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94B1 -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94B1
KR101796694B1 KR1020100120263A KR20100120263A KR101796694B1 KR 101796694 B1 KR101796694 B1 KR 101796694B1 KR 1020100120263 A KR1020100120263 A KR 1020100120263A KR 20100120263 A KR20100120263 A KR 20100120263A KR 101796694 B1 KR101796694 B1 KR 10179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white
collagen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798A (ko
Inventor
허윤아
김현정
박성일
김연준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2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94B1/ko
Priority to US13/988,949 priority patent/US9770404B2/en
Priority to SG2013038716A priority patent/SG190342A1/en
Priority to PCT/KR2011/008876 priority patent/WO2012074235A2/ko
Priority to CN201180057515.XA priority patent/CN103228263B/zh
Publication of KR2012005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798A/ko
Priority to HK13114371.5A priority patent/HK1186965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 펩타이드,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 중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콜라겐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멜라닌의 세포 형성을 억제시키며, 피부 밝기,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피부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켜 더 맑고 환화게 보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hitening and lifting}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콜라겐 펩타이드,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 중 2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콜라겐 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멜라닌 세포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얼굴 안색은 멜라닌 함량(밝기 및 균일도), 누런기와 붉은기에 의해 결정된다. 피부 표피층의 맨 밑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멜라닌을 생산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는 피부세포에서 만들어진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 생성되며 갈색, 어두운 색을 띠기 때문에 피부 바깥 쪽으로 이동하여 각질층에 분포됨으로써 외부에 보이는 피부색 밝기 및 균일도 결정하게 된다. 자외선, 호르몬 불균형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비정상적인 색소형성으로 나타나는 피부 현상은 칙칙함, 기미, 주근깨, 모반 또는 검버섯 등을 들 수 있다.
안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외선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서도 매우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열에 많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피부 조직 속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제거 효소들의 활성이 저하하게 되어 활성산소와 같은 노폐물이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피부에 있어서 누런기가 나타나는 현상이 생긴다. 또한 장기적으로, 반복적으로 열에 노출하게 되면 혈관의 탄성이 저하하게 되므로 피부에 붉은기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연령별 피부색을 분석하면 나이가 들수록 피부색의 밝기가 저하하고, 누런기와 붉은기는 증가하는 현상이 있다. 그러기 때문에 밝기, 누런기, 붉은기를 포함한 전반적인 안색을 개선하면 실제 나이보다 더 어려 보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는 액정베이스에 안정화된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탄력 증가뿐만 아니라 피부 탄력 향상 효과를 통해 피부 속으로 들어가는 빛의 산란 현상을 감소시켜 빛 산란 현상으로 인한 섀도잉(shadowing) 현상을 감소시키므로 피부 밝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용화 제형의 끈적임을 줄이고 흡수감을 높여주며 보습 지속력을 증대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만 공지되어 있을 뿐, 미백 효과에 대한 연구 보고나 특허는 없다.
또한,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추출물은 항산화 및 멜라닌 억제 효과가 있음이 이미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도 관찰되었다. 진피층의 콜라겐 밀도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진피 밀도 상승으로 인하여 피부 속으로 들어가는 빛의 산란 현상을 감소 시켜 빛 산란 현상으로 인한 섀도잉(shadowing) 현상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탄력뿐만 아니라 피부 밝기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예상된다. 한편,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베타-하이드록시애시드(beta-hydroxy acid, BHA), 맥문동추출물과 같이 조합해서 사용하면 피부 멜라닌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예방 또는 개선시켜 피부 미백 효과가 있음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백화사설초가 멜라닌 감소 효과뿐만 아니라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통해 안색 개선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백삼다당체는 백삼, 즉 말린 수삼에서 추출되는 수용성 다당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백삼에서 약 7% 정도의 백삼다당체를 추출할 수 있으며 피부 세포 ATP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탄력, 균일도 및 밝기, 누런기, 붉은기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원료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를 백화사설초 추출물 또는 백삼다당체와 조합하면, 이것이 진피층 콜라겐 밀도의 증가하고,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여 피부 균일도 및 밝기를 개선하고,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균일도, 밝기, 누런기, 붉은기 및 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콜라겐 펩타이드,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 중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균일도, 밝기, 진피층 콜라겐 밀도를 향상시키고, 누런기 및 붉은기 완화를 통해 안색을 개섬시킴으로써 더 탄력있고 맑고 환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3과 비교예 1을 7주 동안 실시한 인체 미백 효능 평가(임상 시험)에서 피부 밝기, 균일도, 누런기, 붉은기 개선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펩타이드,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 중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콜라겐 펩타이드는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에 함유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는 백삼다당체, 백화사설초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탄력 및 미백 효능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는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소르비탄 라우레이트(sorbitan laurate),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pentastearate) 및 소듐스테아로일락틸레이트 (sodium stearoyl lact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콜라겐(collagen)은 원래 피부와 힘줄, 뼈, 연골에서 연결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지칭하는 용어로,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아주 중요한 섬유 상태의 경단백질(albuminoid)을 말한다. 콜라겐은 분자량 10만 정도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3개 모여 나선구조를 이루고 있는 고분자 단백질이며, 인체의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의 재생작용을 촉진하여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 및 보습력을 높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콜라겐 펩타이드는 수만에서 수십만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피 흡수가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는 분자량 10만 정도의 콜라겐을 가수분해하여 만들어진 분자량 1000 정도의 성분으로서, 분자량이 작아 피부 흡수가 증진되어 주름 완화 및 세포 재생작용을 도와주며 피부 친화성과 보습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깨끗한 환경에서 자란 해양어류의 비늘에서 유도된 콜라겐을 가수분해하고(1단계) 면역유발 가능성분을 제거한 뒤(2단계), 저분자화시키는 공정(3단계)으로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는다.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05중량%로 함유된다. 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미용 효과가 미미하고, 0.05중량%를 초과하면 액정 베이스 내에서의 안정도가 나빠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화사설초 추출물(Oldenlandia Diffusa Extract)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된 백화사설초 전초 1kg을 정제수 10리터에 가한 후 끓을 때까지 가열하고 10분간 더 가열한 다음 물을 제거하여 세척한 후 따로 정제수 10리터를 가하여 다시 한번 세척한다 잔류물을 풍건한 후 70% 에탄올 20리터에 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연결한 후 가온하여 24시간 환류 추출한다. 80메쉬의 체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남은 여액을 다시 여과하여 농축한 고형분을 나노좀화하는 방식으로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0.001중량% 미만의 농도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삼다당체는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된 백삼을 60~80℃로 가온된 정제수에 가하여 이따금 저어주면서 10~20분 동안 세척한다. 세척된 백삼을 80~85℃로 가온된 정제수: 1,3-부틸렌글리콜을 7:3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가하여 이따금 저어주면서 6~8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된 이 액을 20~30℃까지 냉각하여 여과하고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백삼다당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백삼다당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0.001중량% 미만의 농도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오일 성분이 더 함유될 수 있으며, 천연오일 또는 합성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탄화수소,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4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에멀젼 제형을 얻기 어렵고, 40.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 제형의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 유화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로션, 크림, 유액, 패취, 스틱 또는 분무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및 정제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내 콜라겐의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멜라닌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여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개선시키며, 피부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켜 피부 밝기 및 균일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인간 멜라노마 세포인 HM3KO 세포(Y. Funasaka, Department of dermatology, Kob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1 Kusunoki-cho 7-chrome, Chuo-ku, Kobe 650, Japan)를 우태아혈청이 10% 들어간 최소필수배지(MEM)에 넣어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한 세포를 세포수가 각 플라스크 당 3×105이 되게 75 플라스크에 깔고, 하룻밤 동안 세포가 기벽에 붙기를 기다린 다음, 세포가 잘 붙은 것을 확인한 후 배지를 각각 백화사설초 추출물 10ppm, 백삼다당체 10ppm, 백화사설초 추출물 5ppm 및 백삼다당체 5ppm의 혼합물이 들어 있는 새배지로 갈아주었다. 대조군은 DMSO가 들어 있는 배지를 사용하였다. 이런 식으로 2~3일에 한번씩 시료가 들어 있는 새배지로 갈아주면서 세포가 플라스크에 꽉 찰 때까지 배양하였다. 세포가 다 성장하면 모아서 대조군과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색깔을 비교하였다. 또한,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녹여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78601872-pat00001
시료
(0.1%씩)
대조군 백화사설초 추출물 백삼다당체 백화사설초 추출물+ 백삼다당체
억제율% 5 23 16 64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백삼다당체 단독으로 사용 시 각각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고, 또한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백삼다당체 같이 투여 시 각각 사용했을 때보다 상승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백삼다당체의 멜라닌 생성 제거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간 섬유아세포를 24공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의 시료를 각각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여 3일간 배양하고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를 각 웰당 0.5㎖씩 첨가한 후 L[2, 3, 4, 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각 웰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다음, 각각 2개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unit/㎕를 넣고 37℃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를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s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2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구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구한 다음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78601872-pat00002
콜라겐 생합성 비율(RCB)(%)
농도
(ppm)
대조군 콜라겐 액정베이스 백화사설초 백삼다당체 백화사설초+
백삼다당체
콜라겐 액정베이스+ 백화사설초 콜라겐 액정베이스+
백삼다당체
콜라겐 액정베이스+ 백화사설초+
백삼다당체
10 100 128 115 105 140 158 142 167
1 100 105 103 101 106 107 106 110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백삼다당체는 인간 피부세포에서 콜라겐의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는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 > 백화사설초 추출물 > 백삼다당체의 순서로 우수하고, 이들 중 2종 이상을 동시에 처리할 때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를 모두 함유할 경우에 콜라겐 생합성의 비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콜라겐이 많을수록 피부 조직의 밀도가 높아짐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인체 피부에 진피층 콜라겐 밀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참고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을 갖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수중유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를 모두 함유하지 않는 통상적인 수중유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고, 비교예 2는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는 함유하고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는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이며, 비교예 3 및 4는 각각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시예 1~3은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와 함께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를 한가지 이상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는 슈에뜨(Korea)사,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백삼다당체는 모두 ACT사(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세테아릴알콜 1 1 1 1 1 1 1
스테아린산 0.5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폴리솔베이트 60 1 1 1 1 1 1 1
스쿠알란 3.0 3.0 3.0 3.0 3.0 3.0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콜라겐 액정 베이스 1 1 1 - 1 - -
백화사설초 추출물 - 3 3 - - 1 -
백삼다당체 3 - 3 - - -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제조방법>
1) 성분 1~2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70℃로 가온 용해하였다.
2) 성분 3~9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75℃로 가온 용해하였다.
3) 70℃에서 교반(호모믹싱)하면서 상기 1)에 상기 2)를 서서히 투입하여 유화시켰다.
4) 상기 3)을 50℃ 이하로 냉각한 후 성분 10~12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중유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었다.
[시험예 3] 피부 탄력 효능 평가
30~50대의 한국인 여성 35명을 대상으로 하여 5명씩 7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하루에 2회 6주간 사용하게 하여 피부 상태를 Dermascan C를 이용한 진피 친밀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진피 치밀도 증가율 (%) 탄력감 증가율(%)/설문조사
실시예 1 30 49
실시예 2 39 55
실시예 3 46 59
비교예 1 6 3
비교예 2 23 30
비교예 3 19 23
비교예 4 20 21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비교예 2), 백화사설초 추출물(비교예 3) 및 백삼다당체(비교예 4) 단독으로 사용 시, 각각 진피 콜라겐 밀도 증가 효과가 있고, 동시에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 진피 콜라겐 밀도 증가하는 정도가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 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층의 콜라겐 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는 설문 조사 (관능 평가)를 통해 실제로 탄력도가 향상된 느낌을 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인체 미백 효능 평가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 백화사설초 추출물과 백삼다당체의 피부 미백 효과를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30~50대(평균 34.7세)의 한국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하루에 2회 7주간 사용하게 하고 피부 상태를 색차계(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정도를 측정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a*b* 표색계를 사용하며, L값은 밝기를 의미하고, b값은 누런기, a값은 붉은기 의미한다. 또한,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피부톤 피부톤 균일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실시예 3을 사용한 경우는 비교예 1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 밝기, 균일도 항목에서 각각 1.12%, 6.35% 향상시키는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누런기, 붉은기 개선에 있어서 각각 1.19%, 3.5%의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와,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와,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와, 백화사설초 추출물 및 백삼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누런기 및 붉은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액정 베이스는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소르비탄 라우레이트(sorbitan laurate)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pentastearate) 및 소듐스테아로일락틸레이트 (sodium stearoyl lact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함유하여 형성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000인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펩타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0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삼다당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중유 또는 유중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유액, 패취, 스틱 또는 분무제의 형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KR1020100120263A 2010-11-30 2010-11-30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KR10179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263A KR101796694B1 (ko) 2010-11-30 2010-11-30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US13/988,949 US9770404B2 (en) 2010-11-30 2011-11-21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improving the resilience of skin
SG2013038716A SG190342A1 (en) 2010-11-30 2011-11-21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improving the resilience of skin
PCT/KR2011/008876 WO2012074235A2 (ko) 2010-11-30 2011-11-21 피부 미백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201180057515.XA CN103228263B (zh) 2010-11-30 2011-11-21 用于美白和改善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HK13114371.5A HK1186965A1 (zh) 2010-11-30 2013-12-30 用於美白和改善皮膚彈性的化妝品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263A KR101796694B1 (ko) 2010-11-30 2010-11-30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98A KR20120058798A (ko) 2012-06-08
KR101796694B1 true KR101796694B1 (ko) 2017-11-13

Family

ID=4617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263A KR101796694B1 (ko) 2010-11-30 2010-11-30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70404B2 (ko)
KR (1) KR101796694B1 (ko)
CN (1) CN103228263B (ko)
HK (1) HK1186965A1 (ko)
SG (1) SG190342A1 (ko)
WO (1) WO20120742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122A (ko) 2017-11-30 2019-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41B1 (ko) * 2013-05-31 2019-08-30 (주)아모레퍼시픽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3319622B (zh) * 2013-07-10 2016-02-24 江南大学 白首乌多糖的酪氨酸酶抑制活性及其用途
CN103585040B (zh) * 2013-10-31 2015-07-22 天津郁美净集团有限公司 抗水性液晶化妆品用乳剂组合物及其应用
CN103585216A (zh) * 2013-12-04 2014-02-19 江南大学 一种白首乌中c21甾苷激活酪氨酸酶作用的用途
CN104041830B (zh) * 2014-06-19 2015-08-26 青岛银色世纪健康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增强免疫功能的鱼皮胶原肽复方制品及其制备方法
KR101572606B1 (ko) * 2014-11-24 2015-1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frp5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6354B1 (ko) 2015-03-09 2018-03-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산삼배양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549216B (zh) * 2018-12-29 2023-03-28 上海科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重蛋白抗衰老美容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CN109527587A (zh) * 2019-01-03 2019-03-29 拓普河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胶原蛋白肽粉及其制备方法
CN111110584A (zh) * 2019-12-12 2020-05-08 广东博然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保湿抗衰老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882178B (zh) * 2019-12-19 2023-11-24 深圳市维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油包水体系美白多肽组合物
KR20220003850A (ko) 2020-07-02 2022-01-11 이택환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1973467A (zh) * 2020-09-09 2020-11-24 许文斌 一种基于人参多糖的保湿乳液及其制备方法
CN112972334B (zh) * 2021-03-11 2022-07-08 福州秋垄心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仙鹤草提取物的抗炎美白精华乳及其制备方法
KR102663961B1 (ko) * 2021-04-29 2024-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4053204A (zh) * 2021-11-01 2022-02-18 上海普瑞康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含长白山野山参细胞水提取物的抗衰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07982A (zh) * 2008-06-19 2009-12-23 陈栋梁 一种具有美白效果的鱼皮胶原肽及其制备工艺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5561B1 (fr) * 1992-09-17 1994-12-02 Lvmh Rech Gie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contenant au moins une saponine de type ginsenoside, et ses applications, notamment pour le soin des cheveux.
JP3687277B2 (ja) * 1997-06-10 2005-08-24 サンスター株式会社 美白化粧料
JP4549625B2 (ja) * 2002-01-05 2010-09-22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人参サポニン代謝産物を有効成分とする微細乳化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皮膚老化防止用の化粧料組成物
KR100466862B1 (ko) * 2002-01-25 2005-01-24 주식회사 태평양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40074154A (ko) * 2003-02-17 2004-08-23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4416A (ko) * 2005-04-29 2006-11-06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KR100802149B1 (ko) * 2005-09-16 2008-02-11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혈관 손상에 의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70065526A1 (en) * 2005-09-19 2007-03-22 Gow Robert T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anax species
JP5127194B2 (ja) * 2006-09-29 2013-01-23 辻製油株式会社 コラーゲンペプチド粉末、そ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フェノール含有製品
KR100792629B1 (ko) * 2006-11-20 2008-01-09 (주)아모레퍼시픽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1276B1 (ko) * 2006-12-18 2008-06-25 한국식품연구원 미백활성이 우수한 백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25085B1 (ko) * 2007-04-02 2008-04-25 (주)더페이스샵코리아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 안정화한 나노리포좀과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4968B1 (ko) * 2007-08-14 2014-06-13 (주)아모레퍼시픽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057836A1 (en) * 2007-10-31 2009-05-07 Amorepacific Corporatio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KR100862979B1 (ko) 2007-12-31 2008-10-13 씨엔에이바이오텍(주)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5085B1 (ko) * 2008-02-22 2010-06-2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0957B1 (ko) * 2008-11-25 2016-03-09 (주)아모레퍼시픽 백화사설초, 대황,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10150179A (ja) * 2008-12-25 2010-07-08 Pola Chem Ind Inc 保湿用の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07982A (zh) * 2008-06-19 2009-12-23 陈栋梁 一种具有美白效果的鱼皮胶原肽及其制备工艺和用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122A (ko) 2017-11-30 2019-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43712A1 (en) 2013-09-19
KR20120058798A (ko) 2012-06-08
CN103228263A (zh) 2013-07-31
SG190342A1 (en) 2013-06-28
HK1186965A1 (zh) 2014-03-28
WO2012074235A3 (ko) 2012-07-26
WO2012074235A2 (ko) 2012-06-07
US9770404B2 (en) 2017-09-26
CN103228263B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694B1 (ko)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CN108852894A (zh) 一种用于修复美白祛皱的多肽组合
KR101394817B1 (ko)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9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314B1 (ko) 피부 질감 개선제
CN103919704A (zh) 一种抗衰老精华液
KR101601022B1 (ko) 인삼꽃 정유를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810226B1 (ko) 연어 유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6193975B1 (en) Use of potentilla erecta extract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
CN115400065A (zh) 一种具有保湿、抗皱、抗衰、舒缓、修复多功效的护肤品组合物及其应用
KR100377397B1 (ko) 레티놀 및 표피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356720B1 (ko) 멜라닌생성억제및피부미백화장품
KR10117205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JPH09255546A (ja) 皮膚外用剤
CN115192487B (zh) 一种保湿防护修复组合物及其应用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133959A (ja) 皮膚化粧料
KR20100040107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21482B1 (ko)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69577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15430B1 (ko) 안정화시킨 l-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