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270B1 -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 Google Patents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270B1
KR101776270B1 KR1020150117728A KR20150117728A KR101776270B1 KR 101776270 B1 KR101776270 B1 KR 101776270B1 KR 1020150117728 A KR1020150117728 A KR 1020150117728A KR 20150117728 A KR20150117728 A KR 20150117728A KR 101776270 B1 KR101776270 B1 KR 10177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ug
balance hoist
hoist
air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582A (ko
Inventor
조홍식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젬텍
(주)지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젬텍, (주)지닉스 filed Critical (주)젬텍
Priority to KR102015011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2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런웨이 레일;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압 저장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어느 한 측 벽면의 중앙에는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플러그가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플러그의 양측으로는 가이드샤프트가 각각 돌출되어 이루어진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상기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와는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에어플러그가 수용되는 플러그 안내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이 플러그 안내홈 내에는 상기 에어플러그와 연결되면서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연통되는 에어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 안내홈의 양측으로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각 가이드샤프트가 수용되는 샤프트 안내홈이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도킹블럭; 상기 에어소켓에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조작하는 에어주입용 조작버튼이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와 도킹부 간의 도킹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인 도킹 상태가 유지되며, 고압 에어의 배출 혹은, 충전이 완료될 경우 원활한 도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walking training apparatus is based on a roof rail}
본 발명은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와 도킹부 간의 도킹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인 도킹 상태가 유지되며, 고압 에어의 배출 혹은, 충전이 완료될 경우 원활한 도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해나 질환과 같은 각종 장애로 인해 스스로 보행이 불편하게 된 환자는 규칙적인 재활 운동을 통해 점차 장애 이전의 건강상태로 재활시켜 스스로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행 장애시의 재활은 해당 환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로부터 환자의 체중을 스스로 지탱할 수 있을 정도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수행하여야만 한다.
특히, 최근에는 천장을 따라 다양한 궤적을 이루는 런웨이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런웨이 레일에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는 환자가 착용한 벨트에 연결시켜 다수의 환자가 궤적을 이루며 동시에 보행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즉, 설정된 중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보행재활장치에 적용하고, 이러한 보행재활장치는 천장에 설치된 런웨이 레일에 연결하여 상기 환자가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돌면서 보행 재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528638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행 재활이 가능하도록 하여 런웨이 레일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함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는 도킹부에의 도킹시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통부가 연결관에 정확히 일치되지 못하여 원활히 결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경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임을 고려할 때 그 이동 방향과는 수직한 양측 부위가 상하로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연통부와 연결관 간의 결합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특히, 상기 연결관의 경우 외부로 노출된 구조임과 더불어 상기 연결관과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서로 정확히 도킹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힘이 필요로 함에 따라 도킹을 위한 조작시 빠른 속도로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연결관이 연통부의 수용홈 내로 정확히 수용되지 못하고 상기 연통부의 벽면에 부딪혀 손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되었다.
등록특허 제10-152863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와 도킹부 간의 도킹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인 도킹 상태가 유지되며, 고압 에어의 배출 혹은, 충전이 완료될 경우 원활한 도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런웨이 레일;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압 저장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어느 한 측 벽면의 중앙에는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플러그가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플러그의 양측으로는 가이드샤프트가 각각 돌출되어 이루어진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상기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와는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에어플러그가 수용되는 플러그 안내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이 플러그 안내홈 내에는 상기 에어플러그와 연결되면서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연통되는 에어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 안내홈의 양측으로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각 가이드샤프트가 수용되는 샤프트 안내홈이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도킹블럭; 상기 에어소켓에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조작하는 에어주입용 조작버튼이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각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에어플러그의 길이에 비해 더욱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샤프트의 끝단 부위는 그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도킹블럭의 각 샤프트 안내홈은 그의 입구측 부위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킹블럭의 어느 한 외면에는 상기 플러그 안내홈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안내홈 내부 중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관통공의 관통 방향으로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링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브라켓 혹은, 상기 도킹블럭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관통공 내로 플런저가 관통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락킹링을 가압하는 락킹해제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락킹해제부의 동작을 위한 언락스위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에어플러그의 둘레면에는 상기 에어플러그가 상기 에어소켓에 연결될 경우 상기 락킹링이 걸리면서 구속되도록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플러그 및 에어소켓 내부에는 상기 에어플러그 및 에어소켓 서로의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관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고압 에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락킹블럭에 락킹시키는 과정에서 두 가이드 샤프트 및 샤프트 안내홈의 구조에 의해 에어밸런스부의 좌우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에어플러그와 에어소켓 간의 연결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상기한 두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에어플러그에 비해 더욱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에어플러그가 락킹블럭의 플러그 안내홈 내로 정확히 수용되지 않더라도 상기 에어플러그가 락킹블럭에 부딪힘이 방지되어 상기 에어플러그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플러그와 에어소켓 내에 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의 분리시 에어플러그 혹은, 에어소켓을 통한 고압 에어의 배출됨이 차단됨으로써 에어밸런스 호이스트가 급격히 튕겨져 나감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비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비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도킹 및 락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비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비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의 도킹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크게 런웨이 레일(100)과,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와, 도킹블럭(300)과, 조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특히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와 도킹블럭(300)의 도킹 동작시 가이드샤프트(250) 및 샤프트 안내홈(340)에 의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의 에어플러그(240)가 도킹블럭(300)의 에어소켓(310)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런웨이 레일(100)은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구조물이다.
상기한 런웨이 레일(100)은 좁은 공간 내에서 여러 환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트랙형으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환자를 설정 하중만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기기로써, 에어밸런스부(210)와, 이동부(220)와, 인양와이어(230) 및 에어배출용노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밸런스부(210)는 내부에 공기압 저장공간(도시는 생략됨)을 갖는 실린더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에어밸런스부(210)의 각 벽면 중 이동 방향측 벽면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플러그(250)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양측으로는 가이드샤프트(260)가 각각 돌출되게 구비된다.
특히, 상기 각 가이드샤프트(260)는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길이에 비해 더욱 길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해당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도킹블럭(300)에 도킹하는 과정에서 에어플러그(250)가 도킹블럭(300)에 부딪혀 손상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도킹블럭(300)에 도킹하는 과정에서 각 가이드샤프트(260)가 후술될 도킹블럭(300)의 샤프트 안내홈(340)에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에어플러그(250)가 도킹블럭(300)에 부딪히지 않고 각 가이드샤프트(260)가 도킹블럭(300)에 부딪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이 각 가이드샤프트(260)를 에어플러그(250)의 양측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상기 에어플러그(250)가 도킹블럭(300)의 에어소켓(3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 혹은, 우측으로의 기울어짐이나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220)는 상기 에어밸런스부(210)를 상기 런웨이 레일(100)에 설치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이동부(220)의 상단은 상기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에어밸런스부(2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와이어(230)는 상기 에어밸런스부(210)와 연동하면서 환자가 착용하는 벨트(231)를 선택적으로 인양하는 와이어로써, 일측 끝단은 상기 에어밸런스부(210)를 이루는 피스톤 로드(도시는 생략됨)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환자가 착용하는 벨트(2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배출용노즐(240)은 동작와이어(241)의 당김 조작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부(210) 내의 공기압 저장공간에 저장된 고압 공기를 배출하는 노즐로써, 상기 에어밸런스부(210)의 저면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킹블럭(300)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지정된 장소로 이동되어 도킹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 내의 공기압 저장공간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에어소켓(310)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도킹블럭(300)은 설치브라켓(320)에 의해 실내의 천장 중 특정 부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320)은 실내의 천장 중 상기 런웨이 레일(100)의 어느 한 끝단측 부위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면서 그 일부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가로막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도킹블럭(300)은 상기 설치브라켓(320) 중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와의 대향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킹블럭(300) 중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와의 대향면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의 에어플러그(250)가 수용되는 플러그 안내홈(330)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이 플러그 안내홈(330) 내에는 상기 에어플러그(250)와 연결되면서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연통되는 에어소켓(310)이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 안내홈(330)의 양측으로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의 각 가이드샤프트(260)가 수용되는 샤프트 안내홈(340)이 각각 요입 형성된다.
특히,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이루는 각 가이드샤프트(260)의 끝단 부위는 그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도킹블럭(200)의 각 샤프트 안내홈(340)은 그의 입구측 부위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도킹블럭(300)에 도킹되는 과정에서 각 가이드샤프트(260)의 끝단 위치가 각 샤프트 안내홈(340)과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도킹이 진행될수록 각 가이드샤프트(260)와 각 샤프트 안내홈(340)이 서로 일치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의 에어플러그(250)가 도킹블럭(300)의 에어소켓(310)에 정확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플러그(250) 및 에어소켓(310) 내부에 상기 에어플러그(250) 및 에어소켓(310) 서로의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관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도시는 생략됨)가 각각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구조는 상기 에어플러그(250)와 에어소켓(310) 간의 연결 해제시 급격한 고압 에어의 누설로 인해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순간적으로 튕겨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400)는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도킹블럭(300)에 도킹될 경우 상기 도킹블럭(300)의 에어소켓(310)을 통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로의 고압에어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원격지에서 조작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조작부(40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부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조작부(400)가 어느 한 기둥(혹은, 벽면)에 설치됨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400)에는 상기 에어소켓(310)에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조작하는 에어주입용 조작버튼(410)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400)에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 내로 충전되는 고압에어의 충전량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게이지(420)가 더 포함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압력게이지(420)를 확인하면서 상기 에어주입용 조작버튼(41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 내로의 고압 에어에 대한 충전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킹블럭(300)의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 안내홈(330)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관통공(350)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안내홈(330) 내부 중 상기 관통공(350)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관통공(350)의 관통 방향으로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링(510)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브라켓(320) 혹은, 상기 도킹블럭(300)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관통공(350) 내로 플런저(521)가 관통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락킹링(510)을 가압하는 락킹해제부(520)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400)에는 상기 락킹해제부(520)의 동작을 위한 언락스위치(4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둘레면에는 상기 에어플러그(250)가 상기 에어소켓(310)에 연결될 경우 상기 락킹링(510)이 걸리면서 구속되도록 걸림홈(251)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락킹해제부(520)는 통상의 에어실린더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락킹링(510) 및 락킹해제부(520)의 추가 설치를 통해 에어플러그(250)와 에어소켓(310) 간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에어플러그(250)를 에어소켓(31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격지에서의 버튼 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락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를 이용한 보행재활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보행재활장치를 이용한 보행재활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도킹블럭(300)이 위치된 부위로 이동시킨 후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의 에어플러그(250)를 상기 도킹블럭(300)의 에어소켓(310)에 연결시킨다.
상기한 에어플러그(250) 및 에어소켓(310) 간의 연결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상기 도킹블럭(300)에 도킹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로부터 돌출된 두 가이드샤프트(260)는 상기 도킹블럭(300)에 형성된 두 샤프트 안내홈(340) 내로 안내되어 삽입되면서 상기 에어플러그(250)가 상기 에어소켓(310)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도킹블럭(300)에 도킹되어 에어플러그(250)와 에어소켓(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락킹링(510)이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걸림홈(251)에 걸려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에어플러그(250)와 에어소켓(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양와이어(230)에 연결된 벨트(231)를 착용한 상태로 에어주입용 조작버튼(410)을 조작한다.
이러한 에어주입용 조작버튼(410)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210) 내의 공기압 저장공간으로 고압 에어가 주입되며, 이렇게 주입된 고압 에어로 인해 인양와이어(230)의 인양이 이루어지면서 해당 사용자의 체중을 고려한 부하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압력게이지(420)를 통해 적정 압력에 이르도록 고압 에어를 주입하며, 만일 고압 에어가 과도하게 주입되었을 경우에는 동작와이어(241)의 당김 조작함으로써 에어배출용노즐(240)을 통해 에어밸런스부(210) 내의 공기압 저장공간에 충전된 고압 에어의 일부를 배출시킴으로써 적정 부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인양와이어(230)의 승강 높이에 대한 조절이 완료되면 언락스위치(430)를 조작하여 락킹해제부(520)를 동작시켜 에어플러그(25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한다. 즉, 락킹해제부(520)의 동작에 의해 락킹링(510)의 하향 가압이 이루어지면서 에어플러그(250)의 걸림홈(251)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로써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로써,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는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락킹블럭(300)으로부터 분리된다. 특히,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락킹블럭(30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는 에어플러그(250) 및 에어소켓(310) 내에 구비된 체크밸브(도시는 생략됨)가 그 관로를 폐쇄함으로써 고압 에어의 영향에 의해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락킹블럭(300)으로부터 급격히 튕겨져 나가는 현상은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는 계속적인 에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에어밸런스부(210)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부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해당 환자는 런웨이 레일(10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보행 재활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된 보행재활 치료 도중 해당 환자가 힘에 겨워함에 따른 휴식을 취하거나 혹은, 재활 치료가 완료될 경우 환자(혹은, 보호자)는 동작와이어(241)의 당김 조작으로 에어밸런스부(210) 내의 공기압이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동작와이어(241)의 당김조작에 의해 에어배출용노즐(240)이 개방되면서 에어밸런스(210)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고압 에어가 상기 에어배출용노즐(240)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해당 환자는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되고, 벨트(231)와 인양와이어(230) 간의 연결 해제가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호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이루는 에어밸런스부(210)의 공기압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고압 에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호스의 사용을 생략함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락킹블럭(300)에 락킹시키는 과정에서 두 가이드 샤프트(260) 및 샤프트 안내홈(340)의 구조에 의해 에어밸런스부(210)의 좌우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에어플러그(250)와 에어소켓(310) 간의 연결이 정확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두 가이드 샤프트(260)는 상기 에어플러그(250)에 비해 더욱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에어플러그(250)가 락킹블럭(300)의 플러그 안내홈(330) 내로 정확히 수용되지 않더라도 상기 에어플러그(250)가 락킹블럭(300)에 부딪힘이 방지되어 상기 에어플러그(250)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는 에어플러그(250)와 에어소켓(310) 내에 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의 분리시 에어플러그(250) 혹은, 에어소켓(310)을 통한 고압 에어의 배출됨이 차단됨으로써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급격히 튕겨져 나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에어소켓(310) 내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의 경우 미세한 동작 지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락킹블럭(3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락킹블럭(300)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를 락킹블럭(3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에어소켓(310)을 통한 소량의 고압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200)가 락킹블럭(300)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100. 런웨이 레일 200.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210. 에어밸런스부 220. 이동부
230. 인양와이어 231. 벨트
240. 에어배출용노즐 241. 동작와이어
250. 에어플러그 251. 걸림홈
260. 가이드샤프트 300. 도킹블럭
310. 에어소켓 320. 설치브라켓
330. 플러그 안내홈 340. 샤프트 안내홈
350. 관통공 400. 조작부
410. 에어주입용 조작버튼 420. 압력게이지
430. 언락스위치 510. 락킹링
520. 락킹해재부 521. 플런저

Claims (5)

  1.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실내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런웨이 레일;
    상기 런웨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압 저장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어느 한 측 벽면의 중앙에는 상기 공기압 저장공간과 연통되면서 고압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플러그가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플러그의 양측으로는 가이드샤프트가 각각 돌출되어 이루어진 에어밸런스 호이스트;
    실내의 천장 중 상기 런웨이 레일의 어느 한 끝단측 부위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면서 그 일부가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를 가로막도록 이루어지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 중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와의 대향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와는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에어플러그가 수용되는 플러그 안내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이 플러그 안내홈 내에는 상기 에어플러그와 연결되면서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연통되는 에어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 안내홈의 양측으로는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각 가이드샤프트가 수용되는 샤프트 안내홈이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도킹블럭;
    상기 에어소켓에 고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조작하는 에어주입용 조작버튼이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블럭의 어느 한 외면에는 상기 플러그 안내홈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안내홈 내부 중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관통공의 관통 방향으로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링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브라켓 혹은, 상기 도킹블럭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관통공 내로 플런저가 관통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락킹링을 가압하는 락킹해제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락킹해제부의 동작을 위한 언락스위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에어플러그의 둘레면에는 상기 에어플러그가 상기 에어소켓에 연결될 경우 상기 락킹링이 걸리면서 구속되도록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밸런스 호이스트의 각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에어플러그의 길이에 비해 더욱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샤프트의 끝단 부위는 그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도킹블럭의 각 샤프트 안내홈은 그의 입구측 부위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플러그 및 에어소켓 내부에는 상기 에어플러그 및 에어소켓 서로의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관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KR1020150117728A 2015-08-21 2015-08-21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KR101776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28A KR101776270B1 (ko) 2015-08-21 2015-08-21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28A KR101776270B1 (ko) 2015-08-21 2015-08-21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82A KR20170022582A (ko) 2017-03-02
KR101776270B1 true KR101776270B1 (ko) 2017-09-19

Family

ID=5842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728A KR101776270B1 (ko) 2015-08-21 2015-08-21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67B1 (ko) * 2019-04-25 2020-10-20 (주)젬텍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477B2 (ja) * 1995-10-24 2005-08-03 日東工器株式会社 複数の配管継手の接続装置
JP2014074435A (ja) 2012-10-03 2014-04-24 Fujitsu Semiconductor Ltd 継手及び配管システム
KR101528638B1 (ko) * 2013-07-19 2015-06-17 (주)지닉스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477B2 (ja) * 1995-10-24 2005-08-03 日東工器株式会社 複数の配管継手の接続装置
JP2014074435A (ja) 2012-10-03 2014-04-24 Fujitsu Semiconductor Ltd 継手及び配管システム
KR101528638B1 (ko) * 2013-07-19 2015-06-17 (주)지닉스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82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270B1 (ko)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CN107583211A (zh) 一种高层建筑救援装置
CN106964133A (zh) 一种模拟登山的体育锻炼设备
EP1832315B8 (de) Sicherungseinrichtung und Kletteranlage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CN107308628A (zh) 一种模拟攀岩的锻炼设备
CN106801696B (zh) 一种固定器
KR101528638B1 (ko)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KR101047981B1 (ko) 헬스 기구
CN104818915B (zh) 舱门致动设备和包括其的塔结构及包括它们的风力涡轮机
US20130146313A1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rotating lever release mechanism
US8776820B2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collet sleeve release mechanism
CN110279563A (zh) 一种防跌助行器
CN111594028A (zh) 防坠落基坑逃生梯
CN205235236U (zh) 伸缩套管、伸缩消防设备和消防车
KR101810398B1 (ko)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KR101614203B1 (ko) 건축용 내부 인양기
KR101496855B1 (ko) 소화기
KR100963121B1 (ko) 가압식 소화기 작동장치
CN206444103U (zh) 一种管式锁板攀登器
CN106422216A (zh) 一种管式锁板攀登器
KR102483933B1 (ko)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KR100544329B1 (ko) 캡슐형 비상탈출장치
US20060225953A1 (en) Safety escape chute apparatus
EP3677315A1 (en) Lifeli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