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927B1 -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927B1
KR101737927B1 KR1020150181603A KR20150181603A KR101737927B1 KR 101737927 B1 KR101737927 B1 KR 101737927B1 KR 1020150181603 A KR1020150181603 A KR 1020150181603A KR 20150181603 A KR20150181603 A KR 20150181603A KR 101737927 B1 KR101737927 B1 KR 10173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 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군월드 filed Critical (주) 군월드
Priority to KR102015018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외부 표시장치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해 주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는 단말기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Du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외부 표시장치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내비게이션, PMP 보다 작은 해상도 및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것은 편리한 휴대성과 사용을 위하여 불가피한 선택이며, 해상도는 현재 사용되는 것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사용자가 동영상을 보거나, DMB 방송을 수신하는 등의 사용에는 적당하지 않다.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는 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면서도 듀얼 모니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요즘은 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지원되고 있다.
휴대성을 가진 기기인 닌텐도 DS와 같은 경우에도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PDA의 경우 탈착 가능한 형태의 듀얼 모니터를 지원하는 것도 있으나, 외부 모니터의 경우 너무 커서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휴대폰의 경우 위에서 예시했던 것과 같이 영상, 동영상의 재생, 내비게이션 기능, DMB 방송과 같은 기능이 계속 추가되고 있으나, 전화를 받고, 걸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편리한 휴대성을 위해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여 별도의 기기를 구매하게 하여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고, 휴대폰을 만드는 회사는 사용자의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킬 수 있는 형태의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1538호(2009.06.16.)는 추가로 탈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폰에 탈착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휴대폰에서와 같이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완함에 있어서, 기존의 그래픽 카드에서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이용하는 과정과, 처리 장치에서 추가 장비에 대한 연결과 같은 처리 수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사항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 포트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추가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과정과, 처리 내용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폰 구입 시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매하여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지금보다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1637호(2014.03.31.)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동시 구동되어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회동부를 통해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철 가능하게 회동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대면적 화면과 휴대의 용이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구동배터리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1화면을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는 본체케이스; 본체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2화면을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는 커버케이스;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홈 및, 두 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채로 슬라이딩되면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구비되어, 커버케이스가 본체케이스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본체케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화면이 선택적으로 상호 연동된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되거나 상호 독립된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슬라이딩부에 의한 커버케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을 감지하여 획득된 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슬라이딩 감지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달된 감지정보에 따라 슬라이딩 감지부로부터 커버케이스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제1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을 정지시키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은 해상도 또는 화면밝기가 미리 설정된 절전기준치로 구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커지면서 이에 따라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대형화된 단말 크기가 사용에 불편을 주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는,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의 소모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어 구동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 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153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8163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외부 표시장치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해 주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는 단말기커버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해 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커버로 전송해 주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확장 모드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장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커버로 전송해 주기 위한 화면신호에 해당하는 제2영상데이터로 분할하며, 제1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제2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부분 선택 모드 시에 선택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커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덮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화면신호를 화면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시킨 화면데이터를 표시해 주기 위한 듀얼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듀얼디스플레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커버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터치입력값을 생성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 및 터치입력값 별로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커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어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조도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조도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조도미만인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외부 표시장치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큰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기존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할 필요성을 상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디스플레이에 자체적인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의 소모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 구동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있는 단말기커버의 제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단말기커버의 제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단말기커버(20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커버(20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즉,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설치 구비하며, 입력수단(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MP3 등의 액정화면 등)을 통해 입력값을 입력받으며,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커버(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단말기커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형태로 형성되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준다. 따라서 단말기커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개성을 줄 수 있는 이동통신달말기 케이스와 같은 역할과, 추가적인 보조 모니터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커버(200)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플립 커버(즉, 휴대폰의 배터리커버를 떼어내고 장착하는 커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MP3, PMP 또는 내비게이션등)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의 일면에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장착하고, 내부의 다른 일면에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수단(예를 들어, LED 또는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커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의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하지 아니한 해상도의 표시 장치를 구비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단말기커버(200) 또한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지거나, 이동통신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단말기커버(200)는 UHD(1920 x 1080)의 해상도(4096 x 2160) 또는 HD(1280 x 720) 등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단말기커버(200)에 각각 다중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큰 단말기커버(200) 구비하여,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기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할 필요성을 상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단말기커버(200)에 자체적인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과거보다 커진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의 소모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100) 구동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메모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및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10)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저장해 둔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상데이터를 표시해 준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LCD 또는 LED 모니터를 지칭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즉,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표시해 주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전달해 주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신호를 송신부(140)로 전달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단말기커버(2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동일한 경우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영상 확장 모드 시(즉,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단말기커버(200)에 표시되는 영상이 다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장시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단말기커버(200)로 전송해 주기 위한 화면신호에 해당하는 제2영상데이터로 분할하며, 해당 분할된 제1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전달해 주며, 해당 분할된 제2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신호를 송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부분 선택 모드 시(즉,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영상 중 일 부분만을 선택하여 단말기커버(200)에 표시해 주는 경우)에 선택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신호를 송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커버(200)로 전송해 준다. 이때, 송신부(140)는, 화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 규격으로 대용량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인 블루투스 또는 WiFi망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입력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영상 확장 모드 또는 부분 선택 모드를 선택받으며, 해당 선택받은 영상 확장 모드 선택 또는 부분 선택 모드 선택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있는 단말기커버의 제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커버(200)는, 고정부(201), 커버부(202), 수신부(203), 제어부(204), 듀얼디스플레이부(205) 및 전원공급부(206)를 포함한다.
고정부(201)는, 커버부(202)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01)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가 애플사의 아이폰인 경우에는, 아이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단말기가 삼성의 갤럭시인 경우에는, 갤럭시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01)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장착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고무 또는 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02)는, 고정부(20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덮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수신부(203)는, 커버부(202)의 내부에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화면신호를 제어부(204)로 전달한다.
제어부(204)는, 수신부(203)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신호를 화면데이터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화면데이터를 듀얼디스플레이부(205)로 전달한다.
듀얼디스플레이부(205)는, 제어부(204)로부터 화면데이터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화면데이터를 표시해 준다. 이때, 듀얼디스플레이부(205)는, LED 또는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듀얼디스플레이부(205)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하지 아니한 해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듀얼디스플레이부(205) 또한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지거나, 이동통신단말기(100)가 FHD(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질 때 듀얼디스플레이부(205) UHD(1920 x 1080)의 해상도(4096 x 2160) 또는 HD(1280 x 720) 등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해상도뿐만 아니라 화면 크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화면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206)는, 수신부(203), 제어부(204) 및 듀얼디스플레이부(205)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커버(200)는, 입력부(207) 및 메모리부(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를 참조)
입력부(207)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입력값을 생성시키며, 해당 생상시킨 터치입력값을 제어부(204)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207)는, 듀얼디스플레이부(205)의 표면에 형성되며, CRT나 LCD 등과 조합시켜 문장과 그림 등이 표시되어 있는 장소를 직접 누름으로써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스위치에는 적외선을 사용한 광학식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ITO(인듐산화 주석)막을 피복한 투명 도전막의 접점을 사용하는 투명전극식, 스테인리스 강선을 투명 도전성 필름에 묻은 투명 도전성 필름,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식, 패널에 닿은 손끝의 압력을 패널 주변에 배치한 압력센서에 대한 힘의 배분으로부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207)는, 터치 방식 이외에도, 단말기커버(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버튼의 누름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여 입력값을 생성시키며, 해당 생상시킨 입력값을 제어부(204)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부(208)는, 터치입력값 별로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예를 들어, 화면 밝기 조절, 볼륨 조절 등)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4)는, 입력부(207)로부터 터치입력값을 전달받아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를 메모리부(208)로부터 판독하며, 판독한 명령데이터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켜 후술할 송신부(209)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메모리부(208)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명령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예를 들어, 화면 밝기 조절, 볼륨 조절 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커버(200)는, 송신부(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를 참조)
송신부(209)는, 제어부(204)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명령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단말기커버의 제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커버(200)는, 고정부(201), 커버부(202), 수신부(203), 제어부(204), 듀얼디스플레이부(205), 전원공급부(206) 및 조도센서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201), 커버부(202), 수신부(203), 제어부(204), 듀얼디스플레이부(205) 및 전원공급부(206)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도센서부(210)는, 커버부(202)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며, 해당 감지한 조도에 대응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조도감지신호를 제어부(204)로 전달한다. 이때, 조도센서부(210)는, 커버부(202)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덮고 있는 경우에는 낮은 조도로 인해 낮은 조도에 대응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생성시키며, 커버부(202)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덮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높은 조도로 인해 높은 조도에 대응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4)는, 조도센서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조도이상인 경우(즉, 커버부(202)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덮고 있는 경우)에 전원공급부(206)를 구동시켜 듀얼디스플레이부(205)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을 인가함이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듀얼디스플레이부(205)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4)는, 조도센서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조도미만인 경우(즉, 커버부(202)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덮고 있지 않는 경우)에 전원공급부(206)를 정지시켜 듀얼디스플레이부(205)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하여, 커버부(202)를 덮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듀얼디스플레이부(205)가 구동을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도센서부(210)는, 주위 조도의 세기값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한 조도의 세기값에 대응하는 조도값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조도값신호를 제어부(204)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4)는, 조도센서부(210)로부터 조도값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조도값신호에 대응하는 전원공급량을 메모리부(208)(도 5를 참조)로부터 판독하며, 판독한 전원공급량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신호를 생성시켜 전원공급부(206)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208)는, 디스플레이(즉, 듀얼디스플레이부(205)의 밝기)의 밝기별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밝은 경우에는, 어두운 경우보다 많은 양의 전원공급량을 설정하여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206)는, 제어부(204)로부터 전원공급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원공급신호의 제어에 따라 듀얼디스플레이부(205)로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는 듀얼디스플레이부(205)가 어두운 경우에도 쉽게 화면을 가독할 수 있는 바 듀얼디스플레이부(205)로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줄이도록 하는 반면, 주위가 밝은 경우에는 듀얼디스플레이부(205)가 어두운 경우 화면을 쉽게 가독할 수 없는 바 듀얼디스플레이부(205)로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늘려서 듀얼디스플레이부(205)의 밝기를 밝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주위의 상황에 맞게 화면을 가독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커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덮을 시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시 화면이 자동으로 켜지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이동통신단말기
110: 메모리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송신부
200: 단말기커버
201: 고정부
202: 커버부
203: 수신부
204: 제어부
205: 듀얼디스플레이부
206: 전원공급부
207: 입력부
208: 메모리부
209: 송신부
210: 조도센서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해 주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상으로 표시해 주는 단말기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해 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듀얼 디스플레이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커버로 전송해 주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영상 확장 모드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장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커버로 전송해 주기 위한 화면신호에 해당하는 제2영상데이터로 분할하며, 제1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해 주며, 제2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거나, 부분 선택 모드 시에 선택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단말기커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덮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해상도와 동일하지 아니한 해상도를 가지며,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화면신호를 화면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시킨 화면데이터를 표시해 주기 위한 듀얼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듀얼디스플레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조도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구동시키거나, 상기 조도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조도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조도미만인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정지시키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커버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터치입력값을 생성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 및
    터치입력값 별로 이에 해당하는 명령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커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81603A 2015-12-18 2015-12-18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7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03A KR101737927B1 (ko) 2015-12-18 2015-12-18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03A KR101737927B1 (ko) 2015-12-18 2015-12-18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927B1 true KR101737927B1 (ko) 2017-05-22

Family

ID=5905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603A KR101737927B1 (ko) 2015-12-18 2015-12-18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9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6192A (zh) * 2017-11-08 2020-06-19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具有双显示屏幕的智能终端
WO2020171287A1 (ko) * 2019-02-19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20226229A1 (ko) * 2019-05-08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1025770B2 (en) 2019-02-19 2021-06-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78B1 (ko) * 2012-04-19 2012-10-09 고돈호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커버
KR101359267B1 (ko) 2012-12-31 2014-02-07 김삼녀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KR101381637B1 (ko) 2012-10-11 2014-04-09 김길호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78B1 (ko) * 2012-04-19 2012-10-09 고돈호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커버
KR101381637B1 (ko) 2012-10-11 2014-04-09 김길호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KR101359267B1 (ko) 2012-12-31 2014-02-07 김삼녀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6192A (zh) * 2017-11-08 2020-06-19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具有双显示屏幕的智能终端
WO2020171287A1 (ko) * 2019-02-19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1025770B2 (en) 2019-02-19 2021-06-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1206321B2 (en) 2019-02-19 2021-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870922B2 (en) 2019-02-19 2024-01-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US11968318B2 (en) 2019-02-19 2024-04-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mobile terminal
WO2020226229A1 (ko) * 2019-05-08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5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67002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2015013497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90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1382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2724B1 (ko)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KR20140134020A (ko)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700327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381637B1 (ko)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KR20170140702A (ko) 이동 단말기
KR202100259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6001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40145480A (ko) 이동 단말기, 전자 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105973A (ko) 이동단말기
KR20180066762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EP2639687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685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951B1 (ko) 복수 단말기 간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321692A1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20045466A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KR10160878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0364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5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