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490B1 -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 Google Patents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490B1
KR101793490B1 KR1020160170254A KR20160170254A KR101793490B1 KR 101793490 B1 KR101793490 B1 KR 101793490B1 KR 1020160170254 A KR1020160170254 A KR 1020160170254A KR 20160170254 A KR20160170254 A KR 20160170254A KR 101793490 B1 KR101793490 B1 KR 10179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push
clutch plat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490B1/ko
Priority to CN201711339583.0A priority patent/CN10822272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로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구동홈이 형성된 구동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직교하도록 기어 연결되고 상기 핸들 본체에 형성된 작동 후크와 연동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연결 및 단락을 설정하는 클러치판;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클러치판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전환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Assembly for swiching push and pull mode of door lock handle}
본 발명은 푸쉬-풀 전환 구동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풀 도어락에 설치되어 핸들의 푸쉬 작동과 풀 작동을 전환시키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 핸들과 외측 핸들에 도어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볼트를 해정하고 도어를 여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도어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내측핸들과 외측핸들이 설치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내측핸들은 사용자가 푸쉬(Push) 동작(인 스윙; in swing)에 의해 문이 개방되도록 설치되고, 외측핸들은 사용자가 풀(pull) 동작(아웃 스윙; out swing)에 의해 문이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일단 도어락에 핸들이 설치할 때 스윙 작동방식의 전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즉 핸들 자체에서 인 스윙과 아웃 스윙을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해 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60100호(공고일자: 2014년 02월 24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푸쉬-풀 도어락의 설치시 핸들의 푸쉬(push) 및 풀(pull)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하여 설치할 수 있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로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구동홈이 형성된 구동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직교하도록 기어 연결되고 상기 핸들 본체에 형성된 작동 후크와 연동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연결 및 단락을 설정하는 클러치판;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클러치판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전환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핀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핀의 선단에는 상기 종동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판은 상기 종동기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핀에 장착되고, 상기 클러치판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판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환노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클러치판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일정반경을 갖는 제한영역, 및 상기 클러치판의 수직방향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작동영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에는 회전방향으로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연결이 단락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가 원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포스트부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핸들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푸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노브의 말단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의 말단 일부를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환 노브를 회전시키고 클러치 판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클러치 판을 이동시킴으로써 연동 기어의 기어 연결을 단락시키는 것으로 핸들의 푸쉬(push) 또는 풀(pull) 동작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사용상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시공상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푸쉬-풀 도어락 본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전환 노브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풀(pull) 작동 모드의 상태도,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핸들 본체를 당기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다양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풀(pull) 모드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전환 노브의 푸쉬 플레이트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푸쉬(push) 모드의 작동 상태도 및 그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전환 노브의 설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전환 노브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및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의 핸들 작동 모드 전환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본체(20)에서 핸들 본체(10)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푸쉬 및 풀 방식)에 의해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진 푸쉬-풀 핸들의 전환 구조를 제공한다.
즉, 도 2와 같이 핸들 본체(10)에는 작동후크(16)가 형성되고, 이 작동후크(16)는 베이스 본체(20)에 형성된 종동기어(41)와 연결되고, 이 종동기어(41)는 구동기어(42)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 본체(10)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하는 경우 작동후크(16)가 상승되고, 이와 연결된 종동기어(41)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기어(41)와 연결된 구동기어(42)가 회전되는 것으로, 구동기어(42)의 회전을 통해 모티스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락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본체(20)의 내부에 하우징(30)이 장착된다. 이 하우징(30)에는 일측면에는 푸쉬 플레이트(60)가 탄성지지되고, 이 하우징(30)의 타측면에는 푸쉬 플레이트(60)를 고정하기 위한 전환 노브(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30)에는 구동기어(42)가 설치되며, 이때 구동기어(42)는 토션 스프링(35)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구동기어(42)에는 구동홈(44)이 형성되고, 이 구동홈(44)을 통해 모티스(미도시)와 연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핸들 본체(10)에는 핸들 포스트(15)가 연장형성되고, 이 핸들 포스트(15)는 하우징(33)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선단에 지지볼트(15b)에 의해 스프링(15a)의 일단이 지지되고, 스프링(15a)의 타단은 하우징(30)의 내부면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핸들본체(10)를 당기는 경우 핸들 포스트(15)는 상승하게되고, 하우징(30) 내에서 스프링(15a)이 수축한 상태를 유지되다가 당기는 힘이 가하지 않는 경우 핸들 본체(1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30)에는 하단에 일렬로 핸들 포스트공(31)과 포스트공(32)이 형성된다. 이때 포스트공(31)에는 푸쉬 플레이트(60)의 포스트(61)가 장착되고 포스트(61)의 말단에는 고정 볼트(62)가 장착된다. 또한 푸쉬 플레이트(60)에는 각각 제2 스프링(61a)이 장착된다.
한편 하우징(30)는 종동기어(41)가 회전핀(42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회전핀(42a)에 베벨기어 방식으로 구동기어(42)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스프링(S)에 의해 밀착됨). 또한 종동기어(41)와 구동기어(42)의 기어 연결을 단락시키도록 클러치판(70)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30)에는 푸쉬 플레이트(60)가 하우징(30)의 포스트공(32)에서 하강되어 수축된 상태를 이루면 고정볼트(62)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전환 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풀(pull) 타입으로 도어락을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6a와 같이 핸들 본체(10)를 눌러 핸들 본체(10)가 하강되면 푸쉬 플레이트(60)가 하우징(30)의 포스트공(32; 도 5)으로 하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환노브(50)를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이 전환 노브(50)의 고정홈(55)이 포스트(61)의 선단에 장착된 고정볼트(62)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위치된다.
즉, 도 6a와 같이 핸들본체(10)가 눌러진 상태를 이루고, 이 상태에서 포스트(61)에 삽입된 제2 스프링(61a)은 수축된 상태로 전환노브(50)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반면 이 상태에서 핸들 포스트(15)에 장착된 제1 스프링(15a)은 하우징 내에서 수축되지 않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6a의 상태가 설정되면, 핸들 본체(10)의 푸쉬 동작은 불가한 반면, 도 6b와 같이 핸들 본체(10)를 당기는 풀(pull) 동작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a의 상태에서 핸들 본체(10)를 당기는 경우에는 핸들 포스트공(31)에서 제1 스프링(15a)이 수축된 상태(도 6b의 상태)를 이루고, 이후 당기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핸들 본체(10)를 베이스 본체(20)로 복귀되어 핸들 본체(10)를 원상태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푸쉬 작동으로 설정된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 본체(20)에서 핸들 본체(10)를 밀어서 도어락을 해정하는 경우에도 핸들 본체(10)가 눌러지면 작동후크(16)가 종동기어(41)를 시계방향으로 작동시켜 구동기어(42)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모티스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는 도 8a와 같이 하우징(30)에서 푸쉬 플레이트(60)가 돌출된 상태를 이룬 구성으로서, 이 상태에서 푸쉬 플레이트(60)는 핸들 본체(1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핸들 본체(10)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 본체(10)를 푸쉬 작동상태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도 6a의 상태에서 전환 노브(50)를 선회시켜 전환 노브(50)에 형성된 고정홈(55)에서 고정 볼트(62)의 머리가 빠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수축된 상태의 푸쉬 플레이트(60)는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로 인해 핸들 본체(10)를 외부로 밀어낸 상태를 이루게 된다(도 8a의 상태).
이와 같이 전환 노브(50)를 통해 푸쉬 플레이트(6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핸들 본체(10)는 푸쉬 동작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 본체(10)를 누르는 경우에는 도 8b와 같이 포스트공(32)과 핸들 포스트공(31)에 장착된 스프링(15a,61a)을 각각 눌러서 핸들 본체(10)가 하강한 상태가 되고,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이들 스프링(15a,61a)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 본체(10)를 누를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전환 노브(50)는 고정홈(55)에 고정볼트(62)의 머리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30)에서 선회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시 도어락 본체(20)에 설치된 전환 노브(50)를 하우징(30)에서 선회시키는 것을 통해 핸들 본체(10)의 푸쉬 동작과 풀 동작을 간편하게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30)의 뒷편에는 커버판(30a)이 장착되고, 이 커버판(30a)에는 전환 노브(50)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환노브(50)에는 외주면에서 연장형성된 풀영역(51b)과 푸쉬영역(51a)이 형성된다. 이들 영역(51a,51b)은 클러치판(7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클러치판(70)은 회전핀(42a)이 관통되며, 하부에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회전핀(42a)은 하우징(30)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스프링(S)은 일단은 클러치판(70)을 지지하고 타단은 하우징(30)의 내부에 지지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종동기어(41)와 구동기어(42)는 서로 베벨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고, 특히 구동기어(42)에는 토션스프링(35)의 일단이 지지되고, 토션스프링(35)의 타단은 하우징(30)의 지지리브(35a)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구동기어(42)가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핸들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이 토션 스프링(35)에 의해 다시 원위치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환노브(50)의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상의 푸쉬-풀 도어락은 핸들을 눌러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 (push) 작동과 핸들을 당겨서 해정이 이루어지는 풀(pull)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풀 동작을 위해서는 핸들 본체(10)는 베이스 본체(20)에 눌러진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 본체(10)를 파지하여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진다(도 6a 및 도 6b 참조).
따라서 풀 동작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푸쉬 동작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구동기어(42)를 중립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풀 작동이나 푸쉬 작동으로 설정된 구동기어(42)의 회전 시작점을 중립으로 되돌리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푸쉬 또는 풀 작동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클러치판(70)의 상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 영역이 위치되도록 전환 노브(50)를 일정반경으로 회전시킨다(도 12의 전환 노브 위치).
이 상태에서는 클러치판(70)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클러치판(70)을 스프링(S)의 탄성력에 반하여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다. 클러치판(70)을 하강시키게 되면 종동기어(41)가 구동기어(42) 측으로 밀착된 힘이 작용하지 않게되고 자중에 의해 종동기어(41)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기어(42)와 종동기어(41)의 기어연결이 단락된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푸쉬 작동 상태로 설정된 도어락을 풀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도 12와 같이 전환 노브(50)를 회전시켜 클러치판(70)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서정한다.
다음으로, 도 13과 같이 푸쉬가 가능하도록 돌출된 핸들 본체(10)를 눌러서 핸들 본체(10)를 당길 수 있는 위치(도 6a의 상태)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 본체(10)를 누르게 되면 핸들 본체(10)와 연동된 종동기어(41)가 회전되고, 이와 기어연결된 구동기어(42)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된다(도 13의 상태).
이 상태에서 도 14와 같이 클러치판(70)을 아래로 하강시키게 되면, 종동기어(41)와 구동기어(42)의 기어연결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기어로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면 구동기어(42)에 작용하는 고정력(종동기어와 맞물림으로 발생된 고정력)이 사라지고,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된 상태의 구동기어(42)는 토션 스프링(35)의 회전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중립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도 15와 같이 구동기어(4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래의 위치(도 12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중립상태).
이와 같이 구동기어(42)가 원상태로 복귀가 완료되면 누르고 있던 클러치판(70)을 다시 놓게 되면, 스프링(S)의 탄성력으로 종동기어(41)가 구동기어(42)에 맞물린 상태를 이루게 된다(풀 작동 상태 설정).
이와 같이 최초의 푸쉬 작동 상태로 설정(도 12의 상태)된 종동기어(41)의 기어 맞물림 시작점은, 상기한 전환 작동에 의해 도 16과 같이 종동기어(41)의 기어 맞물림 위치로 전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41)의 맞물림 위치가 전환되는 것을 통해 핸들의 푸쉬 작동 상태에서 풀 작동 상태로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 전환을 완료하게 되면, 도 17과 같이 전환 노브(50)를 회전시켜 풀영역(51b)이 클러치판(70)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위치됨으로써 작동중에 클러치판(70)이 하강되어 종동기어(41)와 구동기어(42)의 연결상태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환 노브(50)를 회전시키고 클러치 판(7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클러치판(70)을 하강시킴으로써 연동 기어들의 기어 연결을 단락시켜 기어 맞물림 위치를 리셋 위치로 설정한 후에 작동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전환 구조체는 핸들의 푸쉬(push) 또는 풀(pull) 동작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상 간편하면서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핸들 본체
20: 베이스 본체
30: 하우징
35: 토션 스프링
50: 전환 노브
51a: 푸쉬 영역
51b: 풀 영역
60: 푸쉬 플레이트
70: 클러치판

Claims (5)

  1.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핸들 본체의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로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구동홈이 형성된 구동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직교하도록 기어 연결되고 상기 핸들 본체에 형성된 작동 후크와 연동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연결 및 단락을 설정하는 클러치판;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클러치판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전환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핀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핀의 선단에는 상기 종동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판은 상기 종동기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핀에 장착되고, 상기 클러치판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판을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노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클러치판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일정반경을 갖는 제한영역, 및 상기 클러치판의 수직방향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작동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에는 회전방향으로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연결이 단락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가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포스트부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핸들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푸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노브의 말단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의 말단 일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KR1020160170254A 2016-12-14 2016-12-14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KR101793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54A KR101793490B1 (ko) 2016-12-14 2016-12-14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CN201711339583.0A CN108222722B (zh) 2016-12-14 2017-12-14 门锁把手的推拉切换驱动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54A KR101793490B1 (ko) 2016-12-14 2016-12-14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490B1 true KR101793490B1 (ko) 2017-11-06

Family

ID=6038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254A KR101793490B1 (ko) 2016-12-14 2016-12-14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3490B1 (ko)
CN (1) CN1082227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1690A (zh) * 2018-03-30 2018-07-20 南京东屋电气有限公司 防猫眼装置、门锁及具有该门锁的门
CN111691749A (zh) * 2020-07-20 2020-09-22 广州嘉宸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门锁通配离合装置及智能门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21Y1 (ko)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101653784B1 (ko) 2015-08-03 2016-09-0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8532B2 (ja) * 2001-02-02 2009-11-18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建具用引戸錠
KR101115258B1 (ko) *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CN103556887B (zh) * 2013-05-06 2015-11-18 上海恩坦华汽车门***有限公司 一种带防误锁功能的中控门锁
DE202013104118U1 (de) * 2013-09-10 2014-12-1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KR200478968Y1 (ko) * 2014-10-17 2015-12-04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CN204983983U (zh) * 2015-07-20 2016-01-20 广东霸菱科技有限公司 电子门锁带双电机万能离合装置
CN205116965U (zh) * 2015-09-30 2016-03-30 江门市科裕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电快捷切换控制门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21Y1 (ko)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101653784B1 (ko) 2015-08-03 2016-09-0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1690A (zh) * 2018-03-30 2018-07-20 南京东屋电气有限公司 防猫眼装置、门锁及具有该门锁的门
CN108301690B (zh) * 2018-03-30 2024-04-09 东屋世安物联科技(江苏)股份有限公司 门锁及具有该门锁的门
CN111691749A (zh) * 2020-07-20 2020-09-22 广州嘉宸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门锁通配离合装置及智能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22722B (zh) 2019-11-19
CN108222722A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837B2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KR101793490B1 (ko)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2002147089A (ja)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コントローラ
JP2007100374A (ja) キャビネット
JP6022312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529861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633869B1 (ko) 파워 차일드 록 장치
JP4503055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10138657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6162946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382281B1 (ko) 차량의 연료도어 장치
KR200364429Y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1653784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CN201351394Y (zh) 电子锁的传动结构
JP2007070932A (ja) 鎌付電気扉錠
KR100901607B1 (ko)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노브레버
JP4434877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KR101251877B1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록킹 장치
KR20050076520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2007205056A (ja) ドアの開閉装置
KR100685113B1 (ko) 무소음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JP495339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