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572B1 - 스태커 크레인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572B1
KR101805572B1 KR1020157031825A KR20157031825A KR101805572B1 KR 101805572 B1 KR101805572 B1 KR 101805572B1 KR 1020157031825 A KR1020157031825 A KR 1020157031825A KR 20157031825 A KR20157031825 A KR 20157031825A KR 101805572 B1 KR101805572 B1 KR 10180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st
exhaust
stacker crane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997A (ko
Inventor
히로시 타나카
유미코 코마다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66F9/072Travell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마스트(103)와 승강수단(104)의 슬라이딩부(134)를 덮고, 마스트(10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공간(191)을 형성하는 제1 피복체(105)와, 상기 제1 공간(191)과는 제1 격벽(131)에 의해 구획되고, 마스트(10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공간(192)을 형성하는 제2 피복체(106)와, 상하방향으로 분산상태로 제1 격벽(131)에 부착되고, 제1 공간(191)과 상기 제2 공간(192)을 연통하는 복수의 배기구멍(136)과, 마스트(103)에 부착되고, 상하방향의 일부에서 제2 공간(19)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장치(10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본원 발명은, 물품을 격납(格納)하는 선반을 따라 주행하고, 선반과의 사이에서 물품의 이재(移載)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물품을 취급하는 공장 등에서는, 선반에 물품을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펼쳐 보관하며, 선반을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물품의 출납을 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클린 룸(clean room) 내에서 사용되는 스태커 크레인은, 슬라이딩부분이 많은 슬라이딩부분으로부터의 발진(發塵)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부분 등에서 발생한 먼지를 제거하는 연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키가 큰 선반에 대응하는 마스트(mast)가 긴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승강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체인이 통과하는 마스트의 뒤쪽을 커버로 덮고, 커버의 내부를 상단부 및 하단부에 부착된 복수의 팬 필터 유닛(fan filter unit)으로 흡인(吸引)하며, 마스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발생하는 먼지를 포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8-7454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전의 기술에서는, 마스트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것에 따라, 마스트에 부착하는 팬 필터 유닛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고, 스태커 크레인의 중량이 증가하며, 스태커 크레인을 가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로부터 발생하는 먼지를 마스트의 전역에 걸쳐서 효율적으로 포착하고, 클린 룸 내에 먼지를 확산하는 것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은, 물품을 격납하는 선반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수단과, 상기 선반으로의 상기 물품의 이재를 행하는 이재수단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주행수단에 부착된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와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재수단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상기 마스트와 상기 승강수단의 슬라이딩부를 덮고,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피복체와, 상기 제1 공간과는 제1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피복체와, 상하방향으로 분산상태로 상기 제1 격벽에 부착되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배기구멍과, 상기 마스트에 부착되고, 상하방향의 일부에서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배기장치는, 마스트를 따르는 상하방향의 일부에서 제2 공간의 공기를 배기하고, 제1 공간의 공기는 마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분산상태로 넓어지는 복수의 배기구멍을 통해 제2 공간에 흡인된다. 즉, 배기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제2 공간의 부압(負壓)은, 마스트를 따르는 상하방향에 걸쳐서 균일화되고, 제1 공간의 공기를 상하방향에 걸쳐서 균일, 또는, 거의 균일하게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배기장치로 상하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제1 공간 내에 부유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적은 배기장치로 마스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슬라이딩부로부터 발생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상기 제1 공간을 수평방향으로 구획하여 제3 공간과 제4 공간을 형성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장치의 흡인구는 상기 제4 공간보다도 상기 제3 공간의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구멍은, 상기 제3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제1 배기구멍과, 상기 제4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제2 배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배기구멍의 통기 저항은, 상기 제2 배기구멍의 통기 저항보다 높다.
이것에 의하면, 마스트의 외주 부분의 어느 장소에 배기장치를 부착하여도 제1 공간에 부유하는 먼지를 균등하게 효율 좋게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의 배기장치의 부착의 자유도(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마스트와 상기 선반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한정된 부착면적 안에서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거리를 가능한 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와 상기 배기장치의 사이에, 상기 제2 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배기장치의 흡인구와 연통하는 안내공간이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배기장치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마스트의 슬라이딩부분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상하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효율 좋게 포착할 수 있고, 마스트 기원의 먼지에 의해 클린 룸 등을 오염시키지 않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스태커 크레인과 선반을 구비하는 자동창고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창고를 상방으로부터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으로 마스트를 가상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으로 마스트를 가상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배기장치가 부착된 부분의 마스트의 일부를 X축 마이너스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배기장치가 부착된 부분의 마스트의 일부를 X축 플러스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트를 가상적으로 XY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과 관련된 스태커 크레인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원 발명과 관련된 스태커 크레인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를 참고로 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 범위가 확정되는 것이고, 이하의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중, 본 발명의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보다 바람직한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스태커 크레인과 선반을 구비하는 자동창고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창고를 상방으로부터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창고(200)는,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선반(201)과, 두 개의 선반(201)에 끼워진 위치에 배치되는 스태커 크레인(10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창고(200)는, 예컨대, 클린 룸 내에서 사용되는 창고이며, 선반(201)에 물품(202)을 올려놓고 보관한다.
선반(201)은, 상하방향(도면에서 Z축 방향) 및 수평의 한 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물품(202)을 나란히 하여 유지하며, 수평의 다른 방향(도면에서 Y축 방향)으로 물품(202)을 독립하여 출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반(20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으로 부착된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어, 지지체 상에 물품이 올려 놓여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스태커 크레인(100)은, 물품(202)을 격납하는 선반(20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수단(101)과, 선반(201)으로의 물품(202)의 이재를 행하는 이재수단(102)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주행수단(101)에 부착된 마스트(103)와, 마스트(103)와 슬라이딩하여 이재수단(10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104)을 구비하는 크레인으로서, 제1 피복체(105)와, 제2 피복체(106)와, 배기구멍(136)(도 3, 도 4 등 참조)과, 배기장치(107)를 구비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100)은, 주행수단(101)이 좌우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승강수단(104)이 상하방향(도면에서 Z축 방향)으로 마스트(103)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재수단(102)을 선반(201)에 유지된 임의의 물품(202)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스태커 크레인(100)은, 선반(201)으로부터 임의의 물품의 추출 및 선반(201)의 임의의 위치로의 물품(202)의 적재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재수단(102)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 제어된다.
주행수단(101)은, 물품(202)을 격납하는 선반(201)을 따라 이동하고, 스태커 크레인(100)을 수평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주행용의 대차(bogie)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주행수단(101)은, 주행용의 모터 등을 구비하고, 건물의 바닥에 부설된 하부레일(111) 위를 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하부대차(112)와, 건물의 상부에 부착된 상부레일(11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상부대차(114)를 구비하고 있다.
이재수단(102)은, 선반(201)과 스태커 크레인(100)의 사이에서 물품(202)의 이재를 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재수단(102)은, 다관절의 암 유닛(arm unit)에 의해 물품(202)의 이재를 행하는 스칼라(scalar) 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재수단(102)은 암 유닛을 관절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선반(201)과의 사이에 물품(202)의 이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승강수단(104)은, 마스트(103)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재수단(102)이 부착된 승강대(141)와, 승강대(141)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승강용의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모터의 구동력을 승강대(141)에 전달하는 체인 등의 전동(傳動)부재(142)(도 3, 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트(103)는, 상하방향(도면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주행수단(101)에 부착된 로드 형상(rod-shaped)의 구조부재이며, 주행수단(101)의 주행에 추종하여 수평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평행이동한다. 마스트(103)는, 승강대(141)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34)를 구비하고, 또한, 상부에는 전동부재(142)를 지지하는 스프로킷(sprocket)(도시되지 않음) 등이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으로 마스트를 가상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으로 마스트를 가상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배기장치가 부착된 부분의 마스트의 일부를 X축 마이너스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배기장치가 부착된 부분의 마스트의 일부를 X축 플러스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의 마스트(103)는, 마스트(103)의 중앙부분에 배치되고, 스태커 크레인(100)의 주행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기초부(133)와, 기초부(133)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기초부(133)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제1 벽부(131) 및 제2 벽부(132)와, 제1 벽부(131)와 기초부(133)를 가교 형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벽부(132)와 기초부(133)를 가교 형상으로 접속하는 판 형상의 제1 격벽(18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135)는, 마스트(103)의 구조적 부분인 동시에, 제1 공간(191)과 제2 공간(192)을 구획하는 제1 격벽(181)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기초부(133)의 주행방향의 단부에는 슬라이딩부(134)가 부착되어 있다. 마스트(103)의 제1 벽부(131)와 제2 벽부(132)는 기초부(133)보다도 주행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넓어진 광폭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딩부(134)는, 제1 벽부(131)와 제2 벽부(132) 사이에 있는 영역에 수용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벽부(131)와 기초부(133)와 접속부(135)에 의해 주머니 형상(コ자 형상 또는 C자 형상)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133)와 제2 벽부(132)의 사이에는, 접속부(135)에 대응하는 것 같은 접속부분은 부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3, 4에 있어서, 마스트(103)의 제1 벽부(131), 제2 벽부(132), 기초부(133), 접속부(135) 등은, 속이 꽉 찬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마스트(10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공(中空)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트러스(truss) 구조의 골격에 얇은 판이 부착된 구조여도 좋다. 또한, 마스트(103)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피복체(105)는, 마스트(103)와 승강수단(104)의 승강대(141)의 슬라이딩부(134)를 덮고, 마스트(10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공간(191)을 형성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피복체(105)는, 제1 벽부(131)의 주행방향의 단부(도면에서 X축 마이너스측의 단부)와 제2 벽부(132)의 주행방향의 단부(도면에서 X축 마이너스측의 단부)의 사이에 가교형상으로 부착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승강대(141)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릿(slit)(153)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피복체(105)는, 제1 벽부(131)로부터 기초부(133)를 향해 연장되는 좌측 피복체(151)와, 제2 벽부(132)로부터 기초부(133)를 향해 연장되는 우측 피복체(152)를 구비하고, 좌측 피복체(151)와 우측 피복체(152)의 틈새가 슬릿(153)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덮는다는 것은, 완전하게 덮어 가리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통기 저항이 발생하는 정도의 틈새(슬릿(153))나 구멍 등의 존재를 허용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제1 공간(191)은, 마스트(103)와 제1 피복체(105)와 제1 격벽(181)(접속부(135)를 포함함)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며, 마스트(10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 형상의 공간이다. 또한, 공간이란 완전하게 닫힌 공간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공간으로부터 다른 공간으로 공기를 이동시킬 때 통기 저항이 발생하는 정도로 부재로 둘러싸인 영역을 의미하고 있다.
제2 피복체(106)는, 제1 공간(191)과는 제1 격벽(181)에 의해 구획되고, 마스트(10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공간(192)을 형성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피복체(106)는,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부(131)의 주행 방향의 단부(도면에서 X축 플러스측의 단부)와 제2 벽부(132)의 주행 방향의 단부(도면에서 X축 플러스측의 단부)의 사이에 가교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배기장치(107)에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duct)(171)가 부착되어 있는 제2 피복체(106)의 부분은 개구(開口)되어 있고, 제2 공간(192)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공간(192)은, 마스트(103)와 제2 피복체(106)로 둘러싸인 공간이며, 마스트(10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 모양의 공간이다.
제2 공간(192)은, 배기장치(107)에 의해 공기가 배기됨으로써, 제1 공간(191)(제3 공간(193), 제4 공간(194)을 포함함)보다도 부압이 되는 공간이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제2 공간(192)의 일부에서 제2 공간(192)의 공기가 배기되지만, 제2 공간(192)은, 상하방향으로 부압을 균일화, 또는, 거의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원인은 현재로써는 명확하지 않지만, 제2 공간(192)은, 제1 공간(191)에 비해 체적이 작고, 배기장치(107)가 배기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을 상하방향으로 신속하게 전파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공간(192)에는, 승강수단(104)의 승강대(141)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재(142)가 통과하고 있다.
배기구멍(136)은, 상하방향으로 분산상태로 제1 격벽(181)에 부착되고, 제1 공간(191)과 제2 공간(192)을 연통하는 구멍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격벽(182)으로서도 기능하는 마스트(103)의 기초부(133)에 의해 제1 공간(191)이 제3 공간(193)과 제4 공간(194)으로 구획되어 있고, 제2 공간(192)과 제3 공간(193)을 연통하는 배기구멍(136)과, 제2 공간(192)과 제4 공간(194)를 연통하는 배기구멍(136)이 존재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배기구멍(136)을 구별하기 위해, 제3 공간(193)과 연통하는 배기구멍(136)을 제1 배기구멍(137)으로 기재하고, 제4 공간(194)과 연통하는 배기구멍(136)을 제2 배기구멍(138)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배기구멍(137)의 통기 저항은, 제2 배기구멍(138)의 통기 저항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3 공간(193)의 공기와 제4 공간(194)의 공기를 균등, 또는, 거의 균등하게 배기하고, 먼지를 균등하게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기 저항의 차이를 설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제1 배기구멍(137)의 개구 면적을 제2 배기구멍(138)의 개구 면적보다 작게 설정하거나, 제1 배기구멍(137)의 수를 제2 배기구멍(138)의 수보다 적게 하거나, 제1 배기구멍(137)의 총 개구 면적을 제2 배기구멍(138)의 총 개구 면적보다 작게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배기구멍(136)(제1 배기구멍(137), 제2 배기구멍(138)을 포함함)의 개구 면적을 다르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배기장치(107)에 가까운 배기구멍(136)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고, 배기장치(107)로부터 멀어물품에 따라 서서히 배기구멍(136)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해가도 상관없다.
여기서, 제3 공간(193)은, 배기장치(107)의 흡인구(172)에 가까운 쪽에 있는 공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3 공간(193)은, 승강수단(104)에 부착된 이재수단(102)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용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케이블 등의 전장품이 통과하는 공간이며, 케이블 등이 마찰함으로써 발생하는 먼지가 부유하는 경우가 있다.
제4 공간(194)은, 배기장치(107)의 흡인구(172)로부터 먼 쪽에 있는 공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4 공간(194)은, 승강수단(104)의 승강대(141)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재(142)가 통과하는 공간이며, 체인 등의 전동부재(142)나 스프로킷 등에서 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공간이다.
배기장치(107)는, 마스트(103)에 부착되고, 제2 공간(192)의 상하방향의 일부에서 제2 공간(192)의 공기를 배기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배기장치(107)는, 팬 필터 유닛으로서,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팬(173)과, 흡인한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17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기장치(107)는, 마스트(103)와 선반(201)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스태커 크레인(100)의 주행 방향을 따르는 마스트(103)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제2 공간(192)의 공기를 배기장치(107)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171)가 배기장치(107)에 부착되어 있다.
덕트(171)는, 제2 공간(192)의 공기를 배기장치(107)로 안내하는 안내공간(175)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배기장치(107)는, 마스트(103)의 주행 방향의 단부(도면에서 X축 플러스측의 단부)로부터 흡인구(172)의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흡인구(172)의 다른 부분은 마스트(103)에 대향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덕트(171)는, 배기장치(107)와 대향하는 마스트(103)와의 사이에도 안내공간(175)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덕트(171)에서 형성되는 안내공간(175)은, 수평면(도면에서 XY평면)에서 열쇠 형상(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덕트(171)를 이상과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배기장치(107)가 제1 공간(191)과 제2 공간(192)의 정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된 경우에도, 배기장치(107)의 배기능력의 배치에 의한 손실을 가급적으로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스태커 크레인(100)에 의하면, 하나의 배기장치(107)에 의해 제1 공간(191)의 공기를 균등, 또는, 거의 균등하게 흡인할 수 있는 상하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100)의 마스트(103)의 길이가 길어졌을 경우에도, 부착된 배기장치(107)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제1 공간(191)에 부유하는 먼지를 낮은 소비 에너지로 효율 좋게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마스트(10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먼지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클린 룸에 적절한 스태커 크레인(10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구성요소를 임의로 조합하고, 또한, 구성요소의 일부를 제외하고 실현되는 다른 실시형태를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 본원 발명의 주지, 즉, 청구범위에 기재된 문언이 나타내는 의미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생각해내는 각종 변형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변형예도 본원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자동창고(200)를 클린 룸 내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물류창고에서 각종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보관고 등으로 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이재수단(102)의 이재방식으로서는, 스칼라 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포크(fork) 방식 또는 푸시풀(push-pull) 방식이 채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1 피복체(105)나 제2 피복체(106)의 형상은, 평판 형상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또는, 만곡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배기장치(107)는, 주행 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부착되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배기장치(107)의 흡인구(172)에 비교적 가까운 제1 배기구멍(137)의 통기 저항은, 제1 배기구멍(137)보다도 먼 제2 배기구멍(138)의 통기 저항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배기장치(107)는, 팬 필터 유닛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배기용의 팬을 구비하고, 배기한 공기를 덕트를 통해서 클린 룸 밖으로 배출하는 것같은 장치여도 상관없다.
본원 발명은, 청정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공장에 부착되는 자동창고 등에 이용가능하다.
100 스태커 크레인
101 주행수단
102 이재수단
103 마스트
104 승강수단
105 제1 피복체
106 제2 피복체
107 배기장치
111 하부레일
112 하부대차
113 상부레일
114 상부대차
131 제1 벽부
132 제2 벽부
133 기초부
134 슬라이딩부
135 접속부
136 배기구멍
137 제1 배기구멍
138 제2 배기구멍
141 승강대
142 전동부재
151 좌측 피복체
152 우측 피복체
153 슬릿
171 덕트
172 흡인구
173 팬
174 필터
175 안내공간
181 제1 격벽
182 제2 격벽
191 제1 공간
192 제2 공간
193 제3 공간
194 제4 공간
200 자동창고
201 선반
202 물품

Claims (7)

  1. 물품을 격납(格納)하는 선반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수단과, 상기 선반으로의 상기 물품의 이재를 행하는 이재수단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주행수단에 부착된 마스트(mast)와, 상기 마스트와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재수단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으로서,
    상기 마스트와 상기 승강수단의 슬라이딩부를 덮고,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피복체와,
    상기 제1 공간과는 제1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피복체와,
    상하방향으로 분산상태로 상기 제1 격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배기구멍과,
    상기 마스트에 부착되고, 상하방향의 일부에서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간을 수평방향으로 구획하여 제3 공간과 제4 공간을 형성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격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기장치의 흡인구는 상기 제4 공간보다도 상기 제3 공간의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구멍은, 상기 제3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제1 배기구멍과, 상기 제4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제2 배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배기구멍의 통기 저항은, 상기 제2 배기구멍의 통기 저항보다 높은,
    스태커 크레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멍의 개구 면적은, 제2 배기구멍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스태커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멍의 수는, 제2 배기구멍의 수보다 적은,
    스태커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멍의 총 개구 면적은, 제2 배기구멍의 총 개구 면적보다 작은,
    스태커 크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마스트와 상기 선반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태커 크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와 상기 배기장치의 사이에, 상기 제2 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배기장치의 흡인구와 연통하는 안내 공간이 형성되는,
    스태커 크레인.
KR1020157031825A 2013-05-16 2014-03-07 스태커 크레인 KR101805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4559 2013-05-16
JP2013104559 2013-05-16
PCT/JP2014/001307 WO2014184990A1 (ja) 2013-05-16 2014-03-07 スタッカクレ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997A KR20150141997A (ko) 2015-12-21
KR101805572B1 true KR101805572B1 (ko) 2017-12-07

Family

ID=5189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825A KR101805572B1 (ko) 2013-05-16 2014-03-07 스태커 크레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09433B2 (ko)
EP (1) EP2998244B1 (ko)
JP (1) JP6004099B2 (ko)
KR (1) KR101805572B1 (ko)
CN (1) CN105164028B (ko)
SG (1) SG11201509380VA (ko)
TW (1) TWI567022B (ko)
WO (1) WO201418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0463A1 (ja) * 2019-05-14 2020-11-19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トッカシステム
JP2022188782A (ja) * 2019-11-22 2022-12-22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
CN112479091B (zh) * 2020-11-11 2022-05-20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可提升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685Y2 (ja) * 1990-12-25 1997-11-26 神鋼電機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内の物品保管設備
JP2008114969A (ja) * 2006-11-02 2008-05-2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マスト内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292A (en) * 1993-08-26 1995-07-18 Hk Systems, Inc. Stacker
US5815085A (en) * 1995-11-16 1998-09-29 Hk Systems, Inc.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having improved real-time responsiveness and improved noise immunity
JPH11180506A (ja) * 1997-12-22 1999-07-06 Murata Mach Ltd クリーンロボット
JP3267932B2 (ja) * 1998-05-20 2002-03-25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装置
JP3832295B2 (ja) * 2001-08-31 2006-10-11 株式会社ダイフク 荷取り扱い設備
KR20060043647A (ko) * 2004-10-08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세트 스토킹 시스템
JP2006327773A (ja) * 2005-05-27 2006-12-0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JP4689372B2 (ja) * 2005-07-04 2011-05-25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スタッカクレーンの走行駆動制御方法
JP4245027B2 (ja) 2006-09-21 2009-03-25 村田機械株式会社 昇降装置
JP5343364B2 (ja) * 2008-02-07 2013-11-13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車システム
JP5422908B2 (ja) * 2008-04-15 2014-02-19 株式会社Ihi 昇降台車
CN101492118B (zh) * 2009-02-10 2012-02-0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减少洁净室的扬尘的方法、仓储***及其移载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685Y2 (ja) * 1990-12-25 1997-11-26 神鋼電機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内の物品保管設備
JP2008114969A (ja) * 2006-11-02 2008-05-2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マスト内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8244A4 (en) 2017-01-18
EP2998244A1 (en) 2016-03-23
TW201502052A (zh) 2015-01-16
JPWO2014184990A1 (ja) 2017-02-23
CN105164028A (zh) 2015-12-16
JP6004099B2 (ja) 2016-10-05
US9809433B2 (en) 2017-11-07
WO2014184990A1 (ja) 2014-11-20
CN105164028B (zh) 2016-11-23
TWI567022B (zh) 2017-01-21
US20160096711A1 (en) 2016-04-07
KR20150141997A (ko) 2015-12-21
SG11201509380VA (en) 2015-12-30
EP2998244B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5938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805572B1 (ko) 스태커 크레인
JP7099245B2 (ja) 物品搬送車
JP2018039653A (ja) 物品搬送装置
JP5772693B2 (ja) 保管庫
KR20190101448A (ko) 스토커
JP2014031271A (ja) 物品収納設備
JP5365743B2 (ja) 移載装置
JP2010241547A (ja) 走行車システム
JP5125291B2 (ja) 薄板処理装置及びクリーン薄板処理システム
JP6861296B2 (ja) 垂直搬送装置を備える保管システム
JPH0215443B2 (ko)
JP2012164732A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室用フレーム構造体
KR102457336B1 (ko) 기판 처리 장치
JP6476868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102381608B1 (ko) 산업용 로봇
JP2011241020A (ja) カセットストッカ
JP2018184282A (ja) 移載システム
JP5741946B2 (ja) 清浄気送風ユニット
JP2008066534A (ja) 基板搬送システムおよび基板搬送方法
KR20200101852A (ko) 물품 반송 설비
KR20220069713A (ko) 물품 임시 보관장치 이를 이용한 물품 이송 시스템
TWM496638U (zh) 具有低風阻的運輸載具
JP2006062870A (ja) クレーンの上部案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