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314B1 -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314B1
KR101089314B1 KR1020100053436A KR20100053436A KR101089314B1 KR 101089314 B1 KR101089314 B1 KR 101089314B1 KR 1020100053436 A KR1020100053436 A KR 1020100053436A KR 20100053436 A KR20100053436 A KR 20100053436A KR 101089314 B1 KR101089314 B1 KR 10108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euphobiasteroid
present
euphorbia
ster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행전
권대영
양혜정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5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비만,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uphobiasteroid for prevention, treatment or improvement of obesity}
본 발명은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주로 신체 활동 및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많은 영양분을 섭취하거나 기본적인 신체활동의 부족으로 발생한 잉여의 에너지가 지방 조직에 축적하여 체지방 중량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상태를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체중의 기준이 되는 신체비만지수 (BMI, body mass index, (체중 [kg])/(키 [m])2)에 따라 정상체중은 18.5에서 25까지며 그 이상에서 30까지는 과체중, 그리고 그 이상은 비만에 속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10억 명의 인구가 과체중이나 비만 상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5년의 비만 인구(과체중+비만, BMI 25 이상)는 성인의 31.8%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1998년도 26.3%에 비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소아· 청소년 비만율은 2005년 10.2%로 1998년 6.6%에 비해 1.5배 증가하여 커다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소아 비만보다 청소년 비만의 발생율과 증가율이 더 높아 장기적으로 성년 비만과 관련 대사성질병의 발생으로 연결되어 비만으로 인한 문제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이러한 비만 및 비만 관련 대사성 질병의 증가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막대하다. 비만은 다른 질병에 비하여 의료비 비중이 높은 편으로 선진국의 경우 약 2~7%가 비만에 의해서 발생하였으며 비만으로 인한 식이조절, 운동, 비만으로 인한 생산성 저해, 삶의 질 저하 등의 간접적인 비용을 포함하면 더욱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5년 1조 8천억 원으로 1998년 1조 17억 원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1998년 기준으로 GDP의 0.25%, 전체 국민의료비의 4.9%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6).
비만은 체지방 및 지방대사의 증가를 통해서 인슐린저항성, 혈중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의 증가, 저밀도 지질 단백질 (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초저밀도지질 단백질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콜레스테롤 함량 증가, 고밀도 지질 단백질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함량의 감소 등의 생화학적인 변화를 유발하며, 이는 고지혈증, 당뇨병, 심혈관질병,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등의 대사성질병 (metabolic disease)의 직간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
비만을 연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세포와 동물 비만 모델이 있다. 세포 모델의 경우에는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호르몬 혼합물로 유도한 지방세포 분화과정을 저해하는 시료를 검색하거나, 지방세포 분화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감마(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 PPAR-γ)와 같은 전사인자의 저해제를 검색하거나, 분화 지방세포 내부에 축적된 지방질을 분해하는 시료를 검색하는 등의 방식이 있다. 그러나 세포 실험을 통해 도출한 시료가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에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동물 비만 모델의 경우에는 식욕조절 단백질인 렙틴(leptin) 또는 렙틴 수용체(leptin receptor)의 결손을 통해 자발적으로 비만이 되는 쥐와 같은 유전자 변형 쥐를 이용하거나 고지방 식이 또는 고탄수화물 식이와 같은 식이로 유발하는 식이유도 비만 모델을 이용한다. 임상적으로 비만은 대부분 식이를 통해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비율은 높지 않으므로 식이를 통해 유도되는 동물 비만 모델이 비만 연구에 있어서 가장 임상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여 생성되는 지방세포의 수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축적되는 여분의 에너지를 조절한다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는 물질들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는 물질에 대하여 예의연구한 결과,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가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저해한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천연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비만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비만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 등 비만 관련 대사성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 등 비만 관련 대사성 질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는 속수자(續隨子, Euphorbiae Lathyridis Semen)에 함유된 성분으로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0036428031-pat00001
한편, 속수자(續隨子, 학명: Euphorbiae Lathyridis Semen)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두해살이풀로, 거동, 반지연, 천금자라고 한다(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원재료데이터베이스). 속수자는 지중해와 서남아시아 원산이며 약용식물이다. 높이 1 m 내외이며 털이 없고, 자르면 진이 나오고, 짙은 녹색이며 흰 가루로 덮인다. 잎은 밑에서는 어긋나고 위에서는 마주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이 달리는 마디의 잎은 포(苞)이고 꽃같이 보이는 것은 꽃이삭이며 여름에 핀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둥글고 지름 1 cm 정도이며 3개의 능선이 있다. 한방에서는 이 종자를 속수자라고 하며, 기름을 짜고 난 찌꺼기를 이뇨제·하제·부종·복수(腹水)·월경정지 및 식중독에 사용한다. 위장에 자극작용이 강하며 피마자유보다 3배 정도의 강한 효과를 지닌다. 종자는 독성이 강하고 식물체의 즙액이 피부에 닿으면 물집이 생기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속수자는 항암, 약물저항성 개선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시중에 시판된 것을 사용하거나, 속수자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속수자로부터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천연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지고 있는 아임계 및 초임계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도 포함될 수 있다. 아임계 및 초임계 추출방법은 일반적인 추출방법보다 추출 속도가 빠르고, 추출 용매로 환경에 무해한 물질(일 예로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의 재료가 되는 속수자는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건조법으로는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속수자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체중, 지방, 간 지방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며, 비만,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비만,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포비아스테로이드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 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유포비아스테로이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효능 증진을 위해 다른 항비만 소재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유포비아스테로이드의 양을 기준으로 1 내지 50 mg이며, 하루 1~6 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비만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첨가되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약 0.01~0.04g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함유하는 약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비만, 당뇨, 동맥경화, 대사성질병, 고지혈증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가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가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 포함한다.
< 제조예 > 유포비아스테로이드의 준비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LKT Laboratories, Inc.(미국, 미네소타)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준비> 유포비아스테로이드 시료의 제조
상기 준비된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100 mmole/L의 농도로 디메틸 설폭시드(dimethylsulfoxide, DMSO)에 녹여 고농도용액을 만든 뒤, DMSO 함량이 0.1%이하가 되도록 배양액에 희석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 유포비아스테로이드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측정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가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방 전구세포인 3T3-L1 세포에 호르몬 혼합물(인슐린 10㎍/ml, 3-이소부틸-1-메틸잔틴[3-isobutyl-1-methylxanthine] 0.5 mM,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 ㎍/ml)을 배양배지에 혼합하여 처리한 뒤 이틀을 배양하고, 인슐린 10 ㎍/ml을 배양배지에 혼합하여 이틀을 배양한 뒤 마지막으로 배양배지를 이틀을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한 다음에 Oil Red O (ORO) 염색을 하여 중성지방을 정량 분석하였다.
유포비아스테로이드가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각 단계마다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6.25 ~ 50μM의 농도로 처리한 뒤 ORO 염색을 한 결과를 도 1, 2에 나타내었다.
도 1, 2에 의하면, 약 25μM의 농도에서 호르몬 혼합물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 분화를 100 %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제제예 1-1: 산제의 제조
유포비아스테로이드 50 m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1-2: 정제의 제조
유포비아스테로이드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1-3: 캡슐제의 제조
유포비아스테로이드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제예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 200 ppm을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 200 ppm을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종실류(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유포비아스테로이드 200 ppm
영지(0.5중량%),
지황(0.5중량%)
<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제제예 3-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캐러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페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3: 야채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 200 m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4: 과일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유포비아스테로이드 200 m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유포비아스테로이드(euphobiastero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포비아스테로이드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00053436A 2010-06-07 2010-06-07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8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36A KR101089314B1 (ko) 2010-06-07 2010-06-07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36A KR101089314B1 (ko) 2010-06-07 2010-06-07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314B1 true KR101089314B1 (ko) 2011-12-02

Family

ID=4550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436A KR101089314B1 (ko) 2010-06-07 2010-06-07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0752A (zh) * 2013-02-25 2013-06-05 成都大学 一种从续随子果实中快速制取大戟因子l1的方法
WO2014000313A1 (zh) * 2012-06-25 2014-01-03 广州中医药大学 一种治疗艾滋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5168A1 (en) 2000-06-07 2003-10-16 Aylward James Harrison Therapeutic agents - III
KR100613266B1 (ko) 1999-09-21 2006-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 박리 촉진제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266B1 (ko) 1999-09-21 2006-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 박리 촉진제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료
US20030195168A1 (en) 2000-06-07 2003-10-16 Aylward James Harrison Therapeutic agents - III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PHYTOTHERAPY RESEARCH
논문2:J.NAT.PR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0313A1 (zh) * 2012-06-25 2014-01-03 广州中医药大学 一种治疗艾滋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130752A (zh) * 2013-02-25 2013-06-05 成都大学 一种从续随子果实中快速制取大戟因子l1的方法
CN103130752B (zh) * 2013-02-25 2015-08-19 成都大学 一种从续随子果实中快速制取大戟因子l1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7007663B2 (ja) クロモジ抽出物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70090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302572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j. poiss. ex franch extract or fraction thereof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017389A (ko)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6649B1 (ko) 탈지 들깨분말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JP7090864B2 (ja) 組成物
KR20220092242A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07791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93045A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40890A (ko) 상황버섯균사체 발효 블루베리 추출물의 비만 억제 또는 치료 용도
KR20230101740A (ko)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791631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50807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운동수행능력 증강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