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562B1 - 스크럼 머신 - Google Patents

스크럼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562B1
KR101801562B1 KR1020170089917A KR20170089917A KR101801562B1 KR 101801562 B1 KR101801562 B1 KR 101801562B1 KR 1020170089917 A KR1020170089917 A KR 1020170089917A KR 20170089917 A KR20170089917 A KR 20170089917A KR 101801562 B1 KR101801562 B1 KR 10180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m
body frame
pad
scrim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영
김광년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티디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티디랩 filed Critical (주) 에이티디랩
Priority to KR102017008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4Tackling, blocking or grappling dummies, e.g. boxing or wrestling or American- football dummies
    • A63B69/345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66Rugby; American foot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럭비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럼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선수가 스크럼 강화 훈련에 사용할 수 있고 스크럼 훈련에 따른 개인별 성취도 평가와 훈련 강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체계적인 맞춤 훈련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스크럼 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럼 머신{Scrum Machine}
본 발명은 럭비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럼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선수가 스크럼 강화 훈련에 사용할 수 있고 스크럼 훈련에 따른 개인별 성취도 평가와 훈련 강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체계적인 맞춤 훈련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스크럼 머신에 관한 것이다.
럭비는 타원형의 볼을 이용하여 손과 발을 자유롭게 쓰며 상대편 진지에 들어가 득점을 얻는 경기로서, 정해진 시간 내에 규칙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많은 득점을 함으로써 두 팀간에 승부를 겨루는 운동경기이다.
럭비는 골키퍼를 제외한 다른 선수들은 손을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 축구와는 달리, 발을 이용하여 볼을 차는 행위는 물론 볼을 손으로 잡고 이동하는 행위와, 볼을 가진 선수를 붙잡거나 넘어뜨리는 행위가 모두 허용되는 등 격렬한 스포츠에 해당한다.
럭비에는 라인 아웃(line out)과 스크럼(scrum)이라는 기본 대형이 있다. 라인 아웃은 공 또는 공을 소유한 선수가 터치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플레이를 재개하기 위하여 터치라인 밖에서 던진 공을 잡을 수 있도록 양팀 선수들이 줄지어 있는 대형을 의미한다. 그리고 스크럼은 경기 중 사소한 반칙이 일어났을 때 양 팀의 선수들이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여 그 가운데에 넣어진 공을 발로 빼앗는 대형을 의미한다. 스크럼 대형에서는 한 팀의 선수들이 서로 팔을 건 상태에서 상대 팀을 앞으로 밀치게 되는데, 각 진영은 첫 번째 열에 3명, 두 번째 열에 4명, 세 번째 열에 1명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상태에서 공이 양 팀의 스크럼 사이로 던져지면, 선수들은 발을 이용해 그 공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펼치게 된다.
따라서, 스크럼을 통해 공을 차지하는 것은 경기의 승패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며, 스크럼을 연습하는 것은 럭비 훈련의 꽃이라 할 수 있다. 정확한 스크럼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각 진영당 8명씩 총 16명의 선수가 요구된다. 하지만, 하나의 팀에서 원활한 스크럼 연습을 위하여 스크럼 대형을 짤 수 있는 선수를 16명 이상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부분 2:2, 3:3, 5:5 등의 대형을 통해 스크럼을 연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훈련 효율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는 특허문헌이나 논문 등의 비특허문헌에 의해 공지된 선행기술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일본에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020751호에 '럭비 경기에 있어서 스크럼 연습용 기구'가 개시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JP 20-1979-020751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스크럼 머신은 차체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스크럼부가 구비되어 다수의 선수가 동시에 스크럼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압장치와 제어부를 이용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하고 개인별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맞춤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은,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차체 프레임과; 유압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 이동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선수들이 스크럼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럼 패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럼부와; 복수의 스크럼 패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스크럼부와; 전방 스크럼부에 연결되는 유압장치를 제어하며 전방 스크럼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선수들의 훈련 성취도를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 스크럼부는 각각의 스크럼 패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패드 지지부와, 복수의 패드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과, 후단부는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부는 차체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드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드 지지부는 스크럼 패드가 설치되는 고정판과, 일단은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체 프레임은 유압실린더의 선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유압실린더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압실린더의 후단부는 윙 브래킷에 고정되고 윙 브래킷이 실린더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방 스크럼부는 각각의 스크럼 패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패드 고정판과, 복수의 패드 고정판을 서로 연결하며 하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과, 양단부가 후방 프레임의 상단부와 차체 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 브래킷이 차체 프레임의 후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부재의 일측 단부는 후방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단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차체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유압장치로부터 전방 스크럼부의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제어기능과, 전방 스크럼부의 스크럼 패드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능, 훈련시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감지하는 유압감지기능, 선수 개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기능 및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메인프로세서를 통해 이들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자체 이동을 위한 구동부와 방향 전환을 위한 조향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후륜을 서로 연결하며 차체 프레임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구동축과,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축과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변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향부는 양측 전륜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방 크로스멤버와, 조향력을 발생하며 후단부가 전방 크로스멤버의 고정 브래킷에 연결된 조향용 유압실린더와, 전방 크로스멤버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조향용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어 전륜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1조향링크와, 전방 크로스멤버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전륜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조향링크와, 양측 단부가 제1조향링크와 제2조향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조향링크의 회전력을 제2조향링크로 전달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스크럼 머신은 선수들의 스크럼 강화 훈련에 이용되어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줌은 물론 훈련 강도를 수치로 표시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단계적 맞춤 훈련과 스크럼 대형의 자세 교정을 통해 테크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선수 개인에 대한 훈련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선수들의 개인별 성취도 및 최적 훈련량을 산출하여 체계적인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에서도 개인별 성취도 및 최적 훈련량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등의 관리가 가능하여 훈련 효과가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장치를 이용하는 전방 스크럼부와 유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전방 스크럼부만을 이용한 스크럼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를 통해 선수들의 개인별 성취도를 평가하고 훈련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 스크럼부와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 스크럼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선수가 동시에 스크럼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차체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안전하게 상대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 스크럼부의 유압실린더가 선단부는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스크럼 패드가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방식의 스크럼 강화 훈련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방 스크럼부의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는 링크부재를 통해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므로, 스크럼 패드의 상단부나 중단부를 이용한 스크럼 강화 훈련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구동부와 조향부가 구비됨에 따라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변속을 통해 구동 토크를 변화시키면서 전방 스크럼부를 이용한 스크럼 강화훈련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을 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을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에서 후방 스크럼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에서 전방 스크럼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스크럼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바퀴(15)가 구비된 차체 프레임(10)과; 유압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 이동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선수들이 스크럼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럼 패드(21)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차체 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럼부(20)와; 복수의 스크럼 패드(31)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차체 프레임(1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스크럼부(30)와; 전방 스크럼부(20)에 연결되는 유압장치를 제어하며 전방 스크럼부(2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선수들의 훈련 성취도를 평가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방 스크럼부(20)의 스크럼 패드(21)는 스크럼 대형의 첫 번째 대열에 위치한 선수들의 어깨에 접촉되도록 4개가 구비되고,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는 3개가 구비된다.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가 3개인 이유는 선수들이 엎드린 상태로 접촉되는 전방 스크럼부(20)와는 달리 후방 스크럼부(30)에는 서 있는 선수들의 어깨가 접촉되어 더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는 전방 스크럼부(20)의 스크럼 패드(21)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 스크럼부(20)의 스크럼 패드(21)와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는 대략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방 스크럼부(20)는 각각의 스크럼 패드(21)가 설치되는 복수의 패드 지지부(22)와, 복수의 패드 지지부(22)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3)과, 후단부는 차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부는 차체 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드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23)을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패드 지지부(22)는 스크럼 패드(21)가 설치되는 고정판(22a)과, 일단은 연결 프레임(23)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판(22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22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압실린더(24)는 전방 스크럼부(20)에 작용하는 압력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나만 설치해도 무방하지만, 이 경우에는 제어부(50)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어부(50)의 앞쪽에 설치하게 되면 차체 프레임(10)이 필요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또한, 전방 스크럼부(20)를 압박하고 있는 선수들의 기량 차이로 인해 연결 프레임(23)의 좌측과 우측이 동일 거리만큼 이동하지 않을 경우 유압실린더(24)의 로드에 경사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유압실린더(24)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24)가 제어부(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유압실린더(24)를 두 개 설치함으로써 제어부(50)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차체 프레임(10)의 크기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선수들에 의해 전방 스크럼부(20)에 작용하는 압력을 양측 유압실린더(24)로 분산시키고 유압실린더(24)의 로드에 가해지는 경사방향의 힘을 줄여 유압실린더(24)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유압실린더(24)가 연결프레임(2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양측 유압실린더(24)를 통해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연결 프레임(23)에 연결된 4개의 스크럼 패드에 3명의 선수가 어깨를 밀착시켜 압력을 가함에 따라 연결 프레임(23)의 좌측과 우측에 작용하는 압력이 달라질 경우, 연결 프레임(23)의 좌측과 우측에 연결된 양측 유압실린더(24)에 작용하는 유압을 각각 감지함으로써, 좌측 2개의 스크럼 패드(21)를 통해 작용하는 압력과 우측 2개의 스크럼 패드(21)에 작용하는 압력을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패드 지지부(22)의 지지대(22b)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스크럼 패드(21)의 상측과 하측에 작용하는 힘이 연결 프레임(23)으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선수가 스크럼 패드(21)를 압박할 때 스크럼 패드(21)의 상측과 하측에 동일하게 힘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므로, 스크럼 패드(21)가 설치되는 부착되는 고정판(22a)의 상측과 하측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패드 지지부(22b)의 끝단면에 각각 연결되어 스크럼 패드(21)의 상측과 하측에 작용하는 힘이 모두 패드 지지부(22b)에 모이도록 한다. 그리고, 이 힘이 패드 지지부(22b)의 꼭지점 부분을 통해 연결 프레임(23)으로 전달됨으로써 스크럼 패드(21)에 작용하는 힘이 연결프레임(23)에 정확하게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방 스크럼부(20)를 이용한 훈련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차체 프레임(10)에는 유압실린더(24)의 선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13)과, 유압실린더(24)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고정 브래킷(14)이 설치된다. 가이드 브래킷(13)은 유압실린더(24)의 선단부가 고정된 블록을 수용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에 따라, 스크럼 패드(21)에 압력이 가해질 때 유입실린더(24)의 선단부는 가이드 브래킷(13)을 따라 상하 이동되고 유압실린더(24)의 후단부는 회전됨으로써, 스크럼 패드(21)에 가해지는 힘이 그대로 차체 프레임(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24)의 후단부를 실린더 고정 브래킷(14)에 직접 설치하여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유압실린더(24)의 직경으로 인해 실린더 고정 브래킷(14)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24)의 후단부가 윙 브래킷(25)에 고정되고 윙 브래킷(25)이 실린더 고정 브래킷(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방 스크럼부(30)는 각각의 스크럼 패드(31)가 설치되는 복수의 패드 고정판(32)과, 복수의 패드 고정판(32)을 서로 연결하며 하단부가 차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33)과, 양단부가 후방 프레임(33)의 상단부와 차체 프레임(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35)를 포함한다. 여기서, 패드 고정판(32)는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관통부가 다수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방 프레임(33)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 브래킷(34)이 차체 프레임(10)의 후방 브래킷(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 프레임(33)이 둘 사이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링크부재(35)의 일측 단부는 후방 프레임(33)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단 브래킷(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차체 프레임(1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후방 프레임(33)의 회전시 링크부재가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스크럼부(30)는 선수들이 서거나 상체를 약간 구부린 자세에서 스크럼 패드(31)를 가압하여 회동시키면서 스크럼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는 전방 스크럼부(20)의 스크럼 패드(21)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에 압력이 가해질 때 후방 프레임(33)이 하단 브래킷(34)과 후방 브래킷(11)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후방 프레임(33)의 상단 브래킷(36)에 힌지 연결된 링크부재(35)가 일정 정도 회전하면서 후방 프레임(33)의 회전력을 흡수함으로써 후방 프레임(33)이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선수들이 서거나 약간 엎드린 자세로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를 이용한 스크럼 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장치로부터 전방 스크럼부(20)의 유압실린더(24)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제어기능과, 전방 스크럼부(20)의 스크럼 패드(21)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능과, 유압실린더(24)에 작용하는 유압을 감지하는 유압감지기능과, 선수 개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메인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24)의 유압을 제어하고, 메인프로세서는 스크럼 패드(21)에 작용하는 압력 또는 유압실린더(24)에 작용하는 유압을 이용하여 선수들의 개인별 성취도를 평가하고 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선수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프로세서는 기억장치에 저장된 선수들의 개인별 성취도를 기반으로 하여 유압실린더(24)의 압력제어를 통해 선수들의 최적 훈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메인프로세서에 연결된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선수들의 개인별 성취도나 최적 훈련량 등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 스크럼부(20)의 스크럼 패드(21)에 작용하는 압력이 표시되는 표시부(도시 생략)를 연결함으로써 외부에서 선수들의 역량을 육안으로 평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어부(50)는 후술하는 구동부(40)에 대한 구동제어기능을 구비하여, 메인프로세서를 통해 구동부(4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럼 머신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의 하부에 자체 이동을 위한 구동부(40)와 방향 전환을 위한 조향부(6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차체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된 바퀴(15), 즉 후륜(15b)을 서로 연결하며 차체 프레임(10)에 베어링(44)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구동축(41)과, 차체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축(4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2)와, 구동축(41)과 구동모터(42)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축(41)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변속기(4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2)의 구동력이 변속기(43)를 거쳐 구동축(41)에 전달되고, 이 구동축(41)의 양단에 각각 후륜(15b)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42)의 작동에 따라 후륜(15b)이 회전되어 차체 프레임(1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향부(60)는 양측 전륜(15a)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차체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방 크로스멤버(61)와, 조향력을 발생하며 후단부가 전방 크로스멤버(61)의 고정 브래킷(66)에 연결된 조향용 유압실린더(62)와, 전방 크로스멤버(61)의 좌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조향용 유압실린더(62)의 로드가 연결되어 좌측 전륜(15a)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1조향링크(63)와, 전방 크로스멤버(61)의 우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 전륜(15a)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조향링크(64)와, 양측 단부가 제1조향링크(63)와 제2조향링크(6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조향링크(63)의 회전력을 제2조향링크(64)로 전달하는 연결링크(6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륜(15a)과 함께 회전되는 제1조향링크(63)와 제2조향링크(64)가 연결링크(6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향용 유압실린더(62)에 의해 제1조향링크(63)가 회전될 때 양측 전륜(15a)이 동시에 회전되어 차체 프레임(10)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크럼 머신을 이용하여 스크럼 훈련을 실시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크럼 훈련을 위하여 차체 프레임(10)을 훈련장소까지 이동시킨다. 차체 프레임(1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공지의 트레일러 차량을 이용할 수도 있고, 차체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40)와 조향부(6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차체 프레임(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차체 프레임(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후, 전방 스크럼부(20) 또는 후방 스크럼부(30)를 통해 스크럼 훈련을 수행하도록 한다. 전방 스크럼부(20)를 이용하여 스크럼 훈련을 하는 경우에는, 4개의 스크럼 패드(21)에 엎드린 선수들의 어깨가 각각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럼 패드(21)를 압박시키는 방식으로 훈련을 실시한다. 선수들이 스크럼 패드(21)를 압박하면 스크럼 패드(21)가 연결된 연결 프레임(23)에는 선수들의 기량이나 훈련 방식에 따라 전후 방향의 힘과 상하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이때, 유압실린더(24)의 후단부가 연결된 윙 브래킷(25)이 실린더 고정 브래킷(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압실린더(24)의 선단부가 가이드 브래킷(1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크럼 패드(21)가 연결된 연결 프레임(23)이 후퇴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크럼 패드(21)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선수들의 개인별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24)를 통해 전방 스크럼부(20)의 스크럼부 패드(21)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선수들의 최적 훈련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후방 스크럼부(30)를 이용하여 스크럼 훈련을 하는 경우에는, 서 있거나 상체를 약간 구부린 선수들이 3개의 스크럼 패드(31)에 어깨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럼 패드(31)를 압박시키는 방식으로 훈련을 실시한다. 후방 스크럼부(30)의 스크럼 패드(31)를 압박하게 되면, 스크럼 패드(31)가 연결된 후방 프레임(33)이 하단 브래킷(34)과 후방 브래킷(11)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하지만, 후방 프레임(33)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단 브래킷(36)이 차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부재(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방 프레임(33)이 과도하게 회전되어 차체 프레임(10) 측으로 넘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차체 프레임(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 스크럼부(20) 또는 후방 스크럼부(30)를 이용하여 스크럼 훈련을 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차체 프레임(10)을 고정하지 않고도 스크럼 훈련을 할 수도 있다. 즉, 전방 스크럼부(20)와 후방 스크럼부(30) 모두에 선수들이 어깨를 밀착시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양측 선수들이 상대 훈련을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스크럼부(30)에 어깨를 밀착시킨 선수들은 차체 프레임(10)을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전방 스크럼부(20)에 어깨를 밀착시킨 선수들은 차체 프레임(10)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양측의 선수들이 차체 프레임(10)을 사이에 두고 상대 훈련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유압실린더(24)의 작동은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대 훈련은 선수들의 어깨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훈련 도중의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10)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구동부(40)를 통해 차체 프레임(10)을 전진시키면서 전방 스크럼부(20)를 이용한 스크럼 훈련을 할 수도 있다. 즉, 구동모터(42)가 작동되어 구동축(41)을 회전시킴으로써 차체 프레임(10)이 전진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방 스크럼부(20)에 어깨를 밀착시킨 선수들이 스크럼 패드(21)를 압박함으로써 차체 프레임(10)이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훈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유압실린더(24)의 작동은 당연히 중지되어야 하며, 구동모터(42)에 연결된 변속기(43)를 이용하여 구동축(4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토크를 변화시키면서 스크럼 훈련을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차체 프레임 11 : 후방 브래킷
12 : 고정 브래킷 13 : 가이드 브래킷
14 : 실린더 고정 브래킷 15 : 바퀴
15a: 전륜 15b : 후륜
20 : 전방 스크럼부 21 : 스크럼 패드
22 : 패드 지지부 22a : 고정판
22b : 지지대 23 : 연결 프레임
24 : 유압실린더 25 : 윙 브래킷
30 : 후방 스크럼부 31 : 스크럼 패드
32 : 패드 고정판 33 : 후방 프레임
34 : 하단 브래킷 35 : 링크부재
36 : 상단 브래킷 40 : 구동부
41 : 구동축 42 : 구동모터
43 : 변속기 44 : 베어링
50 : 제어부 60 : 조향부
61 : 전방 크로스멤버 62 : 조향용 유압실린더
63 : 제1조향링크 64 : 제2조향링크
65 : 연결링크 66 : 고정 브래킷

Claims (11)

  1. 차체 프레임과;
    선수들이 스크럼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유압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 이동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스크럼 패드가 일정 간격으로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럼부와;
    복수의 스크럼 패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스크럼부와;
    전방 스크럼부에 연결되는 유압장치를 제어하며 전방 스크럼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선수들의 훈련 성취도를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전방 스크럼부는,
    각각의 스크럼 패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패드 지지부와, 복수의 패드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과, 후단부는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부는 차체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드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차체 프레임은,
    유압실린더의 선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유압실린더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패드 지지부는,
    스크럼 패드가 설치되는 고정판과, 일단은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압실린더의 후단부는 윙 브래킷에 고정되고,
    윙 브래킷이 실린더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6.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스크럼부는,
    각각의 스크럼 패드가 설치되는 복수의 패드 고정판과, 복수의 패드 고정판을 서로 연결하며 하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과, 양단부가 후방 프레임의 상단부와 차체 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7. 청구항 6에 있어서,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 브래킷이 차체 프레임의 후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부재의 일측 단부는 후방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단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차체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유압장치로부터 전방 스크럼부의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제어기능과, 전방 스크럼부의 스크럼 패드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능, 훈련시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감지하는 유압감지기능, 선수 개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기능 및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메인프로세서를 통해 이들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9. 청구항 1, 3,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자체 이동을 위한 구동부와 방향 전환을 위한 조향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조향부는,
    양측 전륜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방 크로스멤버와, 조향력을 발생하며 후단부가 전방 크로스멤버의 고정 브래킷에 연결된 조향용 유압실린더와, 전방 크로스멤버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조향용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어 전륜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1조향링크와, 전방 크로스멤버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전륜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조향링크와, 양측 단부가 제1조향링크와 제2조향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조향링크의 회전력을 제2조향링크로 전달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스크럼부의 스크럼 패드는 전방 스크럼부의 스크럼 패드에 비해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럼 머신.
KR1020170089917A 2017-07-14 2017-07-14 스크럼 머신 KR10180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917A KR101801562B1 (ko) 2017-07-14 2017-07-14 스크럼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917A KR101801562B1 (ko) 2017-07-14 2017-07-14 스크럼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562B1 true KR101801562B1 (ko) 2017-12-20

Family

ID=6093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917A KR101801562B1 (ko) 2017-07-14 2017-07-14 스크럼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5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467A1 (en) * 1999-09-14 2001-03-22 Sports Innovations Limited Sports training resistance device
WO2001058539A1 (en) 2000-02-07 2001-08-16 Matthew Benedict Corkhill Scrum machine
JP5824775B2 (ja) 2010-02-09 2015-12-02 テールズ ラグビー選手のためのトレー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467A1 (en) * 1999-09-14 2001-03-22 Sports Innovations Limited Sports training resistance device
WO2001058539A1 (en) 2000-02-07 2001-08-16 Matthew Benedict Corkhill Scrum machine
JP5824775B2 (ja) 2010-02-09 2015-12-02 テールズ ラグビー選手のためのトレーニング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crum Machine Training, (인터넷 동영상), [online], (2014.12.17. 공개), [2017.9.7.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youtube.com/watch?v=puGmeQTz1JQ>*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0090B1 (en) Heart rate based training system
US65758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 user athlete
US7063647B2 (en) Automated physical training system
US6234935B1 (en) Skating motion exercising machine
CN207085255U (zh) 用于滑行运动模拟设备的底盘装置
EP1718378A1 (en) Physical training apparatus
US20180250569A1 (en) Training device with toggle action to aid proper form and leg speed when punting
KR101801562B1 (ko) 스크럼 머신
CN204543475U (zh) 一种跆拳道陪练器
CN207085254U (zh) 滑行运动模拟设备
US3096979A (en) Agility developing device
GB2548724A (en) Training apparatus
KR200410194Y1 (ko) 골프 연습장치
CN108970006B (zh) 一种脚踝部锻炼装置
KR20090117562A (ko) 직립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골프 연습기용 플레이트
CN208031717U (zh) 一种体操弹跳训练装置
KR20090044650A (ko) 승마형 운동기구
CN104707311B (zh) 可调式足球门
CN206081542U (zh) 一种旋转式滑冰轮滑陆地模拟训练器
WO2012123427A1 (en) Training apparatus with elongate collision member
CN108159669A (zh) 一种用于羽毛球屈膝练习的装置
Li et al. Effect of slope change on kinematics of amateur golfers’ full swing
CN106994233B (zh) 隔网运动快速反应击准训练器
CN211025043U (zh) 一种网球辅助练习装置
ES2359212B2 (es) Ergómetro para entrenamiento y medida del rendimiento físico en lucha canaria y deportes relacionados como el ju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