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107B1 - 연삭식 수형 정곡기 - Google Patents

연삭식 수형 정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107B1
KR101787107B1 KR1020110093480A KR20110093480A KR101787107B1 KR 101787107 B1 KR101787107 B1 KR 101787107B1 KR 1020110093480 A KR1020110093480 A KR 1020110093480A KR 20110093480 A KR20110093480 A KR 20110093480A KR 101787107 B1 KR101787107 B1 KR 10178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pulley
main shaft
fa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023A (ko
Inventor
야스요시 세토
가즈노부 가지하라
가즈토 노나카
야스노리 고이케
고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2003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02C7/13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for grain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과제) 상하 방향으로의 기체 치수를 축소하고, 제강실 전체를 균등하게 흡인하여 제강할 수 있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하 방향으로 세워 형성된 제강 철망통 (28) 과, 제강 철망통 (28)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주축 (19) 과, 주축 (19) 에 다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을 축착하여 제강 철망통 (28) 과의 사이를 정백실 (30) 에 형성한 일체적인 연삭식 정백롤체와, 제강 철망통 (28) 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강실 (31) 과, 제강실 (31) 의 하부에 연통되어 겨를 기 밖으로 배출하는 겨 배출관 (45) 을 구비하고, 제강실 (31) 과 겨 배출관 (45) 의 연통부에는, 연삭식 정백롤 (26) 이 축착된 주축 (19) 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능과, 연삭식 정백롤 (26) 의 정백 작용에 의해 발생한 겨를 제강실 (31) 측으로부터 겨 배출관 (45) 측으로 이송하는 제강풍을 기풍시키는 기능을 갖는 팬 겸용형 풀리 (47) 를 끼워 장착하였다.

Description

연삭식 수형 정곡기{GRINDING TYPE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본체 베이스에 수직으로 지지시킨 주축에 원통형의 연삭식 정미 롤체를 장착한 연삭식 수형(竪型) 정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삭식 수형 정곡기로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 정곡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 은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정곡기의 종단면도이다. 하단을 개구시킨 중공 주축 (103) 을 상부 베어링부 (105) 및 하부 베어링부 (104) 에 의해 본체 베이스 (102) 의 거의 중앙에 세워 형성한다 (수직으로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부 베어링부 (105) 바로 위에 원고리형의 연삭식 정백롤 (107) 을 복수 개 중첩시켜 재치하여, 원통형의 일체적인 정백롤체로 구성한다. 이 연삭식 정백롤 (107) 의 주위에는 간극을 두고 제강(除糠) 철망통 (119) 이 세워 형성되고, 또한 그 제강 철망통 (119) 의 주위에 간극을 두고 제강 커버 (125) 가 장착되어 있다. 제강 철망통 (119) 과 제강 커버 (125) 의 간극 (공간) 은 제강실 (126) 이 된다. 그리고, 제강실 (126) 의 하방에 고리형의 집강실 (150) 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 겨 배출구 (153) 가 형성되어 있다. 집강실 (150) 바닥면에 퇴적된 겨는, 집강실 (150) 의 바닥면을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긁어냄 날개 (152) 에 의해 겨 배출구 (153) 를 향하여 이송되고, 이어서 겨 배출구 (153) 로부터 배풍관 (154) 을 거쳐 집강용 팬 (155) 에 의해 흡인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연삭식 수형 정곡기에 있어서는, 중공 주축 (103) 을 상부 베어링부 (105) 및 하부 베어링부 (104) 에 의해 본체 베이스 (102) 의 거의 중앙에 세워 형성하는 구성과, 제강실 (126) 의 하방에 고리형의 집강실 (150) 을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기체(機體) 치수가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긁어냄 날개 (152) 에 의해 집강실 (150) 바닥면에 퇴적된 겨를 겨 배출구 (153) 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구성에서는, 부품 점수가 많아져 구성이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연삭식 수형 정곡기에서는, 긁어냄 날개를 사용하지 않고 제강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수형 정곡기는, 제강통 (114) 의 외주측에 안내판 (139) 과 적어도 1 장의 칸막이판 (143) 이 배치되어 있다. 안내판 (139) 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 겨 분말을 흡인 덕트부 (132) 까지 안내하는 것이고, 칸막이판 (143) 은, 제강실 (124) 을 상하 방향을 따라 구획하고, 하단(端)이 안내판 (139) 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것이다. 안내판 (139) 의 구성과 칸막이판 (143) 의 배치에 의해, 흡인 덕트부 (132) 로부터의 흡인 풍량을 줄여도, 정미실로부터 제강실 (124) 로 배출된 겨 분말을 흡인 덕트부 (132) 까지 안내하여, 흡인 덕트부 (132) 로부터 겨 분말을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강실 (124) 내에 겨 분말이 쌓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도 7 의 수형 정곡기는, 칸막이판 (143) 을 형성하여 제강실 (124) 전체의 흡인력을 균일하게 하는 수단을 강구하고 있지만, 칸막이판 (143) 의 설치 장소에 따라 흡인력에 편차가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201496호 일본 특허공보 제4481269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기체 치수를 축소함과 함께, 제강실 전체를 균등하게 흡인하여 제강할 수 있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 연삭식 수형 정곡기로 하고 있다.
청구항 1
본체 베이스에 수직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 주축과, 복수의 원고리형 연삭식 정백롤을 다단으로 중첩하여 상하 방향의 원통형으로 한 연삭식 정백롤체와, 원통형의 제강 철망통과 원통형의 제강 커버 및 겨 배출관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연삭식 정백롤체를 주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주축에 장착하며, 제강 철망을 연삭식 정백롤체의 외측에 배치하고 본체 베이스에 고정시켜, 연삭식 정백롤체와의 사이를 정백실로 한다.
제강 커버를 제강 철망의 외측에 배치하고 본체 베이스에 고정시켜, 제강 철망과의 사이를 제강실로 한다.
또한 제강실의 하부에 이것과 연통시켜 겨 배출관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강실과 상기 겨 배출관의 연통부에, 주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정백 작용에 의해 발생한 겨를 상기 제강실측으로부터 상기 겨 배출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강풍을 기풍(起風)시키는 기능을 갖는 팬 겸용형 풀리를 배치한다.
청구항 2
상기 팬 겸용형 풀리는,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가 장착된 주축에 끼워 장착되는 보스부와, 회전 구동용의 전도 벨트가 장착되는 림부와, 상기 보스부와 상기 림부 사이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있으며 축류팬의 날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3
상기 주축 하방에는, 그 주축을 지지하는 본체 베이스부와 구동원이 되는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베이스를 배치 형성하는 한편, 상기 모터에는 모터 풀리를 장착하고, 그 모터 풀리와 상기 팬 겸용형 풀리 사이에 전도 벨트를 감아 장착하고, 또한 상기 본체 베이스부에는, 그 본체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모터 베이스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모터 풀리와 상기 팬 겸용형 풀리의 축간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 장치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4
상기 팬 겸용형 풀리의 림부 하부에는, 그 림부의 내주측을 하방으로 돌출시킨 내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림부 상부에는, 그 림부의 외주측을 상방으로 돌출시킨 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겨 배출관측에는,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를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도록 외수(外受)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강실측에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내측으로 수용되는 내수(內受) 플랜지를 형성한 것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청구항 5
상기 팬 겸용형 풀리는, 직경이 600 ㎜ ∼ 800 ㎜, 회전수가 500 ∼ 700 rpm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팬 겸용형 풀리를 형성함으로써, 구동원으로부터 주축으로 회전이 전달됨과 함께, 제강풍이 기풍되기 때문에, 종래, 겨 배출 전용으로 형성하였던 제강실 하방에 형성한 고리형 집강실 및 고리형 집강실의 바닥면을 슬라이딩하는 긁어냄 날개를 없앨 수 있어, 그 설치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연삭식 수형 정곡기로서 상하 방향으로의 기체 치수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축류팬의 날개 형상으로 된 아암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팬 제강풍을 기풍시켜, 제강실 전체를 하방으로 균등하게 흡인하기 때문에, 제강실측으로부터 겨 배출관측을 향한 겨의 배출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주축 하방에, 그 주축을 지지하는 본체 베이스부와 구동원이 되는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베이스를 배치 형성하는 한편, 상기 모터에는 모터 풀리를 축착(軸着)하고, 그 모터 풀리와 상기 팬 겸용형 풀리 사이에 전도 벨트를 감아 장착하고, 또한 상기 본체 베이스부에는, 그 본체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모터 베이스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모터 풀리와 상기 팬 겸용형 풀리의 축간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 장치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전도 벨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팬 겸용형 풀리의 림부 하부로 돌출시킨 내측 가장자리부와 림부 상부의 외측 가장자리부 및 상기 겨 배출관측의 외수 플랜지부와 상기 제강실측의 내수 플랜지에 의해, 겨가 제강실측으로부터 팬 겸용형 풀리 내로 유입될 때에는, 풀리가 회전 중이어도 겨가 풀리 밖으로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겨가 팬 겸용형 풀리로부터 겨 배출관 내로 유입될 때에는, 풀리가 회전 중이어도, 겨가 겨 배출관 밖으로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팬 겸용형 풀리가, 직경이 600 ㎜ ∼ 800 ㎜, 회전수가 500 ∼ 700 rpm 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곡기 주변에 진애를 흩뿌리지 않고, 미약한 제강풍을 기풍시켜 겨의 배출 촉진에 기여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연삭식 수형 정곡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윗부분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A-A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아랫부분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팬 겸용형 풀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연삭식 수형 정곡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연삭식 수형 정곡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삭식 수형 정곡기 (1) 는, 정곡해야 하는 곡립을 공급하는 곡립 공급부 (2) 와, 그 곡립 공급부 (2) 로부터 수용된 곡립을 하방의 곡립 배출부 (4) 로 이송하면서 정곡하는 연삭 정곡부 (3) 과, 그 연삭 정곡부 (3) 에서 정곡된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부 (4) 와,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서 정백 곡립으로부터 분리된 겨를 집강하는 집강부 (5) 와, 기체 및 구동원이 되는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베이스부 (6) 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곡립 공급부)
상기 곡립 공급부 (2) 는, 원료 탱크 (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수용하는 곡립 공급통 (8) 과, 그 곡립 공급통 (8) 에 형성되어 곡립의 수용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는 셔터 기구 (7) 와, 상기 곡립 공급통 (8) 으로부터 수용한 곡립을 원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산시키는 원추 형상의 안내체 (9) 와, 그 안내체 (9) 내방에 배치 형성된 상부 베어링부 (10) 와, 곡립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장치 (11) 와, 상기 안내체 (9), 상부 베어링부 (10) 및 유량 조절 장치 (11) 를 수용하는 커버체 (12) (도 2) 와, 상기 유량 조절 장치 (11) 로부터 상기 연삭 정곡부 (3) 로 곡립을 이송하기 위한 반송 나선 (13) 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셔터 기구 (7) 는 공급구 (14) 에 형성된 개폐 밸브 (15) 와, 상기 곡립 공급통 (8) 의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 밸브 (15) 를 개폐 구동시키는 에어 실린더 등의 개폐 구동부 (16) 를 갖고 있다.
상기 안내체 (9) 는 그 정상부가 상기 곡립 공급통 (8) 바로 아래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체 (9) 로 낙하한 곡립이, 그대로 원추부를 따라 흘러 내려가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분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베어링부 (10) 는, 베어링 커버 (17) 와, 그 베어링 커버 (17) 내에 배치 형성한 베어링 (18) (도 2) 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지지시킨 주축 (19) 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 주축 (19) 과 베어링 (18) 사이에는, 키 (20) 가 끼워 장착되는 칼라 (21) 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곡립 공급부 (2) 와 연삭 정곡부 (3) 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삭 정곡부 (3) 의 케이싱 (22) 으로부터 곡립 공급부 (2) 의 커버체 (12) 를 상방으로 빼내면, 주축 (19) 으로부터 칼라 (21) 가 발탈(拔脫)되어, 곡립 공급부 (2) 와 연삭 정곡부 (3) 가 분해된다. 이로 인해, 연삭 정곡부 (3) 에 형성되는 연삭식 정백롤 등을 교환할 때에는 메인터넌스 작업이 매우 용이해져, 작업 시간도 단축되게 된다.
상기 유량 조절 장치 (11) 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고정판 (23) 과,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조절 레버 (25) 에 의해 회동(回動)하는 회동판 (24) 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 장치 (11) 의 하방에는, 상기 연삭 정곡부 (3) 로 곡립을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주축 (19) 에 축착된 반송 나선 (13) 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 (12) 에는 (도 2 참조), 그 둘레벽에 복수의 외기 취입구 (62) 가 형성됨과 함께, 유량 조절 장치 (11) 에는 상기 외기 취입구 (62) 와 연통하는 개구 (63) 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송 나선 (13) 의 상면에는, 상기 외기 취입구 (62) 및 개구 (63) 로부터 받아들인 외기를 상기 연삭 정곡부 (3) 내부로 유통시키는 통풍구 (64) 가 형성되어 있다.
(연삭 정곡부)
상기 연삭 정곡부 (3) 는, 주축 (19) 에 장착된 복수의 고리형의 연삭식 정백롤 (26) 과, 그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상호 간에 삽입된 스페이서 (27) 와, 그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을 일체적인 연삭식 정백롤체로 하고, 그 연삭식 정백롤체의 둘레 방향에 약간의 간극을 개재하여 세워 형성된 다공벽부로 이루어지는 제강 철망통 (28) 과, 그 제강 철망통 (28) 의 둘레 방향에 추가로 간극을 개재하여 세워 형성한 제강 커버 (29) 를 구비하고, 상기 제강 철망통 (28) 과 상기 연삭식 정백롤 (26) 사이에 정백실 (30) 을, 상기 제강 철망통 (28) 과 상기 제강 커버 사이에 제강실 (31) 을 각각 형성하여 주요부가 구성된다.
상기 고리형의 연삭식 정백롤 (26) 은 횡단면이 동심원 형상이고, 외주의 표면에 연삭용 지석(砥石)의 지립(砥粒)이 전체 둘레에 매립되어 있다. 연삭식 정백롤 (26) 의 연삭부 (26a) (도 4 참조) 는 아암부 (26b) 를 개재하여 보스부 (26c) 에 연결된다.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상호 간에는 스페이서 (27) 가 삽입되지만, 스페이서 (27) 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부는, 분풍구 (32) 로서 정백실 (30) 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참조).
제강 철망통 (28) 은 세로 균열 형상으로 4 분할로 형성되어 있고 (도 3 참조), 연삭식 정백롤 (26) 의 주위에 세워 형성된 4 개의 지주 (33) 에 의해 제강 철망통의 각 양측 가장자리가 고정된다. 또한, 각 지주 (33) 에 コ 자형의 지주 커버 (34) 를 형성함과 함께, 각 지주 커버 (34) 사이에 호(弧) 형상으로 상기 제강실 커버 (29) 가 장착된다.
상기 각 지주 (33) 의 정백실 (30) 측의 길이 방향에는, 정백실 (30) 의 길이 방향의 공간을 좁히는 저항체 (35) 가 형성된다. 그 저항체 (35) 는 각 지주 (33) 에 장착한 복수의 노브 볼트 (36) 에 의해 외부로부터 출입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곡립 배출부)
상기 정백실 (30) 의 하단에는,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 의해 정곡된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부 (4) 가 배치 형성된다. 그 곡립 배출부 (4) 는, 제강 철망통 (28) 의 일부를 개구하여 형성한 배출구 (37) 와, 그 배출구 (37) 에 접속된 배출 홈통 (38) 과, 그 배출 홈통 (38) 에 가로로 설치한 축 (39) 에 고착된 분동 레버 (40) 와, 그 분동 레버 (40) 의 일단측에 피벗되어 상기 배출구 (37) 를 폐쇄 가능하게 대치한 저항판 (41) 과, 상기 분동 레버 (40) 의 타단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분동 (42) 을 구비하고 있다.
(집강부)
상기 곡립 배출부 (4) 의 하방에는,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서 정백 곡립으로부터 분리된 겨를 집강하는 집강부 (5) 가 배치 형성된다. 그 집강부 (5) 는, 상기 제강실 (31) 하단부와 연통하는 겨 배출통 (43) 과, 그 겨 배출통 (43) 으로부터의 겨를 외부의 겨 흡인팬 (44) 으로 이송하는 겨 배출관 (45)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겨 배출통 (43) 과 상기 겨 배출관 (45) 의 연통부에는, 회전에 의해 제강풍을 발생시키는 팬 (46) 의 기능을 갖는 풀리 (47)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풀리 (47)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부가 되어 상기 주축 (19) 하단에 끼워 장착되는 보스부 (48) 와, V 벨트 (49) 가 장착되는 림부 (50) 와, 상기 보스부 (48) 와 림부 (50) 사이를 연결하고,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있으며 축류팬의 날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아암부 (51a, 51b, 51c, 51d)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풀리 (47) 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날개 형상의 아암부 (51) 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제강풍이 발생해서, 겨는 보스부 (48) 와 림부 (50) 와 아암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부 (65) 를 통과하여, 상기 겨 배출통 (43) 으로부터 겨 배출관 (45) 을 향하여 이동하여 겨 배출이 촉진된다.
상기 풀리 (47) 의 상부에는, 상기 주축 (19) 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베어링부 (52) 가 배치 형성된다. 그 하부 베어링부 (52) 는, 상기 케이싱 (22) 에 고정 형성된 베어링 케이스 (53) 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풀리 (47) 의 회전에 의해 주축 (19) 이 회전 가능해지는 구성이다. 부호 54 는 상기 주축 (19) 에 축착된 곡립 배출롤이며, 그 곡립 배출롤 (54) 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단 형상으로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을 적층하여 연삭 정곡부 (3) 를 형성하게 된다.
(본체 베이스부)
기체 하부의 본체 베이스부 (6) 의 측부에는, 모터 베이스 (55) 가 부설되어 있고, 그 모터 베이스 (55) 에 구동용 모터 (56) 를 고정시킴과 함께, 모터 풀리 (57) 와 상기 풀리 (47) 사이에 V 벨트 (49) 를 연동·연결하여 모터 (56) 의 회전을 주축 (19) 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체 베이스부 (6) 에는, 본체 베이스부 (6) 에 대하여 모터 베이스 (55) 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모터 풀리 (57) 와 풀리 (47) 의 축간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 장치 (58) 가 부설되어 있다.
이동 장치 (58) 는, 모터 베이스 (55) 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를 거는 후크부 (59) 와, 외주에 나사가 잘린 수나사부 (60) 와, 그 수나사부 (60) 와 나사 결합하는 내부 나사를 본체 베이스부 (2) 측에 고정 형성한 암나사부 (61) 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수나사부 (60) 의 선단부 (60a) 를 후크부 (59) 에 고정시키는 한편, 수나사부 (60) 의 머리부 근방을 암나사부 (61) 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모터 풀리 (57) 와 풀리 (47) 사이에 감아 장착된 V 벨트 (49) 의 길이가 바뀌어도, 그 변화에 따른 양만큼 수나사부 (60) 를 회전시키면, 본체 베이스부 (6) 와 모터 베이스 (55) 가 상대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V 벨트 (49) 를 느슨해짐 없이 또한 적당한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체 베이스부 (6) 의 내부에는, 상기 풀리 (47), 모터 풀리 (57) 및 V 벨트 (49) 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겨 배출관 (45) 이 가로로 형성된다.
(작용)
이하,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구동부인 모터 (56) 을 작동시켜 풀리 (47), 주축 (19) 및 연삭식 정백롤 (26) 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개폐 구동부 (16) 에 의해 개폐 밸브 (15) 를 개방하여, 도시되지 않은 원료 탱크 등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공급구 (14) 로부터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낙하한 곡립은, 그 하방에 있는 안내체 (9) 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산되면서 흘러 내려가고, 조정 레버 (25) 에 의해 적당한 공급 유량으로 조정되어 반송 나선 (13) 으로 이송된다.
반송 나선 (13) 에서는, 곡립을 순차적으로 정백실 (30) 로 이송시키고, 정백실 (30) 에서 곡립은 저압력하에서 활발한 유동 작용 (공전이나 자전) 을 받으면서, 연삭식 정백롤 (26) 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곡립의 표면층이 깎이게 된다. 이 때, 주축 (19) 에 축착된 풀리 (47) 는, 그 풀리 (47) 의 복수의 아암부 (51) 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방향으로의 제강풍을 기풍시키는 팬 겸용형 풀리로 되어 있다. 이 팬 겸용형 풀리 (47) 의 작동에 의한 흡인 작용, 및 외부의 겨 흡인팬 (44) 의 작동에 의한 흡인 작용에 의해, 외기 취입구 (62) 로부터 외기가 흡인되어, 개구 (63), 통풍구 (64) 를 통하여 반송 나선 (13) 의 내부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반송 나선 (13) 내부로부터는 연삭식 정백롤 (26) 의 내부를 향하여 외기가 이송되어, 연삭식 정백롤 (26) 의 분풍구 (32) 로부터 정백실 (30) 을 향하여 분풍이 이루어진다. 이 정백실 (30) 에 분풍된 바람에 의해 겨가 제강 철망통 (28) 을 통과하여 제강실 (31) 에 이른다. 제강실 (31) 에 이른 겨는, 팬 겸용형 풀리 (47) 의 회전에 의한 제강풍에 의해 균등하게 흡인되어, 겨 배출관 (45) 측을 향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 때, 팬 겸용형 풀리 (47) 가 축류팬의 날개 형상의 양상이기 때문에, 제강실 전체를 하방을 향하여 균등하게 흡인하여 겨의 배출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팬의 성능은, 회전수, 직경, 팬의 두께나 형상에 따라 결정되고, 회전수가 높으며, 또한 구경이 클수록 풍량이 증가하고, 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흡·배기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팬 겸용형 풀리 (47) 에 있어서는, 설계하기에 따라서는 강력한 제강풍을 기풍시킬 수도 있지만, 정곡기 주변에 진애를 흩뿌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이 600 ㎜ ∼ 800 ㎜, 바람직하게는 710 ㎜ 정도, 회전수는 500 ∼ 700 rpm, 바람직하게는 600 rpm 정도로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해, 미약한 제강풍을 기풍시켜 겨의 배출 촉진에 기여시키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에 의한 정백 작용을 받은 곡립은, 최하단의 연삭식 정백롤 (26) 로부터 곡립 배출롤 (54) 에 이르고, 그 곡립 배출롤 (54) 에 의한 쳐냄 작용을 받으면서 저항판 (41) 에 저항하여 배출구 (37) 및 배출 홈통 (38) 을 거쳐 정백 곡립으로서 기 밖으로부터 취출된다.
다음으로,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겨 배출통 (43) 과 겨 배출관 (45) 의 연통부에 형성되는, 팬 겸용형 풀리 (47) 의 겨 누출 방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풀리 (47) 의 림부 (50) 하부에는 림부의 내주측을 하방으로 돌출시킨 내측 가장자리부 (50a) 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풀리 (47) 의 림부 (50) 상부에는 림부의 외주측을 상방으로 돌출시킨 외측 가장자리부 (47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겨 배출관 (45) 측에는 상기 림부 (50) 의 내측 가장자리부 (50a) 를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외수 플랜지 (45a) 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강실 (31) 측의 상기 겨 배출통 (43) 에는, 상기 림부 (50) 의 외측 가장자리부 (50b) 에 의해 수용되는 내수 플랜지 (4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겨가 겨 배출통 (43) 으로부터 팬 겸용형 풀리 (47) 내에 유입될 때에는, 내수 플랜지 (43a) 가 풀리 (47) 의 외측 가장자리부 (50b) 에 의해 수용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 (47) 가 회전 중이어도, 겨가 풀리 (47) 밖으로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겨가 팬 겸용형 풀리 (47) 로부터 겨 배출관 (45) 내에 유입될 때에는, 풀리 (47) 의 내측 가장자리부 (50a) 가 외수 플랜지 (45a) 에 의해 수용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 (47) 가 회전 중이어도, 겨가 겨 배출관 (45) 밖으로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연삭식 수형 정곡기에 의하면, 제강실과 겨 배출관의 연통부에, 연삭식 정백롤체가 축착된 주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능과, 연삭식 정백롤의 정백 작용에 의해 발생한 겨를 제강실측으로부터 겨 배출관측으로 이송하는 제강풍을 기풍시키는 기능을 갖는 팬 겸용형 풀리가 끼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제강실 하방에 형성한 고리형 집강실 및 고리형 집강실의 바닥면을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긁어냄 날개와 같은 부품이 불필요해지고, 이 결과, 연삭식 수형 정곡기의 상하 방향으로의 기체 치수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팬 겸용형 풀리를 형성함으로써, 구동원으로부터 주축으로 회전이 전달됨과 함께, 제강풍이 기풍되기 때문에, 종래 겨 배출 전용으로 형성하였던 긁어냄 날개가 삭감되어, 설치 스페이스도 불필요해진다는 우수한 작용,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축을 회전시키는 기능과, 주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기풍시키는 기능의 양 기능을 필요로 하는 각종 곡립 조제 기계에 적용할 수 있다.
1 : 연삭식 수형 정곡기
2 : 곡립 공급부
3 : 연삭 정곡부
4 : 곡립 배출부
5 : 집강부
6 : 본체 베이스부
7 : 셔터 기구
8 : 곡립 공급통
9 : 안내체
10 : 상부 베어링부
11 : 유량 조절 장치
12 : 커버체
13 : 반송 나선
14 : 공급구
15 : 개폐 밸브
16 : 개폐 구동부
17 : 베어링 커버
18 : 베어링
19 : 주축
20 : 키
21 : 칼라
22 : 케이싱
23 : 고정판
24 : 회동판
25 : 조절 레버
26 : 연삭식 정백롤
27 : 스페이서
28 : 제강 철망통
29 : 제강 커버
30 : 정백실
31 : 제강실
32 : 분풍구
33 : 지주
34 : 지주 커버
35 : 저항체
36 : 노브 볼트
37 : 배출구
38 : 배출 홈통
39 : 축
40 : 분동 레버
41 : 저항판
42 : 분동
43 : 겨 배출통
44 : 겨 흡인팬
45 : 겨 배출관
46 : 팬
47 : 풀리
48 : 보스부
49 : V 벨트
50 : 림부
51 : 아암부
52 : 하부 베어링
53 : 베어링 케이스
54 : 곡립 배출롤
55 : 모터 베이스
56 : 모터
57 : 모터 풀리
58 : 이동 장치
59 : 후크부
60 : 수나사부
61 : 암나사부
62 : 외기 취입구
63 : 개구
64 : 통풍구
65 : 공간부

Claims (6)

  1. 상하 방향으로 세워 형성된 제강 철망통과, 그 제강 철망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주축과, 그 주축에 다수의 연삭식 정백롤을 축착하여 상기 제강 철망통과의 사이를 정백실에 형성한 일체적인 연삭식 정백롤체와, 상기 제강 철망통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강실과, 그 제강실의 하부에 연통되어 겨를 기 밖으로 배출하는 겨 배출관을 구비하고, 그 겨 배출관의 하류측에 겨 흡인팬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강실과 상기 겨 배출관의 연통부에는, 상기 제강실측으로부터 상기 겨 배출관측을 향한 배강을 촉진하는 제강풍을 기풍시키는 기능과 상기 연삭식 정백롤이 축착된 주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팬 겸용형 풀리를 끼워 장착하여, 그 팬 겸용형 풀리에 의해 상기 제강실측의 겨를 상기 겨 배출관측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겨 흡인팬에 의해 상기 겨 배출관측의 겨를 기 밖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겸용형 풀리는 상기 제강실 전체를 하방에 균등하게 흡인하도록,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가 장착된 주축에 끼워 장착되는 보스부와, 회전 구동용의 전도 벨트가 장착되는 림부와, 상기 보스부와 상기 림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고,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축류팬의 날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 겸용형 풀리의 림부의 하부에는, 그 림부의 내주측을 하방으로 돌출시킨 내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림부의 상부에는, 그 림부의 외주측을 상방으로 돌출시킨 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겨 배출관측에는,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를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도록 외수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강실측에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내측으로 수용되는 내수 플랜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겸용형 풀리는, 직경이 600 ㎜ ∼ 800 ㎜, 회전수가 500 ∼ 700 rpm 의 범위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백실의 일단 측에 연결 형성되는 곡립 공급부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하방에는, 상기 주축을 지지하는 본체 베이스부와 구동원이 되는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베이스를 배치 형성하는 한편, 상기 모터에는 모터 풀리를 축착하고, 상기 모터 풀리와 상기 팬 겸용형 풀리 사이에 전도 벨트를 감아 장착하고, 또한 상기 본체 베이스부에는, 상기 본체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모터 베이스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모터 풀리와 상기 팬 겸용형 풀리의 축간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 장치를 부설해서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1020110093480A 2010-09-17 2011-09-16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101787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9921A JP5656006B2 (ja) 2010-09-17 2010-09-17 研削式竪型精穀機
JPJP-P-2010-209921 2010-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023A KR20120030023A (ko) 2012-03-27
KR101787107B1 true KR101787107B1 (ko) 2017-10-18

Family

ID=4581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480A KR101787107B1 (ko) 2010-09-17 2011-09-16 연삭식 수형 정곡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14400B2 (ko)
JP (1) JP5656006B2 (ko)
KR (1) KR101787107B1 (ko)
CN (1) CN1024071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4192B2 (ja) * 2012-06-04 2017-05-10 株式会社サタケ 精穀機
JP5930395B2 (ja) * 2012-07-17 2016-06-08 株式会社サタケ 低品位玄米の搗精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40103153A1 (en) * 2012-10-17 2014-04-17 Scott Charles Below Grain Mill
CN103615517A (zh) * 2013-11-27 2014-03-05 天津明贤科技有限公司 一种带轮
US9427740B2 (en) 2014-01-21 2016-08-30 Satake Usa, Inc. Vertical top-fed grain mill
JP6238820B2 (ja) * 2014-04-01 2017-11-29 株式会社クボタ 精米機
CN103962196B (zh) * 2014-05-21 2016-03-09 哈尔滨工程大学 稻谷碾白机
CN104815716B (zh) * 2015-04-17 2017-04-12 武汉凯迪工程技术研究总院有限公司 高压磨粉机
JP6548014B2 (ja) * 2015-07-24 2019-07-24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KR101631119B1 (ko) * 2015-07-28 2016-06-16 김윤미 정미 및 정맥 겸용 도정기
CN108495714B (zh) * 2015-12-04 2021-06-25 布勒股份公司 转子、研磨机、抽气壳体和用于研磨机的研磨件
CN106391174B (zh) * 2016-12-19 2018-07-0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动态调压磨削式苦荞麦脱壳机
CN106391173B (zh) * 2016-12-19 2018-07-03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吸气式苦荞麦低压磨削脱壳机
CN107335496B (zh) * 2017-07-27 2019-03-12 苏州蓝碧农产品发展有限公司 一种粮食加工用多级去皮装置
CN107486285B (zh) * 2017-08-29 2019-01-11 盐城大学科技园有限公司 一种新型薏米脱壳机
CN107670748B (zh) * 2017-08-29 2019-06-14 盐城益生园食品有限公司 一种新型薏米剥壳装置
CN107874303A (zh) * 2017-11-06 2018-04-06 刘林琴 一种用于玉米粉碎的饲料机及其使用方法
CN108855301A (zh) * 2018-06-25 2018-11-23 宿松县果山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大米脱壳除尘设备
CN108940407A (zh) * 2018-08-06 2018-12-07 安徽鑫泉米业有限公司 一种精细加工的稻谷脱壳设备
CN110935504A (zh) * 2019-12-18 2020-03-31 黄丽兰 一种农业机械用碾米机
CN111185255B (zh) * 2020-01-15 2021-04-27 福建省祥禾米业有限公司 一种高效低耗智能化碾米装备
DE102021002614A1 (de) 2020-06-05 2021-12-09 Sew-Eurodrive Gmbh & Co Kg Antrieb, insbesondere von einem Elektromtor angetriebenes Getriebe, mit einer Welle
CN112275388A (zh) * 2020-09-27 2021-01-29 高福华 一种小麦加工用磨粉机
CN112547176A (zh) * 2020-12-04 2021-03-26 吴庆艳 一种高效稳定全自动碾米机
CN113058681B (zh) * 2021-04-16 2022-09-30 哈尔滨工程北米科技有限公司 一种留胚米加工方法
CN113617410A (zh) * 2021-07-13 2021-11-09 湖南郴州粮油机械有限公司 脱皮碾削加工设备
CN113769831B (zh) * 2021-09-10 2023-04-07 国药肽谷有限公司 一种防治高脂血症和辅助降血糖的人参肽的生产设备
CN113856793B (zh) * 2021-09-26 2022-07-05 高安市盛发粮油有限公司 一种粮油碾米用的生产设备
CN114367355B (zh) * 2021-12-30 2023-02-24 昌邑天宇药业有限公司 一种医疗药品中间体快速研磨筛选一体机设备
CN114433274B (zh) * 2022-01-22 2023-03-31 河南工业大学 一种谷物柔性脱皮机
CN114733592B (zh) * 2022-03-08 2024-02-23 山西晋北藜麦开发有限公司 一种谷物去壳除杂机
CN114588958B (zh) * 2022-03-16 2023-05-05 河北泥河湾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小米加工用碾米机及小米加工工艺
CN115155766A (zh) * 2022-06-29 2022-10-11 贵州关岭花江高扬牛肉干有限责任公司 一种薯类加工设备
CN115475674B (zh) * 2022-10-20 2023-07-07 鱼台县三高机械有限公司 一种碾米机的压力自动调节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976A (ja) * 1998-12-17 2000-06-27 Niigata Eng Co Ltd 電動射出成形機のモータ軸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0556U (ko) * 1977-12-09 1979-06-27
JPS5490556A (en) 1977-12-28 1979-07-18 Nippon Fine Chemical Co Ultraaprecision film resistor
JPS5588645U (ko) * 1978-12-18 1980-06-19
JPS5588645A (en) 1978-12-27 1980-07-04 Yamashita Fishing Tackles Production of simulated bait
CN2055742U (zh) 1989-06-02 1990-04-11 山东省荣成市粮油机械厂 小麦脱皮机
US5048407A (en) 1989-11-07 1991-09-17 Salete Garces Felipe Grain husking and polishing machine
JP2574044B2 (ja) * 1989-12-04 1997-01-22 株式会社クボタ 精穀機
JPH03201496A (ja) 1989-12-28 1991-09-03 Tama Electric Co Ltd チップ部品
JP3106444B2 (ja) * 1992-06-16 2000-11-06 株式会社佐竹製作所 竪型精穀機
JP3201496B2 (ja) 1993-03-23 2001-08-20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米機
JPH0775741A (ja) * 1993-09-07 1995-03-20 Satake Eng Co Ltd 研削式竪型精穀機の除糠用多孔性筒状体
JPH07136527A (ja) * 1993-11-17 1995-05-30 Satake Eng Co Ltd 籾摺精米装置
CA2137636A1 (en) 1993-12-22 1995-06-23 Manilal Dahanayake Surfactant compositions characterized by improved foam height
JPH07227550A (ja) * 1994-02-17 1995-08-29 Satake Eng Co Ltd 研削式竪型精穀機
AU660879B1 (en) * 1994-08-22 1995-07-06 Satake Corporation Vertical milling machine
PH31195A (en) * 1995-05-08 1998-04-24 Satake Eng Co Ltd Abrasive type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JP3249716B2 (ja) * 1995-06-09 2002-01-21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縦型摩擦式精米装置
CN2584888Y (zh) 2002-10-30 2003-11-05 江伟君 一种金属风叶轮
JP2006205137A (ja) * 2005-01-31 2006-08-10 Iseki & Co Ltd 無洗米製造装置の研磨体
JP4481269B2 (ja) 2006-03-31 2010-06-16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研削精米機
CN100430142C (zh) 2006-12-15 2008-11-05 肖崇业 一种有序化碾米加工方法及有序化加工碾米机
CN101780424A (zh) 2010-03-05 2010-07-21 李海焦 双层谷物脱皮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976A (ja) * 1998-12-17 2000-06-27 Niigata Eng Co Ltd 電動射出成形機のモータ軸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4400B2 (en) 2015-08-25
CN102407174A (zh) 2012-04-11
JP2012061453A (ja) 2012-03-29
JP5656006B2 (ja) 2015-01-21
CN102407174B (zh) 2015-09-09
KR20120030023A (ko) 2012-03-27
US20120067990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107B1 (ko) 연삭식 수형 정곡기
CN107497685A (zh) 一种茶叶烘干筛分一体机
KR0156619B1 (ko) 연마형 수직 곡물 제분기
CN210187229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磨米装置
US5419252A (en) Vertical milling machine
CN206658544U (zh) 钉齿纹杆组合式锥形滚筒脱粒装置
CN207463634U (zh) 一种茶叶烘干筛分一体机
CN106818071A (zh) 钉齿纹杆组合式锥形滚筒脱粒装置
CN208879088U (zh) 风选式筛粉机
TW202023686A (zh) 研磨式縱型碾穀機
CN107597546B (zh) 一种微细矿物高效分级装置
CN210632462U (zh) 一种新型比重式风选器
CN111906031A (zh) 一种稻谷除糠装置
AT503390A1 (de) Vorrichtung zur trocknung nassen schüttfähigen gutes, vorzugsweise von kunststoffteilchen
CN209188905U (zh) 一种餐厨垃圾破碎、筛分、风选一体机
CN219572523U (zh) 一种下料速度可调节的干燥装置
CN209519814U (zh) 一种稻谷自动脱壳机
CN219674739U (zh) 一种机制砂生产用烘干设备
CN220803416U (zh) 一种研磨脱皮设备
CN219663772U (zh) 一种吸风分离器
CN221062826U (zh) 一种大米加工用碾米机
JP3399487B2 (ja) 竪型精穀機
JPH0650665A (ja) 穀物乾燥機
CN220571048U (zh) 一种制种玉米机械脱粒装置
CN113894041B (zh) 一种机制砂风选设备及可控式风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