하게 하는 보조와이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선단부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형태를 취하는 와이어본체와,
    상기 와이어본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본체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어뎁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직경의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테터 방위조절부는;
    상기 장착구멍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카테터홀더를 일부 수용 고정하는 수용구멍을 갖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직선상 선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케이싱의 외부에 위치하고, 그 내부에 상기 카테터홀더를 일부 수용 고정하며 시술자에 의해 축회전하는 조작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는;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상태로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상기 인장와이어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종동실린더와,
    상기 종동실린더와 트리거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트리거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상기 종동실린더를 직선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종동실린더를 카테터홀더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와이어를 인장하는 트랙션바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부분에는 구동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랙션바디는;
    상기 트리거의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종동실린더측으로 연장되어 종동실린더와 연결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실린더는 일정직경을 갖는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그 외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져 종동실린더에 아암을 연결하는 견인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실린더에는,
    상기 와이어의 후단부를 종동실린더에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볼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KR1020100078485A 2010-08-13 2010-08-13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KR10111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85A KR101116873B1 (ko) 2010-08-13 2010-08-13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85A KR101116873B1 (ko) 2010-08-13 2010-08-13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939A true KR20120015939A (ko) 2012-02-22
KR101116873B1 KR101116873B1 (ko) 2012-03-07

Family

ID=4583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485A KR101116873B1 (ko) 2010-08-13 2010-08-13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8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330B1 (ko) * 2016-12-27 2018-05-23 주식회사 메드릭스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WO2022211183A1 (ko) * 2021-04-01 2022-10-06 서울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약물투여장치
KR20230066932A (ko) 2021-11-08 2023-05-16 오케이 메디넷 코리아(주) 잠금 기능을 갖는 약물 주입용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69B1 (ko) 2015-07-21 2016-02-03 주식회사 에스엠허스 카테터 연결용 멀티캡
KR102183544B1 (ko) 2018-10-30 2020-11-27 한빛바이오 주식회사 내시경 일체형의 일회용 경막외 수술 장치
KR20200127385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소프트형 팁을 갖는 경막외 카테터
KR102182074B1 (ko) 2019-12-24 2020-11-23 김남배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777A (en) 1993-05-14 1997-03-18 C.R. Bard, Inc. Steerable electrode catheter
US7682358B2 (en) 2003-10-30 2010-03-23 Medtronic, Inc. Steerable catheter
WO2006007284A2 (en) 2004-06-21 2006-01-19 Curon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issue regions of the body
JP4224124B1 (ja) 2008-05-21 2009-02-12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330B1 (ko) * 2016-12-27 2018-05-23 주식회사 메드릭스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WO2022211183A1 (ko) * 2021-04-01 2022-10-06 서울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약물투여장치
KR20230066932A (ko) 2021-11-08 2023-05-16 오케이 메디넷 코리아(주) 잠금 기능을 갖는 약물 주입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873B1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873B1 (ko)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
CA2826569C (en) Continuous single wire steerable catheter
US20140343406A1 (en) Needle positioning device for ultrasound-guided treatments and examinations
US20150025310A1 (en) Medical applicator
CA2926021C (en) Catheter advancement device
CA2774469C (en) Surgical adapter for use with an endoscope
JP2004267758A (ja) 骨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組織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骨内にプローブ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組織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骨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プローブを案内するための装置、組織内にプローブ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硬組織内にプローブ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治療用プローブを前進させるための装置
KR20140099713A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US20120265210A1 (en) Vertebroplasty Curved Needle
US20130237753A1 (en) Surgical interface for use with endoscope
CN219022870U (zh) 控弯手柄与医疗导管
WO2014126757A2 (en) Surgical interface for use with endoscope
KR20180111001A (ko) 척추 신경성형술을 위한 약물주입용 카테터
CN113081175A (zh) 一种多自由度腹腔手术钳
KR101773076B1 (ko) 시술장치
RU182494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оптическим световодом для лазерной проктологии
CN215651406U (zh) 一种多自由度腹腔手术钳
KR101693216B1 (ko) 영상 카테터
CN118267581A (zh) 导管或鞘管驱动控制装置
CN116138849A (zh) 一种医用水刀装置
WO2022173699A1 (en) Elongated body sheath assemblies, imaging element cleaning apparatuses comprising same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using same
CN118217511A (zh) 控弯手柄与医疗导管
AU2013206785A1 (en) Surgical adapter for use with an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