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724B1 -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724B1
KR102062724B1 KR1020130096660A KR20130096660A KR102062724B1 KR 102062724 B1 KR102062724 B1 KR 102062724B1 KR 1020130096660 A KR1020130096660 A KR 1020130096660A KR 20130096660 A KR20130096660 A KR 20130096660A KR 102062724 B1 KR102062724 B1 KR 10206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ps
frame frequency
display modul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598A (ko
Inventor
김상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24B1/ko
Priority to PCT/KR2014/002112 priority patent/WO2015023040A1/ko
Priority to EP14836082.9A priority patent/EP3035548A4/en
Priority to CN201480050512.7A priority patent/CN105531986B/zh
Priority to US14/912,378 priority patent/US9741284B2/en
Publication of KR2015001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구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대개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사용한다. 사용자가 이동 중에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 공급을 받기 어렵다. 즉, 이동 단말기는 그에 내장된 배터리를 전원 공급원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 공급을 받지 않고 이동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용량을 늘리거나 이동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
이동 단말기는 그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다. 이동 단말기의 구성 중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소비하는 전력량은 상당히 높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FPS 데이터를 산출하고, FPS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가 높을수록 화질을 높일 수 있고 프레임 주파수가 낮을수록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화질 저하에 덜 민감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낮춰도 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주파수를 낮게 조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프레임 주파수 제어방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FPS 데이터 출력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프레임 주파수 조정방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
도 8a는 제1 프레임 주파수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게이트 스타트 펄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b는 제2 프레임 주파수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게이트 스타트 펄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프레임 주파수 제어방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a는 프로그램 실행 정보,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 FPS 정보 및 FPS 데이터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10b는 FPS 정보, FPS 데이터, 프레임 주파수 정보 및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TV, 모니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로도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터치 패널,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현되거나,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투명 OLED 등이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들을 포함하므로,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의 터치 센서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센싱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들은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제어부로 출력하며, 터치 제어부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센서들은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의미하고, "접촉 터치(contact touch)"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모듈(15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 바디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기판(들)과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들에는 다수의 제어회로들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들)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 모듈(151)과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 조작 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 조작 유닛(132)과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방송 수신, 음성/데이터 송수신, GPS 정보 송수신을 위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구비한다.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프로그램 실행부(300), FPS 데이터 출력부(310) 및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Din)를 발생한다.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 데이터(Din)를 입력받고, 입력 데이터(Din)에 대응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카메라를 실행하도록 입력하는 경우,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카메라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실행 프로그램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FPS 데이터 출력부(3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공급한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FPS(Frame Per second) 정보를 지시하는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한 후 출력한다. FPS 데이터(Dfps)는 초당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한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Dfps)를 입력받는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Dfps)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산출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1)로 출력한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성에 따라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40Hz 내지 6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40Hz 내지 60Hz 프레임 주파수 범위 내에서 구동되도록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60Hz 내지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60Hz 내지 120Hz 프레임 주파수 범위 내에서 구동되도록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표시패널(200), 게이트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및 타이밍 제어부(230)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200)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 예에서 표시패널(200)이 액정표시소자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표시패널(20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200)에는 데이터 라인(D)들과 게이트 라인(G)들(또는 스캔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가 형성된다. 화소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통해 데이터 전압이 충전되는 화소 전극과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의 전압 차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시켜 빛의 투과량을 조정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200)의 상부기판상에는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가 형성된다.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의 경우에 상부기판상에 형성되며, IPS(In-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의 경우에 화소전극과 함께 하부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의 액정모드는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표시패널(200)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는 액정층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가 형성된다.
표시패널(200)은 투과형 액정표시패널, 반투과형 액정표시패널, 반사형 액정표시패널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투과형 액정표시패널과 반투과형 액정표시패널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30)의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표시패널(200)의 게이트 펄스들을 게이트 라인(G)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230)의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응답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고, 데이터 전압들을 게이트 펄스들과 동기화(synchronization)하여 표시패널(200)의 데이터 라인(D)들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수평 동기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도트 클럭(dot clo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30)는 제어부(180)로부터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의 프레임 주파수 정보와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구동부(2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발생한다. 타이밍 신호들은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hornization signal),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및 도트 클럭(dot clock)을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부(230)의 프레임 주파수 조정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도 8a 및 도 8b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게이트 구동부(210)로 출력하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20)로 출력한다.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gate shift clocks)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는 첫 번째 게이트 펄스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게이트 구동부(21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rce output enable signal), 극성제어신호(polarity control signal)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부(22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220)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스타트 펄스와 소스 샘플링 클럭은 mini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규격에서 생략될 수 있다. 극성제어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L(L은 자연수) 수평기간 주기로 반전시킨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프레임 주파수 제어방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의 프레임 주파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첫 번째로,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 데이터(Din)를 입력받는다.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그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FPS 데이터 출력부(310)로 출력한다. (S101)
두 번째로,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부(300)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하고, FPS 데이터(Dfps)를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로 출력한다. FPS 데이터(Dfps)는 초당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의 개수를 소정의 기간 동안 카운트하여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Nde)를 1 프레임 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로 나누어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311)와 카운트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를 1 프레임 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로 나누기 위한 연산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1920×1080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 1 프레임 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는 1080개일 수 있다. 이 경우,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카운터(311)를 이용하여 카운트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개수를 1080으로 나누어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할 수 있다. (S102)
세 번째로,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 출력부(310)로부터 FPS 데이터(Dfps)를 입력받는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Dfps)에 따라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타이밍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Dfps)가 제1 문턱값(TH1)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제1 프레임 주파수(FR1)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출력한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Dfps)가 제1 문턱값보다 작고 제2 문턱값(TH2)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제2 프레임 주파수(FR2)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출력한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Dfps)가 제2 문턱값(TH2)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제3 프레임 주파수(FR3)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출력한다. 이 경우, 제1 프레임 주파수(FR1)는 제2 프레임 주파수(FR2)보다 높고, 제2 프레임 주파수(FR2)는 제3 프레임 주파수(FR3)보다 높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40Hz 내지 6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제1 프레임 주파수(FR1)는 60Hz, 제2 프레임 주파수(FR2)는 50Hz, 제3 프레임 주파수(FR3)는 40Hz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60Hz 내지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제1 프레임 주파수(FR1)는 120Hz, 제2 프레임 주파수(FR2)는 90Hz, 제3 프레임 주파수(FR3)는 60Hz일 수 있다. (S103 내지 S107)
네 번째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로부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한다. 타이밍 제어부(230)의 프레임 주파수 조정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도 8a 및 도 8b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S108)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FPS 정보를 지시하는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하고, FPS 데이터(Dfps)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한다. 본 발명은 일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주파수를 낮게 조정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프레임 주파수 조정방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로부터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한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타이밍 제어부(230)의 프레임 주파수 조정방법을 상세히 살펴본다.
첫 번째로, 타이밍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해,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에 따라 게이트 제어신호(GCS)의 주기, 즉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의 주기,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의 주기,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주기를 조정한다. 도 8a 및 도 8b는 제1 프레임 주파수와 제2 프레임 주파수인 경우 게이트 스타트 펄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제1 프레임 주파수인 경우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의 주기는 제2 프레임 주파수인 경우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의 주기보다 짧게 조정된다. 제1 프레임 주파수인 경우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과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주기도 제2 프레임 주파수인 경우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과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주기보다 짧게 조정된다. (S108a)
두 번째로,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의 주기를 조정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에 따라 데이터 제어신호(DCS)의 주기, 즉 소스 스타트 펄스의 주기, 소스 샘플링 클럭의 주기,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주기, 및 극성제어신호의 주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주파수(FR1)인 경우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의 주기, 소스 스타트 펄스의 주기, 소스 샘플링 클럭의 주기,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주기, 및 극성제어신호의 주기는 제2 프레임 주파수(FR2)인 경우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의 주기, 소스 스타트 펄스의 주기, 소스 샘플링 클럭의 주기,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주기, 및 극성제어신호의 주기보다 짧게 조정될 수 있다. (S108b)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일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프로그램 실행부(300), FPS 데이터 출력부(310) 및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Din)를 발생한다.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 데이터(Din)를 입력받고, 입력 데이터(Din)에 대응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카메라를 실행하도록 입력하는 경우,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카메라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실행 프로그램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FPS 데이터 출력부(310)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공급한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어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지를 지시하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를 FPS 데이터 출력부(310)로 출력한다.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해 현재 표시되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를 FPS 데이터 출력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부(300)로부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를 입력받는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를 입력 어드레스로 입력받고, 그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FPS 데이터(Dfps)를 출력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는 경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에 해당하는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 FPS 데이터(Dfps)를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한다.
또한,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터치 콘트롤러(270)로부터 터치 좌표 데이터(HIDxy)를 입력받는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터치 좌표 데이터(HIDxy)를 분석하여 터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터치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는지에 상관없이 최대값을 갖는 FPS 데이터(Dfps)를 출력할 수 있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도 4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표시패널(200), 게이트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타이밍 제어부(230), 터치패널(240), Tx 구동회로(250), Rx 구동회로(260), 및 터치 콘트롤러(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표시패널(200), 게이트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및 타이밍 제어부(230)는 도 4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터치 패널(240)은 Tx 라인들(T), Tx 라인들(T)과 교차하는 Rx 라인들(R), 및 Tx 라인들(T)과 Rx 라인들(R)의 교차부들에 형성된 터치 센서들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 각각은 등가 회로적으로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터치 패널(240)은 표시패널(200)의 상부에 접합될 수 있다. 특히, 표시패널(200)이 액정표시소자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패널(240)은 표시패널(200)의 상부 편광판 상에 접합되거나, 상부 편광판과 표시패널(200)의 상부기판 사이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40)의 터치 센서들은 표시패널(200) 내에서 화소 어레이와 함께 하부기판에 형성(인셀(In-cell) 타입)될 수 있다.
Tx 구동회로(250)는 터치 콘트롤러(270)의 제어 하에 구동펄스를 출력할 Tx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Tx 채널과 연결된 Tx 라인들에 구동펄스를 공급한다. Rx 구동회로(260)는 터치 콘트롤러(270)의 제어 하에 터치 센서들의 차지 변화량을 수신할 Rx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Rx 채널과 연결된 Rx 라인들을 통해 터치 센서들의 차지 변화량을 수신한다. Rx 구동회로(260)는 Rx 라인들(R)을 통해 수신된 터치 센서들의 차지 변화량을 샘플링하여 적분기에 누적한다. Rx 구동회로(260)는 적분기에 누적된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에 입력하여 디지털 데이터인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 TR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터치 콘트롤러(270)는 Tx 구동회로(250)에서 구동펄스가 출력될 Tx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Tx 셋업 신호와, Rx 구동회로(260)에서 터치 센서 전압을 수신할 Rx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Rx 셋업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터치 콘트롤러(270)는 Tx 구동회로(250)와 Rx 구동회로(26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터치 콘트롤러(270)는 Rx 구동회로(260)로부터 터치 로우 데이터(TRD)를 입력받는다. 터치 콘트롤러(2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좌표 산출방법에 따라 터치 좌표(들)를 산출하고, 터치 좌표(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좌표 데이터(HIDxy)를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프레임 주파수 제어방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첫 번째로,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 데이터(Din)를 입력받는다.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그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FPS 데이터 출력부(310)로 출력한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부(300)는 그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를 지시하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를 FPS 데이터 출력부(310)로 출력한다. (S201)
두 번째로,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부(300)로부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를 입력받고, 터치 콘트롤러(270)로부터 터치 좌표 데이터(HIDxy)를 입력받는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를 입력 어드레스로 입력받고, 그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FPS 데이터(Dfps)를 출력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는 경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에 해당하는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 FPS 데이터(Dfps)를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영상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S1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특정 프로그램의 FPS 데이터(Dfps)를 룩-업 테이블에 저장함으로써, 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FPS 데이터(Dfps)를 S102 단계와 같이 산출하지 않고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바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실행 프로그램이 카메라인 경우 30fps를 지시하는 FPS 데이터(Dfps)를 출력하고, 실행 프로그램이 동영상인 경우 60fps를 지시하는 FPS 데이터(Dfps)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화질 저하에 민감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높여야 하는 프로그램과 화질 저하에 덜 민감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낮춰도 되는 프로그램을 룩-업 테이블에 미리 저장해 놓고, 화질 저하에 덜 민감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낮춰도 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주파수를 낮게 조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S202 내지 S204)
한편,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터치 콘트롤러(270)로부터 입력받은 터치 좌표 데이터(HIDxy)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PS 데이터 출력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된 경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는지에 상관없이 최대값을 갖는 FPS 데이터(Dfps)를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하면 프로그램 실행 등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최대값을 갖는 FPS 데이터(Dfps)를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화면 전환을 더욱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 출력부(310)로부터 FPS 데이터(Dfps)를 입력받는다.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는 FPS 데이터(Dfps)에 따라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타이밍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S205 내지 S209 단계는 도 5를 결부하여 설명한 S103 내지 S107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205 내지 S209)
네 번째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320)로부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Dfr)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한다. 타이밍 제어부(230)의 프레임 주파수 조정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도 8a 및 도 8b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S2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FPS 정보를 지시하는 FPS 데이터(Dfps)를 산출하고, FPS 데이터(Dfps)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조정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화질 저하에 민감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높여야 하는 프로그램과 화질 저하에 덜 민감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낮춰도 되는 프로그램을 룩-업 테이블에 미리 저장해 놓고, 화질 저하에 덜 민감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낮춰도 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주파수를 낮게 조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하면 프로그램 실행 등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Dpe)가 입력되는지에 상관없이 최대값을 갖는 FPS 데이터(Dfps)를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프레임 주파수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화면 전환을 더욱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51: 디스플레이 모듈 180: 제어부
200: 표시패널 210: 게이트 구동부
220: 데이터 구동부 230: 타이밍 제어부
240: 터치 패널 250: Tx 구동회로
260: Rx 구동회로 270: 터치 콘트롤러
300: 프로그램 실행부 310: FPS 데이터 출력부
320: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

Claims (18)

  1.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FPS(frames per second) 정보를 지시하는 FPS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FPS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실행부,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FPS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FPS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FPS 데이터 출력부, 및
    상기 FPS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FPS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를 입력 어드레스로 입력받고, 상기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 FPS 데이터를 출력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FPS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입력 어드레스로서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는지에 상관없이 최대값을 갖는 FPS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PS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 FPS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FPS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FPS 데이터가 제1 문턱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FPS 데이터가 상기 제1 문턱 값보다 작고 제2 문턱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프레임 주파수보다 낮은 제2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FPS 데이터가 상기 제2 문턱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프레임 주파수보다 낮은 제3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펄스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전압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의 주기와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의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디스플레이 모듈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FPS(frames per second) 정보를 지시하는 FPS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FPS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FPS 정보를 포함하는 FPS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FPS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FPS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를 입력 어드레스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 FPS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룩-업 테이블에서 입력 어드레스로서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는지에 상관없이 최대값을 갖는 FPS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FPS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력 어드레스에 저장된 FPS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FPS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FPS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가 상기 룩-업 테이블의 입력 어드레스에 포함되는지에 상관없이 최대값을 갖는 FPS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FPS 데이터가 제1 문턱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FPS 데이터가 상기 제1 문턱 값보다 작고 제2 문턱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프레임 주파수보다 낮은 제2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FPS 데이터가 상기 제2 문턱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프레임 주파수보다 낮은 제3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표시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펄스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전압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펄스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전압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주파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의 주기와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의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20130096660A 2013-08-14 2013-08-14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KR102062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660A KR102062724B1 (ko) 2013-08-14 2013-08-14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PCT/KR2014/002112 WO2015023040A1 (ko) 2013-08-14 2014-03-13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EP14836082.9A EP3035548A4 (en) 2013-08-14 2014-03-1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riving same
CN201480050512.7A CN105531986B (zh) 2013-08-14 2014-03-13 移动终端及其驱动方法
US14/912,378 US9741284B2 (en) 2013-08-14 2014-03-1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ri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660A KR102062724B1 (ko) 2013-08-14 2013-08-14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598A KR20150019598A (ko) 2015-02-25
KR102062724B1 true KR102062724B1 (ko) 2020-01-06

Family

ID=5246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660A KR102062724B1 (ko) 2013-08-14 2013-08-14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41284B2 (ko)
EP (1) EP3035548A4 (ko)
KR (1) KR102062724B1 (ko)
CN (1) CN105531986B (ko)
WO (1) WO20150230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6866B2 (en) 2020-01-16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refresh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698B (zh) 2015-09-17 2019-07-1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导航图像绘制的方法和装置
KR102452154B1 (ko) 2015-10-27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KR102417628B1 (ko) * 2016-05-31 2022-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콘트롤러,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9992088A (zh) * 2016-11-21 2019-07-09 滁州职业技术学院 一种移动终端
US20190068002A1 (en) * 2017-08-29 2019-02-28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Display Interference Mitigation
CN110069122B (zh) * 2018-06-26 2021-11-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27650B (zh) * 2021-01-28 2022-04-15 深圳市天乐思科技有限公司 一种可编程的无线led显示方法及led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5318A1 (en) 2006-08-31 2008-03-06 Glen David I J Dynamic frame rate adjustment
US20080100598A1 (en) 2006-10-31 2008-05-0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refresh rates for displays
US8334857B1 (en) 2007-12-14 2012-12-18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display refresh ra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445B1 (ko) * 2005-09-21 201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1669361B (zh) * 2007-02-16 2013-09-25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改善低分辨率和低帧速率视频的方法和***
KR100953143B1 (ko) * 2007-05-21 2010-04-1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신호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표시 방법
KR20080105672A (ko) * 2007-05-31 2008-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099135B2 (en) * 2009-04-17 2012-01-17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ynamic clock operations during wireless transmissions
KR101604490B1 (ko) * 2009-10-23 2016-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능동 스위치 소자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제어 방법
WO2012137816A1 (ja) * 2011-04-08 2012-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817597B1 (ko) 2011-07-07 2018-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355585B2 (en) * 2012-04-03 2016-05-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frame rate displays
CN103473011B (zh) * 2013-09-03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性能检测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032430B2 (en) * 2014-09-17 2018-07-24 Mediatek Inc. Processor for use in dynamic refresh rate switching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5318A1 (en) 2006-08-31 2008-03-06 Glen David I J Dynamic frame rate adjustment
US20080100598A1 (en) 2006-10-31 2008-05-0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refresh rates for displays
US8334857B1 (en) 2007-12-14 2012-12-18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display refresh r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6866B2 (en) 2020-01-16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refresh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5548A4 (en) 2017-04-12
KR20150019598A (ko) 2015-02-25
CN105531986A (zh) 2016-04-27
CN105531986B (zh) 2019-06-25
US20160203755A1 (en) 2016-07-14
US9741284B2 (en) 2017-08-22
EP3035548A1 (en) 2016-06-22
WO2015023040A1 (ko)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724B1 (ko) 이동 단말기와 그 구동방법
KR102029242B1 (ko)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EP314478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0654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293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20637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32648A (ko) 이동 단말기
KR102019122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994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2019115B1 (ko) 이동단말기
KR201400684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269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11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920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201000557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771453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50828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095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8553B1 (ko)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2857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29104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25304A (ko) 이동 단말기에서 입체음향 출력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873749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7717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