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762B1 -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762B1
KR101837762B1 KR1020177023041A KR20177023041A KR101837762B1 KR 101837762 B1 KR101837762 B1 KR 101837762B1 KR 1020177023041 A KR1020177023041 A KR 1020177023041A KR 20177023041 A KR20177023041 A KR 20177023041A KR 101837762 B1 KR101837762 B1 KR 101837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treatment
flow path
gas flow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598A (ko
Inventor
후미오 탄노
Original Assignee
닛신보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보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보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6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6Pressing and sintering powders, granules or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A) 흑연 분말,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형 내에서 가열 프레스 성형하고, 편면 또는 양면에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성형체를 얻는 프레스 성형 공정, (B) 성형체의 양면 전체를 조면화 처리하는 조면화 공정, (C) 조면화 처리된 성형체에 있어서,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가스 유로면의 주연부에 개스킷을 형성하는 개스킷 형성 공정, (D) 가스 유로면에서의 개스킷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또한 적어도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의 바닥부 및 산 정상부에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 및 (E) 가스 유로면 전체를 친수화 처리하는 친수화 공정을 구비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개스킷과 세퍼레이터와의 접착성이 양호함과 아울러, 개스킷 적층에 의한 친수성의 저하를 야기하지 않는, 실링성이 양호한 세퍼레이터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개스킷이 설치된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는 각 단위 셀에 도전성을 갖게 하는 역할, 및 단위 셀에 공급되는 연료 및 공기(산소)의 통로를 확보함과 아울러, 그것들의 분리 경계벽으로서의 역활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세퍼레이터에는 고전기도전성, 고가스불침투성, 화학적 안정성, 내열성 및 친수성 등의 여러 특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세퍼레이터에는, 스킨층의 제거나 표면 거칠기 조정을 위한 블라스트 처리,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친수 처리 등이 시행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세퍼레이터 주연부에 실링을 위한 개스킷이 적층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에 개스킷을 적층한 후에, 세퍼레이터 및 개스킷 전체를 블라스트 처리하고, 계속해서, 친수화 처리를 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어진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에서는, 세퍼레이터와 개스킷 사이에서의 세퍼레이터 표면에 이형제 성분이 잔존하고, 이 이형제 성분에 의해, 세퍼레이터와 개스킷의 접착 불량이 생기거나, 운전시에 개스킷의 박리를 야기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개스킷의 표면도 블라스트 처리되기 때문에, 개스킷의 파손이나 개스킷 표면에 잔존하는 연마용 입자에 의해, 가스 리크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연료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실링 방법의 예로서, 실링부에 형성된 친수층을 제거한 후, 애노드극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실링부와 캐소드극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실링부 사이에,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충전하고 경화시켜, 실링재를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과 같이,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와 개스킷이나 실링 플레이트와의 접착을 친수 처리 후에 행하면, 친수면이 오염되어지거나, 친수기의 감소나 소실이 일어나거나 하여 친수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개 2013-222521호 공보 일본 특허 제5380771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스킷과 세퍼레이터의 접착성이 양호함과 아울러, 개스킷 적층에 의한 친수성의 저하를 야기하지 않는, 실링성이 양호한 세퍼레이터를 공급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예비 성형체를 조면화한 후에 개스킷을 형성하고, 또한 레이저 조사 처리 및 친수화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개스킷과 세퍼레이터의 접착성이 양호함과 아울러, 개스킷 적층에 의한 친수성의 저하를 야기하지 않는, 실링성이 양호한 연료전지 세퍼레이터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1. (A) 흑연 분말,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형 내에서 가열 프레스 성형하고, 편면 또는 양면에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성형체를 얻는 프레스 성형 공정,
(B) 상기 성형체의 양면 전체를 조면화 처리하는 조면화 공정,
(C) 상기 조면화 처리된 상기 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가스 유로면의 주연부에 개스킷을 형성하는 개스킷 형성 공정,
(D) 상기 가스 유로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스킷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한 적어도 상기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의 바닥부 및 산 정상부에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 및
(E) 상기 가스 유로면 전체를 친수화 처리하는 친수화 공정
을 구비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2. 상기 조면화 처리가 에어 블라스트 처리, 웨트 블라스트 처리, 배럴 연마 처리, 또는 브러시 연마 처리인 1의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3. 상기 적외선 레이저가 펄스 에너지 5∼30mJ, 또한 스폿 직경 50∼800㎛로 조사되는 1 또는 2의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4. 상기 친수화 처리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인 1∼3 중 어느 하나의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친수성이 양호하며, 그 친수성이 장기간 지속될 뿐만아니라, 개스킷과 세퍼레이터와의 접착성이 높고, 연료전지 가동시의 고온다습 환경 중에서도 개스킷이 박리하기 어려운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하기 (A)∼(E)의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A) 흑연 분말,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형 내에서 가열 프레스 성형하여, 편면 또는 양면에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성형체를 얻는 프레스 성형 공정
(B) 성형체의 양면 전체를 조면화 처리하는 조면화 공정
(C) 조면화 처리된 성형체에 있어서,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가스 유로면의 주연부에 개스킷을 형성하는 개스킷 형성 공정
(D) 가스 유로면에 있어서의 개스킷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또한 적어도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의 바닥부 및 산 정상부에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
(E) 가스 유로면 전체를 친수화 처리하는 친수화 공정
(A) 프레스 성형 공정
이 공정은 흑연 분말,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형 내에서 가열 프레스 성형하고, 편면 또는 양면에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성형체를 얻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흑연 분말로서는 종래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에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천연 흑연, 침상 코크스를 소성한 인조 흑연, 괴상 코크스를 소성한 인조 흑연, 전극을 분쇄한 것, 석탄계 피치, 석유계 피치, 코크스, 활성탄, 유리상 카본,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흑연 분말의 평균 입경 d5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흑연 입자 간의 공극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흑연 입자끼리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하고, 또한, 레이저 처리 후의 요철의 발생을 억제하여 도전성을 높이는(접촉 저항을 저하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10∼200㎛가 바람직하고, 25∼140㎛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흑연 분말의 평균 입경 d50이 10㎛ 이상이면, 성형체에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했을 때, 성형체 표층의 수지를 소실시켜 세퍼레이터 표면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세퍼레이터 내부의 흑연 입자끼리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세퍼레이터의 두께 방향의 도전성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입경 d50이 200㎛ 이하이면, 흑연 입자 간의 공극이 적당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 표면상의 흑연 입자 간의 공극에 충전되어 있던 수지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소실되어도 세퍼레이터 표면에 큰 요철이 형성되지 않고, 그 결과, 세퍼레이터의 접촉 저항이 낮아져, 세퍼레이터 자체의 도전성이 악화되는 일도 없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o-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형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브로민화 에폭시 수지,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형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o-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고, o-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내열성을 보다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58∼800g/eq가 바람직하고, 185∼450g/eq가 보다 바람직하고, 190∼290g/eq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내열성을 보다 높임과 아울러 성형 가공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고려하면, 에폭시 수지의 150℃에서의 ICI 점도는 0.01∼5.8Pa·s가 바람직하고, 0.02∼2.0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0.04∼1.2Pa·s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페놀 수지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 크레졸형 페놀 수지, 알킬 변성 페놀 수지, 바이페닐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페놀 수지의 수산기 당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얻어지는 세퍼레이터의 내열성을 보다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95∼240g/eq가 바람직하고, 103∼115g/eq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내열성을 보다 높임과 아울러 성형 가공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고려하면, 페놀 수지의 150℃에서의 ICI 점도는 0.02∼0.70Pa·s가 바람직하고, 0.10∼0.60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0.20∼0.50Pa·s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성물에는, 상기 각 성분에 더하여, 경화 촉진제나 내부 이형제 등의 임의 성분을 적당히 배합할 수도 있다.
경화촉진제로서는 에폭시기와 경화제와의 반응을 촉진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트라이페닐포스핀, 테트라페닐포스핀, 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운데센, 다이메틸벤질아민, 2-메틸이미다졸, 2-메틸-4-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부 이형제로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세퍼레이터의 성형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내부 이형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계 왁스, 아마이드계 왁스, 몬탄산계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의 총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흑연 분말 100질량부에 대하여 10∼50질량부, 특히, 15∼3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에폭시 수지에 대하여 페놀 수지를 0.98∼1.08 수산기 당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이형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흑연 분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5질량부, 특히 0.3∼1.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폭시 수지와 페놀 수지와의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5∼1.2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조제는, 예를 들면, 흑연 분말,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의 각각을 임의의 순서로 소정 비율 혼합하여 조제하면 된다. 이때, 혼합기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니터리 믹서, 리본 블렌더, 레디게 믹서, 헨쉘 믹서, 로킹 믹서, 나우타 믹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화촉진제나 내부 이형제 등의 임의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그 배합 순서도 임의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소정의 형에 넣고, 프레스 성형하여 예비 성형체를 제조한다. 사용하는 형으로서는 성형체의 표면의 일방의 면 또는 양면에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 제작용의 형을 사용한다.
프레스 성형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형 온도가 80∼200℃, 성형 압력 1.0∼50MPa, 바람직하게는 5.0∼40MPa, 성형 시간 10초∼1시간, 바람직하게는 20∼180초,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30∼90초이다.
또한, 프레스 성형 후, 열경화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150∼200℃로 1∼600분 정도 더 가열해도 된다.
(B) 조면화 공정
이 공정은, 상기에서 얻어진 성형체의 양면 전체를 조면화 처리하는 공정이다.
조면화 처리의 수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블라스트 처리나 연마 처리 등의 각종 조면화법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면 되지만, 에어 블라스트 처리, 웨트 블라스트 처리, 배럴 연마 처리, 브러시 연마 처리가 바람직하고, 연마용 입자를 사용한 블라스트 처리가 보다 바람직하고, 웨트 블라스트 처리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이때, 블라스트 처리에 사용되는 연마용 입자의 평균 입경(d=50)은 3∼30㎛가 바람직하고, 4∼25㎛가 보다 바람직하고, 5∼20㎛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블라스트 처리에서 사용하는 연마용 입자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나, 탄화 규소, 지르코니아, 유리, 나일론, 스테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웨트 블라스트 처리시의 토출 압력은 연마용 입자의 입경 등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0.1∼1MPa가 바람직하고, 0.15∼0.5MPa가 보다 바람직하다.
(C) 개스킷 형성 공정
이 공정은, (B) 공정에서 조면화 처리된 성형체에 있어서,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가스 유로면의 주연부(실링부)에 개스킷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또한, 홈을 양면에 갖고, 양면이 가스 유로면이 되는 세퍼레이터에서는 양면에 개스킷을 형성하고, 또한 가스 유로면이 편측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반대측의 면(냉각면)에도 실링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냉각면의 주연부에 개스킷을 형성해도 된다. 양면에 개스킷을 형성하는 경우, 편면씩 순차 개스킷을 형성해도, 양면 동시에 개스킷을 형성해도 된다.
개스킷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종래 세퍼레이터의 개스킷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SIS 공중합체, SBS 공중합체, SEB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 고무, 수소화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아크릴 고무, 불소계 고무, 뷰틸 고무, 수소 첨가 아이소뷰틸렌 고무, 수소 첨가 뷰타다이엔 고무 등의 고무 재료를 들 수 있다.
개스킷의 형성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리 시트 형상이나 판 형상으로 성형된 개스킷을 성형체의 상기 주연부(실링부)에 접착하거나, 융착하거나 하는 방법, 성형체의 상기 주연부 표면에, 상기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이것을 경화시켜 개스킷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후자의 수법이 바람직하다.
도포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드롭 캐스팅법, 스핀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다이 코팅법, 잉크젯법, 인쇄법(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평판 인쇄, 스크린 인쇄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인쇄법이 바람직하고, 스크린 인쇄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화법으로서는, 가열, 전자선 등의 방사선 조사 등의 종래 공지의 가황 방법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D) 레이저 조사 공정
이 공정은 (C) 공정에서 얻어진 개스킷 부착 성형체의 가스 유로면에 있어서의 개스킷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한 적어도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의 바닥부 및 산 정상부에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공정이다.
이 경우, 적외선 레이저는 가스 유로의 홈 바닥부(오목부) 및 산 정상부(볼록부)에 조사되는 것이 필수이며, 그것들의 부분만을 노려서 레이저 조사해도, 그것들의 부분을 포함하는, 가스 유로면의 개스킷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전체에 레이저 조사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술한 냉각면에도 레이저 조사를 시행해도 되지만, 그 경우도, 개스킷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스킷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레이저 조사를 한다.
조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개스킷 부분에는, 마스킹 하고 나서 레이저 조사를 해도 된다.
레이저 조사 공정에 사용되는 레이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YAG 레이저, 탄산가스 레이저, 색소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파이버 레이저 등을 들 수 있다. 초점 심도, 집광성, 발신기의 수명의 점에서 파이버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적외선 레이저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80∼10,600nm가 바람직하고, 808∼1,095nm가 보다 바람직하고, 920∼1,070nm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적외선 레이저의 조사 조건은 출력 100∼250W, 펄스폭 30∼200ns가 바람직하다.
적외선 레이저의 펄스 에너지는 5∼30mJ이 바람직하고, 5∼20mJ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외선 레이저의 스폿 직경은 50∼800㎛가 바람직하고, 100∼700㎛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600㎛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적외선 레이저의 오버랩률은 5∼50%가 바람직하고, 10∼40%가 보다 바람직하다.
(E) 친수화 공정
이 공정은 적외선 레이저가 조사된 성형체의, 가스 유로면 전체를 친수화 처리하는 공정이다.
이 친수화 처리는 적어도 발전에 의해 발생한 물과 접촉하는 가스 유로면에 시행되어 있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냉각면에 시행되어 있어도 된다.
친수화 처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삼산화 유황 가스 처리, 불소 가스 처리,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플라즈마 처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삼산화 유황 가스 처리에 의해 친수화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황산 가스, 발연 황산 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와 성형체를 접촉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기재와의 반응성이 높은 점에서 무수 황산 가스를 포함하는 기체와 접촉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불소 가스 처리에 의해 친수화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 가스 또는 불소 가스를 포함하는 혼합 가스와 성형체를 접촉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혼합 가스로서는 불소 가스와 불활성 가스나 산소 가스와의 혼합 가스를 들 수 있다. 불활성 가스로서는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친수화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진공 플라즈마 처리,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를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장치가 간편하고, 생산성이 좋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고, 특히, 리모트 방식 상압 글로우 방전 플라즈마 처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플라즈마의 생성에 사용하는 가스로서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산소 가스, 오존 가스, 물,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질소 가스, 암모니아 가스, 유황 원자를 포함하는 이산화 유황 가스, 삼산화 유황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가스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처리함으로써, 성형체 표면에 카본일기, 수산기, 아미노기, 설포기 등의 친수성 작용기를 도입하여,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질소 가스를 80체적% 이상 포함하는 가스가 바람직하고, 질소 가스 80체적% 이상, 잔부 산소 가스로 구성되는 가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제법으로 얻어진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는 양호한 친수성을 가짐과 아울러, 그 친수성이 장시간 지속된다.
또한 개스킷과 세퍼레이터와의 접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연료전지 가동시의 고온다습 환경하에서도 개스킷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 실링성이 장시간 지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법으로 얻어진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연료전지는 장기에 걸쳐 안정한 발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는 고체 고분자막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을 사이에 끼우고 가스 공급 배출용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세퍼레이터로 구성되는 단위 셀이 다수 나란히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이들 복수개의 세퍼레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본 발명의 제법으로 얻어진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각 물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평균 입경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니키소(주)제)에 의해 측정했다.
[2] 산술평균 높이 Sa 측정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가스 유로 홈 바닥부(오목부) 및 산 정상부(볼록부)의 각 표면에 대하여,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제 LEXT OLS4100)을 사용하여, ISO25178-2:2012에서 규정되는 산술평균 높이 Sa를 측정했다.
[3] 예비 성형체의 정적 접촉각
하기 예비 성형체의 표면(개스킷부 이외)에, 대기 중에서 이온교환수 5μL를 적하하고, 접촉각계(쿄와카이멘카가쿠(주)제 CA-DT·A형)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A) 실시예 1
(1) 조면화 처리 후 개스킷 형성 전
(2) 개스킷 형성 후
(B) 비교예 1
(1) 예비 성형체 성형 후 개스킷 형성 전
(2) 개스킷 형성 후
(C) 비교예 2, 3
(1) 플라즈마 처리 후 개스킷 형성 전
(2) 개스킷 형성 후
[4]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정적 접촉각
하기 (1) 및 (2)의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표면(개스킷부 이외)에 대기 중에서 이온교환수 5μL를 적하하고, 접촉각계(쿄와카이멘카가쿠(주)제 CA-DT·A형)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1) 초기(제조 후 1시간 후)
(2) 이온교환수:세퍼레이터=9:1(질량비)의 조건으로 90℃의 이온교환수 중에 5,000시간 침지한 후, 꺼낸 세퍼레이터 표면의 수분을 블로어로 제거 후
[5] 열수 침지 후의 개스킷의 박리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하기 (1) 조건으로 열수에 침지한 후, 꺼낸 세퍼레이터의 개스킷의 박리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1) 이온교환수:세퍼레이터=9:1(질량비)의 조건으로 90℃의 이온교환수 중에 5,000시간 침지
[실시예 1]
인조 흑연 분말(평균 입경: 입도 분포 d50에서 100㎛) 100질량부, o-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204g/eq, 150℃의 ICI 점도 0.65Pa·s) 20.5질량부와, 노볼락형 페놀 수지(수산기 당량: 103g/eq, 150℃의 ICI 점도 0.22Pa·s) 10.5질량부와, 2-페닐이미다졸 0.3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바인더 성분, 및 내부 이형제인 카르나우바 왁스 0.2질량부를 헨쉘 믹서 내에 투입하고, 800rpm으로 3분간 혼합하여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조성물을 200mm×200mm의 연료전지 세퍼레이터 제작용의 금형에 투입하고, 금형 온도 185℃, 성형압력 30MPa, 성형시간 30초의 조건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고,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편면에 갖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 예비 성형체를 얻었다.
얻어진 예비 성형체의 양면(가스 유로면 및 그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알루미나 숏블라스트재(평균 입경: 입도 분포 d50에서 6㎛)를 사용하여, 토출 압력 0.22MPa의 조건으로 웨트 블라스트에 의한 조면화 처리를 시행했다.
계속해서, 조면화 처리된 양면의 주연부(실링부)에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를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도포한 후, 175℃에서 30분 가열 가황하여 개스킷을 형성했다.
또한, 예비 성형체의 가스 유로면의 가스 유로 홈의 바닥부(오목부) 및 산 정상부(볼록부)에 대하여(개스킷부는 제외함), 이하의 조건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한 후, 가스 유로면 전체면(개스킷부를 포함함)에, 리모트 방식 상압 글로우 방전 플라즈마 발생 장치(세키스이 카가쿠고교(주)제 AP-T03)를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으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친수화 처리를 시행하여,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적외선 레이저의 조사 조건]
(1) 파장 1.064㎛, 출력 200W, 펄스폭 60ns, 펄스 에너지 10mJ
(2) 스폿 직경 500㎛, 오버랩률 15%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조건]
(1) 주파수 30kHz, 펄스폭 9μs, 플라즈마 전극 550mm, 전압 420V, 전류 4.5A
(2) 플라즈마 가스: 질소-산소 혼합 가스 질소 농도 99.5체적% 질소 가스 유량 330L/min, 산소 가스 유량 1.5L/min)
[비교예 1] 개스킷 표면에의 조면화 처리 있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 예비 성형체를 제작하고, 얻어진 예비 성형체의 양면의 주연부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개스킷을 형성했다.
개스킷을 형성한 예비 성형체의 가스 유로면 전체(가스 유로 홈 및 개스킷부)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웨트 블라스트에 의한 조면화 처리를 시행하고, 계속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친수화 처리를 시행하여,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비교예 2] 친수화 처리 후에 개스킷 적층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 예비 성형체를 제작하고, 얻어진 예비 성형체의 양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웨트 블라스트에 의한 조면화 처리를 시행했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친수화 처리를 시행하고, 최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개스킷을 형성하고,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비교예 3] 친수화 처리 후 친수층을 제거하고 개스킷 적층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퍼레이터 예비 성형체를 제작하고, 얻어진 예비 성형체의 양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웨트 블라스트에 의한 조면화 처리를 시행했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친수화 처리를 시행한 후, 가스 유로면의 가스 유로 홈의 바닥부(오목부) 및 산 정상부(볼록부)를 마스킹용 테이프로 마스킹 하고, 성형체 양면의 주연부(실링부) 표면을 이하의 조건으로, 에어 블라스트 처리하여 친수층을 제거했다.
최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개스킷을 형성하고,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에어 블라스트 처리 조건]
알루미나 숏블라스트재(입도 범위 45∼75㎛), 숏블라스트재의 분사 압력 0.25MPa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개스킷 부착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표면 거칠기, 정적 접촉각, 개스킷의 박리 상태를 측정·평가했다.
Figure 112017079711513-pct00001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연료전지 세퍼레이터는 90℃의 열수에 5,000시간 침지 후의 접촉각이 23°로, 양호한 친수성을 장시간 유지하고 있고, 개스킷의 박리도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실링부에 조면화 처리를 시행하지 않고 개스킷을 적층한 비교예 1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세퍼레이터와 개스킷의 접착성이 불충분하여, 열수 침지 중에 개스킷이 박리되었다.
또한 친수화 처리 후에 개스킷을 적층한 비교예 2, 3에서는, 개스킷 적층 후에 접촉각이 70°까지 상승해 있어, 친수성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스킷 형성 전에, 실링부의 친수층을 제거하지 않은 비교예 2에서는, 열수 침지 중에 개스킷이 박리되었다.

Claims (4)

  1. (A) 흑연 분말,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형 내에서 가열 프레스 성형하여, 편면 또는 양면에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성형체를 얻는 프레스 성형 공정,
    (B) 상기 성형체의 양면 전체를 조면화 처리하는 조면화 공정,
    (C) 상기 조면화 처리된 상기 성형체에서, 상기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을 갖는 가스 유로면의 주연부에 개스킷을 형성하는 개스킷 형성 공정,
    (D) 상기 가스 유로면에서의 상기 개스킷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한 적어도 상기 가스 유로가 되는 홈의 바닥부 및 산 정상부에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공정, 및
    (E) 상기 가스 유로면 전체를 친수화 처리하는 친수화 공정
    을 구비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화 처리가 에어 블라스트 처리, 웨트 블라스트 처리, 배럴 연마 처리, 또는 브러시 연마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레이저가 펄스 에너지 5∼30mJ, 또한 스폿 직경 50∼800㎛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화 처리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20177023041A 2015-07-22 2016-06-24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1837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4654 2015-07-22
JP2015144654A JP6063011B1 (ja) 2015-07-22 2015-07-22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PCT/JP2016/068784 WO2017013994A1 (ja) 2015-07-22 2016-06-24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598A KR20170104598A (ko) 2017-09-15
KR101837762B1 true KR101837762B1 (ko) 2018-03-13

Family

ID=5780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041A KR101837762B1 (ko) 2015-07-22 2016-06-24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205093A1 (ko)
EP (1) EP3327843B1 (ko)
JP (1) JP6063011B1 (ko)
KR (1) KR101837762B1 (ko)
CN (1) CN107851812B (ko)
CA (1) CA2992232C (ko)
HK (2) HK1249663A1 (ko)
WO (1) WO2017013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3462B1 (en) * 2018-06-21 2020-12-22 Onu Technology, Inc. Verification of computation by untrusted source
JP6760418B2 (ja) * 2019-02-21 2020-09-23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
CN112002922A (zh) * 2020-08-28 2020-11-27 浙江海晫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电堆的密封结构
JP7456367B2 (ja) * 2020-12-15 2024-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の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21000763A1 (de) * 2021-02-15 2021-04-01 Daimler Truck Fuel Cell GmbH & Co. KG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Bipolarplatten und Bipolarplatte
CN113471464B (zh) * 2021-05-19 2022-07-08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电池隔膜用材料、材料制备方法及电池隔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386B2 (ja) * 2004-05-31 2006-0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形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高分子電解質形燃料電池、高分子電解質形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評価方法、及び、高分子電解質形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US8105721B2 (en) * 2007-04-04 2012-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crotextured fuel cell elements for improved water management
EP2264817B1 (en) * 2008-03-14 2016-05-11 Showa Denko K.K. Fuel cell sepa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40836A1 (en) * 2008-08-12 2010-02-18 Shenping Li Method for providing sub-surface marks in polymeric materials
JP5879553B2 (ja) * 2010-01-20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ガスケット付き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US20130171547A1 (en) * 2010-09-10 2013-07-04 Nisshinbo Chemical Inc. Fuel cell separator
TWI464952B (zh) * 2012-10-03 2014-12-11 Ind Tech Res Inst 雙極板製造方法
JP6052670B2 (ja) * 2013-02-13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692256B2 (ja) * 2013-02-25 2015-04-01 日清紡ケミカル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27761A (ja) 2017-02-02
KR20170104598A (ko) 2017-09-15
JP6063011B1 (ja) 2017-01-18
EP3327843A4 (en) 2019-03-27
CA2992232A1 (en) 2017-01-26
CA2992232C (en) 2023-03-21
WO2017013994A1 (ja) 2017-01-26
HK1249663A1 (zh) 2018-11-02
HK1250421A1 (zh) 2018-12-14
EP3327843B1 (en) 2022-03-16
EP3327843A1 (en) 2018-05-30
US20180205093A1 (en) 2018-07-19
CN107851812A (zh) 2018-03-27
CN107851812B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762B1 (ko) 연료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1873534B1 (ko) 연료전지 세퍼레이터
JP2014154475A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A2900323C (en) Fuel cell separator
JP6260886B2 (ja) 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付き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付きセパレータ
JP6760418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
JP2011150858A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燃料電池セパレータ、ガスケット付き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01240956A (ja) 金属材料の表面処理方法及びフッ化処理金型
JP6132247B2 (ja) ガスケット付き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6145781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
US20240088405A1 (en) Method for forming a hydrophilic surface on a graphite-contain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polar plate, and bipolar plate, and fuel cell or flow battery having such a bipolar plate
KR101195104B1 (ko)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개스킷을 가지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CN117321811A (zh) 具有疏水性表面区域的燃料电池或液流电池用双极板及其制造方法
JP2024021685A (ja) エアブラスト用研創材およ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