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537B1 - Cigarette filter - Google Patents

Cigarette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537B1
KR101748537B1 KR1020167004074A KR20167004074A KR101748537B1 KR 101748537 B1 KR101748537 B1 KR 101748537B1 KR 1020167004074 A KR1020167004074 A KR 1020167004074A KR 20167004074 A KR20167004074 A KR 20167004074A KR 101748537 B1 KR101748537 B1 KR 10174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uter peripheral
tobacco
cigarette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1936A (en
Inventor
료코 오기
미치히사 니이나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9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7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썬 담배를 권취지로 권취한 담배 로드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담배용 필터로서, 필터의 흡입구단에 배치되는 여재과 여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그 여재를 권취하는 권취지를 구비하고, 권취지는 여재을 덮는 피복면이 착색되어 있으며, 필터의 흡입구단 중의, 권취지에서의 피복면의 필터 횡단면 내측에 형성되는 광투과부를 더 구비한다.A filter for cigarette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cigarette rod wound with a cigarette as a take-up reed, through a chip paper. The cigarette filter comprises a filter material disposed at a suction end of the filter and a winding paper for winding the filter material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filter transverse section of the cover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in the suction port of the filter.

Description

담배용 필터{CIGARETTE FILTER}{CIGARETTE FILTER}

본 발명은 담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for tobacco.

담배의 흡입구 측에 필터가 마련된 필터 담배가 널리 알려져 있다. 필터 담배는, 썬 담배가 권지(卷紙)에 의하여 권취된 담배 로드(권부)의 일단에 칩 페이퍼를 통해서 필터가 접속되고 있다. 이러한 담배용 필터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섬유 다발 등의 여재(濾材)를 귄취지로 감싸는 것으로 형성되고 있다. A filter cigarette having a filter on the suction port side of a cigarette is widely known. In the filter cigarette, a filt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cigarette rod (a winding section) wound with a wrapping paper through a chip paper. Such a cigarette filter is formed by wrapping a filter material (filter medium) such as an acetate fiber bundle, for example, with a netting.

최근, 의장성이 우수한 담배용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청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필터의 여재와 권취지(플러그 랩)를 접착하는 접착제에 천연 착색된 향미제(香味劑)를 함유시킴으로써, 필터 단면에 특징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BACKGROUND ART [0002] Recently, a technique for providing a cigarette filter having excellent design characteristics has been demanded. In this connection, there has also been proposed a technique of providing a characteristic appearance on a filter cross section by containing a naturally colored flavor agent in an adhesive agent for adhering a filter medium to a winding paper (plug wrap) (for example, ,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국제 공개 제2009/080604호Patent Document 1: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9/080604

그러나, 종래의 필터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은 아직 개량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런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보다도 의장성이 우수한 담배용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he technique for improving the design of the conventional filter.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for tobacco which is more excellent in design tha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담배용 필터는, 썬 담배를 권지로 권취한 담배 로드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담배용 필터로서,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 배치되는 여재(濾材)와, 상기 여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그 여재를 권취하는 권취지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지는, 상기 여재를 덮는 피복면이 착색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 중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의 필터 횡단면 내측에 형성되는 광 투과부를 더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following mean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is, the cigarett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garette filter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cigarette rod wound with a cigarette wrapped with a wrapper, through a chip paper. The cigarette filter includes a filter material (filter material) disposed at a suction end of the filter, Wherein the winding surface covering the filter medium is colored and formed in the suction tube end of the filter inside the filter cross section of the cover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여기에서, 물체의 색이 보이는 원리로서, 물체로부터 반사된 가시광이 인간의 눈에 들어오면, 눈이 광의 강약과 파장의 차이를 자극하여 느끼고, 뇌가 작용하는 것에 의해 「색」이 인식된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된 권취지의 피복면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을 광투과부에 투과시키고, 필터의 흡입구단으로부터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처럼, 착색된 권취지의 피복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광투과부를 통해서 흡연자의 눈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착색된 피복면의 색을 흡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담배용 필터의 의장성을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비교하여, 의장성이 우수한 담배용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Here, as a principle in which the color of an object is seen, when visible light reflected from an object enters the human eye, the eye sen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nsity and wavelength of the light and senses the " color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of the colored reed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emitted outside from the suction end of the filter. Thus, the color of the coated surface can be recognized by the smoker by allow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oated surface of the colored wound paper to reach the eyes of the smoker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s a result, the designability of the filter for cigarette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ter for cigarettes excellent in designability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여기에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여재의 외주 영역을 형성하는 섬유끼리의 간격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재을 구성하는 섬유 간에 형성되는 간격을 광투과부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착색된 권취지에서의 피복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흡연자의 눈에 적절하게 도달시킬 수 있어, 피복면의 색을 흡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Her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terval between the fibers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region of the filter material at the suction end of the filter.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ach the smoker's eyes with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oated surface in the colored wound paper so that the color of the coated surface can be recognized by the smoker by making the interval formed betwee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lter material function a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또한, 상기와 같이, 여재를 구성하는 섬유간에 형성되는 간격을 광투과부로서 기능시키는 경우, 상기 여재의 외주 영역에서의 섬유층 밀도는, 그 외주 영역보다도 여재 중심축 측에 위치하는 내주 영역의 섬유층 밀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게해도 된다. 이처럼, 여재의 외주 영역에서의 섬유층 밀도를 작게하는 것에 의해, 권취지의 피복면에서 반사된 가시광이, 여재을 구성하는 섬유간에 형성되는 간격을 투과할 때의 투과율을 적절하게 높일 수 있어, 착색된 피복면의 색을 양호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gap formed betwee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lter medium functions a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the density of the fiber layer in the outer peripheral region of the filter medium is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fiber layer in the inner peripheral region located on the filter medium center axis side It may be relatively small. By reducing the density of the fiber layer in the outer peripheral region of the filter medium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ance when the visible light reflected from the coat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passes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lter medium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The color of the coated surface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good condition.

또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과 상기 여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처럼, 권취지의 피복면과 여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부를 광투과부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착색된 권취지에서의 피복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흡연자의 눈에 적절하게 도달시킬 수 있어, 피복면의 색을 흡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terval portion formed between the coated surface of the wound pap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at the suction end of the filter. Thus, by functioning a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between the cover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oated surface of the colored wound paper can be properly reached to the eyes of the smoker, Can be recognized by the smoker.

여기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은, 상기 여재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서 여재의 외주면과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과 상기 여재의 외주면이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권취지의 피복면과 여재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부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coat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is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material, and the gap portion is formed in the suction end of the filter so that the cover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Or may be formed as a non-adhesive region which is not bonded. This makes it possible to appropriately form an interval portion between the cover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또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과 상기 여재의 외주면을 접착하는 접착제는, 상기 필터의 길이축 방향을 따라서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미도포 영역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흡입구단의 전체 외주에 걸쳐 상기 간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필터의 흡입구단의 전체 원주에 걸쳐서 광투과부를 환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색된 권취지의 피복면 색의 시인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필터의 의장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Further, the adhesive for bonding the coat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is appli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filter, and is formed as an uncoated region in which the adhesive is not applied to the suction tip of the filter , The gap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mouth. According to thi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can be formed annular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mouth end of the filter. As a result, the visibility of the color of the coated surface of the colored wound paper can be further enhanced, and the design of the filter can be further enhanced.

또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에 적층된 투명 피막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권취지의 피복면과 여재의 외주면 사이에 투명 피막층을 개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간격부를 마련하는 경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투명 피막층에 의하여, 가시광이 권취지의 피복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로써, 흡연자가 필터의 흡입구단을 바라볼 때에, 권취지의 피복면에서 반사한 가시광을 흡연자의 눈에 양호하게 도달시킬 수 있어, 착색된 권취지에서의 피복면의 색을 흡연자에 적절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coating layer laminated on the coat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at the suction end of the filter. According to this, since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coat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the same effect as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spacing portion is obtained. That is, by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the visible light can transmit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of the reel. As a result, when the smoker looks at the suction mouth of the filter,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of the wound paper can reach the smoker's eyes well, and the color of the coated surface in the colored wound paper is recognized .

또한, 상기 권취지는, 상기 피복면에 인쇄 잉크를 인쇄하는 것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담배의 제조 공정에서, 핸들링시에 잉크가 탈락하거나, 흡연시에 흡연자의 타액 등에 의해서 잉크가 용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wound paper may be colored by printing ink on the coated surface. According to thi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cigarette, ink can be prevented from dropping out during handling, and ink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by the saliva of the smoker when smoking.

또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ployed in combination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도 의장성이 우수한 담배용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ter for tobacco which is more excellent in design than the conventional filter.

[도 1] 실시 형태 1의 담배의 측면도이다.
[도 2] 실시 형태 1의 담배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실시 형태 1의 플러그 랩 및 필터 세그먼트의 접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실시 형태 1의 필터 세그먼트를 플러그 랩으로 권취한 상태의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제1 변형예의 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제1 변형예의 필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제2 변형예의 필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실시 형태 2의 필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a cigarett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igarett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nding state of the plug wraps and the filter segments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4 is a view showing a filter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seg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wound around a plug wrap.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of the first modification;
6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8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lter of Embodiment 2. FIG.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담배용 필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들만으로 한정한다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filter for cigar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imensions, materials, shapes, relative positions, and the lik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m, unless otherwise specified.

<실시 형태 1> &Lt; Embodiment 1 >

도 1은, 실시 형태 1의 담배(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담배(1)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담배(1)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담배(1)는, 담배 로드(2)와, 이 담배 로드(2)의 일단에 칩지(칩 페이퍼)(3)를 통해서 접속된 필터(4)를 가지고 있다. 담배 로드(2)는, 썬 담배(21)를 권지(22)로 권취한 것으로, 원주상(봉 형상)으로 성형되고 있다. 담배 로드(2)는, 「단권부」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필터(4)도,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주상(봉 형상)으로 성형되고 있다. 도 1의 화살표 A는, 담배(1){담배 로드(2), 필터(4)}의 길이축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담배(1){담배 로드(2), 필터(4)}의 길이축에 직교하는 단면을, 아래에서는 「횡단면」이라고 부른다.1 is a side view of a cigarett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cigarette 1 of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garette 1. Fig. The cigarette 1 has a tobacco rod 2 and a filter 4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obacco rod 2 via a chip paper (chip paper) 3. The tobacco rod 2 is formed by winding a sun cigarette 21 with a wrapper 22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rod shape). The tobacco rod 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quot; single-piece portion &quot;. The filter 4 is also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bar shape) as shown in Fig. An arrow A in Fig. 1 indicat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1 (the tobacco rod 2, the filter 4). Hereinafter,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igarette 1 (the tobacco rod 2, the filter 4) will be referred to as &quot; cross section &quot; below.

필터(4)는, 담배(1)의 흡연시에 발생하는 주류연(主流煙)에 포함되는 연기 성분을 여과하기 위한 부재이다. 아래, 필터(4) 중에서, 담배 로드(2)와 접속되는측의 단부를 「접속단」이라고 부르며, 이 접속단과는 반대 측의 단부를 「흡입구단(40)」이라고 부른다. 필터(4)의 흡입구단(40)은, 흡연시에 흡연자에 의해서 물려지는 측의 단부이다.The filter (4) is a member for filtering a smoke component contained in mainstream smoke generated during smoking of the cigarette (1). The end of the filter 4 connected to the tobacco rod 2 is referred to as a "connection end" and the end opposite to the connection end is referred to as a "suction mouth end 40". The suction mouth 40 of the filter 4 is an end of the side where the smoker smiles during smoking.

필터(4)는, 여재(여과재)인 필터 세그먼트(41)와, 이 필터 세그먼트(41)를 권취하는 권취지로서의 플러그 랩(42)을 포함한다. 필터 세그먼트(41)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원주상으로 성형한 섬유 다발이다. 플러그 랩(42)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필터(4)의 흡입구단(40)에서, 플러그 랩(42)의 단면과 필터 세그먼트(41)의 단면의 위치는 맞추어져 있다.The filter 4 includes a filter segment 41 which is a filter material and a plug wrap 42 as a reel for winding the filter segment 41. The filter segment 41 is, for example, a fiber bundle formed by molding cellulose acetate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plug wrap 42 has air permeability. As shown in Fig. 2, at the suction end 40 of the filter 4, the end face of the plug wrap 42 and the end face of the filter segment 41 are aligned.

담배 로드(2) 및 필터(4)는, 칩지(3)에 의해 권취되어 일체로 접속되고 있다. 칩지(3)는, 필터(4)의 플러그 랩(42)의 외주 전체를 덮고 있으며, 또한, 담배 로드(2)의 권지(22)의 단부 측을 덮도록 하여, 플러그 랩(42) 및 권지(22)에 접착되고 있다. 칩지(3) 중에서, 필터(4)를 덮고 있는 영역에는, 주류연을 희석하는 외기(공기)를 필터(4) 내에 도입하기 위한 통기공(31)이 천설되고 있다. 이 통기공(31)은, 소위, 벤틸레이션용의 외기 도입공으로, 칩지(3)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칩지(3)의 통기공(31)의 유무는 임의적이며, 또한, 통기공(31)의 설치 태양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플러그 랩(42)은 통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칩지(3)의 통기공(31)을 통과한 외기는, 플러그 랩(42)을 투과함으로써 필터(4) 내부에 도입된다.The tobacco rod 2 and the filter 4 are wound by the chip paper 3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chip paper 3 covers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plug wrap 42 of the filter 4 and also covers the end side of the wrapper 22 of the tobacco rod 2, (Not shown). A vent hole 31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ir) for diluting the mainstream smoke into the filter 4 is provided in the area of the chip 3 that covers the filter 4. A plurality of vent holes 31 are provided in the chip paper 3 with the so-called outside air introduction holes for ventil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nt hole 31 of the chip 3 is arbitrary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vent hole 31 can also be appropriately chang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g wrap 42 has air permeability,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ent hole 31 of the chip paper 3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4 through the plug wrap 42.

도 3은, 실시 형태 1의 플러그 랩(42) 및 필터 세그먼트(41)의 접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부호 420은, 필터 세그먼트(41)를 귄취할 때에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에 대향하도록 덮는 피복면이다. 그리고, 플러그 랩(42)에서, 피복면(420)과 반대측 면을 외주면(421)이라고 부른다. 또한, 플러그 랩(42)의 외주면(421)은, 칩지(3)와 접착되는 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hesion state of the plug wrap 42 and the filter segment 41 of the first embodiment. Reference numeral 420 in FIG. 3 is a coated surface that covers the filter segment 41 so as to 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when the filter segment 41 is wound. In the plug wrap 42, the surface opposite to the covered surface 420 is referred to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2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21 of the plug wrap 42 is a surface to be bonded to the chip paper 3.

본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은, 인쇄에 의해서 착색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부호 45는,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의 전면에 도포된 인쇄 잉크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잉크(45)의 종류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잉크, 플렉소잉크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은, 한가지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나, 복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서 착색 잉크를 인쇄할 때, 플러그 랩(42)을 아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그라비아 인쇄 적응성에 뛰어난 물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플러그 랩(42)은, 그 피복면(420)의 평활도를 80[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0[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플러그 랩(42)은, 평량(坪量)을 25[gm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gm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플러그 랩(42)은, 스토킥트 사이즈(STOCKIGT SIZING)도를 2.8[sec]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 즉 착색 잉크를 인쇄하는 인쇄 대상면에 대해서는, 인쇄 전에, 전분 등의 코팅제를 도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코팅제가 도포된 인쇄 대상면에 착색 잉크를 인쇄함으로써, 착색 잉크의 채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팅제를 플러그 랩(42)의 인쇄 대상면에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인쇄 대상면에 사이즈성과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colored by printing. Reference numeral 45 in Fig. 3 denotes the printing ink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e printing ink 45 may be, for example, a gravure ink, a flexo ink,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colored with one color, but may be colored with a plurality of colors. When the colored ink is printed on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by gravure prin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g wrap 42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gravure printing adaptability as shown below. For example, the plug wrap 42 preferably has a smoothness of 80 [sec] or more, more preferably 150 [sec] or more. The basis weight of the plug wrap 42 is preferably 25 [gm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 [gms] or mor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g wrap 42 has a Stokek size of 2.8 [sec]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a coating agent such as starch is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at is, the surface to be printed on which the colored ink is printed, before printing. As described above, by printing the colored ink on the printing surface to which the coating agent is applied, the coloring effect of the colored ink can be enhanced.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the coating agent to the surface to be printed of the plug wrap 42, it is possible to impart size and water resistance to the surface to be print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인쇄 잉크(45)를 인쇄하는 것으로 착색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담배(1)의 제조 공정에서, 핸들링시에 잉크가 탈락되거나, 담배(1)의 흡연시에 흡연자의 타액 등에 의해서 잉크가 용출할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다만,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착색하는 방법이 인쇄 기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염료를 사용한 염색 기술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색소를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플러그 랩(42)의 원지를 담그는 것으로, 원지의 섬유를 색소(염료)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권취지를 제작할 때에, 안료를 섬유와 미리 혼합하여, 초지(抄紙) 공정에서 종이에 착색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inting ink 45 is printed on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e ink is removed during hand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igarette 1, 1) is not likely to leak due to the saliva of the smoker during smoking. However, the method of coloring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not limited to the printing technique. For example, a dyeing technique using a dye may be used.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paper of the plug wrap 42 in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pigment is dissolved in water, the paper fibers can be colored with a pigment (dye). Further, when producing the winding paper, the pigment may be preliminarily mixed with the fibers and colored on paper in a paper making process.

또한,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랩(42)은, 직사각형 모양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 랩(42)에서의 1쌍의 장변에는, 필터 세그먼트(41)를 권취할 때에 서로 겹쳐져서 접착되는 랩 영역(42a, 42b)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랩(42)의 장변의 길이는, 필터 세그먼트(41)의 축방향 길이와 거의 같다. 플러그 랩(42)의 장변은, 담배(1)의 제조 후에 그 담배(1)의 길이축 방향(A)를 따라서 배치된다. 플러그 랩(42)의 랩 영역(42a) 중에서, 피복면(420) 측에는, 접착제(이하, 「제1 접착제」라 한다)(43)가 도포되어 있다. 담배(1)의 제조 공정에서, 플러그 랩(42)에 의해 필터 세그먼트(41)를 귄취할 때에,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이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을 따라서 권취된다. 그 때에,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 측의 랩 영역(42a)을 외주면(421) 측의 랩 영역(42b) 위에 겹치는 것으로, 랩 영역(42a, 42b) 끼리가 제1 접착제(43)에 의하여 접착된다. 그 결과, 플러그 랩(42)이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3, the plug wrap 42 has a rectangular shape. The pair of long sides of the plug wrap 42 are formed with wrap areas 42a and 42b which overlap each other when the filter segments 41 are wou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plug wrap 42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axial length of the filter segment 41. The long side of the plug wrap 42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 of the cigarette 1 after the production of the cigarette 1. An adhesive ag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first adhesive agent &quot;) 43 is coated on the coated surface 420 side in the wrap area 42a of the plug wrap 42. The covering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when the filter segment 41 is worn by the plug wrap 42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igarette 1. [ Is wound. At this time, the wrap area 42a on the coated surface 420 side of the plug wrap 42 is overlapped on the wrap area 42b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21 side so that the wrap areas 42a, 43). As a result, the plug wrap 42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또한,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랩(42)에서의 피복면(420)의 중간부에는, 플러그 랩(42)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접착제(이하, 「제2 접착제」라 한다)(44)가 도포되어 있다. 이 제2 접착제(44)는,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을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제2 접착제(44)의 횡폭(도 3 중의, 부호 W1으로 나타낸다)은, 플러그 랩(42)의 단변의 일부, 예를 들면, 몇분의 일에서 몇십분의 일 정도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담배(1)의 제조 공정에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이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을 따라서 권취되는 것에 의하여,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과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이 제2 접착제(44)에 의하여 접착된다.3, an adhesive ag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second adhesive agent &quot;) 44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adhesive agent &quot;)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oated surface 420 in the plug wrap 42, ) Is applied. The second adhesive 44 is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As shown in Fig. 3, the width of the second adhesive 44 (indicated by W1 in Fig. 3) of the second adhesive 44 is a part of the short side of the plug wrap 42, for example, several minutes to several tens of minutes It is set to the dimens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igarette 1,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and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are bonded by the second adhesive 44.

도 4는, 실시 형태 1의 필터 세그먼트(41)를 플러그 랩(42)으로 권취한 상태의 필터(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필터(4){필터 세그먼트(41)}의 흡입구단(4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플러그 랩(42)의 내측에 나타내는 파선은, 착색된 피복면(420)을 나타내는 것으로, 플러그 랩(42)의 내면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시한 것과 같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은, 제2접착제(44)에 의하여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과 부분적으로 접착되고 있다.4 is a view showing a filter 4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segment 41 of the first embodiment is wound around the plug wrap 42. Fig. 4 shows the state of the suction port 40 of the filter 4 (filter segment 41). The dashed line inside the plug wrap 42 shown in Fig. 4 represents the colored clad surface 420 and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lug wrap 42. Fig.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partially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by the second adhesive 44 as shown.

도 4 중의 부호 Rb는, 필터(4)의 흡입구단(40)에서, 필터 세그먼트(41) 및 플러그 랩(42)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쌍방의 경계부(경계면) 중에서, 제2접착제(44)가 개재하는 접착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부호 Rnb는, 필터 세그먼트(41) 및 플러그 랩(42)의 경계부 중에서, 제2접착제(44)가 개재되지 않는 비접착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플러그 랩(42)은, 필터 세그먼트(41)의 원주 방향에서의 일부에 형성되는 접착 영역(Rb)에서,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과 접착되고 있다.4, among the boundary portions (boundary surfac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segments 41 and the plug wraps 42 at the suction end 40 of the filter 4, the second adhesive 44 Quot; is an intervening adhesion region. Reference numeral Rnb denotes a non-adhesive region in which the second adhesive 44 is not interposed between the filter segments 41 and the border of the plug wrap 42. The plug wrap 42 is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in the adhesive region Rb formed in a 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segment 41. [

여기에서, 필터(4)의 흡입구단(40)에 형성되는 비접착 영역(Rnb)은,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에 대해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이 접착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흡입구단(40)에서의 비접착 영역(Rn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외주면(410)과 피복면(420) 사이에 간격 영역(중공 영역)인 간격부(50)가 형성된다.The non-adhesive region Rnb formed at the suction end 40 of the filter 4 is bond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with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dhered thereto It is not. 4, a gap portion 50 (hollow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10 and the cover surface 42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n-adhesion region Rnb in the suction mouth 40, Is form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터(4)는, 흡입구단(40)의 비접착 영역(Rnb)에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의 필터 횡단면 내측, 즉, 플러그 랩(42)과 필터 세그먼트(41) 사이에 간격부(50)가 형성된다. 이 간격부(50)는, 가시광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5)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필터(4)의 간격부(50)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투과부(5)는, 필터(4)의 길이축 방향의 흡입구단 측의 단부, 즉, 흡입구단(40)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담배(1) 외부에서의 가시광이 광투과부(5)를 통해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방사되는 것과 함께, 그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은 광투과부(5)를 투과하여 다시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이 눈에 도달되는 것에 의하여, 피복면(420)의 색이 인식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filter cross section of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at is, inside the plug wrap 42 And the filter segments 41 are formed. The spacing portion 50 functions a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through which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passe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formed by the spacing portion 50 of the filter 4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lter 4 on the suction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4 or in the suction mouth end 40. [ Visible light from the outside of the cigarette 1 is radiated to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and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vered surface 420 passes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The color of the coated surface 420 is recognized by the fact that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reaches the eye.

또한, 필터 세그먼트(41)는, 여재을 구성하는 섬유를 성형한 섬유 다발이므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을,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 영역(41a)을 형성하는 섬유(411) 끼리의 간격(412)으로부터 흡입구단 면측의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간격부(50)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 플러그 랩(42)에서의 피복면(420)으로부터의 반사광과 마찬가지로,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 영역(41a)을 형성하는 섬유(411) 끼리의 간격(412)을 투과하여 외부에 방출된 피복면(420)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흡연자의 눈에 도달시킴으로써, 피복면(420)의 색을 흡연자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The filter segment 41 is a fiber bundle in which fibers constituting the filter material are formed so that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ladding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formed into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41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mouth end surface side from the interval 412 between the fibers 411 that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bers 411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41 and the fiber 411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41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ladding surface 420 in the plug wrap 42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bove- The color of the covering surface 420 can be recognized by the smokers by reaching the eyes of the smoker through the gap 412 of the covering surface 420 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overing surface 420 emitted to the outsid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터(4)는, 흡입구단(40)에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의 필터 횡단면 내측에, 가시광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5)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필터(4)에서는, 광투과부(5)를,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과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부(50) 및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 영역(41a)을 형성하는 섬유(411) 끼리의 간격(412)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에 의하여, 흡연자가 필터(4)를 흡입구단(40)측에서 바라볼 때에, 가시광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했을 때의 반사광을, 광투과부(5)를 통해서 흡연자의 눈에 도달시켜, 착색된 피복면(420)의 색을 흡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필터(4) 및 이것을 조합한 담배(1)의 의장성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와 비교하여 의장성이 우수한 필터(4) 및 담배(1)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at the suction mouth end 40, visible light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cross section of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for transmitting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In the filte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is formed to have a gap portion 50 formed between the cladding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And the spacing 412 between the fibers 411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41. [ Thereby, when the smoker looks at the filter 4 from the side of the suction mouth 40, the reflected light when the visible light is reflected by the covered 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to the smoker The color of the coated surface 420 can be recognized by the smoker. As a result, the designability of the filter 4 and the cigarette 1 in which the filter 4 is combined can be improv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ilter 4 and the cigarette 1 which are superior in design to the conventional ones.

또한, 상기 구성의 필터(4)에 따르면,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 영역(41a)을 형성하는 섬유(411)에 의하여,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의 반사광을 난반사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이 확산되기 때문에, 착색된 피복면(420)의 색이 흡연자에게 훨씬 시인하기 쉽게 된다.According to the filter 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ladding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can be diffusely reflected by the fibers 411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41 .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smoker to visually recognize the color of the colored coated surface 420 because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420 is diffus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터(4)는, 간격부(50) 및 간격(412)을 포함하여 광투과부(5)가 형성되고 있지만, 이들의 어느 한쪽에 의해서 광투과부(5)를 형성해도 된다. 즉, 광투과부(5)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간격부(50) 및 간격(412)의 어느 것도 독립해서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의 흡입구단(40)에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과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을 전면적으로 접착하는 등으로 해서 간격부(50)를 특별히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도,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 영역(41a)을 형성하는 섬유(411) 끼리의 간격(412)에 의해서 광투과부(5)를 형성하고, 이 광투과부(5){간격(412)}를 통해서 착색된 피복면(420)에서의 반사광을 흡연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착색된 피복면(420)의 색을 흡연자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필터(4)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lte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including the space portion 50 and the space 412 is formed, but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is formed by either one of them . That is, as the means for form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either the interval portion 50 or the interval 412 can be employed independently. For example, at the suction end 40 of the filter 4, the cover portion 420 of the plug wrap 4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are adhered to each other,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is formed by the spacing 412 between the fibers 411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41. In this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oated surface 420 colored through {interval 412} may reach the eyes of the smoker. Thereby, the color of the colored coated surface 420 can be recognized by smokers, and the design of the filter 4 can be improved.

<제1 변형예> <First Modification>

다음으로, 제1 변형예의 필터(4A)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변형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의 장변 방향 중에서, 필터 성형 후에 흡입구단(40)의 둘레부를 구성하는 쪽의 단부 영역에, 제2 접착제(44)를 도포하지 않은 미도포 영역(46)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접착제(44)는,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도포한다. 이 때에, 제2접착제(44)는 피복면(420)에 띠 모양에 도포하여도 되고, 스파이럴 형상나 파형 형상으로 도포해도 된다. Next, the filter 4A of the first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5, in the long-side direction of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n the end region of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end 40 after the filter molding, the second adhesive The non-applied region 46 in which the adhesive layer 44 is not applied is provided. The second adhesive 44 is applied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t this time, the second adhesive 44 may be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420 in a strip shape, or may be applied in a spiral shape or a wave shape.

본 변형예와 같이, 피복면(420)의 장변 방향(필터 성형 후의 길이축 방향)을 따라서 제2 접착제(44)를 도포할 때에, 흡입구단(40)에 대응하는 쪽의 단부 영역에 미도포 영역(46)을 형성함으로써, 필터(4A) 성형 후에, 필터(4A)의 흡입구단(40)의 원주 방향 전역에 걸쳐서, 비접착 영역(Rnb)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필터(4A)의 흡입구단(40)의 원주 방향 전역에 걸쳐서. 간격부(50)를 환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내듯이, 착색된 피복면(420)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투과시켜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광투과부(5)를 필터(4A)의 원주 방향 전역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예와 비교해서, 광투광부(5)가 형성되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착색된 피복면(420)의 색의 시인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어, 필터(4A)의 의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adhesive 44 is applied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oated surface 420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after the filter is formed) as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end portion of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mouth end 40 is not coated The non-adhesive region Rnb can be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mouth end 40 of the filter 4A after the filter 4A is formed. That is, 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mouth 40 of the filter 4A. The spacing portion 50 can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for transmitt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olored clad surface 420 and emitting it to the outside can be formed annular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4A.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range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is formed can be enlarged. This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visibility of the color of the colored coated surface 420, and further enhance the design of the filter 4A.

<제2 변형예> &Lt; Second Modified Example &

다음으로, 제2 변형예의 필터(4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2 변형예의 필터(4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필터(4B)의 흡입구단(40) 위치에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중, 부호 141은, 제2 변형예의 필터 세그먼트이다. 제2 변형예의 필터(4B)는, 필터 세그먼트(141)의 구조가, 상기한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아래에서는, 상기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the filter 4B of the second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Fig. 7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filter 4B of the second modification. Fig. 7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er 4B at the suction end 40 position. In Fig. 7, reference numeral 141 denotes a filter segment of the second modification. In the filter 4B of the second modification, the structure of the filter segment 141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abov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필터 세그먼트(141)는, 외주면(410)과, 포함하는 외주 영역(41a)과, 이 외주 영역(41a)보다도 내측(여재 중심측)에 위치하는 내주 영역(41b)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내주 영역(41b) 및 외주 영역(41a)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터 세그먼트(141)의 외주 영역(41a)은 내주 영역(41b)보다도 섬유층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저밀도층으로 형성되고 있다. 내주 영역(41b)은, 통상의 담배용 필터로 사용되는 여재와 동등한 섬유층 밀도를 가지고 있다.The filter segment 141 include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and an outer peripheral region 41a including the inner peripheral region 41b located inside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Here,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inner peripheral region 41b and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will be described.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141 is formed of a low density layer having a fiber layer density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peripheral region 41b. The inner peripheral region 41b has a fiber layer density equivalent to that of a filter material used for a normal cigarette filter.

필터 세그먼트(141)에서의 내주 영역(41b)의 섬유층 밀도는, 예를 들어, 주류연에 포함되는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데에 요구되는 여과 성능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조정되고 있다. 한편, 필터 세그먼트(141)의 외주 영역(41a)은, 외주 영역(41a)을 형성하는 섬유(411) 끼리의 간격(412)을 통해서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투과시킨 가시광을 흡연자의 눈에 도달시키기 위한 광투과부(5)로서의 기능과, 주류연에 포함되는 연기 성분을 여과하는 여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필터 세그먼트(141)의 외주 영역(41a)을 광투과부(5)로서 기능시킬 때에, 가시광의 투과율을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외주 영역(41a)의 섬유층 밀도는 가급적 낮추는 것이 유리하다.The fiber layer density of the inner peripheral region 41b in the filter segment 141 is adjust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filtration performance required for filtering the smoke component contained in the mainstream smoke, for example. 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141 is formed by the visible light reflected from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rough the interval 412 between the fibers 411 forming the peripheral region 41a And has a function a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for reaching the visible light of the smoker to the eyes of the smoker and a filtering function for filtering the smoke component contained in the mainstream smoke.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when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141 functions a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fiber layer density of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as much as possible.

여기에서, 제2 변형에에 있어서는, 필터 세그먼트(141)의 외주 영역(41a)에서의 섬유층 밀도를 0.05~0.12[g/cm3]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다만, 외주 영역(41a)에서의 섬유층 밀도의 상기 범위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변형예의 경우, 필터 세그먼트(141)의 외주 영역(41a)을 내주 영역(41b)보다도 섬유층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저밀도 계층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이, 필터 세그먼트(141)의 외주 영역(41a)을 구성하는 섬유(41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412)을 투과할 때의 투과율을 적절하게 높일 수 있어, 착색된 피복면(420)의 색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필터 세그먼트(141)의 외주 영역(41a)의 섬유층 밀도를 가시광의 투과율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작게 하여도, 내주 영역(41b)의 섬유층 밀도를 상대적으로 외주 영역(41a)보다도 높임으로써, 필터 전체적으로 요구되는 여과 성능을 담보할 수 있다.Here, in the second modification, the fiber layer density in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141 is set in the range of 0.05 to 0.12 [g / cm 3 ]. However, the above-mentioned range of the fiber layer density in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is range.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141 is formed into a lower density layer having a fiber layer density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peripheral region 41b so that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increase the transmittance when the filter 411 transmits the gap 412 formed between the fibers 411 constituting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141. As a result, Can be well recognized. In this modified example, even if the fiber layer density of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of the filter segment 141 is reduced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the density of the fiber layer of the inner peripheral region 41b is relatively increased to the outer peripheral region 41a, The filtration performance required for the filter as a whole can be ensured.

<실시 형태 2>&Lt; Embodiment 2 >

다음으로, 실시 형태 2의 필터(4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2의 필터(4C)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필터(4C)의 흡입구단(40) 위치에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필터(4C)에서의, 필터 세그먼트(41) 및 플러그 랩(42)은, 실시 형태 1의 필터(4)와 공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랩(42)의 착색된 피복면(410)에 적층된 투명의 피막층인 투명 피막층(6)이 형성되고 있다.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적층된 투명 피막층(6)은,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에 대향하고,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과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Next, the filter 4C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8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filter 4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er 4C at the suction end 40 position. The filter segments 41 and the plug wraps 42 in the filter 4C are common to the filter 4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 transparent coating layer 6 which is a transparent coating layer laminated on a colored coated surface 410 of the plug wrap 42 is formed.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laminated on the cladding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fac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and the cladding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nd the filter segment 41, respectively.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과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 사이에 개재하는 투명 피막층(6)은, 실시 형태 1의 간격부(50)와 동등한 작용을 발휘하며, 광투과부(5)로서 기능한다. 즉, 투명 피막층(6)은, 가시광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반사 광선을 투과시킨다. 이에 의해, 흡연자가 필터(4)의 흡입구단(40)을 바라볼 때에,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을 눈에 도달시킬 수 있으며, 착색된 피복면(420)의 색을 흡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interposed between the cladding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filter segment 41 exerts an action equivalent to that of the spacer 50 of Embodiment 1, And functions as a transmissive portion 5. That is,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transmits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is allows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o reach the eye when the smoker looks at the suction tip 40 of the filter 4 and the colored coated surface 420 The color of the smoker can be recognized by the smoker.

투명 피막층(6)은, 예를 들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투명한 니스를 두껍게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의 투과율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니스 두께를 50μm 정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피막층(6)을, 예를 들어,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셀룰로오스 필름 등과 같은 투명 필름을 붙임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피복면(420)에서 반사된 가시광의 투과율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필름 두께를 40μm 정도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니스 두께 및 필름 두께는 예시적인 것이며, 그것들의 수치에 적용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may be formed, for example, on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by thickening the transparent varnish. In this cas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transmittance of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420, it is desirable to secure a varnish thickness of about 50 mu m.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may be formed by adhering a transparent film such as a cellulose film to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for example. In this cas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transmittance of the visible light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420, it is preferable to secure the film thickness to about 40 탆.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varnish and the film thicknes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se numerical value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에 투명 피막층(6)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플러그 랩(42)의 피복면(420)과 필터 세그먼트(41)의 외주면(410)과의 접착 상태에 관계없이, 피복면(420) 및 외주면(410) 사이에 투명 피막층(6)의 두께에 따른 광투과부(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것처럼, 흡입구단(40)의 피복면(420)과 외주면(410)과의 접착면에 비 접착 영역(Rnb)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흡입구단(40)의 필터(4)의 전 둘레에 걸쳐서, 피복면(420)과 외주면(410)을 접착했다고 해도, 투명 피막층(6)에 의해서 광투과부(5)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laminating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on the cover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the coated surface 420 of the plug wrap 4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segment 41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can be formed between the coated surface 4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irrespective of the state of adhesion with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6. Therefore, as shown in Embodiment 1,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non-adhesive region Rnb on the bonding surface between the covered surface 4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of the suction mouth 40. [ That is, even if the coated surface 4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0 are bonded to each other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4 of the suction mouth 40, the light transparent portion 5 is appropriately formed by the transparent film layer 6 .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담배용 필터는, 여러가지의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improvements, combinations, and the like of the filter for cigaret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1…담배
2…담배 로드
3…칩지
4…필터
5…광투과부
6…투명 피막층
21…썬 담배
22…권지
31…통기공
40…흡입구단
41…필터 세그먼트
41a…외주 영역
41b…내주 영역
42…플러그 랩
43…제1접착제
44…제2접착제
45…인쇄 잉크
50…간격부
410…외주면
411…섬유
412…간격
420…피복면
420A…관통로
One… tobacco
2… Cigarette load
3 ... Chippy
4… filter
5 ... Light transmitting portion
6 ...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21 ... Sun cigarette
22 ... Wrap
31 ... Vent
40 ... Suction cup
41 ... Filter segment
41a ... Outer circumference region
41b ... Inner circumference region
42 ... Plug wrap
43 ... The first adhesive
44 ... The second adhesive
45 ... Printing ink
50 ... Spacing portion
410 ...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11 ... fiber
412 ... interval
420 ... Coated surface
420A ... Through passage

Claims (8)

썬 담배를 권지로 권취한 담배 로드의 일단에 칩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담배용 필터로서,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 배치되는 여재와,
상기 여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그 여재를 권취하는 권취지를 구비하고,
상기 귄취지는, 상기 여재을 덮는 피복면이 착색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 중의, 상기 권취지에서의 피복면의 필터 횡단면 내측에 형성되는, 가시광을 투과 가능한 광투과부로서, 가시광이 상기 피복면에서 반사했을 때의 반사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피복면의 색을 시인(視認)시키는 광투과부를 더 구비하는,
담배용 필터
A cigarette filter connected to one end of a cigarette rod wound with sun cigarette with a wrapper,
A filter disposed at a suction end of the filter,
And a winding sheet for winding the filter material so as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Wherein the yarn is colored with a coated surface covering the filter material,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which is formed inside the filter transverse section of the covered surface of the winding surface of the filter and which is capable of transmitting visible light and which emits the reflected light when the visible light is reflected by the coated surface to the outside,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 viewing the color of the surface,
Filters for tobacc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여재의 외주 영역을 형성하는 섬유끼리의 간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담배용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n interval between fibers forming an outer peripheral region of the filter medium at a suction end of the filter,
Filters for tobacc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의 외주 영역에서의 섬유층 밀도는, 그 외주 영역보다도 여재 중심축 측에 위치하는 내주 영역의 섬유층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담배용 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nsity of the fiber layer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filter medium is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fiber layer in the inner peripheral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center axis of the filter medium,
Filters for tobacco.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과 상기 여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담배용 필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a covered surface of the wound paper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at a suction end of the filter,
Filters for tobacco.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은, 상기 여재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서 여재의 외주면과 접착되고 있으며,
상기 간격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과 상기 여재의 외주면이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at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is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material,
Wherein the spacing portion is formed as a non-sticking region in which a covered surface of the wound paper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are not bonded to each other at a suction end of the filter,
Filters for tobacco.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과 상기 여재의 외주면을 접착하는 접착제는, 상기 필터의 길이축 방향을 따라서 도포되고 있으며,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미도포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그 흡입구단의 전 둘레에 걸쳐서 상기 간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6. The method of claim 5,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coated surface of the wound pap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is appli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An uncoated region in which the adhesive is not applied is formed at the suction end of the filter so that the interval portion is formed over the entire periphery of the suction end
Filters for tobacc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부는, 상기 필터의 흡입구단에서, 상기 권취지의 피복면에 적층 된 투명 피막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transparent coating layer laminated on the coated surface of the winding paper at a suction end of the filter,
Filters for tobacc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지는 상기 피복면에 인쇄 잉크를 인쇄하여 착색되어 있는,
담배용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nding paper is colored by printing ink on the coated surface,
Filters for tobacco.
KR1020167004074A 2013-08-21 2013-08-21 Cigarette filter KR1017485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2264 WO2015025376A1 (en) 2013-08-21 2013-08-21 Cigarette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936A KR20160041936A (en) 2016-04-18
KR101748537B1 true KR101748537B1 (en) 2017-06-16

Family

ID=5248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074A KR101748537B1 (en) 2013-08-21 2013-08-21 Cigarette filt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37007B1 (en)
JP (1) JP6148733B2 (en)
KR (1) KR101748537B1 (en)
CN (1) CN105473009B (en)
RU (1) RU2629095C1 (en)
WO (1) WO201502537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304A4 (en) * 2016-08-17 2020-04-15 Japan Tobacco, Inc. Filter and tobacco product
GB201720490D0 (en) * 2017-12-08 2018-01-24 Essentra Filter Products Dev Co Pte Ltd Tobacco smoke filter
CN110279145A (en) * 2019-06-14 2019-09-27 广东精彩国际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lugging device and plugging technolog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5368A (en) 2008-06-24 2011-09-22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Smoking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6663A (en) * 1969-05-29 1971-08-03 Lorillard Co P Ventilated smoking article
DE4205658A1 (en) * 1992-02-25 1993-08-26 Reemtsma H F & Ph VENTILATED FILTER CIGARETTE
JP3204549B2 (en) * 1992-07-29 2001-09-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cigarette
CN1141145A (en) * 1995-07-27 1997-01-29 马重子 Anti-countfeit colored filter of cigarette and method for coloration therefor
GB2455733A (en) 2007-12-19 2009-06-2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CN101581060B (en) * 2008-05-16 2013-03-13 印莫格不动产采购有限责任公司 Cigarette packaging material and cigarettes
US20100059074A1 (en) * 2008-09-05 2010-03-1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Inspection System for a Smoking Article Having an Object Inserted Therein, and Associated Method
GB2475856A (en) * 2009-12-02 2011-06-0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lavoured plugwrap
GB0922698D0 (en) * 2009-12-31 2010-02-1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EP2462821A1 (en) * 2010-12-10 2012-06-13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having embossed transparent wrapper
EP2471390A1 (en) * 2010-12-30 2012-07-04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having wrapper with indicium
GB2490650A (en) * 2011-04-01 2012-11-1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ilter for smoking article
CN202697700U (en) * 2012-08-07 2013-01-30 四川三联卷烟材料有限公司 Multiple channel cigarette filter rod
CN203058273U (en) * 2012-12-12 2013-07-17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Cigarette printed with fluorescent pattern
CN103040112A (en) * 2012-12-31 2013-04-17 蚌埠卷烟材料厂 Filter tip with gaps and patter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5368A (en) 2008-06-24 2011-09-22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Smoking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7007A4 (en) 2017-05-17
RU2629095C1 (en) 2017-08-24
JP6148733B2 (en) 2017-06-14
EP3037007B1 (en) 2020-09-30
EP3037007A1 (en) 2016-06-29
WO2015025376A1 (en) 2015-02-26
CN105473009B (en) 2019-12-17
CN105473009A (en) 2016-04-06
JPWO2015025376A1 (en) 2017-03-02
KR20160041936A (en)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537B1 (en) Cigarette filter
RU2544158C1 (en) Cigarette
US20140311508A1 (en) Smoking article with visibile contents
ES2354235T3 (en)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A CIGARETTE.
US20100132724A1 (en) Filter cigarillo
EP1098036B1 (en) Cigarette filter roll paper, cigarette filter, and filter cigarette
JP5857127B2 (en) Smoking goods
WO2014091605A1 (en) Cigarette
CA2791260A1 (en) Cigarette filter and a capsule filter cigarette using same
US20110168195A1 (en)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EP2818060B1 (en) Cigarette
KR102472581B1 (en) Multi-filter segments, smoking articles with multi-filter segments, and inspection methods for multi-filter segments
JP2019522967A (en) Smoking article with transparent wrapper
EP3308657B1 (en) End-joining structure of roll paper in rod-shaped smoking article and filter for rod-shaped smoking article
WO2015107698A1 (en) Smoking-article filter
TWI419654B (en) Cigarette filter and capsule filter cigarette using the same
JP202253602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moking article filter
IT202000014095A1 (en) Method for making a smoking product, machine for making a smoking product and use of such a machine and a smoking article thus obtained
TW201637578A (en) Variable pressure drop smoking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