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057B1 -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057B1
KR101735057B1 KR1020150088960A KR20150088960A KR101735057B1 KR 101735057 B1 KR101735057 B1 KR 101735057B1 KR 1020150088960 A KR1020150088960 A KR 1020150088960A KR 20150088960 A KR20150088960 A KR 20150088960A KR 101735057 B1 KR101735057 B1 KR 10173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motin
composition
protein
preventing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143A (ko
Inventor
김명옥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057B1/ko
Priority to PCT/KR2016/006426 priority patent/WO2016208910A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비만 모델 쥐의 혈액에서 AST, ALT, BUN 및 크레아틴 수치를 감소시키고, pAMPK, PPAR-α 및 PGC1-α 단백질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간 대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and kidney disorder comprising osmotin protein or osmotin peptid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간장 및 신장기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단독으로 발생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 각각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양 장기의 기능 장애에도 우수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에서 간(liver)은 담즙을 분비하여 소장에서의 지방의 소화 및 흡수를 돕고, 각종 영양소의 화학적 변화, 저장 및 이용 등 중간대사에 관여한다. 또한, 체외에서 유입된 독물 등의 유해물질 및 체내에 만들어진 유독물질의 산화, 환원 및 응집 등의 해독처리를 가하거나 이를 담즙에 섞어서 폐기 또는 신장으로 보내 뇨로 배설한다. 신장(kidney)은 세뇨관에서 여과 및 분비기구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유입된 노폐물 및 생체 내로 들어온 유해물질인 약물 또는 독물을 뇨로 배설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노폐물 및 약물 등에 의한 간 및 신장 각각의 단독 질환뿐만 아니라, 양 장기의 병적인 장애 또는 질환이 다발하기 쉽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양 장기의 장애 또는 질환을 동시에 치유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약제 등의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식물에서 유래된 오스모틴은 지방산 산화 조절, 글루코오스 수득, 인산화(AMP 키나아제) 및 신호 변환 경로에 관여한다. 오스모틴(24 kDa)은 당분-측정 단백질 타우마틴(sweet-testing protein thaumatin)과 상동성을 가지는 PR-5 패밀리에 포함되는 안정한 단백질이고, 효모에서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모틴은 열, 산성 및 효소에 저항성을 가지므로 소화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신체를 순환할 수 있다. 이러한 오스모틴은 동물에 존재하는 아디포넥틴과 상동체로 알려져 있는데, 아디포넥틴의 경우 일부 항-염증, 항-당뇨, 항-죽상경화 능력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오스모틴은 주로 비만이나 당뇨병과 관련된 효과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308232호에 오스모틴을 함유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알려져 있으나, 오스모틴 단백질 및 오스모틴 펩타이드가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알려진 바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효성분인 오스모틴 펩타이드가 비만 모델 쥐의 혈액에서 AST, ALT, BUN 및 크레아틴 수치를 감소시키고, 간대사를 활성화시키는 관련 단백질인 pAMPK(phospho-Adenosine Monophosphate Activated Protein Kinase(pAMPK), PPAR-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및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coactivator 1-α) 단백질의 발현량이 비만 모델 쥐에서 감소 되었으며, 오스모틴 단백질의 처리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간, 신장 단독의 기능적 장애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두 기관의 장애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OB/OB 마우스에 오스모틴 단백질을 처리한 후, 혈청 내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의 농도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DB/DB 마우스에 오스모틴 단백질을 처리한 후, 혈청 내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의 농도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고칼로리 식이법으로 과체중을 만든 모델 마우스에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혈청 내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의 농도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칼로리 식이법으로 과체중을 만든 모델 마우스를 2달간 고칼로리 식이법으로 과체중으로 만든 후, 오스모틴 단백질을 10일 간 복강 내 주사 투여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혈 중의 총콜레스테롤(A), 중성지질(B),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C)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고, 실험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이다.
도 5는 오스모틴 단백질의 처리에 따른 OB/OB 마우스 및 DB/DB 마우스의 혈청 내 BUN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오스모틴 단백질의 처리에 따른 OB/OB 마우스 및 DB/DB 마우스의 혈청 내 크레아틴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OB/OB 마우스에서 오스모틴 단백질을 투여하고, 간 조직에서의 pAMPK(A), PPARα(B) 및 PGCl-α(C)의 발현량을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C는 음성 대조군으로 정상 쥐이고, OB/OB는 양성 대조군으로 비만 모델 쥐이며, OB/OB+OS는 OB/OB 마우스의 복강 내(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P.) 150㎕의 오스모틴 단백질을 투여한 실험군이다.
도 8은 DB/DB 마우스에서 오스모틴 단백질을 투여하고, 간 조직에서의 pAMPK(A), PPARα(B) 및 PGCl-α(C)의 발현량을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C는 음성 대조군으로 정상 쥐이고, DB/DB는 양성 대조군으로 비만 모델 쥐이며, DB/DB+OS는 OB/OB 마우스의 복강 내(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P.) 150㎕의 오스모틴 단백질을 투여한 실험군이다.
본 발명은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은 식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개체에 따라 약 150 내지 25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백질로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아미노산의 구성은 상이하다.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은 식물체의 숙성한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포도 등의 과일, 재배 담배(Nicotiana tabacum), 오렌지(Citrus sinensis), 중국 해당화(Rosa roxburghii), 감자(Solanum tuberosum), 후추과(Piper colubrinum), 피마자(Ricinus communis),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등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스모틴 단백질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오스모틴 단백질은 그 기원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래된 오스모틴 단백질이 사용될 수 있고, 공지된 유전공학적 방법에 따라 인위적으로 합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이거나,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되고,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a)로부터 유도된 오스모틴 펩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AST 또는 ALT의 혈액 내 함량을 감소시키고, BUN 또는 크레아틴의 혈액 내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미노전이 효소인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는 일반적으로 30~40U/ℓ의 범위일 때, 정상적인 간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AST 및 ALT는 아스파르트산 및 알라닌으로부터 옥살로아세트산 및 피루브산을 생성하여 최종적으로 당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효소로, AST는 간, 심근, 횡문근, 신장, 뇌, 췌장, 폐, 백혈구, 적혈구 순으로 존재하며, ALT는 간에 가장 많이 존재한다. 이들 아미노전이 효소는 세포가 깨지면서 안에 틀어있는 효소가 혈액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간세포의 손상 정도에 대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AST 보다는 ALT가 '간 손상'에 대하여 보다 더 특이적이다. 간 또는 신장 기능 수치의 상승원인으로는 1) 만성 B형 간염 또는 만성 C형 간염을 포함하는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2) 알코올성 간질환, 3) 약인성 간 손상, 4) 지방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5) 자가면역성 간염, 6) 혈색소침착증, 7) 윌슨씨병 8) 비만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요소는 단백질의 대사 산물로, 탈아미노에 의해 생긴 암모니아가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간에서 요소로 전환된 후, 신장으로 이동해 배출하고, 크레아틴(creatine)은 주로 근육의 크레아틴으로부터 비효소적 탈수 반응에 의해 생산되며, 신장을 통해 배출되는데, 재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신장 기능의 이상을 감지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음료, 환, 정제(tablet), 캡슐제(capsule), 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카라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킨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이거나,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되고,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a)로부터 유도된 오스모틴 펩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는 비만에 의해 발생한 것이 특징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혈액 내 AST 또는 ALT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액 내 BUN(Blood Urea Nitrgen) 또는 크레아틴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상기 간기능 장애는 간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이상이 있는, 급성 또는 만성 간질환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알콜성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 A형 B형, 또는 C형 급성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 간섬유화 및 간경화, 독성간질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신장기능 장애는 신장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이상이 있는, 급성 또는 만성 신장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례로 약물 등에 의해 생기는 급성 신우염 및 만성 신우염,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신우염 등 사구체, 세뇨관, 루프스 등의 신장 분에 기능장애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시료]
본 발명에 사용된 오스모틴 단백질(DOI:10.2210/pdb1pcv/pdb)은 담배(Nicotiana Tabacum) 종자로부터 유래한 것을 사용하였고,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157번째 부터 165번째의 서열인 -CTQGPCGPT-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모델]
고칼로리 식이를 2달간 실시하여 과체중으로 만든 모델쥐, 렙틴(leptin) 결함이 있는 동물모델인 OB/OB 마우스와 렙틴 수용체(leptin receptor)에 결함이 있는 동물모델인 DB/DB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고칼로리 식이를 2달간 실시하여 과체중으로 만든 모델쥐 5마리, OB/OB 마우스 5마리와 DB/DB 마우스 5마리를 사용하였으며, 5㎍/g의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주사하여 실험하였다.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 대신에 염수(Saline)를 주사하였다.
[환경설정]
대조군과 실험군은 동일하게 1일 사료량을 측정하여 일일 기본 식이량이 초과하지 않도록 제공하였다.
식이 제한 기준은 고지방 식이 동물모델을 만드는 기준으로 일주일 간의 평균 식이량(케이지당 일주일 간 감소하는 평균 사료량 12.8g)의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13g의 사료를 제공하였다. 사료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일반적인 실험동물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수분보충에는 제한을 하지 않았고, 12시간 주기로 낮과 밤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약물의 투여량은 대조군은 150㎕의 염수(Saline)를 복강 내(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P.) 투여하였고, 실험군은 150㎕의 오스모틴 단백질을 복강 내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P.) 투여하였다.
약물의 투여기간은 OB/OB 마우스의 경우, 2주간 총 4회 투여하였고, DB/DB 마우스는 3주간 총 6회 투여하였다.
[혈액검사]
1) 검사항목은 간기능 검사로, 혈청 내의 AST와 ALT의 수치를 측정하고, 신장기능 검사로 BUN 및 크레아틴(Creatine) 검사를 실시하였다.
2) 혈액의 채취방법: 23gage 바늘이 부착된 5cc 주사기로 심장천공(heart puncture) 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3) 혈액의 분리방법: 채취한 전혈이 굳기 전에, SST 튜브에 담고, 3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인 혈청만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분석]
OB/OB 마우스 및 DB/DB 마우스에서 오스모틴 단백질 투여 여부에 따른, pAMPK, PPAR-α 및 PGC1-α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웨스턴 블롯 기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모델 쥐의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을 10% SDS-PAGE를 이용해서 분리하였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이동시켰다. 단백질이 이동한 멤브레인은 Tris-buffer saline/Tween 20 용액이 함유된 3% skim milk로 블로킹하고 TBS 완충용액으로 3번 세척하였다.
pAMPK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PPAR-α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및 PGC1-α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를 도포하여 항원항체반응시켰다. 면역반응성 밴드를 나타내기 위해 Horseradish perosidase-conjugated 2차 항체를 처리한 후, WEST-ZOL plus Western Blot Detection System(iNtRON Biotechnology)으로 검출하였다.
실시예 1. 간기능 검사
도 1 및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OB/OB 마우스와 DB/DB 마우스에서 오스모틴 단백질의 처리에 의해, 아미노전이 효소인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의 혈청 내 함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고칼로리 식이법으로 과체중을 만든 비만 모델 마우스에서 오스모틴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해, 아미노이 효소인 AST 및 ALT의 혈청 내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델쥐(마우스)를 2달간 고칼로리 식이법으로 과체중으로 만든 후, 5㎍/g의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50㎕의 양으로, 2일에 1회씩, 총 10일 동안 5회 복강 내 주사 투여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의 총콜레스테롤(A), 중성지질(B),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C)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감소되었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신장기능 검사
혈액(Blood) 속에 있는 요소질소(Urea Nitrogen)의 함량 및 크레아틴의 혈액 내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신장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 5 및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OB/OB 마우스와 DB/DB 마우스에 오스모틴 단백질 처리에 의해 BUN(Blood Urea Nitrogen) 및 크레아틴(creatin)의 함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간 대사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들의 발현량 확인
도 7 및 도 8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 쥐보다 비만 쥐인 OB/OB 마우스와 DB/DB 마우스에서 pAMPK, PPAR-α 및 PGC1-α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되었으며, 오스모틴 단백질의 처리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3종의 단백질은 지방산 산화(F.A-oxidation)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생체 내 합성(biogenesis)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것이다. 이들 단백질의 발현량이 정상 쥐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OB/OB 마우스와 DB/DB 마우스에 오스모틴 단백질 처리에 의해 pAMPK, PPAR-α 및 PGC1-α 단백질의 발현량이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and kidney disorder comprising osmotin protein or osmotin peptide as effective component <130> PN15118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 Cys Thr Gln Gly Pro Cys Gly Pro Thr 1 5

Claims (12)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비만에 의해 증가된 혈액 내 AST 또는 ALT의 함량 및 혈액 내 BUN 또는 크레아틴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에 의한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에 의한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 환, 정제(tablet), 캡슐제(capsule), 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에 의한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비만에 의해 증가된 혈액 내 AST 또는 ALT의 함량 및 혈액 내 BUN 또는 크레아틴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에 의한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에 의한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에 의한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50088960A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60A KR101735057B1 (ko)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6/006426 WO2016208910A1 (ko) 2015-06-23 2016-06-17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60A KR101735057B1 (ko)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43A KR20170000143A (ko) 2017-01-02
KR101735057B1 true KR101735057B1 (ko) 2017-05-12

Family

ID=5758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960A KR101735057B1 (ko)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5057B1 (ko)
WO (1) WO20162089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802A (ko) 2021-03-17 2022-09-26 고봉기 신장기능 개선용 한방 추출액 및 한방 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457A1 (ko) * 2015-12-21 2017-06-29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또는 이의 활성화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0199B1 (ko) * 2017-03-28 2019-02-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N111690666B (zh) * 2020-07-30 2023-05-05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重组thaumatin II结构基因、表达载体、生产甜蛋白的方法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141A1 (ja) 2007-04-24 2008-11-0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オスモチン組換え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232B1 (ko) * 2010-01-19 2013-11-0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4423A (ko) * 2013-12-03 2015-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141A1 (ja) 2007-04-24 2008-11-0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オスモチン組換え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siological and pathophysiological roles of adiponectin and adipnectin receptors in the integrated regulation of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제32권, S13-S1*
‘Structural and functional similarities between osmotin from Nicotiana tabacum seeds and human adiponectin’, PLOS ONE, 2011.02.02, 제6권, 제2호, e16690 (내부 페이지 1-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802A (ko) 2021-03-17 2022-09-26 고봉기 신장기능 개선용 한방 추출액 및 한방 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43A (ko) 2017-01-02
WO2016208910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60B1 (ko) 발효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5057B1 (ko)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3300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개선용 조성물
JP5799082B2 (ja) 眞黄精又は黄精抽出物の新規な用途
CA2439430C (en) Agastache rugosa extract and composition containing tilianin isolated and purified from said extract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atherogenic activity
KR101446528B1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08377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besity, containing wheatgras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18084224A1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予防用食品
KR20190046245A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3061B1 (ko)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836706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razyme for the prevention of liver dysfunction
KR101963439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27253B1 (ko)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KR102649974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29642B1 (ko)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KR20230101740A (ko)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7110A (ko) 청귤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9057B1 (ko)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20170000145A (ko)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3217764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b receptor inhibitor
KR20210155119A (ko) 풀무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