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166B1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166B1
KR101795166B1 KR1020150160271A KR20150160271A KR101795166B1 KR 101795166 B1 KR101795166 B1 KR 101795166B1 KR 1020150160271 A KR1020150160271 A KR 1020150160271A KR 20150160271 A KR20150160271 A KR 20150160271A KR 101795166 B1 KR101795166 B1 KR 10179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ever
regulating
cam follow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710A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히데토 나카무라
도모나리 이토
다카시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판형의 레버에 의해 수형측 하우징과 암형측 하우징을 감합(嵌合)하는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 과정에서의 양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암형측 하우징(F)의 통형 감합부(13)는, 레버(30)를 수용하는 벽(壁)형 수용부(15)와, 단자 수용부(10)를 사이에 두고 벽형 수용부(15)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형 규제부(16)를 갖고, 수형측 하우징(M)의 후드부(43)는, 벽형 규제부(16)와 대향하는 규제벽부(44)와, 벽형 수용부(15)와 대향하는 지지벽부(45)를 갖는다. 지지벽부(45)의 외면에는, 캠 팔로워(cam follower; 47)와, 벽형 수용부(15)의 개구부(23)에 진입하여 레버(30)에 접촉 가능한 규제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30)의 회동 과정에서는,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外緣部; 44E)와 벽형 규제부(16)의 내면의 접촉, 및 규제 돌출부(48)와 레버(30)의 접촉에 의해, 양 하우징(F, M)의 기울어짐이 규제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후드부를 갖는 수형측 하우징과, 후드부에 감입(嵌入)되는 단자 수용부를 갖는 암형측 하우징을, 암형측 하우징에 설치한 레버의 회동 조작에 의해 감합(嵌合)하는 레버식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14142호 공보
이 레버식 커넥터는 레버가 단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단자 수용부의 외벽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 하우징의 둘레면들 사이에는, 치수 공차를 고려하여,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레버의 캠 홈과 후드부의 캠 팔로워(cam follower)의 결합 부분을 지지점으로 해서, 양 하우징의 자세가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양 하우징의 기울어짐이 커지면, 수형측 하우징의 단자 피팅과 암형측 하우징의 단자 피팅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도 커지고, 결과적으로, 감합 저항이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단판형의 레버에 의해 수형측 하우징과 암형측 하우징을 감합하는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 과정에서의 양 하우징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와, 상기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대략 각통(角筒)형의 통형 감합부를 구비한 암형측 하우징과,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는 벽(壁)형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된 대략 단판형의 레버와,
대략 각통형의 후드부를 갖는 수형측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의 외면에 형성된 캠 팔로워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통형 감합부 사이의 감합 공간에 상기 후드부를 얕게 수용하고, 상기 캠 팔로워를 상기 캠 홈의 입구에 진입시키면, 상기 암형측 하우징과 상기 수형측 하우징이 초기 상태가 되고,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캠 홈과 상기 캠 팔로워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상기 암형측 하우징과 상기 수형측 하우징이 감합되는 레버식 커넥터로서,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벽형 수용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벽형 규제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규제부의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규제벽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수용부의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되며, 외면으로부터 상기 캠 팔로워를 돌출시킨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벽형 수용부에 형성한 개구부에 진입하여 상기 레버에 접촉 가능한 규제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가 회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外緣部)와 상기 벽형 규제부의 내면의 접촉, 및 상기 규제 돌출부와 상기 레버의 접촉에 의해, 상기 암형측 하우징과 상기 수형측 하우징 간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통형 감합부의 내주면과 후드부의 외주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고, 이 클리어런스에 의해 양 하우징 간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기울어짐이 최대가 되는 상태에서는, 후드부의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가 통형 감합부의 벽형 규제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후드부의 지지벽부의 외면이 통형 감합부의 벽형 수용부측에 접촉한다. 그리고, 클리어런스가 일정하면,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와 벽형 규제부의 내면의 접촉 위치를 기점으로 했을 때에, 이 기점으로부터, 지지벽부측과 벽형 수용부측의 접촉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기울어짐 각도는 작아진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지벽의 외면에 규제 돌출부를 돌출 형성하고, 이 규제 돌출부를 벽형 수용부 내의 레버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규제 돌출부와 레버와의 접촉 위치는, 지지벽부의 외면이나 벽형 수용부의 선단 내연부(內緣部)에 비하면, 상기 기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길다. 따라서, 규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기울어짐이 최대인 상태에서 지지벽부의 외면과 벽형 수용부의 선단 내연부가 접촉하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암형측 하우징의 평단면도
도 2는 수형측 하우징의 평면도
도 3은 양 하우징의 감합이 개시되고, 캠 팔로워가 캠 홈의 입구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 있어서, 레버와 규제 돌출부가 접촉하여 양 하우징의 기울어짐이 규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양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양 하우징의 감합이 개시되고, 캠 팔로워가 캠 홈의 입구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 있어서, 레버와 규제 돌출부가 접촉하여 양 하우징의 기울어짐이 규제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8은 양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1)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규제 돌출부가 상기 캠 팔로워의 기단부에 연속해 있어도 좋다.
캠 홈에 감합되는 캠 팔로워에는, 양 하우징 사이의 감합 저항에 상당하는 압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캠 팔로워가 기울어지도록 변형하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캠 팔로워의 기단부에는 규제 돌출부가 연속해 있기 때문에, 캠 팔로워의 기단부가 보강되어, 캠 팔로워의 기울어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후드부가 단자 유지부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규제 돌출부가 상기 후드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워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 돌출부가 캠 팔로워보다 후드부의 기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후드부의 기단부는 단자 유지부에 연속해 있어 강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지지벽부 중 규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규제 돌출부에 의해 양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기능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3)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캠 팔로워를 상기 벽형 수용부 내에 진입시키기 위한 유도 경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와는 별도로, 캠 팔로워를 벽형 수용부 내에 진입시키기 위한 전용의 절결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면, 벽형 수용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는, 2개의 암형측 하우징(F)과 1개의 수형측 하우징(M)을, 각 암형측 하우징(F)에 설치한 레버(30)의 회동 조작에 의해 감합하는 것이다. 한편, 2개의 암형측 하우징(F)은 좌우 대칭의 형태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 1에서는, 한쪽의 암형측 하우징(F)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쪽의 암형측 하우징(F)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방향을, 그대로 상방, 하방이라고 정의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측 하우징(F)은, 블록 형상을 이루는 단자 수용부(10)와, 단자 수용부(10)를 포위하는 대략 각통형의 통형 감합부(13)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단자 수용부(10)의 전단면과 통형 감합부(13)의 전단은 동일한 위치에 있다. 단자 수용부(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11)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11) 내에는, 각각, 후방으로부터 암형 단자 피팅(12)이 삽입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모든 암형 단자 피팅(12)의 전단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로 맞춰져 있다.
단자 수용부(10)와 통형 감합부(13)는 그 후단부(도 3 내지 도 8에서의 우측의 단부) 근처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0)의 외주와 통형 감합부(13)의 내주 사이에는, 암형측 하우징(F)의 전면(前面)(도 2 내지 도 8에서의 좌측의 면)으로 개방된 대략 각통형의 감합 공간(14)이 구성되어 있다. 통형 감합부(13)는, 상벽부가 되는 벽형 수용부(15)와, 하벽부가 되는 벽형 규제부(16)와, 좌우 한 쌍의 벽형 연결부(17)에 의해 대략 각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형 규제부(16)는 단자 수용부(10)를 사이에 두고 벽형 수용부(15)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 양 벽형 연결부(17)는 벽형 수용부(15)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와 벽형 규제부(16)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다.
벽형 수용부(15) 내에는, 암형측 하우징(F)의 후단면으로 개방된 수용 공간(18)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18) 내에는, 레버(30)의 일부가 수용된다. 벽형 수용부(15)를 구성하는 격벽부(19)는 수용 공간(18)과 감합 공간(14)을 구획하고 있다. 수용 공간(18) 내에는, 격벽부(19)의 상면(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지지축(2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20)은, 축선을 상하 방향[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 자세로 설치되며, 레버(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캠 팔로워(47)와 규제 돌출부(48)를 수용 공간(18)에 진입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벽형 수용부(15)의 전면벽(21)에는 유도구(誘導口; 22)가 개구되고, 격벽부(19)에는, 유도구(22)에 연통(連通)하여, 전후 방향[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23)가 개구되어 있다. 폭 방향[레버(30)의 회동 중심인 지지축(20)의 축선 방향과, 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의 양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유도구(22)의 형성 영역과 개구부(23)의 형성 영역은 동일한 범위이다. 즉, 유도구(22)의 폭 치수와 개구부(23)의 폭 치수는 동일하다.
레버(30)는 전체로서 대략 수평의 단판 형상을 이룬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에는, 베어링 구멍(31)과 캠 홈(32)과 조작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구멍(31)은 레버(30)를 상하 방향(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형태이다. 캠 홈(32)은 그 입구(32E)를 레버(30)의 외주 가장자리에 개구시키고 있고, 베어링 구멍(3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경로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3)는 레버(30)의 외주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돌출시킨 형태이다.
레버(30) 중 베어링 구멍(31)과 캠 홈(32)을 포함하는 영역은 수용 공간(18)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구멍(31)이 지지축(20)에 감합되어 있다. 레버(30)는 지지축(20) 및 베어링 구멍(31)을 중심으로 하여, 초기 위치(도 3 및 도 6을 참조)와, 감합 위치(도 5 및 도 8을 참조) 사이에서 요동(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버(30)를 요동시킬 때에는, 수용 공간(18)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33)를 잡고 조작을 행한다. 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 홈(32)의 입구(32E)가 전방[수형측 하우징(M)측]을 향해 개구된다.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캠 홈(32)의 입구(32E)는 유도구(22) 및 개구부(23)와 정합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측 하우징(M)은, 하나의 단자 유지부(40)와 좌우 대칭의 한 쌍의 후드부(43)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자 유지부(40)는, 양 하우징(F, M)이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단자 수용부(10)의 전단면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각 후드부(43)는 대략 각통 형상을 이루며, 단자 수용부(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전방(도 2 내지 도 8에서의 우측)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단자 유지부(40)에는, 복수 개의 수형 단자 피팅(41L, 41S)이 압입 등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팅(41L, 41S)은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을 이루며, 측방에서 보아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수형 단자 피팅(41L, 41S)의 하향의 기단부는 회로 기판(도시 생략)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팅(41L, 41S)의 선단부는 단자 유지부(40)로부터 전방으로[즉, 암형측 하우징(F)을 향해] 캔틸레버형으로 돌출되고 후드부(43)로 포위된 탭(tab; 42L, 42S)으로 되어 있다. 후드부(43) 내에 있어서, 수형 단자 피팅(41L, 41S)은 장척(長尺)의 것과 단척(短尺)의 것의 2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장척의 수형 단자 피팅(41L)은 탭(42L)의 돌출단(전단)의 위치가 비교적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데 비해, 단척의 수형 단자 피팅(41S)은 탭(42S)의 돌출단(전단)의 위치가 장척의 수형 단자 피팅(41L)의 탭(42L)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장단 양 탭(42L, 42S)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는 과정에서, 탭(42L, 42S)과 암형 단자 피팅(12)과의 접촉 개시의 타이밍이 상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43)는, 하벽부가 되는 규제벽부(44)와, 상벽부가 되는 지지벽부(45)와, 좌우 한 쌍의 측벽부(46)에 의해 대략 각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벽부(4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규제벽부(4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부(45)의 외면(상면)에는, 축선을 상하 방향[지지축(20)과 평행]으로 향하게 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캠 팔로워(47)가 형성되어 있다. 캠 팔로워(47)의 외경은 상기 유도구(22) 및 개구부(23)의 폭 치수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양 하우징(F, M)을 감합할 때에는, 먼저, 레버(30)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시키고, 감합 공간(14) 내에 후드부(43)를 얕게 진입시킨다. 이때, 캠 팔로워(47)는 유도구(22)와 개구부(23)를 통과하여 수용 공간(18) 내에 진입하고,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32)의 입구(32E)에 진입한다. 이에 의해, 양 하우징(F, M)이 초기 상태가 된다. 이 초기 상태로부터 레버(30)를 회동시키면, 캠 홈(32)과 캠 팔로워(47)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F, M)이 서로 끌어 당겨져,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이 진행된다. 이 동안에, 캠 팔로워(47)가 개구부(23) 내를 이동하고, 감합 공간(14)에 대한 후드부(43)의 진입량이 증대되어, 수형 단자 피팅(41L, 41S)의 탭(42L, 42S)이 단자 수용부(10) 내에 진입하여 암형 단자 피팅(12)과의 접촉을 개시한다. 그리고, 레버(30)가 감합 위치에 도달하면,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이 완료되고, 암형 단자 피팅(12)과 수형 단자 피팅(41L, 41S)이 도통(導通)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양 하우징(F, M)의 감합에 따라 후드부(43)가 감합 공간(14)에 진입해 가는 과정, 및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어 후드부(43)의 진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규제벽부(44)가 벽형 규제부(16)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규제벽부(44)의 외면(하면)과 벽형 규체부(16)의 내면(상면)이 대향한다. 마찬가지로, 후드부(43)가 감합 공간(14)에 진입하고 있는 과정, 및 진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지지벽부(45)가 벽형 수용부(15)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지지벽부(45)의 외면(상면)과 벽형 수용부(15)의 내면(하면)이 대향한다.
통형 감합부(13)의 내주면과 후드부(43)의 외주면 사이에는,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는 과정에서는, 양 하우징(F, M)[통형 감합부(13)와 후드부(43)]의 상면부에 있어서 캠 홈(32)과 캠 팔로워(47)의 감합 부분이 선행하고, 양 하우징(F, M)의 하측 부분이 추종하는 형태가 된다. 그 때문에, 양 하우징(F, M)의 감합 과정에서는, 양 하우징(F, M)이 캠 홈(32)과 캠 팔로워(47)의 접촉 부분을 지지점으로 해서, 각 하우징(F, M)의 전단면을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게 하도록 자세를 기울이려고 한다.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커지면, 수형 단자 피팅(41L, 41S)과 암형 단자 피팅(12)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도 커지고, 결과적으로, 양 하우징(F, M) 사이에서의 감합 저항이 커진다. 그래서, 감합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지지벽부(45)에 규제 돌출부(48)를 형성하고 있다.
규제 돌출부(48)는 지지벽부(45)의 외면[즉, 벽형 수용부(15)의 내면과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지지벽부(45)의 외면으로부터의 규제 돌출부(48)의 돌출 치수는 벽형 수용부(15)의 격벽부(19)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전후 방향[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규제 돌출부(48)의 형성 영역은, 캠 팔로워(47)의 전단보다 약간 전방(도 2 내지 도 8에서의 우측)의 위치로부터, 지지벽부(45)[후드부(43)]의 후단에 이르는 범위이다.
규제 돌출부(48)의 상면 중 캠 팔로워(47)의 후방 근방에는, 후드부(43)의 후방을 향해 오름 경사가 되도록[지지벽부(45)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진 유도면(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규제 돌출부(48)의 형성 영역은 캠 팔로워(47)의 전폭보다 약간 넓은 범위이며, 유도구(22) 및 개구부(23)의 개구폭보다 약간 좁은 범위이다. 규제 돌출부(48)는 캠 팔로워(47)의 기단부에 연속해 있다. 즉, 규제 돌출부(48)의 전단부 상면으로부터 캠 팔로워(47)가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1의 작용을 설명한다. 양 하우징(F, M)이 초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돌출부(48)의 전단부[유도면(49)의 형성 영역]가 개구부(23)의 전단부 내 및 유도구(22)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는, 캠 홈(32)의 입구(32E)가 규제 돌출부(48)와 대응하기 때문에, 레버(30)와 규제 돌출부(48)는 비접촉이다. 이때, 모든 탭(42L, 42S)은 암형 단자 피팅(12)과 비접촉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의 탭(42L)은 암형 단자 피팅(12)에 대해 접근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나, 단척의 탭(42S)은 암형 단자 피팅(12)에 대해 크게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레버(30)를 감합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일부[캠 홈(32)의 입구(32E)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규제 돌출부(48)의 유도면(49)과 대응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의 수형 단자 피팅(41L)의 탭(42L)은 암형 단자 피팅(12)과 접촉하지만, 단척의 수형 단자 피팅(41S)의 탭(42S)은 암형 단자 피팅(12)과 비접촉이다. 이 상태로부터, 레버(30)의 회동을 더욱 진행시키면, 양 하우징(F, M)의 감합이 진행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개구부(23) 내에서의 규제 돌출부(48)의 진입 깊이가 증가해 간다. 개구부(23)는 수용 공간(18)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23) 내에 진입한 규제 돌출부(48)의 상면은 레버(30)의 하면과 대향한다.
레버(30)의 회동이 개시되면, 양 하우징(F, M)은 그 전단면끼리를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게 하도록 자세를 기울인다(도시 생략). 양 하우징(F, M)의 자세가 기울어지면, 양 하우징(F, M)의 하단측에서는,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가 벽형 규제부(16)의 내면에 접촉한다. 한편, 양 하우징(F, M)의 상단측에서는, 개구부(23)에 진입한 규제 돌출부(48)의 상면이 수용 공간(18) 내의 레버(30)의 하면에 접촉한다. 이 상하 양단측에 있어서의 접촉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F, M)의 그 이상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규제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레버(30)의 회동과 양 하우징(F, M)의 감합을 더 진행시키는 과정에서는,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와 벽형 규제부(16)의 내면이 미끄럼 접촉하고, 규제 돌출부(48)의 상면과 레버(30)의 하면이 미끄럼 접촉한다. 이 동안에, 벽형 규제부(16)의 상면에 있어서의 규제벽부(44)의 미끄럼 접촉 영역은 양 하우징(F, M)의 감합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높아지기 때문에, 암형측 하우징(F)은 수형측 하우징(M)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한편, 레버(30)에 있어서의 규제 돌출부(48)에 대한 미끄럼 접촉 부위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 하우징(F, M)의 감합이 진행됨에 따라, 암형측 하우징(F)의 자세가 수형측 하우징(M)에 대해 기울어짐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간다. 그리고,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면, 양 하우징(F, M) 사이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최소가 된다.
또한, 양 하우징(F, M)의 감합 과정에서는, 먼저, 장척의 탭(42L)이 암형 단자 피팅(12)과의 접촉을 개시하고, 그후, 단척의 탭(42S)이 암형 단자 피팅(12)과의 접촉을 개시한다. 이후, 장척의 탭(42L)과 암형 단자 피팅(12)과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고, 계속해서, 단척의 탭(42S)과 암형 단자 피팅(12)과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된다. 이 동안에,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 돌출부(48)와 레버(30)와의 접촉에 의해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작게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탭(42L, 42S)[수형 단자 피팅(41L, 41S)]과 암형 단자 피팅(12) 사이의 접촉 저항도 작게 억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레버식 커넥터는,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10)와, 단자 수용부(10)를 포위하는 대략 각통형의 통형 감합부(13)를 구비한 암형측 하우징(F)과, 캠 홈(32)이 형성되고, 통형 감합부(13)를 구성하는 벽형 수용부(15)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된 대략 단판형의 레버(30)와, 대략 각통형의 후드부(43)를 갖는 수형측 하우징(M)과, 후드부(43)의 외면에 형성된 캠 팔로워(4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0)와 통형 감합부(13) 사이의 감합 공간(14)에 후드부(43)를 얕게 수용하고, 캠 팔로워(47)를 캠 홈(32)의 입구(32E)에 진입시키면, 양 하우징(F, M)이 초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초기 상태로부터 레버(30)를 회동시키면, 캠 홈(32)과 캠 팔로워(47)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레버식 커넥터는,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통형 감합부(13)의 내주면과 후드부(43)의 외주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고, 이 클리어런스에 의해 양 하우징(F, M) 간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기울어짐이 최대가 되는 상태에서는, 양 하우징(F, M)의 하단측에 있어서 후드부(43)의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가 통형 감합부(13)의 벽형 규제부(16)의 내면에 접촉하고, 양 하우징(F, M)의 상단측에 있어서 후드부(43)의 지지벽부(45)의 외면이 통형 감합부(13)의 벽형 수용부(15)측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하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일정하면,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와 벽형 규제부(16)의 내면의 접촉 위치를 기점으로 했을 때에, 이 기점으로부터, 지지벽부(45)측과 벽형 수용부(15)측의 접촉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기울어짐 각도는 작아진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 실시예 1에서는, 양 하우징(F, M)의 상단측에 있어서, 지지벽의 외면에, 벽형 수용부(15)에 형성한 개구부(23)에 진입 가능한 규제 돌출부(48)를 돌출 형성하고, 이 규제 돌출부(48)를 벽형 수용부(15) 내의 레버(30)와 대향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레버(3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는,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와 벽형 규제부(16)의 내면을 접촉시키고, 규제 돌출부(48)의 외면과 레버(30)를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하 2부위에서의 접촉 형태에 의해, 양 하우징(F, M) 사이에서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 또는 규제할 수 있었다.
또한, 규제 돌출부(48)와 레버(30)와의 접촉 위치는, 지지벽부(45)의 외면(상면)이나 벽형 수용부(15)의 선단 내연부(하면)에 비하면, 상기 기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길다. 따라서, 규제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기울어짐이 최대인 상태에서 지지벽부(45)의 외면과 벽형 수용부(15)의 선단 내연부가 접촉하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본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는 하우징의 기울어짐이 작게 억제되어 있다.
또한, 캠 홈(32)에 감합되는 캠 팔로워(47)에는, 양 하우징 사이의 감합 저항에 상당하는 압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캠 팔로워(47)가 기울어지도록 변형하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캠 팔로워(47)의 기단부에는 규제 돌출부(48)가 연속해 있기 때문에, 캠 팔로워(47)의 기단부가 보강되어, 캠 팔로워(47)의 기울어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43)는 단자 유지부(40)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규제 돌출부(48)는 후드부(43)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캠 팔로워(47)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 돌출부(48)가 캠 팔로워(47)보다 후드부(43)의 기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후드부(43)의 기단부는 단자 유지부(40)에 연속해 있어 강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지지벽부(45) 중 규제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규제 돌출부(48)에 의해 양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기능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개구부(23)가 캠 팔로워(47)를 벽형 수용부(15) 내에 진입시키기 위한 유도 경로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23)와는 별도로, 캠 팔로워(47)를 벽형 수용부(15) 내에 진입시키기 위한 전용의 절결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면, 벽형 수용부(15)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암형 단자 피팅(12)과 수형 단자 피팅(41L, 41S) 사이의 접촉 저항은 양 하우징(F, M) 사이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질수록 증대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양 하우징(F, M)의 감합 과정에서, 암형측 하우징(F)에 설치한 암형 단자 피팅(12)과 수형측 하우징(M)에 설치한 수형 단자 피팅(41L, 41S)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보다 전에, 규제 돌출부(48)가 레버(30)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암형 단자 피팅(12)과 수형 단자 피팅(41L, 41S)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 전에,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양 단자 피팅 사이의 접촉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記述)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규제 돌출부를 캠 팔로워의 기단부에 연속해 있는 형태로 하였으나, 규제 돌출부는 캠 팔로워와는 독립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규제 돌출부가 후드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캠 팔로워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나, 규제 돌출부는, 후드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캠 팔로워와 동일한 위치나, 캠 팔로워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개구부가 캠 팔로워를 벽형 수용부 내에 진입시키기 위한 유도 경로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나, 개구부와는 별도로, 캠 팔로워를 벽형 수용부 내에 진입시키기 위한 전용의 절결부를 벽형 수용부에 형성해도 좋다.
(4)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규제 돌출부가 폭 치수가 비교적 작은 리브 형상이지만, 규제 돌출부는 폭 치수가 큰 형태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규제 돌출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는 지지벽부의 전폭보다 좁은 영역이어도 좋고, 지지벽부의 전폭에 걸쳐 연속된 영역이어도 좋다.
(5)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암형 단자 피팅과 수형 단자 피팅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보다 전에, 규제 돌출부를 레버에 접촉시켰으나, 암형 단자 피팅과 수형 단자 피팅과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된 후에, 규제 돌출부가 레버와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6)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수형측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탭의 돌출단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수형 단자 피팅을 설치하였으나, 복수의 수형 단자 피팅은 탭의 선단의 위치가 모두 맞춰진 1종류의 것이어도 좋다.
(7)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수형측 하우징이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나, 수형측 하우징은 와이어 하니스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8)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규제 돌출부가 레버에 접촉할 때에, 장척의 탭이 암형 단자 피팅에 대해 접근하여 대응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규제 돌출부가 레버에 접촉할 때에, 장척의 탭이 암형 단자 피팅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F: 암형측 하우징 M: 수형측 하우징
10: 단자 수용부 13: 통형 감합부
14: 감합 공간 15: 벽형 수용부
16: 벽형 규제부 23: 개구부
30: 레버 32: 캠 홈
32E: 캠 홈의 입구 40: 단자 유지부
43: 후드부 44: 규제벽부
44E: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 45: 지지벽부
47: 캠 팔로워 48: 규제 돌출부

Claims (4)

  1.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와, 상기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각통(角筒)형의 통형 감합부(嵌合部)를 구비한 암형측 하우징과,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는 벽(壁)형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된 단판형의 레버와,
    각통형의 후드부를 갖는 수형측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의 외면에 형성된 캠 팔로워(cam follower)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통형 감합부 사이의 감합 공간에 상기 후드부를 얕게 수용하고, 상기 캠 팔로워를 상기 캠 홈의 입구에 진입시키면, 상기 암형측 하우징과 상기 수형측 하우징이 초기 상태가 되고,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캠 홈과 상기 캠 팔로워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상기 암형측 하우징과 상기 수형측 하우징이 감합되는 레버식 커넥터로서,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벽형 수용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벽형 규제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규제부의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규제벽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수용부의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되며, 외면으로부터 상기 캠 팔로워를 돌출시킨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벽형 수용부에 형성한 개구부에 진입하여 상기 레버에 접촉 가능한 규제 돌출부
    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가 회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外緣部)와 상기 벽형 규제부의 내면의 접촉, 및 상기 규제 돌출부와 상기 레버의 접촉에 의해, 상기 암형측 하우징과 상기 수형측 하우징 간에 자세의 기울어짐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돌출부는 상기 캠 팔로워의 기단부에 연속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측 하우징은 단자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부는 상기 단자 유지부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규제 돌출부는 상기 후드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워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캠 팔로워를 상기 벽형 수용부 내에 진입시키기 위한 유도 경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50160271A 2014-11-17 2015-11-16 레버식 커넥터 KR101795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2390A JP2016096095A (ja) 2014-11-17 2014-11-17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4-232390 2014-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10A KR20160058710A (ko) 2016-05-25
KR101795166B1 true KR101795166B1 (ko) 2017-11-07

Family

ID=5596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271A KR101795166B1 (ko) 2014-11-17 2015-11-16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59460B2 (ko)
JP (1) JP2016096095A (ko)
KR (1) KR101795166B1 (ko)
CN (1) CN1056100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6094A (ja) * 2014-11-17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441866B2 (ja) * 2016-09-21 2018-1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879231B2 (ja) * 2018-03-06 2021-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322888B2 (en) * 2018-06-06 2022-05-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type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42A (ja) * 2000-05-23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060286834A1 (en) 2005-06-15 2006-12-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of the movable member typ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20662T2 (de) * 1992-11-27 1999-02-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Mie Handhebel betätigter Verbinder
DE4443349C2 (de) * 1994-12-06 1996-09-26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5888081A (en) * 1996-08-08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ems Inc. Lever connector
JP3778023B2 (ja) * 2001-07-23 2006-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4014142A (ja) 2002-06-03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311190A (ja) * 2003-04-07 200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05050625B4 (de) * 2004-10-22 2011-07-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ie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4497108B2 (ja) * 2006-03-02 2010-07-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8130244A (ja) * 2006-11-16 2008-06-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0140646A (ja) * 2008-12-09 2010-06-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0039706A1 (de) * 2010-08-24 2012-03-01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5728310B2 (ja) * 2011-07-01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16096094A (ja) * 2014-11-17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42A (ja) * 2000-05-23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060286834A1 (en) 2005-06-15 2006-12-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of the movable member type
JP2006351331A (ja) * 2005-06-15 2006-12-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10003A (zh) 2016-05-25
KR20160058710A (ko) 2016-05-25
US9559460B2 (en) 2017-01-31
JP2016096095A (ja) 2016-05-26
US20160141799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166B1 (ko) 레버식 커넥터
EP2456020B1 (en) Lever-type connector
JP534793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8130244A (ja) コネクタ
US10090620B2 (en) Lever-type connector having a lever with two arms with one ends of the arms joined by an operating portion and other ends joined by a coupling
JP5682476B2 (ja) コネクタ
JP2009110733A (ja) コネクタ
US20170279222A1 (en) Lever-type connector
US10483692B2 (en) Levery-type connector
JP2006228759A (ja) 雌側端子金具
KR101797821B1 (ko) 레버식 커넥터
US990596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4752750B2 (ja) コネクタ
US9923305B2 (en) Connector
US10044138B2 (en) Connector with linearly movable operating member that is movable optionally in opposite first and second moving direction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to a mating connector
US9899769B2 (en) Connector with an operating member mountable in either of two opposite orientations and locks for locking the operating member at an initial position and a connection position in either orientation
US10050388B2 (en) Connector having a shorting terminal with a pair of press-fit projections
EP2051335A2 (en) A connector
US20170346221A1 (en) Connector
US10559908B2 (en) Connector
US11749945B2 (en) Movable connector
JP497855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157605A (ja) コネクタ
JP2010092735A (ja) コネクタ
JP201012351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