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491B1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491B1
KR101793491B1 KR1020160170486A KR20160170486A KR101793491B1 KR 101793491 B1 KR101793491 B1 KR 101793491B1 KR 1020160170486 A KR1020160170486 A KR 1020160170486A KR 20160170486 A KR20160170486 A KR 20160170486A KR 101793491 B1 KR101793491 B1 KR 10179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sh
post
handle
h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491B1/ko
Priority to CN201711338559.5A priority patent/CN10822272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푸쉬(push) 또는 풀(pull) 동작이 이루어지는 핸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로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핸들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위치된 푸쉬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푸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전환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Swiching assembly for driving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구동전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도 1과 같이 이러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 핸들(3)과 외측 핸들(4)에 도어(D)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 볼트(5)를 해정하고 도어(D)를 여는 방식이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7'은 레버이고, '8'은 회동 샤프트이며, '6'은 데드볼트이다.
한편,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도어(D)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이 설치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내측핸들(3)은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인 스윙; in swing)에 의해 문이 개방되도록 설치되고, 외측핸들(4)은 사용자가 당기는 동작(아웃 스윙; out swing)에 의해 문이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설치시 스윙 작동방식을 전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즉 핸들(3,4) 자체에서 인 스윙과 아웃 스윙을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해 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선행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60100호(공고일자: 2014년 02월 24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에 설치된 전환노브를 작동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푸쉬(push) 작동과 풀(pull) 작동의 전환이 가능한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치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푸쉬(push) 또는 풀(pull) 동작이 이루어지는 핸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로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핸들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위치된 푸쉬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푸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전환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핸들 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지지된 핸들 포스트가 형성되고, 상기 푸쉬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탄성지지된 포스트가 형성되어,상기 푸쉬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하강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노브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핸들 본체의 풀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환노브가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고정을 해정하면, 상기 푸쉬 플레이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핸들 본체를 탄성지지한 상태를 이루면, 상기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핸들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에는 스프링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핸들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의 선단은 볼트를 통해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에 장착된 스프링은 상기 핸들 본체의 풀 동작되는 경우 수축되고, 상기 포스트에 장착된 스프링은 상기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되는 경우 수축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환노브에는 상기 포스트의 선단에 장착된 볼트의 머리가 삽입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환노브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에 상기 볼트 의 머리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시 도어락 본체에 설치된 전환노브를 통해 간편하게 풀(pull) 작동과 푸쉬(push) 작동을 전환시켜 푸쉬-풀 도어락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상 간편하고 시공상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가 풀(pull)방향으로 작동한 상태도,
도 2b는 도 2a의 측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푸쉬 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하우징의 구조를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풀(pull) 상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푸쉬 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가 푸쉬(push)방향으로 작동한 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푸쉬(push) 상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푸쉬(push) 상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푸쉬 플레이트가 고정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전환노브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의 전환노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본체(20)에서 핸들 본체(10)를 당기는 동작(풀; pull) 동작)에 의해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진다. 즉 도 2b와 같이 핸들 본체(10)에는 작동후크(16)가 형성되고, 이 작동후크(16)는 베이스 본체(20)에 형성된 제1 기어(41)와 연결되고, 이 제1 기어(41)는 제2 기어(42)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 본체(10)를 당기는 경우 작동후크(16)가 상승되고, 이와 연결된 제1 기어(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기어 연결된 제2 기어(42)가 회전되는 것으로 제2 기어(42)의 회전을 통해 모티스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락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c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는 베이스 본체(20)의 내부에 하우징(30)이 장착된다. 이 하우징(30)에는 일면에는 푸쉬 플레이트(60)가 탄성지지되고, 이 하우징(30)의 타면에는 푸쉬 플레이트(60)를 고정하기 위한 전환노브(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30)에는 제2 기어(42)가 설치되며, 이때 제2 기어(42)는 토션 스프링(35)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제2 기어(42)에는 구동홈(44)이 형성되고, 이 구동홈(44)을 통해 모티스(미도시)와 연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핸들 본체(10)에는 핸들 포스트(16)가 연장형성되고, 이 핸들 포스트(15)는 하우징(33)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선단에 지지볼트(15b)에 의해 스프링(15a)의 일단이 지지되고, 스프링(15a)의 타단은 하우징(30)의 내부면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핸들본체(10)를 당기는 경우 핸들 포스트(15)는 상승하게되고, 하우징(30) 내에서 스프링(15a)이 수축한 상태로 유지되다가 당기는 힘이 가하지 않는 경우 핸들 본체(1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30)에는 하단에 일렬로 핸들 포스트공(31)과 포스트공(32)이 형성된다. 이때 포스트공(31)에는 푸쉬 플레이트(60)의 포스트(61)가 장착되고 포스트(61)의 말단에는 고정 볼트(62)가 장착된다. 또한 푸쉬 플레이트(60)에는 각각 제2 스프링(61a)이 장착된다.
한편 하우징(30)는 제1 기어(41)가 회전핀(42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회전핀(42a)에 베벨기어 방식으로 제2 기어(42)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스프링; S에 의해 밀착됨). 또한 제1 기어(41)와 제2 기어(42)의 기어 연결을 단락시키도록 클러치판(70)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30)에는 푸쉬 플레이트(60)가 하우징(30)의 포스트공(32)에서 하강되어 수축된 상태를 이루면 고정볼트(62)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전환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4를 참고하면, 전환노브(50)는 전면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노브부(51)와 둘레면에 일정반경으로 연장된 풀(pull) 영역(50a)과 푸쉬(push) 영역(50b)가 형성된다. 또한 전환 노브(50)의 회전에 의해 포스트(61)의 선단에 장착된 고정볼트(62)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고정홈(55)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풀(pull) 타입으로 도어락을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6a와 같이 핸들 본체(10)를 눌러 핸들 본체(10)가 하강되면 푸쉬 플레이트(60)가 하우징(30)의 포스트공(32; 도 5)으로 하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환노브(50)를 회전시키면 도 7 및 도 15의 (a)와 같이 전환노브(50)의 고정홈(55)이 포스트(61)의 선단에 장착된 고정볼트(62)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위치된다.
즉, 도 6a와 같이 핸들본체(10)가 눌러진 상태를 이루고, 이 상태에서 포스트(61)에 삽입된 제2 스프링(61a)은 수축된 상태로 전환노브(50)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반면 이 상태에서 핸들 포스트(15)에 장착된 제1 스프링(15a)은 하우징 내에서 수축되지 않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6a의 상태가 설정되면, 핸들 본체(10)의 푸쉬 동작은 불가한 반면에 도 6b와 같이 핸들 본체(10)를 당기는 풀(pull) 동작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a의 상태에서 핸들 본체(10)를 당기는 경우에는 핸들 포스트공(31)에서 제1 스프링(15a)이 수축된 상태(도 6b의 상태)를 이루고, 이후 당기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핸들 본체(10)를 베이스 본체(20)로 복귀되어 핸들 본체(10)를 원상태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푸쉬 작동으로 설정된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 본체(20)에서 핸들 본체(10)를 밀어서 도어락을 해정하는 경우에도 핸들 본체(10)가 눌러지면 작동후크(16)가 제1 기어(41)를 시계방향으로 작동시켜 제2 기어(42)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모티스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는 도 9b와 같이 하우징(30)에서 푸쉬 플레이트(60)가 돌출된 상태를 이룬 구성으로서, 이 상태에서 푸쉬 플레이트(60)는 핸들 본체(1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핸들 본체(10)를 탄성지지하게 된다(도 11a 참조).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 본체(10)를 푸쉬 작동상태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도 6a의 상태에서 전환노브(50)를 선회시켜 전환노브(50)에 형성된 고정홈(55)에서 고정 볼트(62)의 머리가 빠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수축된 상태의 푸쉬 플레이트(60)는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로 인해 핸들 본체(10)를 외부로 밀어낸 상태를 이루게 된다(도 12a의 상태).
이와 같이 전환노브(50)를 통해 푸쉬 플레이트(6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핸들 본체(10)는 푸쉬 동작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 본체(10)를 누르는 경우에는 도 12b와 같이 포스트공(32)과 핸들 포스트공(31)에 장착된 스프링(15a,61a)을 각각 눌러서 핸들 본체(10)가 하강한 상태가 되고,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이들 스프링(15a,61a)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 본체(10)를 누를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전환노브(50)는 고정홈(55)에 고정볼트(62)의 머리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30)에서 선회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시 도어락 본체(20)에 설치된 전환노브(50)를 하우징(30)에서 선회시키는 것을 통해 핸들 본체(10)의 푸쉬 동작과 풀 동작을 간편하게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핸들 본체
15: 핸들 포스트
20: 베이스 본체
30: 하우징
35: 토션 스프링
41: 제1 기어
42: 제2 기어
44: 구동홈
50: 전환노브
60: 푸쉬 플레이트
61: 포스트

Claims (5)

  1. 설치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푸쉬(push) 또는 풀(pull) 동작이 이루어지는 핸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로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핸들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위치된 푸쉬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푸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전환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지지된 핸들 포스트가 형성되고,
    상기 푸쉬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탄성지지된 포스트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하강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노브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핸들 본체의 풀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노브가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고정을 해정하면, 상기 푸쉬 플레이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핸들 본체를 탄성지지한 상태를 이루면, 상기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에는 스프링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핸들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의 선단은 볼트를 통해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에 장착된 스프링은 상기 핸들 본체의 풀 동작되는 경우 수축되고,
    상기 포스트에 장착된 스프링은 상기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되는 경우 수축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노브에는 상기 포스트의 선단에 장착된 볼트의 머리가 삽입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환노브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에 상기 볼트 의 머리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KR1020160170486A 2016-12-14 2016-12-14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KR101793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86A KR101793491B1 (ko) 2016-12-14 2016-12-14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CN201711338559.5A CN108222721B (zh) 2016-12-14 2017-12-14 推拉门锁的驱动切换结构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86A KR101793491B1 (ko) 2016-12-14 2016-12-14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491B1 true KR101793491B1 (ko) 2017-11-06

Family

ID=6038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86A KR101793491B1 (ko) 2016-12-14 2016-12-14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3491B1 (ko)
CN (1) CN108222721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21Y1 (ko)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200478968Y1 (ko) 2014-10-17 2015-12-04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KR101653784B1 (ko) 2015-08-03 2016-09-0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8532B2 (ja) * 2001-02-02 2009-11-18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建具用引戸錠
KR101115258B1 (ko) *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CN103556887B (zh) * 2013-05-06 2015-11-18 上海恩坦华汽车门***有限公司 一种带防误锁功能的中控门锁
DE202013104118U1 (de) * 2013-09-10 2014-12-1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CN204983983U (zh) * 2015-07-20 2016-01-20 广东霸菱科技有限公司 电子门锁带双电机万能离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21Y1 (ko)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200478968Y1 (ko) 2014-10-17 2015-12-04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KR101653784B1 (ko) 2015-08-03 2016-09-0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22721A (zh) 2018-06-29
CN108222721B (zh) 2019-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001B1 (ko)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KR100895874B1 (ko) 도어록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JP4509142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163168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US20040004359A1 (en) Door latch mechanism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101793490B1 (ko)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US20080190155A1 (en) Hub Locking Apparatus For Mortise Lock Assembly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KR10051411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875296B1 (ko) 모티스 락용 래치 볼트 및 이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0834212B1 (ko)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KR20030097762A (ko) 레버형 도어록
JP2007205056A (ja) ドアの開閉装置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