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636B1 -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636B1
KR101836636B1 KR1020160061605A KR20160061605A KR101836636B1 KR 101836636 B1 KR101836636 B1 KR 101836636B1 KR 1020160061605 A KR1020160061605 A KR 1020160061605A KR 20160061605 A KR20160061605 A KR 20160061605A KR 101836636 B1 KR101836636 B1 KR 10183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ode
walking
groun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757A (ko
Inventor
현동진
정경모
박상인
임현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636B1/ko
Priority to US15/280,155 priority patent/US10765583B2/en
Priority to DE102016120475.7A priority patent/DE102016120475A1/de
Publication of KR2017013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636B1/ko
Priority to US16/983,057 priority patent/US119445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61F2/72Bioelectric control, e.g. my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5Force or torqu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41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compensation for backlash, friction, compliance, elasticity in th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5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specific interfaces or standards, e.g. USB, serial,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61H2201/5074Pressure sensors using electric pressure transducers with proportional outp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ipulato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발의 압력 분포에 따라 다리의 보행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사전 설정된 제어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복잡한 연산과정을 생략하면서도 우수한 보행 보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은, 착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부; 및 상기 압력 센서부에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WEARABLE WALKING ASSISTANT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의 압력 분포에 따라 다리의 보행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사전 설정된 제어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복잡한 연산과정을 생략하면서도 우수한 보행 보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 로봇과 같이 보행을 실시하는 다리가 달린 로봇들은, 다리가 지면과 접촉함에 따라, 다른 다이내믹스를 가지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다이내믹스(hybrid dynamics)라는 명칭으로 많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보행 로봇들은 보행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다리의 다이나믹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보행 상태(gait phase)를 판단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보행 상태를 판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 여러 단계로 보행 상태를 구분할 뿐만 아니라, 보행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도 복잡한 알고리즘들을 사용하고 있다.
보행 상태의 판단이 복잡하게 되면 이들에 따른 로봇 다리의 제어도 함께 복잡해지므로, 종래의 복잡한 보행 상태 판단 알고리즘은 단지 이론적으로 설명될 뿐이며 실제 로봇에 적용하여 로봇의 보행을 제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효성 부분에서는 검증된 바가 없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발의 압력 분포에 따라 단순한 알고리즘을 통해 다리의 보행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보행 상태에 따라 단순화된 복수의 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복잡한 연산과정을 생략하면서도 우수한 보행 보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부; 및
상기 압력 센서부에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압력 센서부는, 발바닥의 앞꿈치부와 뒤꿈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앞꿈치부 및 상기 뒤꿈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해당 부분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로 판단하고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부분이 지면과 비접촉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지면 접촉 상태 및 비접촉 상태와, 상기 나머지 다리의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지면 접촉 상태 및 비접촉 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보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바닥 전체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앞꿈치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뒤꿈치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보행 상태 및 상기 나머지 다리의 보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제어모드를,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 및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 및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중지지 모드는, 중력 방향으로 상기 착용자를 사전 설정된 힘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는 상기 관절의 마찰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중력에 의한 무게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면 충격 흡수 모드는,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임피던스(impedance) 제어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를 만들어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는,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임피던스(impedance) 제어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를 만들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가상 다리에 대해 임피던스 제어가 되는 방향의 평형점을 0도로 세팅하여 가상 다리가 수직이 되도록 다리를 끌어당기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끝단을 직교 좌표계에서 (-x, -y) 방향(여기서,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전방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x 방향이고 지면에서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y 방향임)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스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다리 끝단을 직교좌표계에서 (+x, +y) 방향(여기서,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전방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x 방향이고 지면에서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y 방향임)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사인파(sinusoidal) 궤적을 따라 0에서 1로 변동하는 천이 파라미터를, 이전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된 제어토크 및 변경된 신규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할 제어토크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압력 센서부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압력 센서부에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어모드가 변경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드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사인파(sinusoidal) 궤적을 따라 0에서 1로 변동하는 천이 파라미터를, 이전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된 제어토크 및 변경된 신규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할 제어토크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 간결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보행상태와 사전 설정된 보행 모드를 매칭시켜 다리를 제어하므로 복잡한 연산과정을 생략하면서도 우수한 보행 보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축수와는 상관 없이 단순한 자코비안 변환을 통해 보행 보조력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에 적용되는 압력 센서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압력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센싱 신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에서 다리의 보행 상태에 따라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로봇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서 적용되는 제어 기법을 정리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은, 착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부(10) 및 압력 센서부(10)에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에 적용되는 압력 센서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에 적용되는 압력 센서부(10)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신발(100)의 바닥부(110)(예를 들어, 신발의 솔(sole) 바닥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압력 센서(11a, 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압력 센서부(10)는 발의 앞꿈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11a)와 발의 뒤꿈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센서부(10)의 배치 구조는 로봇 착용자의 양발에 모두 적용된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두 개의 압력 센서(11a, 11b)를 로봇 착용자의 신발에 설치한 것을 예로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세 개 이상의 압력 센서를 적용한다든지 로봇 착용자의 신발 대신 로봇 자체가 구비하는 발바닥 지지부에 압력 센서가 구비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20)는 로봇 착용자의 양 발바닥의 압력을 센싱한 신호를 압력 센서부(10)로부터 입력 받고,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결정하며,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20)는 양 발바닥의 압력을 센싱한 신호를 압력 센서부(10)로부터 입력 받고, 양 발바닥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가 앞꿈치부인지 뒤꿈치부인지에 따라 해당 다리의 보행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발바닥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가 앞꿈치부 및/또는 뒤꿈치부로 검출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20)는 하나의 발바닥에 대해 총 4가지 경우로 다리의 보행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다리에 대해 결정된 보행상태를 기반으로 로봇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에 따른 제어 모드를 사전 결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를 선택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보행보조를 위한 힘을 제공하게 된다.
제어부(20)의 제어 기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압력 센서부(10)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S11); 제어부(20)에서, 압력 센서부(10)에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2); 및 제어부(20)에서,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S13)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먼저, 발바닥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S11)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양 발바닥 각각의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압력을 압력센서부(10)에서 검출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각 발바닥의 앞꿈치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두 개의 제1 압력센서(11a)와 각 발바닥의 뒤꿈치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두 개의 제2 압력센서(11b)에서 센싱된 총 4개의 센싱 신호가 제어부(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2) 에서, 제어부(20)는 입력4받은 총 4개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각 발바닥에 대응되는 다리의 보행상태를 결정한다.
다음의 표 1은 발바닥의 압력을 센싱한 결과에 따라 제어부(20) 해당 다리의 보행 상태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보행상태 제1 압력센서(앞꿈치) 제2 압력센서(뒤꿈치)
공중(air) 비접촉 비접촉
발뒤꿈치 지지(heel-strike) 비접촉 접촉
발바닥 전체 지지(support) 접촉 접촉
발앞꿈치 지지(toe-off) 접촉 비접촉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각 다리의 보행 상태를 공중(air) 상태, 발뒤꿈치 지지(heel-strike) 상태, 발바닥 전체 지지(support) 상태 및 발앞꿈치 지지(toe-off)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행 상태의 결정은 제1 압력센서(11a)와 제2 압력센서(11b)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정기법은 도 4를 통해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압력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센싱 신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왼발의 발바닥에 설치된 제1 압력센서(11a)와 제2 압력센서(11b) 및 오른발의 발바닥에 설치된 제1 압력센서(11a)와 제2 압력센서(11b)에서는 센싱한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을 센싱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20)는 각 압력 센서에서 출력된 센싱신호의 크기를 사전 설정된 임계값(Th)과 비교하고, 센싱신호가 임계값(Th)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압력센서에 대응되는 부분이 지면과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센싱신호가 임계값(Th)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 압력 센서에 대응되는 부분(발바닥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이 지면과 비접촉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20)는 제1 압력센서(11a)와 제2 압력센서(11b)에서 결정된 발의 앞꿈치부와 뒤꿈치부의 지면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표와 같이, 해당 발바닥에 대응되는 다리의 보행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각 다리의 보행상태가 결정되면, 제어부(20)는 각 다리의 제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13). 이 때, 제어부(20)는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보행 상태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 상태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해당 다리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에서 다리의 보행 상태에 따라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는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보행 상태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 상태에 따라 총 6 가지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6 개의 제어 모드는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 6 개의 제어모드는,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M2),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M3),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M4),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 및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M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편 다리가 발뒤꿈치 지지(heel-strike) 상태이고 오른편 다리가 발바닥 전체 지지(support) 상태인 경우, 제어부(20)는 왼편 다리를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M4)로 제어하고, 오른편 다리를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보행 상태가 공중(air) 상태 및 발바닥 전체 지지(support) 상태인 경우에는 나머지 다리의 보행 상태에 상관 없이 각각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M2) 및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로 결정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나머지 다리의 상태에 따라 제어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6 개의 제어모드 중,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는, 중력 방향(예를 들어,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착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사전 설정된 힘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관절에 구비된 관절 구동부(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의 토크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통상의 보행 보조 로봇은 바디-허벅지-종아리가 순서대로 관절을 통해 연결된다. 바디와 허벅지는 고관절 구동부를 통해 연결되고 허벅지와 종아리는 무릎 구동부를 통해 연결된다. 바디에는 관성 센서가 구비되어 바디의 피치각이 센싱될 수 있고, 각 관절 구동부(30)에는 엔코더(31)가 구비되므로 각 관절의 회전각이 센싱될 수 있다. 제어부(20) 이러한 센싱정보를 통해 중력의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관성센서, 고관절 회전각, 무릎관절 회전각으로 구성되는 자코비안을 생성한 뒤, 중력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힘을 작용하여 지면을 밀어줄 수 있도록 각 관절의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M2)는, 보행보조 로봇이 갖는 기구적 마찰이나 무게를 보상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M2)는 보행보조 로봇의 각 관절에 존재하는 마찰과 바디, 허벅지, 및 종아리를 구성하는 각 링크의 중력에 의한 무게를 보상하도록 제어부(20)가 각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기능을 한다. 이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M2)에서는 착용자가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 무게나 마찰을 느끼지 못 하고 쉽게 다리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모드이다.
다음으로,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M3)는,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기능으로, 제어부(20)가 임피던스(impedance) 제어를 이용하여 가상 다리(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를 만들어 각 관절의 구동부를 제어를 실시하는 모드이다. 가상 다리란, 보행 보조 로봇의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이어주는 선으로,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M3)에서 제어부(20)는 이 가상의 다리에 해당하는 선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가 존재하는 제어를 통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기능이다.
다음으로,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M4)는, 전술한 모드(M3)를 수행하면서, 제어부(20)가 가상 다리에 대해 임피던스 제어가 되어 있는 방향의 평형점을 0도로 세팅하여 가상 다리가 수직이 되도록 다리를 끌어당기는 기능을 추가한 모드이다.
다음으로,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는, 다리가 늦은 스탠스 단계(stance phase)에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모드로서, 제어부(20)가 다리 끝단을 (-x, -y)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각 관절의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체를 밀어주는 모드이다.
마지막으로,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M6)는 제어하는 다리의 스윙을 쉽게 가져가기 위하여 제어부(20)가 다리 끝단을 (+x, +y)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각 관절이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착용자가 쉽게 스윙 상태를 가져가게 할 수 있는 모드이다.
상기 각 제어 모드(M1 내지 M6)가 실제 로봇에 적용되는 기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로봇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로봇은 바디(B)와, 허벅지에 대응되는 링크(T)와, 종아리에 해당되는 링크(S)와, 바디(B)와 허벅지 링크(T)를 연결하는 고관절(41)과 허벅지 링크(T)와 종아리 링크(S)를 연결하는 무릎 관절(4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B)에는 관성 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가 구비되어 바디(B)의 피치각이 센싱될 수 있으며, 고관절(41)과 무릎 관절(42)에는 제어부(20)에 의해 구동되는 관절 구동부(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등)와 관절의 회전각을 센싱하는 엔코더(31)가 구비될 수 있다. 관성 센서에서 센싱되는 바디의 피치각과 엔코더(31)에서 센싱되는 관절 회전각은 제어부(20)로 제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리의 종단(43)은 고관절의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의 식 1과 같이 직교좌표계에서 산출될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1
여기서 L1은 허벅지 링크(T)의 길이이고, L2는 종아리 링크(S)의 길이이며, θp는 바디(B)의 피치각이고, θh는 고관절의 회전각이며, θk는 무릎 관절의 회전각이다. 또한, 첨자 i는 왼쪽, 오른쪽 다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다리의 종단(43)은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극좌표계에서 다음의 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식 2]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2
상기 식 1과 식 2를 통해 고관절을 기준으로 직교 자코비안(Cartesian Jacobian) 및 극 자코비안(polar Jacobian)은 각각 식 3 및 식 4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식 3]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3
[식 4]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5
는 엔코더(31)에서 센싱되는 각 관절의 회전각으로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6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자코비안을 이용하면 다리 종단(43)에서의 속도는 직교좌표계 및 극좌표계에서 각각 다음의 식 5 및 식 6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식 5]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7
[식 6]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8
이상과 같이 유도되는 자코비안을 이용하여 각 제어 모드(M1 내지 M6)는 다음과 같이 유도될 수 있다.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 및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M6)는 x축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직접 힘을 제공하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수행되므로, 다음의 식 7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식 7]
Figure 112016048249075-pat00009
상기 식 7에서 τh,i와 τk,i는 각각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관절 구동부의 토크이고, Fx와 Fy는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 및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M6)에서 각각 사전 설정된 다리의 말단에 적용하고자 하는 힘이다.
예를 들어,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에서는 -y축 방향으로만 힘을 적용하여야 하므로 Fx는 0이고 Fy는 사전 설정된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에서는 -x, -y의 방향으로 힘을 적용하는 것으로 Fx와 Fy 모두 사전 설정된 음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M6)에서는 +x, +y의 방향으로 힘을 적용하는 것으로 Fx와 Fy 모두 사전 설정된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M2)는 각 관절의 마찰이나 중력에 의한 무게를 보상하도록 제어부(20)가 각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로서, 네거티브 피드백이 직교좌표계에서 적용될 수 있다. 지면 충격 흡수 모드(M3)에서는 다음의 식 8과 같이 각 관절이 제어될 수 있다.
[식 8]
Figure 112016048249075-pat00010
여기서, Kd,y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가변의 상수로서 단위는 Nsec/deg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M3)는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여 각 관절의 구동부를 제어를 실시하는 모드로서, 다음의 식 9와 같이 극좌표에서의 임피던스 제어를 통해 각 관절의 토크가 결정될 수 있다.
[식 9]
Figure 112016048249075-pat00011
여기서, Kp,r과 Kd,r은 착용자 다리에서 측정된 임피던스에 따라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는 N/m 및 Nsec/m이다. 또한, ΔEp,i는 극좌표계에서 발뒤꿈치 지지 시의 다리 말단의 위치와 그 이후 다리 말단의 위치들의 차이이며,
Figure 112016048249075-pat00012
는 극좌표계에서 정지속도와 다리 말단의 속도차를 나타내는 것이다.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M4)는 전술한 모드(M3)를 수행하면서, 제어부(20)가 가상 다리에 대해 임피던스 제어가 되어 있는 방향의 평형점을 0도(도 6에 θp,i=0)로 세팅하여 가상 다리가 수직이 되도록 다리를 끌어당기는 기능을 추가한 모드로서, 다음의 식 10과 같이 관절 구동부의 토크가 제어될 수 있다.
[식 10]
Figure 112016048249075-pat00013
상기 식 10에서 Kp,θ가 0인 경우가 상기 식 9가 된다. 상기 식 10에서, Kp,θ는 0이 아닌 값을 가지며 그 단위는 N/deg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서 적용되는 제어 기법을 정리한 도면으로, 참조부호 '71'로 지시된 직교좌표계에서의 임피던스 제어는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M2)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참조부호 '72'로 지시된 직접적인 피드포워드 제어는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M1),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 및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M6)에서 적용될 수 있고, 참조부호 '73'으로 지시된 극좌표계에서의 임피던스 제어는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M3) 및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M4)에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각 제어모드가 변경되는 시점에서 갑작스러운 회전력 변경에 따른 불연속 구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모드가 변경되는지 판단하고(S15), 제어모드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각 관절의 불연속 회전력을 보간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6).
단계(S16)에서 수행되는 불연속 회전력을 보간하기 위한 제어는 제어부(20)가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사인파(sinusoidal) 궤적을 따라 0에서 1로 변동하는 천이 파라미터를 이전 제어토크 및 신규 제어토크에 적용하는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천이 파라미터(p)는 하기 식 11과 같으며, 이를 적용하여 천이구간에서 적용되는 제어토크는 하기 식 12와 같다.
[식 11]
Figure 112016048249075-pat00014
[식 12]
Figure 112016048249075-pat00015
상기 식 11 및 식 12에서 tp는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이며, SAT는 포화 함수(saturation function)로서, SAT(x, a, b)는 a < x < b일 때 x의 값을 가지며, a < x일 때 a의 값을 가지며 x < b일 때 b의 값을 갖는 함수이다. 또한, τh,posterior, τk,posterior는 변경된 제어모드에서의 각 관절 구동부의 제어토크이고, τh,prior, τk,prior는 변경 이전 제어모드에서의 각 관절 구동부의 제어토크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 간결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보행상태와 사전 설정된 보행 모드를 매칭시켜 다리를 제어하므로 복잡한 연산과정을 생략하면서도 우수한 보행 보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축수와는 상관 없이 단순한 자코비안 변환을 통해 보행 보조력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압력 센서부 11a, 11b: 압력 센서
100: 신발 110: 바닥부
20: 제어부 30: 관절 구동부
31: 엔코더 41: 고관절
42: 무릎 관절 43: 종단

Claims (26)

  1. 착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부; 및
    상기 압력 센서부에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보행 상태 및 상기 나머지 다리의 보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제어모드를,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 및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 및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부는, 발바닥의 앞꿈치부와 뒤꿈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앞꿈치부 및 상기 뒤꿈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해당 부분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로 판단하고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부분이 지면과 비접촉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지면 접촉 상태 및 비접촉 상태와, 상기 나머지 다리의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지면 접촉 상태 및 비접촉 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보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바닥 전체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앞꿈치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뒤꿈치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는, 중력 방향으로 상기 착용자를 사전 설정된 힘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는 상기 관절의 마찰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중력에 의한 무게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는,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임피던스(impedance) 제어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를 만들어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는,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임피던스(impedance) 제어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를 만들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가상 다리에 대해 임피던스 제어가 되는 방향의 평형점을 0도로 세팅하여 가상 다리가 수직이 되도록 다리를 끌어당기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끝단을 직교 좌표계에서 (-x, -y) 방향(여기서,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전방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x 방향이고 지면에서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y 방향임)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스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다리 끝단을 직교좌표계에서 (+x, +y) 방향(여기서,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전방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x 방향이고 지면에서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y 방향임)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사인파(sinusoidal) 궤적을 따라 0에서 1로 변동하는 천이 파라미터를, 이전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된 제어토크 및 변경된 신규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할 제어토크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
  14. 압력 센서부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압력 센서부에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와 나머지 다리의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된 보행상태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보행 상태 및 상기 나머지 다리의 보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제어모드를,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 및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M5) 및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발바닥의 앞꿈치부와 뒤꿈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앞꿈치부 및 상기 뒤꿈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해당 부분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로 판단하고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부분이 지면과 비접촉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지면 접촉 상태 및 비접촉 상태와, 상기 나머지 다리의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지면 접촉 상태 및 비접촉 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보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바닥 전체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앞꿈치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발뒤꿈치로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앞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뒤꿈치부가 지면 비접촉 상태인 경우, 해당 다리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인 것으로 상기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모드가 상기 하중지지(weight bearing) 모드로 결정되면, 중력 방향으로 상기 착용자를 사전 설정된 힘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모드가 상기 기계 임피던스 보상(compensation of mechanical impedance) 모드로 결정되면, 상기 관절의 마찰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중력에 의한 무게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모드가 상기 지면 충격 흡수(ground impact absorbing) 모드로 결정되면,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임피던스(impedance) 제어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를 만들어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모드가 상기 지면 충격 흡수 및 가상 다리 확장(ground impact absorbing & extension of virtual leg) 모드로 결정되면,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다리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임피던스(impedance) 제어를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고관절과 로봇 다리의 말단을 연결한 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가상 스프링-댐퍼를 만들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가상 다리에 대해 임피던스 제어가 되는 방향의 평형점을 0도로 세팅하여 가상 다리가 수직이 되도록 다리를 끌어당기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24.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모드가 상기 지면 푸시(pushing ground) 모드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끝단을 직교 좌표계에서 (-x, -y) 방향(여기서,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전방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x 방향이고 지면에서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y 방향임)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2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모드가 상기 스윙 준비(ready for swing phase) 모드로 결정되면,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다리의 스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다리 끝단을 직교좌표계에서 (+x, +y) 방향(여기서, 상기 보행보조 로봇의 전방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x 방향이고 지면에서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y 방향임)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절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2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어모드가 변경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드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사인파(sinusoidal) 궤적을 따라 0에서 1로 변동하는 천이 파라미터를, 이전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된 제어토크 및 변경된 신규 제어모드에서 상기 관절구동부에 적용할 제어토크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60061605A 2016-05-19 2016-05-19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6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05A KR101836636B1 (ko) 2016-05-19 2016-05-19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5/280,155 US10765583B2 (en) 2016-05-19 2016-09-29 Wearable walking assist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16120475.7A DE102016120475A1 (de) 2016-05-19 2016-10-27 Tragbarer Gehunterstützungsrobot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igen
US16/983,057 US11944580B2 (en) 2016-05-19 2020-08-03 Wearable walking assist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05A KR101836636B1 (ko) 2016-05-19 2016-05-19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57A KR20170131757A (ko) 2017-11-30
KR101836636B1 true KR101836636B1 (ko) 2018-03-09

Family

ID=6025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05A KR101836636B1 (ko) 2016-05-19 2016-05-19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765583B2 (ko)
KR (1) KR101836636B1 (ko)
DE (1) DE102016120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36B1 (ko) * 2016-05-19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23727A1 (en) * 2017-04-11 2020-10-15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Powered Walking Assistan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8161905A (zh) * 2018-01-10 2018-06-15 安徽工程大学 一种可变刚度下肢外骨骼助力机器人
KR102546547B1 (ko) * 2018-01-11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행 보조 방법 및 장치
CN108415250B (zh) * 2018-02-09 2020-08-28 西安交通大学 一种防止老年人摔倒的人机协同控制***及其控制方法
CN108673497A (zh) * 2018-05-04 2018-10-19 安徽三弟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握力传感监测的机器人指关节调控***
CN111358667B (zh) * 2018-12-26 2022-02-11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基于关节应力的下肢外骨骼人机交互运动控制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54B1 (ko) * 2011-11-21 2013-10-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0471B1 (en) * 1998-09-18 2008-08-12 Becker Orthopedic Appliance Company Orthosis knee joint and sensor
US6517503B1 (en) * 1998-09-18 2003-02-11 Becker Orthopedic Appliance Company Orthosis knee joint
US7650204B2 (en) * 2001-06-29 2010-01-19 Honda Motor Co., Ltd. Active control of an ankle-foot orthosis
JP3833921B2 (ja) * 2001-10-18 2006-10-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状態判定装置及び方法
JP4133216B2 (ja) * 2001-10-29 2008-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人間補助装置の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030530A1 (en) * 2002-04-12 2009-01-29 Martin James J Electronically controlled prosthetic system
US8974402B2 (en) * 2002-04-12 2015-03-10 Rxfunction, Inc. Sensor prosthetic for improved balance control
KR100690909B1 (ko) * 2002-08-22 2007-03-09 빅톰 휴먼 바이오닉스 인크. 무릎-이상 절단자용 작동 의족
KR100835361B1 (ko) 2003-08-29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이 지면반력 센서를 이용한 보행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US7815689B2 (en) * 2003-11-18 2010-10-19 Victhom Human Bionics Inc. Instrumented prosthetic foot
US20050107889A1 (en) * 2003-11-18 2005-05-19 Stephane Bedard Instrumented prosthetic foot
KR100572684B1 (ko) 2004-03-02 2006-04-19 주식회사유진로보틱스 주행 모드로 천이되는 이족 보행 로봇 구동방법 및 그장치
JP4541867B2 (ja) * 2004-12-16 2010-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外力制御方法、外力制御システム及び外力制御プログラム
US20070123997A1 (en) * 2005-03-31 2007-05-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xoskeletons for running and walking
US8512415B2 (en) * 2005-03-31 2013-08-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wered ankle-foot prothesis
US10307272B2 (en) * 2005-03-31 2019-06-0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for using a model-based controller for a robotic leg
US20080167580A1 (en) * 2005-04-05 2008-07-10 Andante Medical Devices Ltd. Rehabilitation System
PL1874239T3 (pl) * 2005-04-13 2014-10-31 Univ California Pół-wspomagany egzoszkielet kończyny dolnej
US7426873B1 (en) * 2006-05-04 2008-09-23 Sandia Corporation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pressure sensor for footwear
WO2008005865A1 (en) * 2006-06-30 2008-01-10 Drexel University Orthosis and method of use fo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dropfoot
US7578799B2 (en) * 2006-06-30 2009-08-25 Ossur Hf Intelligent orthosis
KR100939284B1 (ko) 2008-03-31 2010-01-28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족관절 보행보조장치
EP2296602B8 (en) * 2008-05-20 2015-08-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vice and method for decreasing oxygen consumption of a person during steady walking by use of a load-carrying exoskeleton
US20100125229A1 (en) * 2008-07-11 2010-05-20 University Of Delaware Controllable Joint Brace
CN102098986B (zh) * 2008-07-23 2015-09-09 伯克利仿生技术公司 外骨骼和控制该外骨骼的迈步腿的方法
WO2010025409A1 (en) * 2008-08-28 2010-03-04 Raytheon Sarcos, Llc A biomimetic mechanical joint
WO2010025403A1 (en) * 2008-08-28 2010-03-04 Raytheon Sarcos, Llc Control logic for biomimetic joint actuators
JP5075777B2 (ja) * 2008-09-23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WO2010090658A1 (en) * 2008-10-02 2010-08-12 Trantzas Constantin M An integrated system to assist in the rehabilitation and/or exercising of a single leg after stroke or other unilateral injury
JP5235838B2 (ja) * 2008-11-06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EP2442712B1 (en) * 2009-06-17 2019-09-11 Össur hf Feedback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prosthetic or orthotic devices
CA2769975A1 (en) * 2009-07-01 2011-01-06 Rex Bionics Limited Control system for a mobility aid
WO2011006240A1 (en) * 2009-07-13 2011-01-20 Biotonix (2010) Inc. Configurable foot orthosis
US20110112447A1 (en) * 2009-10-05 2011-05-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ortable active fluid powered ankle-foot orthosis
JP5588724B2 (ja) * 2010-04-23 2014-09-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運動補助装置
US9480618B2 (en) * 2010-10-05 2016-11-01 Elizabeth T. Hsiao-Wecksler Portable active pneumatically powered ankle-foot orthosis
CN103260576B (zh) * 2010-12-16 2015-04-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行走辅助装置
EP2685946B1 (en) * 2011-03-14 2017-05-03 Cadence Biomedical, Inc. Orthosis
US8961185B2 (en) * 2011-08-19 2015-02-24 Pul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y coordinating musculoskeletal and cardiovascular hemodynamics
WO2013049658A1 (en) * 2011-09-28 2013-04-04 Northeastern University Lower extremity exoskeleton for gait retraining
US20130165817A1 (en) * 2011-12-09 2013-06-27 Robert W. Horst Orthotic device sensor
US8968227B2 (en) * 2012-01-23 2015-03-03 Adicep Technologies, Inc. Knee Brace
US10179079B2 (en) * 2012-03-22 2019-01-15 Ekso Bionics, Inc. Human machine interface for lower extremity orthotics
US9221177B2 (en) * 2012-04-18 2015-12-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euromuscular model-based sensing and control paradigm for a robotic leg
CA2876206A1 (en) * 2012-06-15 2013-12-19 Vanderbilt University Movement assistance device
JP2014073222A (ja) * 2012-10-04 2014-04-24 Sony Corp 運動補助装置及び運動補助方法
JP6130674B2 (ja) * 2013-01-15 2017-05-17 株式会社東芝 支援装置及び支援方法
WO2014159114A1 (en) * 2013-03-14 2014-10-02 össur hf Prosthetic ankle: a method of controlling based on adaptation to speed
WO2014151584A1 (en) * 2013-03-15 2014-09-25 Alterg, Inc. Orthotic device drive system and method
US9662262B2 (en) * 2013-05-06 2017-05-30 Springactive, Inc. Joint torque aug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gait assistance
CN108670195B (zh) * 2013-05-31 2022-05-10 哈佛大学校长及研究员协会 用于辅助人体运动的软机器护甲
US20150025423A1 (en) * 2013-07-19 2015-01-22 Bionik Laboratories, Inc. Control system for exoskeleton apparatus
KR101517058B1 (ko) 2013-11-19 2015-05-04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관절용 근력보조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US9943459B2 (en) * 2013-11-20 2018-04-17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ficit-adjusted adaptive assistance during movement phases of an impaired joint
EP4104757A3 (en) * 2013-12-09 2023-01-0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ssistive flexible suits, flexible suit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control thereof to assist human mobility
KR102193768B1 (ko) * 2014-01-14 202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및 로봇의 제어 방법
KR102119536B1 (ko) * 2014-01-15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US9662526B2 (en) * 2014-04-21 2017-05-3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Active movement train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0406676B2 (en) * 2014-05-06 2019-09-10 Sarcos Lc Energy recovering legged robotic device
JP6347836B2 (ja) * 2014-07-10 2018-06-27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脚相移行タイミング判定方法、脚相移行タイミング判定装置、歩行支援制御方法及び歩行支援装置
KR102161310B1 (ko) * 2014-11-26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력 설정 방법 및 장치
US10342725B2 (en) * 2015-04-06 2019-07-09 Kessier Found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controlled exoskeleton gait control
US10426637B2 (en) * 2015-05-11 2019-10-01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Exoskeleton ankle robot
US11337622B2 (en) * 2015-06-22 2022-05-24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conomical, portable deficit-adjusted adaptive assistance during movement phases of an impaired ankle
US10966894B2 (en) * 2015-06-26 2021-04-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xoskeleton legs to reduce fatigue during repetitive and prolonged squatting
KR101755801B1 (ko) * 2015-07-06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봇의 보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A3010960C (en) * 2016-01-17 2020-03-10 Human In Motion Robotics Inc. System and device for guiding and detecting motions of 3-dof rotational target joint
US10813573B2 (en) * 2016-03-15 2020-10-27 Laboratoire Victhom Inc. Biomechanical analysis and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36636B1 (ko) * 2016-05-19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8038B1 (ko) * 2016-06-15 2018-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목형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477645B2 (ja) * 2016-09-28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654035B2 (en) * 2016-10-06 2023-05-23 Cyberdyne Inc. Gait disorder support apparatus and gait disorder support method
JP6584384B2 (ja) * 2016-12-27 2019-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作補助装置
US11497641B2 (en) * 2017-05-11 2022-11-1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Lower limb powered orthosis with low ratio actuation
US11259980B2 (en) * 2017-07-31 2022-03-01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oft inflatable exosuit for knee rehabilitation
KR102566114B1 (ko) * 2017-11-10 202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보행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US20190343710A1 (en) * 2018-05-11 2019-11-1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Northern Arizona University Exoskeleton device
WO2020014257A1 (en) * 2018-07-10 2020-01-16 Dephy, Inc. Wearable joint augmentation system
US11278235B2 (en) * 2018-10-23 2022-03-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eural efferent and afferent control of spring equilibrium, damping, and power in backdrivable and non-backdrivable series-elastic actuators comprising variable series stiffness mechanisms
US11622905B2 (en) * 2018-12-10 2023-04-11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Northern Arizona University Proportional joint-moment control for powered exoskeletons and prostheses
US20230177649A1 (en) * 2021-12-03 2023-06-08 Nvidia Corporation Temporal image blending using one or more neural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54B1 (ko) * 2011-11-21 2013-10-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20475A1 (de) 2017-11-23
KR20170131757A (ko) 2017-11-30
US20170333278A1 (en) 2017-11-23
US11944580B2 (en) 2024-04-02
US20200375835A1 (en) 2020-12-03
US10765583B2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636B1 (ko)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8038B1 (ko) 부목형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2347867B1 (en) Walking control apparatus of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65543B1 (ko) 인간형 로봇의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US9043029B2 (en) Walk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ture thereof
US8868239B2 (en) Walking control apparatus of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079624B2 (en) Walk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balance thereof
KR101755820B1 (ko) 착용식 로봇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9120513B2 (en) Method of controlling gait of robot
KR101766755B1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72824A1 (en) Walk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40253B1 (ko) 착용로봇의 보행천이 제어방법
KR20130049029A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JP5083463B2 (ja) 歩行補助装置
KR101730909B1 (ko) 착용 로봇 및 그의 가변 임피던스 제어방법
US20090308668A1 (en) Walk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87879B1 (ko) 착용형 로봇의 제어를 위한 zmp 기반 보행궤적 생성 방법 및 보행 궤적 생성 시스템의 제어 방법
Jo et al. Dynamic modelling and walk simulation for a new four-degree-of-freedom parallelogram bipedal robot with sideways stability control
KR102266431B1 (ko) 보행속도기반 착용로봇의 능동-준능동 제어 방법
JP2008126382A (ja) 脚式移動ロボ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26330A (ja) 脚式ロボ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