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334B1 -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334B1
KR101728334B1 KR1020150094681A KR20150094681A KR101728334B1 KR 101728334 B1 KR101728334 B1 KR 101728334B1 KR 1020150094681 A KR1020150094681 A KR 1020150094681A KR 20150094681 A KR20150094681 A KR 20150094681A KR 101728334 B1 KR101728334 B1 KR 10172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input means
input
touch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391A (ko
Inventor
주시현
이정엄
민정상
홍기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34B1/ko
Priority to US14/940,082 priority patent/US9701201B2/en
Priority to CN201510819142.5A priority patent/CN106314157A/zh
Publication of KR2017000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1Activation of instrument input devices by approaching fingers 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46Touch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7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semi-transparent optical elements
    • B60K2360/28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semi-transparent optical elements for instruments which are not visible when in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2Arrangements to cover or hide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74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the centre cons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그 조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마련되는 센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입력수단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커버부재는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장착되는 센터콘솔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입력수단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입력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 다이얼을 돌려 조작하는 다이얼 입력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접촉하거나 이에 근접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장치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들은 차량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공기 중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여 입력 장치의 작동 불량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직사광선 등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탈색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입력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수단을 외부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오염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입력수단을 노출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마련되는 센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입력수단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장착되는 센터콘솔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입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콘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암 레스트 하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콘솔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센터콘솔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선단이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접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너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결합하되,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축; 상기 커버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축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 축의 일 단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하되, 상기 커버부재 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고정핀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수용되고,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은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입력장치; 및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으로 제어하는 제어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 제어하는 제어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콘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암 레스트; 및 상기 암 레스트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암 레스트에 사용자의 팔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근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 레스트에 사용자의 팔이 거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암 레스트에 사용자의 팔이 거치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평소에는 입력수단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고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입력수단을 외부로 노출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입력수단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물이 입력수단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입력수단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수단의 오류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이 직사광선으로부터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로 하여 탈색 또는 변색을 방지하고, 복사열에 의한 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앞좌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입력수단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입력수단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입력수단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여기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 하는 자동차,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는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장치자전거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 차륜(12, 13)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16), 차량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1),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5)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후드(hood), 프런트 펜더(front fender), 루프 패널(roof panel), 도어(door), 트렁크 리드(trunk lid), 쿼터 패널(quarter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륜(12, 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16)는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1)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윈도우(side window)가 도어(14) 즉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리어 윈도우(rear window)가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미러(15)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앞좌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차량은 본체(10)의 내부에 탑승자가 앉는 시트(S1, S2), 센터 플레이트(20), 센터페시아(30) 및 스티어링 휠(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S1, S2)는 운전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 시트(S1)와 운전석 시트(S1)와 함께 본체(10) 내 전방에 위치하는 보조석 시트(S2)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3), 시계, 오디오 장치(32) 및 내비게이션 장치(3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33)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33)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3)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3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조 장치(33)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페시아(30)에는 내비게이션 장치(31)가 설치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31)는 차량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거나 대시보드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장치(31)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내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3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내비게이션 장치(31)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센터 플레이트(2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32)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2)의 조작패널에 형성된 버튼들은 라디오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미디어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두 모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들로 나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2)는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스피커(34, 36, 61, 62)를 통해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스피커는 운전석 시트(S1)의 좌측 도어에 마련되는 스피커(34)와, 보조석 시트(S2)의 우측 도어에 마련되는 스피커(35)와, 뒷자석에 마련되는 스피커(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4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41)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42)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40)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시보드는 차량의 운행중 운전자에게 차량속도, 주행거리, 엔진회전수, 주유량, 냉각수온도, 각종 경고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 등을 알려주는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센터 플레이트(20)에 장착되는 입력수단(200)과 필요에 따라 입력수단(200)을 덮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20)는 운전석 시트(S1)와 보조석 시트(S2) 사이에 마련되며, 전방은 센터페시아(30)와 연결되고, 후방은 센터콘솔(50)과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센터 플레이트(20)와 센터콘솔(50)이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분리되어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센터 플레이트(2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변속 기어(21) 및 변속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이 설치 또는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장치(31)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수단들이 설치될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20)는 다양한 입력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20)에는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수단(22)들이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버튼 입력수단(22)들은 내비게이션 장치(31), 오디오 장치(32), 또는 공조 장치(33) 등을 실행하거나 세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미려한 디자인과 통일된 조작을 위해 하나의 입력수단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수단은 다이얼 입력수단 또는 터치 입력수단(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입력수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회전 조작이 가능한 노브(knob)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고, 터치 입력수단(200)은 상부면에 터치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 입력수단 또는 터치 입력수단(200)의 주변에 이들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별도의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버튼 입력수단(22)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이얼 입력수단 또는 터치 입력수단(200)은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장치들과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장치들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센터 플레이트(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HUD(Head Up Display) 장치 또는 백미러 등과 접속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움직이거나 또는 아이콘(Icon)을 실행할 수 있다. 아이콘(Ion)은 메인 메뉴, 선택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을 통해 내비게이션 장치(31)를 동작하거나,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주변 기기들을 실행할 수 있다.
센터콘솔(50)은 센터 플레이트(20)의 후방에 마련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콘솔(50)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팔을 내려 놓을 수 있는 암 레스트(5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자는 암 레스트(51)에 팔을 지지한 채로 변속 기어(21)를 조작하거나, 버튼 입력수단(22)을 누르거나, 다이얼 입력수단 또는 터치 입력수단(200)을 조작할 수 있다.
암 레스트(51)는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푹신하거나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급스러운 외관을 위해 표면은 가죽으로 마감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는 차량 내의 뒷자석 센터 플레이트(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뒷자석 센터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 뒷자석 좌측 시트(미도시)와 우측 시트(미도시)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컵 홀더 또는 다양한 버튼 등의 입력수단들이 마련되어 뒷자석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입력수단(200)을 덮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센터 플레이트(2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수단(200)의 후방에서 앞으로 이동하면서 입력수단(200)을 덮거나, 반대로 입력수단(200)의 전방에서 뒤로 이동하면서 입력수단(200)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00)는 센터콘솔(50) 내부에 수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터콘솔(50)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수납 공간이 마련된다. 일 예로, 암 레스트(51)를 개방하면 수납 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센터콘솔(50)에 커버부재(10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52)을 마련하고, 센터콘솔(50)의 전방에는 커버부재(100)가 전후진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53)가 형성되어 위 공간(5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00)는 입력수단(2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센터콘솔(50) 내부 공간(52)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입력수단(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입력수단(20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20)는 커버부재(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일(23)은 커버부재(100)의 양 측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커버부재(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20)는 커버부재(100)의 선단과 밀착하여 입력수단(200)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는 밀폐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양 측부는 레일(23)과 밀착하여 밀폐되고, 선단은 밀폐부(24)와 밀착하여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등의 외부 오염물이 입력수단(200)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00)의 구동 모습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200)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200)은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인식하는 터치부(210, 220)와,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230)를 포함한다.
터치부(210, 22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210, 220)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테두리부(230)는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210, 22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230)에는 터치부(210, 220)를 둘러싸는 키 버튼(232a, 232b) 또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부(210, 220)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부(210, 220) 주위의 테두리부(230)에 마련되는 버튼(231, 232)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20)은 테두리부(2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손목 지지수단(240)은 터치부(210, 22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목 지지수단(240)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부(210, 220)에 제스처를 입력할 때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부(210, 220)의 터치면이 터치부(210, 220)와 테두리부(23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면이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의 영역 및 경계를 촉감에 의해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스처는 터치부(210, 220)의 중앙 부분에서 이루어질 때 인식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비슷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라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스처를 입력한다면 서로 다른 명령으로 인식될 위험이 존재한다. 문제는 사용자가 터치 영역에 시선을 두지 않은 채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외부 상황에 집중하는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 촉감에 의해 직관적으로 터치 영역 및 경계를 인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된다.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한 형상은 요입(凹入) 또는 함몰된 형상을 의미하며,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의 곡면부(210)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으로 제공된다. 한편, 터치부의 곡면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의 곡률은 작고(곡률반경이 큰 것을 의미), 외곽부의 곡률은 크게(곡률반경이 작은 것을 의미)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입력수단(20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터치부(210, 220)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제스처를 입력할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또는 조작감)이 상승할 수 있다. 곡면부(210)의 곡면 형상은 사람이 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핀 채로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그리는 궤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면 터치부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터치부(210, 220)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목 등에 가해지는 피로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부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감으로 원형 터치부(210, 220)의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링 또는 스핀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210, 22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터치부(210, 220)의 어느 지점에서도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210, 22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 이외의 곳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부(210, 22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손가락이 터치부(210, 22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곡면으로 마련되는 터치부(210, 220)에 사용되는 터치패드는 광학 방식을 사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곡면의 터치부(210, 220) 후면에 적외선 엘이디(IR LED) 및 포토다이오드 층(Photodiode array)을 배치할 수 있다. 적외선 엘이디와 포토다이오드가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이미지를 확보하고, 제어부는 확보된 이미지에서 터치점을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터치부(210, 220)의 직경과 깊이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의 직경은 51mm 내지 80mm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성인의 평균적인 손가락 길이를 고려할 때, 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한 번에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80mm 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의 직경이 80mm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서 원을 그리는 경우 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필요 이상으로 손목을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터치부(210, 220)의 직경이 51mm 보다 작아지는 경우 터치 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의 다양성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좁은 영역에서 제스처가 그려지게 되어 제스처의 입력 오류가 증가한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구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은 0.04 내지 0.1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의 깊이를 직경으로 나눈 값은 터치부(210, 220)의 곡면이 굽은 정도를 의미한다. 즉, 같은 직경의 터치부(210, 220)에서 깊이/직경의 값이 클수록 더 오목한 형상을 갖게 되고, 반대로 깊이/직경의 값이 작을수록 더 평편한 형상을 갖게 된다.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 값이 0.1 보다 커지는 경우, 오목한 형상의 곡률이 커지게 되어 오히려 사용자의 터치감이 불편해진다. 터치부(210, 220)의 오목한 형상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손가락 움직임에서 손가락 끝이 그리는 곡선의 곡률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깊이/직경 값이 0.1을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 곡면을 따라 손가락을 움직였을 때 손가락에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인위적인 조작감이 느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무의식 적으로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에는 곡면과 손가락 끝 사이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처의 터치가 끊어지게 되어 인식 오류가 발생한다.
반대로 터치부(210, 220)의 깊이가 너무 낮으면 사용자가 평면부와 비교하여 곡면부가 가지는 이점을 느끼기 어렵다.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 값이 0.04 보다 작아지면 사용자가 평면 터치부에서 제스처를 그리는 것과 비교하여 조작감의 차이를 느끼기 힘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곡면부(210)의 외곽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경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곡면부(210)는 구면의 일부 형상을 할 수 있고, 경사부(220)는 곡면부(210)의 원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곡면부(210)는 제스처 입력부로서, 그리고 경사부(220)는 스와이핑 입력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곡면부(210)를 제스처 입력부(210)로, 그리고 경사부(220)를 스위이핑 입력부(220)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따라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스와이핑 제스처가 입력되는 시점과 종점이 달라짐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제스처 입력부(2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입력되는 스와이핑 제스처와 제스처 입력부(2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입력되는 스와이핑 제스처는 서로 다른 동작을 야기시킬 수 있다.
한편, 같은 지점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여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제스처의 종점이 달라지는 경우,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는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탭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탭 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이나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눈금(2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221)들은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상대적인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눈금(221)들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눈금(22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와이핑 동작 도중에 손가락이 지나가는 눈금(221)의 개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스와이핑 제스처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와이핑 제스처에서 손가락이 지나가는 눈금(221)의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가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선택 문자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스와이핑 동작을 하면서 하나의 눈금(221)을 지날 때 마다 선택되는 문자가 한 칸씩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경사도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와 제스처 입력부(210)가 만나는 경계에서의 제스처 입력부(210)의 접선방향 경사도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부(210)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경사도가 제스처 입력부(210) 보다 더 급하게 제공됨으로써 제스처 입력부(210)의 터치 영역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한편, 제스처 입력부(210)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도중에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스처 입력부(21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도중에 스와이핑 입력부(220)와의 경계에 이르더라도, 제스처 입력부(210)의 제스처 입력과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스와이핑 제스처 입력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터치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하나의 터치센서가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가 제스처 입력부(210) 터치영역과 스와이핑 입력부(220) 터치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제스처 입력부(210)의 제스처 입력신호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제스처 입력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입력수단은 버튼 입력수단(231, 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입력수단(231, 232)은 터치부(210, 22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스처를 입력하면서도 손의 위치를 바꾸지 않은 채 버튼(231, 232)을 동작할 수 있어 신속한 동작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버튼 입력수단(231, 232)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 또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하면서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압 버튼(232a, 232b)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이 사용되는 경우 버튼 입력수단(231, 232)에도 터치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 버튼(232a, 232b)은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면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면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압 버튼(232a, 232b)을 당기거나 밀면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버튼(232a, 232b)을 미는 경우와 당기는 경우에 서로 다른 신호가 입력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5개의 버튼(231, 232)이 도시되어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버튼(231, 232)은 홈(Home) 메뉴로 이동하는 홈 버튼(231a)과, 현재 화면에서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뒤로가기(Back) 버튼(231b)과, 옵션(Option) 메뉴로 이동하는 옵션 버튼(231c)과, 2개의 바로가기 버튼(232a, 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바로가기 버튼(232a, 232b)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 또는 디바이스를 지정하여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수단(231, 232)은 상부와 양 측부에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을 위치하고, 각각의 터치 버튼(231a, 231b, 231c) 사이에 가압 버튼(232a, 232b)을 위치하였다. 이처럼 인접하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 사이에 가압 버튼(232a, 232b)이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와 다르게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을 동작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력수단은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입력수단 내부에는 터치부(210, 220)가 전술한 다섯 가지 방향(d1 내지 d5)으로 눌러지거나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반도체칩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입력수단에 가해지는 외력, 터치부(210, 220)에서 인식되는 제스처, 또는 입력수단에 마련되는 버튼(231, 232)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타 장치의 제어부나 디스플레이부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200)은 터치부(210, 220)에 입력되는 제스처를 인식하고, 제스처를 분석하여 다양한 기기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포인터가 터치부(210, 220) 상에서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Cursor) 또는 메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포인터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커서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예비 선택된 메뉴를 상부 메뉴에서 하부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포인터가 이동하는 궤적을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제스처에 대응시키고, 대응되는 제스처에 정의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스처는 포인터가 플리킹(Flicking), 롤링(Rolling), 스핀(Spin), 또는 탭(Tap) 동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플리킹은 포인터가 터치부(210, 2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 후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롤링은 터치부(210, 2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스핀은 터치부(210, 2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탭은 터치부(210, 220)를 두드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은 두 개의 포인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에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싱글 포인터 입력 방식과 제스처를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명령이나 지시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그려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한글의 자음/모음,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또는 사칙연산 기호 등을 그릴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는 누름 동작 또는 기울어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부(210, 220)에 압력을 가하여 터치부(210, 220)의 일 부분을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그에 따른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 동작은 터치부(210, 220)가 평행하게 눌려지는 경우와 기울어지게 눌려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플렉서블하게 마련되는 경우 일 부분만이 눌려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의 중심 부분(d5)을 누르는 경우 터치부(210, 220)가 평행 상태로 눌러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수단(200)을 가압하여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의 중심 부분(d5)을 누르는 경우 메뉴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의 상부(d1)를 누르는 경우 커서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입력수단(200)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므로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노출이 지속됨에 따라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200)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므로, 터치부(210, 220)에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쉽게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230)에 마련된 버튼(221) 사이, 터치부(210, 220)와 테두리부(230)의 경계 등의 공간에도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입력수단(2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입력수단(200)의 오염 방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수단(200)을 조작할 필요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에 시동을 켜지 않은 경우에는 커버부재(100)가 입력수단(20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이물질이 입력수단(20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수단(200)을 조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에 시동을 킨 않은 경우에는 커버부재(100)가 입력수단(200)을 개방하도록 이동하여 사용자가 입력수단(200)을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는 차량의 시동을 켜기 위한 시동부(60)이다. 도면에는 스마트 시동키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키(key)를 삽입하여 돌리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0)와, 구동부(12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21)와, 스크류(121)와 결합하여 병진 이동하는 너트부재(122)를 포함한다.
구동부(120)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20)인 모터는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스크류(121)는 구동부(120)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구동부(12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너트부재(122)는 스크류(121)와 결합하여 구동부(120)의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너트부재(122)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어, 스크류(121)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스크류(121)의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너트부재(122)는 스크류(121)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스크류(121)의 외경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너트부재(122)의 내경에 형성되는 나사산(또는 나사골) 사이에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볼(ball)이 개재되어 스크류(121)의 회전력 손실을 최소로 하여 너트부재(122)에 전달할 수 있다.
너트부재(122)의 일 측에는 커버부재(11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10)는 너트부재(122)의 이동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너트부재(122)는 움직임 범위가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너트부재(122)의 일 측 이동범위는 스크류(121)의 후단에 마련되는 제1 걸림부(121a)에 지지되고, 타 측 이동범위는 스크류(121)의 후단에 마련되는 제2 걸림부(121b)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 구동부(120)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12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부재(12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11과 같이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도 11의 상태에서 구동부(120)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12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부재(12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10과 같이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덮게 된다.
한편, 앞에서 입력수단(200)의 전방에 밀폐부(24)가 마련될 수 있음을 설명한 바 있다. 도면에는 입력수단(200)가 장착되는 장착면(25)이 변속 기어(21)가 장착되는 장착면(26)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두 장착면(25, 26) 사이에 단차가 마련되고, 밀폐부(24)는 단차에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다만, 이와 달리 입력수단(200)와 변속 기어(21)가 동일 평면 상에 설치되고, 입력수단(200) 전방에 밀폐부(24)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등을 포함한다.
밀폐부(24)는 커버부재(110)의 선단이 삽입되는 밀폐홈(24a)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는 밀폐홈(24a)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외부의 오염물이 입력수단(2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와, 구동부(1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31)와, 피니언 기어(131)와 기어 결합하여 병진 이동하는 랙 기어(132)를 포함한다.
구동부(130)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30)인 모터는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31)는 구동부(130)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구동부(1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랙 기어(132)는 피니언 기어(131)와 결합하여 구동부(130)의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랙 기어(132)는 병진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에 지지되어 피니언 기어(131)의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로, 랙 기어(132)는 커버부재(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10)는 랙 기어(132)의 이동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면, 구동부(130)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13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 기어(13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구동부(130)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13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 기어(13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덮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0)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동부재(14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재(141)는 가이드축(142)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부재(141)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축(142)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가이드축(14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부재(141)는 커버부재(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10)는 이동부재(141)의 이동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이동부재(141)는 움직임 범위가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40)의 일 측은 가이드축(142)의 후단에 마련되는 제1 걸림부(142a)에 지지되고, 타 측은 이동부재(141)의 후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41)의 전방 이동은 가이드축(142)의 전단에 마련되는 제2 걸림부(142b)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141) 또는 커버부재(110)의 일 측에는 고정핀(143)이 연결되고, 제1 걸림부(142a)의 일 측에는 고정핀 걸림부재(144)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핀(143)이 고정핀 걸림부재(144)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이동부재(141)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재(110)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하는 구성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들을 적용하여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면,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이동부재(141)는 탄성부재(14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입력수단(200)를 덮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사용자가 커버부재(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손잡이(145)를 당기는 등의 동작으로 외력을 제공하면, 이동부재(141)가 가이드축(14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개방하게 된다. 커버부재(110)가 최대로 이동하여 커버부재(110)의 후단에 돌출되는 고정핀(143)이 고정핀 걸림부재(144)에 수용되면, 걸림 구조에 의해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고정핀(143)을 고정하고 있는 걸림 구조를 해제하는 경우, 탄성부재(14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14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200)를 덮게 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1)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300)인 다이얼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300)은 몸체(303)와, 몸체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다이얼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부(301)의 외측면을 쥔 상태에서 돌리는 동작에 의해 회전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수단(300)의 몸체(303)는 소정의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방향(시계 방향 및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입력수단(300)은 몸체(30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입력수단(300)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부(301)를 회전시키거나 입력수단(300)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300)은 상면에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터치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수단(300)의 터치부(302)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부(302)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수단(300)은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입력수단(300) 내부에는 입력수단(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각 종 부품, 일례로 베어링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축 부재는 입력수단(300)을 전술한 네 가지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모터(미도시)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300)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입력수단(300)의 움직임 또는 입력수단(300)에 형성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나 디스플레이부 등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입력수단(300)은 필요한 경우에만 팝-업(Pop-Up)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수단(300)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 입력수단(300)은 센터 플레이트(20)에 매립된 상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도 1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수단(300)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수단(300)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다이얼부(301)가 센터 플레이트(20) 상에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이얼부(30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수단(300)이 팝-업되지 않고 센터 플레이트(20)에 매립된 상태에서 터치부(302)에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300)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10)와, 구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311)와, 스크류(311)와 결합하여 병진 이동하는 너트부재(312)를 포함한다.
구동부(310)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10)인 모터는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스크류(311)는 구동부(310)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구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너트부재(312)는 스크류(311)와 결합하여 구동부(310)의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너트부재(312)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어, 스크류(311)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스크류(311)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너트부재(312)는 스크류(311)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스크류(311)의 외경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너트부재(312)의 내경에 형성되는 나사산(또는 나사골) 사이에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볼(ball)이 개재되어 스크류(311)의 회전력 손실을 최소로 하여 너트부재(312)에 전달할 수 있다.
너트부재(312)의 일 측에는 입력수단(300)의 몸체(303)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303)는 너트부재(312)의 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도 17의 상태에서 구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31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부재(31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18과 같이 몸체(303)가 장착면(25) 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출된 다이얼부(30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18의 상태에서 구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31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부재(31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17과 같이 몸체(303)가 장착면(25)에 수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300)은 몸체(303)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면의 높이가 커버부재(110) 보다 높고, 몸체(303)가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면의 높이가 커버부재(110) 보다 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10)가 입력수단(300)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몸체(303)가 상방으로 이동한다면 커버부재(110)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303)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커버부재(11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입력수단(300)을 개방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의 동작 모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수단(3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몸체(303)는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로 유지되고, 커버부재(110)는 입력수단(30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외부 오염물질 등이 입력수단(300)에 쌓이거나 틈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수단(3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부재(11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입력수단(300)의 상부를 노출시킨다. 이 때, 커버부재(110)의 구동에 대하여는 도 10과 도 11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커버부재(110)가 후방으로 이동한 후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입력수단(300)이 상승한다. 입력수단(300)의 상승이 완료되면, 입력수단(30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터치부(302)가 커버부재(110) 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300)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20)와, 구동부(32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321)와, 피니언 기어(321)와 기어 결합하여 병진 이동하는 랙 기어(322)를 포함한다.
구동부(320)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20)인 모터는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321)는 구동부(320)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구동부(32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랙 기어(322)는 피니언 기어(321)와 결합하여 구동부(320)의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랙 기어(322)는 병진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에 지지되어 피니언 기어(321)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로, 랙 기어(322)는 몸체(303)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수단(300)은 랙 기어(322)의 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면, 구동부(320)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32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 기어(32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몸체(303)가 장착면(25) 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출된 다이얼부(30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구동부(320)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32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 기어(32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몸체(303)가 장착면(25)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커버부재(11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커버부재(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부재(110)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부재(110)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장치(200)로 제어하는 제어 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부재(110)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입력장치(200)로 제어하는 제어 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부재(110)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AVN 장치(네비게이션 장치와 오디오 장치를 포함)로 제어하는 제어 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부재(110)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AVN 장치로 제어하는 제어 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부재(110)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암 레스트(51) 주위에는 암 레스트(51)에 사용자의 팔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근거리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근거리 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해 커버부재(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암 레스트(51)에 사용자의 팔이 거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사용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커버부재(110)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암 레스트(51)에 사용자의 팔이 거치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커버부재(110)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센터 플레이트 21: 변속 기어
22: 버튼 입력수단 23: 레일
24: 밀폐부 50: 센터콘솔
51: 암 레스트 100: 차량용 입력장치
110: 커버부재 120: 구동부
121: 스크류 122: 너트부재
130: 구동부 131: 피니언 기어
132: 랙 기어 140: 탄성부재
141: 이동부재 142: 가이드축
143: 고정핀 144: 고정핀 걸림부재
200: 입력수단 300: 입력수단
301: 다이얼부 302: 터치부
303: 몸체 310: 구동부
311: 스크류 312: 너트부재
320: 구동부 321: 피니언 기어
322: 랙 기어

Claims (16)

  1.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마련되는 센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입력수단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축;
    상기 커버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축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장착되는 센터콘솔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콘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암 레스트 하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장착되는 센터콘솔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콘솔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센터콘솔 내부에 수납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센터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안내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변속 기어(21)가 장착되는 제1 장착면(26) 상면에서 요입되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장착면(25)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선단이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제1 장착면(26)과 제2 장착면(25)을 연결하는 밀폐부(24)에 접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결합하되,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은 일 단에 마련되는 제1 걸림부와, 타 단에 마련되어 이동부재의 이동 한계를 정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 측과 상기 가이드 축의 제1 걸림부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하되, 상기 커버부재 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고정핀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수용되고,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 및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차량.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으로 제어하는 제어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 제어하는 제어대상의 시스템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차량.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터 플레이트의 후방에 장착되는 센터콘솔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센터콘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암 레스트; 및
    상기 암 레스트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암 레스트에 사용자의 팔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근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 레스트에 사용자의 팔이 거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암 레스트에 사용자의 팔이 거치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차량.
KR1020150094681A 2015-07-02 2015-07-02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81A KR101728334B1 (ko) 2015-07-02 2015-07-02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4/940,082 US9701201B2 (en) 2015-07-02 2015-11-12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1510819142.5A CN106314157A (zh) 2015-07-02 2015-11-23 用于车辆的输入装置及包括该输入装置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81A KR101728334B1 (ko) 2015-07-02 2015-07-02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91A KR20170004391A (ko) 2017-01-11
KR101728334B1 true KR101728334B1 (ko) 2017-04-20

Family

ID=5768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81A KR101728334B1 (ko) 2015-07-02 2015-07-02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01201B2 (ko)
KR (1) KR101728334B1 (ko)
CN (1) CN1063141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032B (en) * 2016-02-05 2020-05-20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human interface assembly
JP6437992B2 (ja) * 2016-12-20 2018-12-12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車両用操作部構造
CN107102731A (zh) * 2017-03-31 2017-08-29 斑马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车辆的手势控制方法及其***
KR102362697B1 (ko) * 2017-06-30 2022-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82991B1 (ko) * 2018-09-27 2023-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력장치
CN109606226A (zh) * 2018-12-05 2019-04-12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扶手箱和具有其的车辆
JP6886482B2 (ja) * 2019-03-12 2021-06-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GB2586855B (en) * 2019-09-06 2023-12-20 Bae Systems Plc User-vehicle interface
WO2021044120A1 (en) * 2019-09-06 2021-03-11 Bae Systems Plc User-vehicle interface
DE102020000729A1 (de) * 2020-02-04 2021-08-05 Man Truck & Bus Se Anordnung einer Handballenauflage und eines Bedienelements für ein Fahrzeug
JP2022098832A (ja) * 2020-12-22 2022-07-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センターコンソール構造
US11964600B2 (en) * 2022-02-07 2024-04-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a removable armrest and method
WO2024064401A2 (en) * 2022-09-24 2024-03-28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input mechanis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0542A (ja) 2007-05-23 2008-12-04 Inoac Corp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
JP2010215194A (ja) * 2009-03-19 2010-09-30 Hyundai Motor Co Ltd 車載機器の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4661B2 (en) 2001-02-01 2003-05-20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torable shifter with electronic gear shift reset
US6921118B2 (en) * 2002-04-22 2005-07-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liding and nesting console system
JP3854597B2 (ja) * 2003-10-16 2006-12-0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センターコンソール及びレール部材の取付方法
US6942267B1 (en) * 2004-03-01 2005-09-13 Lear Corporation Multi-purpose object holder with selectable sizes
US8376435B2 (en) * 2005-08-04 2013-02-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figurable seating and console system
US7475954B1 (en) * 2005-10-12 2009-01-13 May & Scofield Llc Tambour closure
US7537287B2 (en) * 2005-11-23 2009-05-26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Sliding armrest
US7445261B2 (en) * 2005-12-29 2008-11-04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PL2010414T3 (pl) * 2006-04-20 2013-12-31 Johnson Controls Tech Co System zaczepowy dla ruchomego panelu w pojeździe
US7287795B1 (en) * 2006-04-21 2007-10-30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storage structure
US7416235B2 (en) * 2006-08-30 2008-08-26 Chrysler Llc Dual sliding center console
EP2086793B1 (en) * 2006-11-21 2016-05-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lexible interior component
PL2106357T3 (pl) * 2007-01-04 2012-02-29 Johnson Controls Tech Co Zintegrowana, miękka, środkowa konsola podłogowa
US8573665B2 (en) * 2007-11-20 2013-1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ransparent/translucent flexible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US7954871B2 (en) * 2007-11-20 2011-06-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ransparent/translucent flexible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DE102008019867B4 (de) * 2008-04-16 2012-12-2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taufach
US8540297B2 (en) * 2008-09-15 2013-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ipulating center console components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US7770954B2 (en) * 2008-09-23 2010-08-10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20100078954A1 (en) * 2008-09-30 2010-04-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Console
US8100454B2 (en) * 2008-12-22 2012-01-24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C-shaped console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CA2807848C (en) 2010-09-10 2019-10-01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Integrated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8641120B2 (en) * 2011-11-29 2014-02-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US8919847B2 (en) * 2012-10-02 2014-12-30 Chrysler Group Llc Deployable center console
KR101439137B1 (ko) 2012-12-13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US8939491B2 (en) * 2013-01-16 2015-0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e container holder assembly
US8714613B1 (en) * 2013-01-16 2014-05-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enter console and tray assembly
WO2014148853A1 (ko) * 2013-03-20 2014-09-25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장치
KR20150032079A (ko)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대창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203372073U (zh) * 2013-07-03 2014-01-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控制组件及汽车
KR101488325B1 (ko) 2013-08-21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팝업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US9387808B2 (en) * 2014-04-15 2016-07-12 Honda Motor Co., Ltd. Removable media tray assembly and method
US9156407B1 (en) * 2014-09-17 2015-10-13 Honda Motor Co., Ltd. Vehicular storag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0542A (ja) 2007-05-23 2008-12-04 Inoac Corp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
JP2010215194A (ja) * 2009-03-19 2010-09-30 Hyundai Motor Co Ltd 車載機器の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14157A (zh) 2017-01-11
KR20170004391A (ko) 2017-01-11
US9701201B2 (en) 2017-07-11
US20170001521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334B1 (ko)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146386B2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65554B1 (ko)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665269B2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US10802701B2 (en)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US20160378200A1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1987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60137064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KR101619893B1 (ko)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80081452A1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26359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211305B1 (ko) 다이얼 조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6929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7809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4736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9011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8199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