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020A -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020A
KR20140134020A KR1020130053604A KR20130053604A KR20140134020A KR 20140134020 A KR20140134020 A KR 20140134020A KR 1020130053604 A KR1020130053604 A KR 1020130053604A KR 20130053604 A KR20130053604 A KR 20130053604A KR 20140134020 A KR20140134020 A KR 20140134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ver
unit
outpu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118B1 (ko
Inventor
강성운
김영웅
박성진
이규석
이종인
차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118B1/ko
Priority to US14/257,405 priority patent/US9727146B2/en
Priority to CN201410200998.XA priority patent/CN104158925B/zh
Priority to EP14168080.1A priority patent/EP2804070B1/en
Publication of KR2014013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되고, 출력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접철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제1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입출력부 또는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COVER DEVICE}
본 개시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장치(이하에서 '휴대용 단말기'라 통칭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무선 송수신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진, 음악 동영상, 멀티미디어, 게임 등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집약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는 멀티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제공되며, 최근에 출시되고 사용되는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전면 전체가 터치에 의해 감응하는 터치스크린이 제공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는 과정 등이나 사용 중에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케이스나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터치스크린에 스크래치나 또는 충격에 따른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케이스, 또는 커버들(이하 '커버 장치'로 통칭함)이 제공되는 실정이다.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를 커버하는 커버장치의 경우,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은 커버되지 않는 형태,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테두리나 후면 케이스만을 커버하는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플립 형태의 케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커버하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기 위해서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는 부분이 개폐되는 형태를 가지는 커버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터치스크린이 노출되는 커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는 플립 형태의 커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때마다 터치스크린을 커버하고 있는 커버부분을 개폐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플립형태의 커버장치는, 예를 들어 간단한 수신이나 송신 시에도 커버를 오픈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플립커버 형태의 커버장치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즉, 표시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매번 커버를 오픈시켜야 하므로, 잦은 커버의 개폐에 따라 플립 장치의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외관만 커버하는 형태나 플립커버 형태의 커버장치 모두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함은 물론 터치를 위한 접촉이 발생됨으로써 스크래치 등의 파손에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휴대용 단말기,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장치가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이 커버장치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기 설정된 내용 등의 출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커버장치 등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커버된 상태에서 입력장치의 사용이 감지됨에 따라, 입력장치의 출력 값이 커버장치의 전면으로 출력될 수 있는 커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고, 출력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접철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입출력부 또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입력 및 출력을 구현하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부재; 상기 본체에 착탈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며, 전면으로 출력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접철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입력부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의 신호 감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1센서부의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부의 신호 감지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 및 출력을 구현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개폐하며 출력부를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터치스크린에 접철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출력부 중 하나가 출력되며, 상기 터치패널의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의 감지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의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커버된 상태에서도 커버부를 통해 기 설정된 내용 등의 출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커버부를 오픈하지 않아도 커버부의 전면으로 출력되는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이 커버된 상태에서 입력부재의 사용이 감지되면, 입력부재의 입력구현에 따라 커버장치의 전면으로 입력부재의 출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즉, 커버장치에는 별도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를 구비하지 하지 않아도 커버장치의 접철 및 입력장치의 사용이 감지되면 커버장치의 출력부로 입력장치의 입력에 따른 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입력부재의 사용활성화에 따라 이에 연동되는 터치패널이 활성화되어 커버장치가 휴대용 단말기를 커버하고 있어도 입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커버장치에 제공되는 출력부에는 입력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터치패널과 같은 장치가 필요 없게되며, 이에 따라 커버장치에 별도의 입력을 위한 구성물이 제외됨으로써 커버장치의 두께의 증가 발생을 방지하고, 가격적인 면에서도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커버장치의 오픈 없이도 사용자는 커버장치의 전면으로 출력되는 기 설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커버장치의 잦은 개폐의 발생이 방지되어 커버장치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패널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장치의 센서부의 신호감지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e는 도 3에 개시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출력부의 출력 및 입력부재의 사용 활용성 유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한 도면.
도 7은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동 흐름도.
도 8은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제1, 2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장치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길이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개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 후술하는 도 2함께 참조.)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본체(110)를 커버하는 커버장치(이하에서 '커버부(200)'라고 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110)를 포함하고, 본체(110)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나 구조 등에 따라 통신모듈, 멀티미디어 모듈, 카메라 모듈, 음향 모듈, 센서모듈 등등 다양한 모듈들이 구비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으로 대형화된 입출력부(120)와, 입출력부(120)로 접촉에 따른 입력을 실행하는 입력부재(140), 센서모듈(130, 150)이나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70) 등을 포함함은 물론 본체(110)의 전, 후로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 전원, 음량, 특수 기능을 가지는 버튼 모듈, 외부 기기와 연결할 있는 커넥터 모듈 등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송,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이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체(110)에는 입출력부(120)와, 입력부재(140)와, 센서모듈(본 개시에서 센서모듈은 제1센서부(130) 및 제2센서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함.) 및 제어부(170)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부(120)는 본체(110)의 전면에 제공되어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에 따른 입력 구현에 따라 화면으로 출력을 구현하는 모듈이다. 즉, 입출력부(120)는 입력과 입력에 따른 출력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10)를 일컬으며, 입출력장치(1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20)는 표시패널(121) 및 터치패널(121, 122)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2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odes)등과 패널이 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현되는 각종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터치패널(122)은 정전용량 방식의 제1터치패널(122)과, EMR 방식의 제2터치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터치패널(122)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서, 표시패널(121)의 하면으로 적층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터치패널(122)은 ITO 패널과 같이,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산화 인듐 주석)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된 패널이다. 이러한 제1터치패널(122)은 표시패널(121)에 물체의 접촉이 발생되면, 제1터치패널(122)의 접촉되는 위치로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접촉위치로 이동한다. 제1터치패널(122)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제1터치패널(122)은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손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거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부재(140)를 통한 접촉을 모두 감지한다.
제2터치패널(123)은 표시패널(121)의 하면으로 적층되며 후술하는 입력부재(140)와 연동되어,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이다. 제2터치패널(123)은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방식 터치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터치패널(123)에는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별도의 입력부재(140)가 제공된다. 즉, 제2터치패널(123)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입력부재(140)가 위치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입력부재(140)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입력부재(140)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제2터치패널(123)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입력부재(140)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재(140)는 편의상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본체(11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부재(140)가 삽입되는 장착부(111)가 제공되고, 입력부재(140)는 장착부(111)에서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재(140)는 특히 제2터치패널(122)과 연동되는 구성으로, 제2터치패널은 입력부재(140)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입출력부(120)는 입력을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터치패널(122, 123), 구체적으로 제1터치패널(122)과 제2터치패널(123)이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입출력부(120)는 제2터치패널(123)과 표시패널(121)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터치패널(122)의 경우,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며, 저항막 방식이나, 초음파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터치패널(123)도 EMR 방식 터치패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입력부재(140)와 제2터치패널(123)이 서로 연동되어, 입력부재(140)의 접촉 또는 근접에 반응하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터치패널(122, 123)은 손과 입력부재(140) 및 입력부재(140)를 감지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구체적인 내용을 후술하나, 터치패널(122, 123)은 기본적으로 커버부(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되지만, 커버부(200)가 오픈될 때 활성화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터치패널,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 제2터치패널(123)은 커버부(200)의 접철 상태에서도 입력부재(140)의 사용이 활성화되면, 입력부재(140)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게 활성화된다. 이에 커버부(200)가 입출력부(120)를 커버한 상태에서, 입력부재(140)의 입력에 따라 터치패널(122, 123)은 이를 감지하여 출력부(240)를 통해 입력에 따른 검출 값의 출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터치패널(122, 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재(140)의 입력에 반응하여 입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서로 다른 종류의 터치패널이 복수개 등으로 터치패널의 종류나 설치 개수 등은 얼마든지 변경, 변형이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부(120)는 손이나 입력부재(140)의 입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며, 특히 입력을 감지하는 제1터치패널(122) 및 2터치패널(123)과, 입력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21)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입력부재(140)는 앞서 간단하게 언급한 것과 같이 터치패널, 특히 상술한 제2터치패널(123)과 연동되게 구현할 수 있는 모듈이다. 입력부재(140)는 본체(110)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편의성을 위해 본체(110)에 탈, 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입력부재(140)는 본체(110)에 탈,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입력부재(140)가 본체에 탈, 부착되거나 본체에 별개로 제공되는 어느 경우에도, 본체(110)에는 입력부재(140)의 사용과 관련하여 입력부재(14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하는 모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2센서부(150)가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체(110),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부재(140)를 탈, 부착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인 장착부(111)가 구비된다. 장착부(111)에는 후술하는 제2센서부(150)가 제공된다. 제2센서부(150)는 입력부재(140)의 착, 탈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제2센서부(150)는 버튼방식이나 스위치 방식과 같이 형성될 수 있고,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감지하거나,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서 이탈된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2센서부(150)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버튼부 형식을 가지는 경우, 제2센서부(150)는 장착부(111)의 내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삽입되면, 제2센서부(150)는 입력부재(140)의 단부에 의해 눌려지고, 이로 인해 제2센서부(150)는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실장된 상태임을 감지한다. 제어부(170)는 입력부재(140)의 착탈 여부를 감지한 제2센서부(150)의 감지된 신호 값에 따라 제2터치패널(123)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한다. 즉,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서 이탈되면 제2터치패널(123)은 활성화되고, 제2터치패널(123)은 입력부재(140)의 접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대기모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활성화된 제2터치패널(123) 상에 입력부재(140)가 입력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면, 제2터치패널(123)은 입력부재(140)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제2터치패널은(123) 입력부재(140)의 접촉만을 감지하므로, 항상 대기모드 상태일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입력부재(140)의 사용활용성 유무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 즉 입력부재(140)의 사용활용성이 감지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는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는 등의 그 구동 여부는 변경 가능 할 것이다.
또한,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삽입되어 장착되면 제2터치패널(123)은 비활성화되어, 슬립모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입출력부(120) 상이나, 입출력부(120)가 커버된 상태의 출력부(240) 상에서 어떤 신호가 발생되어도 제2터치패널(123)은 입력 신호를 감지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본체(110)에 착탈되고 입출력부(120)를 개폐하도록 커버하는 구성이다. 커버부(200)의 전면에는 기 설정된 내용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출력부(240)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커버부(200)는 플립커버 형태인 것을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커버부(200)에는 커버부(200)를 본체(110)에 고정하는 경우 출력부로 전원이 인가되고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18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80)가 후면 커버(210)의 내측면과, 본체(110)의 후면에 각각 제공되어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 장착되면 각 커넥터(230)들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전면 커버(220), 후면 커버(210) 및 연결 부재(230)를 포함하는 플립형태의 커버이다. 전면 커버(220)는 후면 커버(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110)의 전면의 입출력부(120)를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구성이다. 전면 커버(220)의 전면에는 출력부(240)가 제공되고, 전면 커버(220)의 내측면은 천 등의 부드러운 재질이 구비되어 입출력부(120) 중 표시패널(121)과의 대면 시 표시패널(121)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연결 부재(230)는 전면 커버(220)를 후면 커버(210)에서 회전되게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 부재(230)는 힌지구조로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나, 본 개시에서 연결 부재(230)는 전면 커버(220)의 재질을 좀더 부드럽게 하여 전면 커버(220)와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후면 커버(210)는 본체(110)의 후면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본체(110)의 후면을 커버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플립 커버는 후면 커버(210)에 형태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본체(110)와 한 몸체를 형성하는 형태이며, 다른 하나는 본체(110)와는 별개의 형태로서, 단지 본체(110)에 착탈되게 구성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한 몸체'라는 것은 커버부(200), 구체적으로 커버부(200)의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에 제공되어야 본체(110)가 완전한 하나의 구성품을 이루는 것으로서, 본체를 완제품으로 구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구성임을 일컫는다. 즉,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에 결합되지 않으면 완전한 하나의 구성품이 되지 못하므로 '후면 커버(210)는 본체(110)와 한 몸체로 형성된다.'라고 일컫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커버부(200), 구체적으로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의 일부 구성으로 개시되어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의 하나의 구성물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별개'라는 것은 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제공되지 않아도 본체(110)만으로도 완전한 하나의 구성품을 이루기 때문에, 후면 커버(210)는 완제품인 본체(110)에 하나의 구성품이 아니라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품이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커버부(200)는 완전한 하나의 구성품인 본체(110)에 별도로 장착되는 구성이라는 것을 의미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체(110)의 후면에는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공간을 가지며 본체(110)의 후면으로 결합되는 후면 브라켓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에 한 몸체로 제공되는 경우, 후면 커버(210)는 본체(110)의 후면 브라켓을 커버하도록 본체(110)에 착탈되어 본체(110)의 하나의 구성물, 즉 후면 케이스로서 구비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본체(110)에 별개로 제공되는 커버부(200)가 장착된 장치(10)에 비해 그 두께가 슬림해 질 수 있으며, 디자인 적으로 고급스럽고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전면 커버(220)는 연결 부재(230)에 의해 본체(110)에 한 몸체로 제공된 후면 커버(210)에서 회전되어 입출력부(120)를 개폐하게 된다.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와 별개로 제공되는 경우, 본체(110)에는 후면 브라켓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스(115)가 본체(110)에 한 몸체로 구비되고, 이 상태의 본체(110)의 후면에 후면 커버(210)가 착탈된다. 즉, 후면 커버(210)는 후면 케이스(115)를 커버하며 본체(110)의 후면에 착탈되는 구성이다. 전면 커버(220)는 연결 부재(230)에 의해 본체(110)에 별개로 제공되는 후면 커버(210)에서 회전되어 입출력부(120)를 개폐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20)의 전면, 구체적으로 전면 커버(220)가 입출력부(120)와 접철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출력부(240)가 제공된다. 출력부(240)는 전면 커버(220)에 형성된 홈(113)에 맞물리게 제공될 수 있다.
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체결되면 커넥터(180)에 의해 커버부(200)가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부(240)로 기 설정된 내용이 출력될 수 있게 전원이 공급되며, 후술하나 커버부(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제2터치패널(123)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부(240)로 출력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110)에는 센서모듈과 제어부(170)가 포함된다. 센서모듈은 커버부(200)의 접철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부(130)와, 입력부재(140)의 활성화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부(150)를 포함한다(도1(b) 및 도 3(b) 참조).
제1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전면, 구체적으로 입출력부(12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입출력부(120)의 주변둘레로 위치된다. 제1센서부(130)는 커버부(200), 구체적으로 전면 커버(220)의 접철 여부를 감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1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전면 우측 상단 모서리 측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1센서부(130)는 본체(110)의 전면으로 전면 커버(220)의 접철되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접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1센서부(130)의 설치위치나 그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다. 즉, 제1센서부(130)는 전면 커버(220)의 접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위치 및 전면 커버(220)가 본체(110)에 접철된 상태의 유무를 감지할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그 설치위치나 종류 등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제2센서부(150)는 입력부재(140)의 활성화 유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입력부재(140)의 사용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아니면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재(140)는 본체(110)의 하단 측면에 제공되는 장착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제2센서부(150)는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서 착, 탈됨에 따라 사용활성화를 판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안착된 상태인 경우, 입력부재(140)를 통한 제2터치패널(123)로의 입력은 구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제2센서부(150)는 입력부재(140)의 사용이 비활성화 상태임을 감지한다. 또한, 제2센서부(150)가 장착부(111)에서 이탈된 상태인 경우, 입력부재(140)를 통한 제2터치패널(123)로의 입력을 구현할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2센서부(150)는 입력부재(140)의 사용이 활성화된 상태임을 감지한다.
도 4는 도 1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패널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장치의 센서부의 신호감지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이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본체(110)에 제공되는 다양한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며, 특히 본 개시에서 센서모듈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입출력부(120)와, 출력부(240)를 실행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한 입출력부(120)와 출력부(240)의 제어뿐만 아니라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체(110)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모듈, 서브통신 모듈, 멀티미디어 모듈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한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예를 들면, 본체(110)에 제공되는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1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이나, 무선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통신 모듈의 경우에, 예를 들어 무선 AP(A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제어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특히 센서모듈의 감지 값에 따라 입출력부(120)와 출력부(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입출력부(120) 및 출력부(24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과 같은 서비스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출력부(120)는 다양한 물체들 예컨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접촉 가능한 입력 수단 예컨대 전자 펜(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부재(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중에서, 하나의 접촉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접촉'이란 입출력부(120)에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부재(140)와 직접적인 접촉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2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장치(1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입출력장치(10)는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전자기유도(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방식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출력부(240)는 기본적으로 접촉에 따른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간, 날짜 또는 전화의 수, 발신이나 메시지의 수, 발신 등과 같은 이동 통신 수, 발신 유무, 어플리케이션 관련 표시 등과 같이 기 설정된 내용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1, 2센서부(130, 150)의 감지에 따라 제2터치패널(123)이 활성화되는 경우, 출력부(240) 상에서 입력부재(140)를 구현하게 되면, 입력을 감지한 제2터치패널(123)에 의해 입력에 따른 출력값이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따.
따라서, 상술한 입출력부(120)와 출력부(240)는 제어부(170)에 인가되는 제1센서부(130)와 제2센서부(150)의 감지 값에 따라 구동의 유무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제1센서부(130)에 신호가 감지되고, 제2센서부(150)에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장치(10)의 상태를 보면, 전면 커버(220)는 본체(110)의 전면을 접철하고, 입력부재(140)는 장착부(111)에 삽입되어 비 활성화된 상태이다. 본체(110)는 사용되지 않으나 언제든지 구동될 수 있는 슬립 모드로 구현된다. 따라서, 입출력부(120)는 off된 상태이고, 출력부는 전원이 인가되어 on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제1, 2터치패널(122, 123) 및 표시패널(121)은 off되고, 출력부(240)는 on되는 것이다. 또한, 전면 커버(220)의 전면으로 노출된 출력부(240)에는 시간, 날씨와 같은 간단한 기 설정된 내용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 등의 수, 발신 여부 및 이의 확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 기 설정된 내용의 아이콘들이 출력된다. 또한 예를 들면, 출력부를 통해 전자 북이 출력되거나 멀티미디어 모듈에 따른 동작, 예를 들어 동영상이 출력되는 등의 출력을 구현하여, 사용자는 커버부를 본체에 닫은 상태에서도 출력부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센서부(130)에 신호가 감지되고, 제2센서부(150)에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상기의 상태에서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재에서 이탈되면 제2센서부(150)에는 신호가 감지된다. 다시 말해 제1센서부(130)에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제2센서부(150)에도 신호가 감지되는 것이다. 제어부(170)는 제1센서부(130)의 신호 감지와 제2센서부(150)의 신호 미감지에 따라 입출력부(120)를 off하고 출력부(240)를 on 된 상태로 제어하고 있었으나, 제2센서부(150)에 신호가 감지됨으로써, off 상태의 입출력부(120) 중 제2터치패널(123)만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출력부(240)는 그대로 on 된 상태로 제어되며, 이 상태에서 off된 입출력부(120) 중 제2터치패널(123)로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는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제2터치패널(123)은 입력부재(140)의 입력을 위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게 on된 상태가 되고, 나머지 제1터치패널(122)이나 표시패널(121)은 여전히 off 상태가 된다.
출력부(240)가 on 및 제2터치패널(123)이 on 된 상태에서 장치(10)의 구동을 살펴본다. 상기의 상태에서 장치(10)를 보면, 전면 커버(220)는 본체(110)의 입출력부(120)와 접철된 상태이다. 또한 출력부(240)는 기 설정된 내용이 표시되게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고, 입력부재(140)는 사용할 수 있게 활성화된 상태이며, 제2터치패널(123)에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출력부(240)로 표시된 아이콘이나 기 설정된 내용에 접촉을 하게 되면, 입력부재(140)의 접촉은 제2터치패널(123)에 의해 감지된다. 따라서, 제2터치패널(123)에 감지된 값은 제어부(170)에 의해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게 제어된다. 즉, 전면 커버(220)에 제공되는 출력부(240)에는 입력부재(140)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과 같은 별도의 모듈이 제공되지 않아도, 본체(110)에 제공되는 제2터치패널(123)을 이용하여 커버부(200)에 제공되는 출력부(240)로 입력부재(140)의 입력에 따른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상태의 실시예들을 도 6을 참조하여 본다. 도 6a 내지 6e는 도 3에 개시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출력부의 출력 및 입력부재의 사용활용성 유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재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거나, 간단한 상태, 즉 날씨, 시간 등이나 장치(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사용자 아이콘 등이 출력된다.
또한, 도 6b에 보는 바와 같이, 전면 커버(220)가 본체(110)의 전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출력부(240)에는 발신자 정보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입력부재(140)를 사용하여 출력부(240)에 전화 수신을 위한 아이콘을 접촉하면, 제2터치패널(123)은 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본체(110)는 통화 수신상태로 구동된다.
또한, 도 6c에 보는 바와 같이 전화의 수신은 물론 연락처를 확인하거나 통화 수신된 목록을 확인하거나 또는 전화의 발신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근 수, 발신된 연락처를 보고자 하는 경우, 출력부(240)에 출력되는 전화관련 아이콘을 입력부재(140)로 접촉한다.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한 제2터치패널(123)의 감지 값은 제어부(170)로 인지되고, 제어부(170)는 입력부재(140)의 입력에 따른 동작이 출력부(240)로 출력되도록 출력부(240)를 제어한다. 또한, 출력된 전화번호 중 하나에 입력부재(140)를 접촉하게 되면, 제2터치패널(123)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감지된 접촉에 대한 출력, 예를 들어 발신되게 하거나,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등의 출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출력부(240)에는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의 내용이 길다면 입력부재(140)를 통해 출력부(240)에 출력된 메시지 내용을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터치패널(123)은 상기의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제2터치패널(123)에 감지된 값에 따라 출력부(240)로 입력부재(140)의 입력에 따른 동작이 구동되게 제어한다. 또한, 출력부(240)를 통한 입력부재(140)의 입력 구현에 따라 메시지 작성 및 발신도 가능하다. 즉, 메시지 수신을 위한 메시지 창 및 입력 버튼들이 출력부(240)로 출력된 상태에서 메시지 입력을 위해 입력부재(140)를 출력부(240)의 버튼들 위치를 접촉하면, 제2터치패널(123)은 이를 감지한다. 제2터치패널(123)에 감지된 값은 제어부(170)로 인지된다. 제어부(170)는 제2터치패널(123)에 감지된 값에 따라 출력부(240)로 출력을 구현하게 제어하고, 이에 따라 메시지 입력 및 발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노트나, 전자 북과 같은 아이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즉, 출력부(240)에 출력된 메모나, 전자 북 등의 아이콘에 입력부재(140)를 접촉하며, 제2터치패널(123)은 입력부재(140)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된 값이 제어부(170)로 인가된다. 인가된 값에 의해 제어부(170)는 출력부(240)로 메모나 전자 북이 출력되도록 구동을 제어한다. 더불어 입력부재(140)를 출력부(240)에 접촉함에 따라 출력부(240)에 출력된 메모에 내용을 작성하거나 내용을 수정하거나 페이지를 넘기는 등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에에 따른 출력부(240)의 출력되는 부분을 입력부재(140)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이는 본체(110)에 제공되는 제2터치패널(123) 및 제어부(170)에 의해 인지 및 출력되게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술한 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있음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즉,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본체(110)에 실장된 제2터치패널(123)이 감지하게 됨으로써, 제어부(170)는 제2터치패널(123)의 감지된 값에 따른 동작을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사용자 환경 등에 따라 입력부재(140)와 제2터치패널(123)의 접촉 감지 값에 대해 제어부(170)는 얼마든지 다양한 동작을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출력부(240)는 출력만을 구현할 수 있으면 되며, 입력부재(140) 및 제2터치패널(123)의 활성화에 따라 출력부(240)의 접촉에 따른 기 설정된 값을 출력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개시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동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3에 개시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제1,2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장치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장치(10)의 구동을 살펴본다.
커버부(200)가 단말기(100) 본체(110)에 일체형이나 별도의 구성물로서 체결되면, 각각의 연결 부재(230)가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후면 커버(210)가 본체(110)의 후면에 체결되어 후면 케이스를 형성하거나 또는 본체(110)의 후면 케이스를 커버하면서 본체(110)에 고정된다. 이에, 출력부(240)로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제어부(170)에 의해 구동이 on/off 되도록 제어된다.
본체(110)의 우측 상단에 개시된 제 1센서부(130)는 전면 커버(110)의 접철 상태에 따라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S100).
제1센서부(130)는 감지 값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전면 커버(220)가 본체(110)의 전면에서 오픈된 상태로서, 제어부(170)는 입출력부(120)를 통한 출력을 구현하도록 입출력부(120)를 on 하고, 출력부(240)는 off되게 제어한다(S150).
이에, 사용자는 입출력부(120)를 통한 입력 및 출력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110)에 제공되는 전원 버튼의 인가여부에 따라 입출력장치(10)는 슬립모드, 대기모드 또는 구동모드 등과 같이 사용활성화 유무가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 본체(110)를 통신,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전원 버튼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110)는 대기모드 또는 구동모드로 구동되며, 특히 제1터치패널(122)과 표시패널(121)에는 대기모드 또는 구동모드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이 인가된 상태, 제1터치패널(122) on, 표시패널(121) on 상태가 되어 켜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말기(100) 입출력부(120)의 접촉을 통한 입력이나 이에 따른 출력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제1센서부(130)로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입출력부(120)의 구동을 off, 출력부(240)의 구동을 on되도록 제어하여, 접철된 상태의 입출력부(120)로 출력을 구현하지 않도록 하며, 전면 커버(220)의 전면에 제공되는 출력부(240)를 통해서 출력을 구현할 수 있게 제어한다(S200).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부재가 장착부에서 착, 탈됨에 따라 제2센서부는 입력부재의 사용에 따른 활성화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S200).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서 이탈되면 제2센서부(150)에는 신호가 감지되고, 제2센서부(150)의 감지에 따라 제어부(170)는 off된 입출력부(120)의 구성 중 입력부재(140)와 반응하는 제2터치패널(123)의 구동을 on되게 제어한다(S300). 즉, 제2터치패널(123)은 입력부재(140)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다. 입력부재(140)가 출력부(240)에 출력된 내용,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관련 아이콘 등을 접촉하게 되면, 제2터치패널(123)은 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한다. 제2터치패널(123)에 감지된 값은 제어부(170)로 인가되고, 제어부(170)는 입력부재(140)의 접촉에 따른 동작을 출력부(24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개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부(130)의 실장위치나 제2센서부(150)의 실장위치 등은 앞선 언급한 것과 같이 본체(110)의 우측 상단이나, 장착부(111) 내측일 필요는 없으며 커버부(200)의 접철 상태를 감지하거나 입력부재(140)의 사용 활용성 유무가 감지되는 위치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출력부(240)는 전면 커버(220)의 전면으로 대형화되게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출력부(240)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전면 커버(220)의 크기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제어부(170)는 출력부(240)의 위치와 맞물리게 제2터치패널(123)이 활성화되게 제공되는 것은 당업자라면 당연한 변형 실시의 범위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장치 100: 휴대용 단말기
110: 본체 111: 장착부
120: 입출력부 121: 표시패널
122: 제1터치패널 123: 제2터치패널
130: 제1센서부 140: 입력부재
115: 후면 케이스 150: 제2센서부
170: 제어부 200: 커버부
210: 후면 커버 220: 전면 커버
230: 연결 부재 240: 출력부

Claims (17)

  1.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고, 출력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접철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입출력부 또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입력부재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및
    상기 입력부재의 입력에 따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입력부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가 더 포함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입력부재가 탈, 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부가 제공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제2센서부가 위치되고,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장착부에서 탈, 부착에 따라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입력부재의 탈,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재의 사용을 위한 상기 터치패널의 활성화 여부를 실행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에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부에 신호가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가 OFF되고 상기 출력부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널을 활성화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한 상기 입력부재의 신호를 감지하게 실행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를 상기 출력부에 접촉 또는 근접할 때,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출력부를 통한 상기 입력부재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에 감지된 신호를 상기 출력부로 표시되게 실행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입력부재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전자기유도방식(Electro Magnetic Resonance: EMR)센서를 포함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에 접철될 때, 상기 제1센서부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1센서부에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를 OFF하고, 상기 출력부를 ON하게 실행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기 설정된 내용을 표시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입출력부의 주변둘레로 상기 본체에 실장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되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케이스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전면으로 상기 출력부가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를 상기 후면 커버에서 회전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배터리 장착부가 제공되는 후면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후면 브라켓을 커버하며 상기 본체와 한 몸체가 되게 착탈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배터리 장착부가 제공되는 후면 브라켓 및 상기 후면 브라켓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후면 케이스를 커버하며 상기 본체와 별개로 제공되게 착탈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입력 및 출력을 구현하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부재;
    상기 본체에 착탈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며, 전면으로 출력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접철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입력부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의 신호 감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1센서부의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부의 신호 감지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에 접철되면 상기 제1센서부에 신호가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부의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입출력부를 OFF하고, 상기 출력부는 ON하며,
    상기 제1센서부에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부에 신호가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한 상기 입력부재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출력부로 상기 입력부재의 입력을 출력하는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입력 및 출력을 구현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개폐하며 출력부를 구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터치스크린에 접철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출력부 중 하나가 출력되며,
    상기 터치패널의 활성화 됨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의 감지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의 출력을 구현하는 장치.

KR1020130053604A 2013-05-13 2013-05-13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108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04A KR102108118B1 (ko) 2013-05-13 2013-05-13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4/257,405 US9727146B2 (en) 2013-05-13 2014-04-21 Portable terminal having cover device
CN201410200998.XA CN104158925B (zh) 2013-05-13 2014-05-13 具有盖装置的便携终端
EP14168080.1A EP2804070B1 (en) 2013-05-13 2014-05-13 Portable terminal having cov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04A KR102108118B1 (ko) 2013-05-13 2013-05-13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020A true KR20140134020A (ko) 2014-11-21
KR102108118B1 KR102108118B1 (ko) 2020-05-11

Family

ID=5097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604A KR102108118B1 (ko) 2013-05-13 2013-05-13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27146B2 (ko)
EP (1) EP2804070B1 (ko)
KR (1) KR102108118B1 (ko)
CN (1) CN1041589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674A (ko) * 2015-02-16 201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립 커버 인식 방법, 전자 장치, 및 플립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8842S1 (en) * 2013-03-29 2015-09-15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8071S1 (en) * 2013-03-29 2016-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50586S1 (en) * 2013-09-25 2016-03-01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phone
US9375874B2 (en) * 2013-12-03 2016-06-28 Htc Corporation Accessory, electronic assembly, control method, and method for forming an accessory
JP5810329B1 (ja) * 2014-05-28 2015-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決済端末装置
KR102264444B1 (ko) * 2014-09-04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2222131B1 (ko) * 2014-11-28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및 방법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7144B1 (ko) * 2016-04-26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55941A (ko) * 2016-11-16 2018-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통합 센서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1643425S (ko) * 2019-03-25 2019-10-15
EP4053671B1 (en) * 2019-11-01 2023-09-2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Device opening/closing cover detection method, touch controller and touchpa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148A (ko)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의 착탈에 따라 표시모드를 자동 전환하는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8169A (ko) * 2007-11-09 200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942340B1 (ko) * 2009-03-26 2010-02-12 최효영 휴대단말기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358A (en) * 1997-08-20 2000-11-07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electronic devices having open and closed configurations
FI114435B (fi) * 1999-04-22 2004-10-15 Nokia Oyj Kannettava viestintälaite
GB2353141B (en) * 1999-08-11 2002-12-24 Nokia Mobile Phones Ltd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creen
US6473076B1 (en) * 2000-04-05 2002-10-29 3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 handheld computing device using a stylus
US7289083B1 (en) *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US7688315B1 (en) 2000-11-30 2010-03-30 Palm, Inc. Proximity input detec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US7210046B2 (en) 2004-01-23 2007-04-24 Dell Products L.P.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power management in a stylus input enable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987963A (zh) * 2005-12-21 2007-06-2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平面显示器及其屏幕显示控制方法
KR101327581B1 (ko) * 2006-05-24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WO2007122444A1 (en) * 2006-04-21 2007-11-01 Nokia Corporation Touch sensitive display
KR100876733B1 (ko) * 2007-03-13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KR101304035B1 (ko) * 2007-08-24 201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호 커버
US20100110021A1 (en) * 2008-11-06 2010-05-06 Mitac Technology Corp.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interactive display screen and processing method for interactive displaying
KR101593409B1 (ko) * 2009-01-12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KR101578736B1 (ko) * 2009-07-07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1005452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들을 이용한 휴대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US8289115B2 (en) * 2010-09-17 2012-10-16 Apple Inc. Sensor fusion
US9335793B2 (en) 2011-01-31 2016-05-10 Apple Inc.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KR101872027B1 (ko) 2011-07-12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KR101376623B1 (ko) * 2012-02-17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425443B1 (ko) * 2012-05-09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이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148A (ko)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의 착탈에 따라 표시모드를 자동 전환하는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8169A (ko) * 2007-11-09 200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942340B1 (ko) * 2009-03-26 2010-02-12 최효영 휴대단말기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674A (ko) * 2015-02-16 201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립 커버 인식 방법, 전자 장치, 및 플립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4070B1 (en) 2018-08-08
KR102108118B1 (ko) 2020-05-11
CN104158925A (zh) 2014-11-19
CN104158925B (zh) 2019-04-12
EP2804070A1 (en) 2014-11-19
US20140333552A1 (en) 2014-11-13
US9727146B2 (en)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020A (ko)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20024169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ve ca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170659B2 (en) Mobile terminal
TWI406551B (zh) 行動式終端機
KR102105462B1 (ko) 이동 단말기
EP2315109B1 (en) Mobile terminal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04183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53349A (ko) 터치 모듈, 그 터치 모듈의 제조 방법 및 그 터치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10054482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85397A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US20150018045A1 (en) Cover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4427129A (zh)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KR20110068666A (ko)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2002172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20120015539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02366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69436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495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1949B1 (ko) 휴대 단말기
KR101771453B1 (ko) 이동 단말기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KR102045460B1 (ko) 이동 단말기
KR102007242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