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474B1 -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474B1
KR101718474B1 KR1020150058835A KR20150058835A KR101718474B1 KR 101718474 B1 KR101718474 B1 KR 101718474B1 KR 1020150058835 A KR1020150058835 A KR 1020150058835A KR 20150058835 A KR20150058835 A KR 20150058835A KR 101718474 B1 KR101718474 B1 KR 10171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loading
slide
sampl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432A (ko
Inventor
강지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474B1/ko
Priority to PCT/KR2015/004322 priority patent/WO2016175353A1/ko
Publication of KR2016012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3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with a stepwise downward movement of the sta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4Microscope slides, e.g. mounting specimens on microscope sl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슬라이드를 버킷에 적재하여 운반 및 보관함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검체슬라이드를 기구적으로 이송하므로 오염을 방지하고 공수를 줄일 수 있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안착되는 검체슬라이드(10)를 이송시키는 콘베이어(110)와, 콘베이어(110)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는 검체슬라이드(1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적재수단(130)과, 적재수단(130)에 검체슬라이드(10)가 적재되면 검체슬라이드(10)를 밀어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150)와, 푸셔(150)에 의해 이동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버킷(1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GLASS SLIDE BUCKET MANAGEMENT AND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슬라이드를 버킷에 적재하여 운반 및 보관함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검체슬라이드를 기구적으로 이송하므로 오염을 방지하고 공수를 줄일 수 있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체슬라이드는 환자나 건강검진을 위한 내원한 수검자의 혈액이나 조직 등을 보관하는 슬라이드로서 주로 유리(glass)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체슬라이드는 일시적으로 의사에 의해서 검진의 자료로 이용되고 폐기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검체슬라이드를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불출해야 한다.
특히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검체의 변화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반드시 검체슬라이드의 불출 및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종래의 검체슬라이드의 불출 및 보관을 위한 시스템으로는 검체슬라이드를 채취한 후 트레이에 행과 열을 맞추어 정렬하고, 이 때 정렬된 각 검체슬라이드에는 불출의 편리함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식별을 위한 고유의 기호나 번호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고유의 기호나 번호를 부여받은 검체슬라이드는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도 1과 같은 캐비닛에 검체슬라이드를 순차적으로 적재한 후 원내에 보관한다.
하지만 병상수가 많아지게 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으로는 검체슬라이드를 보관할 경우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수작업으로 검체슬라이드를 보관하므로 검체슬라이드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실1992-019435호(1992.10.09.)가 출원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검체슬라이드를 버킷에 적재하여 더 높이 보관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검체슬라이드를 기구적으로 버킷에 적재하여 보관하므로 검체슬라이드의 오염을 방지하고 공수를 절약할 수 있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검체슬라이드를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와, 콘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는 검체슬라이드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적재수단과, 적재수단에 검체슬라이드가 적재되면 검체슬라이드를 밀어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와, 푸셔에 의해 이동된 검체슬라이드가 삽입되는 버킷을 포함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은 버킷에 검체슬라이드를 적재하여 더 높이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검체슬라이드를 기구적으로 보관하므로 수작업에 의한 검체슬라이드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검체슬라이드에 형성된 복수개의 흡착구가 독립적으로 계폐되므로 검체슬라이드가 위치하지 않은 트레이 부분과 대응하는 흡착구의 진공을 해제시켜 흡착구에 트레이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흡착구에 트레이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트레이의 흡착으로 인한 트레이 정렬의 흐트러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킷의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버킷을 전도시키는 전도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버킷의 이동시 검체슬라이드가 버킷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수단은 측면판에 여닫이문이 설치되므로 검체슬라이드가 버킷의 내부로 진입하는 동안 흐트러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실린더가 설치되는 베이스가 푸셔의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서 적재수단과 버킷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검체슬라이드를 버킷에 삽입하는 동안 검체슬라이드가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검체슬라이드를 삽입할 수 있는 버킷의 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므로 많은 분량의 검체슬라이드를 한 번에 이동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검체슬라이드를 이송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적재수단에 검체슬라이드가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여 구동실린더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시키면서 검체슬라이드를 적재하므로 검체슬라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검체슬라이드를 보관하는 캐비닛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검체슬라이드와 트레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이 설치된 검체슬라이드 보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로봇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콘베이어, 적재수단 및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재수단의 여닫이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도수단과 반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재캐비닛의 내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킷적재/배출부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킷적재/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적재캐비닛으로 버킷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버킷안착부에 버킷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버킷안착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버킷적재/배출부에 의해 버킷이 적재캐비닛에 적재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버킷적재/배출부가 반전된 상태로 버킷을 적재캐비닛에 적재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슬라이드(10)는 사각의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검체정보(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검체(12)가 구비된다. 이러한, 검체슬라이드(10)는 현미경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검체정보(11)는 피험자의 성명, 성별, 나이, 병력 및 검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문자나 숫자 또는 1차원코드 또는 2차원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차원코드는 바코드이고, 2차원코드는 QR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맥시코드이다. 검체정보(11)는 검체(12)의 종류와 검체(12)의 획득시간일 수 있다. 검체(12)는 피험자의 신체 중에서 발췌한 신체의 조직인 것으로, 피부나 내장 등의 조직일 수 있다. 그리고, 검체정보(11)는 검체슬라이드(10)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에 인쇄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20)는 검체슬라이드(10)가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홈(21)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100)은 안착되는 검체슬라이드(10)를 이송시키는 콘베이어(110)와, 트레이에 수용된 검체슬라이드(10)를 콘베이어(110)로 이동시키는 로봇암(120)과, 콘베이어(110)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는 검체슬라이드(1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적재수단(130)과, 콘베이어(110)의 하측 전방에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검체슬라이드(10)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140)와, 적재수단(130)에 검체슬라이드(10)가 적재되면 검체슬라이드(10)를 밀어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150)와, 푸셔(150)에 의해 이동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버킷(160)과,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버킷(160)의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버킷(160)을 전도시키는 전도수단(170)과, 전도수단(170)에 의해 전도된 버킷(160)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수단(180)을 포함한다.
콘베이어(110)는 검체슬라이드(10)가 이송되는 벨트콘베이어로서 검체슬라이드(10)가 열을 지어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콘베이어(110)는 검체슬라이드(10)의 안착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봇암(120)은 트레이에 수용된 검체슬라이드(10)를 콘베이어(110)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검체슬라이드(10)가 수용된 트레이는 이송콘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대기중에 있다. 따라서 로봇암(120)은 이 대기중인 트레이에 수용된 검체슬라이드(10)를 흡착하여 콘베이어(110)로 이송하게 된다. 로봇암(120)은 적어도 2차원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차원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봇암(120)은 X축 가이드레일(124)과 Y축 가이드레일(126)을 이용하여 적어도 2차원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로봇암(120)은 작업장의 레이아웃에 따라 검체슬라이드(10)의 다양한 배열이 가능하도록 연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봇암(120)은 복수의 흡착구(122)가 형성되어 있고, 각 흡착구(122)에 부압이 인가되어 검체슬라이드(10)를 흡착하게 된다. 이 때 흡착구(122)는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진공이 인가되는 공급라인 상에 별도의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가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흡착구(122)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트레이의 검체슬라이드(10)가 수용된 부분에 대응하는 흡착구(122)의 솔레노이드밸브만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검체슬라이드(10)가 위치하지 않은 트레이의 흡착으로 인해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재수단(130)은 콘베이어(110)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는 검체슬라이드(10)가 안착판(132)에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적재수단(130)은 베이스(135)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실린더(134)와, 구동실린더(134)의 단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안착판(132)과, 안착판(132)의 양측에 검체슬라이드(10)가 정렬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측면판(136)과, 측면판(136)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39)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여닫이문(138)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실린더(134)는 기단측이 베이스(135)에 연결설치되고, 선단측 단부는 안착판(132)의 하부에 연결설치된다. 여기서 베이스(134)는 필요에 따라 적재수단(130)을 버킷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푸셔(15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상레일(133)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구동실린더(134)는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압실린더(Pneumatic Cylind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판(132)은 구동실린더(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구동실린더(134)의 신축에 의해 승강하게 된다. 안착판(132)의 상부면에는 검체슬라이드(10)의 안착시 검체슬라이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나 천과 같은 탄성을 갖는 바닥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판(136)은 안착판(132)의 양측에 설치되며 검체슬라이드(10)가 정렬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검체슬라이드(10)의 폭은 검체슬라이드가 측면판(136)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판(136) 내측의 간격보다 크게 구비되어야 한다.
여닫이문(138)은 힌지축(139)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이 힌지축(139)은 측면판(136)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힌지축(139)은 검체슬라이드(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버킷(160)측에 대응되도록 측면판(1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힌지축(139)은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버킷(160)의 구획된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측면판(136) 각각에 설치되어 복수의 여닫이문(138)이 동시에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적재수단(130)은 구동실린더(13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콘베이어(110)로부터 낙하하는 검체슬라이드(10)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90)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감지수단(190)으로는 콘베이어(110)로부터 낙하하는 검체슬라이드(10)의 수를 감지하는 낙하감지수단(190a), 콘베이어(110)로부터 낙하하여 안착판(132)에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수단(190b), 콘베이(110)로부터 낙하하여 안착판에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수단(190c) 등 다양한 감지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감지수단(190a, 190b, 190c)으로부터 검체슬라이드(10)의 낙하를 직간접으로 감지하여 구동실린더(134)를 검체슬라이드(10) 1장의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베이어(110)로부터 낙하하는 검체슬라이드(10)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검체슬라이드(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감지수단(190a, 190b, 190c)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구동실린더(134)를 제어하는 제어부(192)가 구비된다. 제어부(192)는 낙하감지수단(190a)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구동실린더(134)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제1제어부(192a)와, 높이감지수단(190b)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구동실린더(134)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제2제어부(192b) 및 중량감지수단(190c)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구동실린더(134)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제3제어부(192c)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제어부(192)로 각각의 제어부(192a, 192b, 192c)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140)는 콘베이어(110)로부터 배출되는 검체슬라이드(10)가 반전되지 않도록 콘베이어(110)의 하측 전방에 콘베이어(11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140)는 콘베이어(110)의 이송면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15도 각도 미만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검체슬라이드(10)과 가이드(140) 표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검체슬라이드(10)가 슬라이딩되지 않고 75도 각도를 초과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낙하하는 과정에서 낙하하는 순간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140)는 콘베이어(110)의 이송면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15 ~ 75도 각도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셔(150)는 적재수단(130)에 검체슬라이드(10)가 적재되면 검체슬라이드(10)를 밀어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푸셔(150)는 지면에 설치된 기단부(152)와 이 기단부(152)에 수평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푸싱실린더(154)와 푸싱실린더(154)의 선단에 형성되어 검체슬라이드(154)와 접촉하는 접촉부(15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푸셔(150)는 푸싱실린더(154)가 신장하게 되면 접촉부(156)가 검체슬라이드(10)를 버킷(160)의 구획된 공간으로 밀어 검체슬라이드(10)가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작동한다. 푸셔(150)의 작동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검체슬라이드(10)가 적재되면 이를 각 감지수단(190a, 190b, 190c)이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가 입력되면 각 제어부(192a, 192b, 192c)의 제어에 따라 푸싱실린더(154)가 작동하게 되어 검체슬라이드(10)가 버킷(160)의 구획된 공간에 삽입된다.
버킷(160)은 푸셔(150)에 이동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킷(160)은 함체로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된다. 버킷(160)은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공간이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더 많은 분량의 검체슬라이드(10)를 동시에 이동 보관할 수 있다. 버킷(160)의 구획된 공간은 검체슬라이드(10)를 버킷(160)에 삽입할 때 여닫이문(138)의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그 폭이 검체슬라이드(10)의 폭보다 넓게 구비되어야 한다.
전도수단(170)은 버킷(160)의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버킷을 전도시키는 수단으로서 콘베이어(110)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중심축(172)과 회전중심축(17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4)와 회전중심축(17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암(17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도수단(170)의 암(176)에 버킷(160)이 거치된 상태에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고 검체슬라이드(10)의 삽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174)를 작동시켜 회전중심축(172)이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회전중심축(172)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중심축(172)에 고정설치된 암(176)이 회전하면서 이 암(176)에 거치된 버킷(160)이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전도된다. 여기서 암(176)에는 버킷(160)과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구름부재(17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름부재(178)는 볼이나 롤러 등 다양한 부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회전중심축(17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4)의 경우 스텝모터 등으로 구비되어 회전중심축(172)의 각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중심축(172)의 각속도를 제어어하여 버킷(160)이 받는 충격을 줄여서 검체슬라이드(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출수단(180)은 전도수단(170)에 의해 전도된 버킷(160)을 외부로 반출하도록 구비되며 본 실시예서는 콘베이어(110)와 수직으로 형성된 반출벨트콘베이어(182)로서 전도수단(170)의 암(17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버킷(160)을 안착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반출수단(180)의 다른 일예로서 전도수단의 암이 관통할 수 있도록 반출벨트콘베이어(182)를 복수개로 이격된 띠벨트로 형성함으로서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반출수단(180)의 또 다른 예로서는 롤러 사이에 전도수단의 암이 관통할 수 있도록 롤러콘베이어(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출수단(180)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 버킷(160)은 병원의 내부나 외부의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보관하고 필요시 다시 불출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100)의 작동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먼저, 관리서버는 이송콘베이어벨트에 트레이가 도착하면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로봇암(120)을 검체슬라이드(10)를 수용하고 있는 트레이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트레이의 상부로 로봇암(120)이 도달하면 관리서버는 트레이의 검체슬라이드(10)가 수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흡착구(122)의 진공이 인가되는 공급라인 상에 있는 솔레노이드밸브만을 개방한다.
다음으로 로봇암(120)을 하강시켜 흡착구(122)를 통해 검체슬라이드(10)를 흡착한 후 콘베이어(110)의 상부로 이송한다.
검체슬라이드(10)가 콘베이어(110)의 상부로 이송되면 흡착구(122)에 진공을 인가하는 공급라인의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하여 검체슬라이드(10)가 콘베이어(110)에 낙하하도록 한다.
콘베이어(110)에 낙하한 검체슬라이드(10)는 콘베이어(110)의 작동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콘베이어(110)의 면을 따라 이동하는 검체슬라이드(10)는 하측 단부에 도달하면 전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콘베이어(110)의 하측 단부의 전방에는 가이드(140)가 설치되어 검체슬라이드(10)가 가이드(140)를 따라 안착판(132)에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140)는 검체슬라이드(10)의 저면이 가이드(140)의 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검체슬라이드(10)가 낙하하는 과정에서 반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체슬라이드(10)가 안착판(132)으로 낙하하게 되면 검체슬라이드(10)의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인 낙하감지수단(190a), 높이감지수단(190b) 및 중량감지수단(190c)에 의해 검체슬라이드(10)의 낙하가 감지된다. 여기서 각 감지수단(190a, 190b, 190c)에서 감지된 신호는 각각의 제어부(192a, 192b, 192c)에 입력되고, 각 제어부(192a, 192b, 192c)는 구동실린더(134)가 검체슬라이드(10) 1장의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각각의 감지수단(190a, 190b, 190c)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개수 만큼의 검체슬라이드(10)가 안착판(132)에 적재되면 각 제어부(192a, 192b, 192c)는 콘베이어(110)와 로봇암(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푸셔(150)의 푸싱실린더(154)를 신장되도록 하여 검체슬라이드(10)가 버킷(160)의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측면판(136)에 형성된 여닫이문(138)가 열리면서 검체슬라이드(10)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버킷(16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삽입된다.
다음으로 검체슬라이드(10)가 버킷(16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삽입되면 푸싱실린더(154)를 축소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푸싱실린더(15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안착판(132)을 상승시키고, 안착판(132)이 하강하기전 처음의 위치로 복귀되면 다시 콘베이어(110)와 로봇암(120)을 작동시켜 안착판(132)에 검체슬라이드(10)가 적재되도록 한다.
한편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된 버킷(160)은 복수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다음으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될 구획된 부분이 푸셔(150)의 진행방향과 대응하는 전방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버킷(160)에 검체슬라이드(10)를 삽입하여 버킷(160)의 복수로 구획된 부분이 모두 채워지면 전도수단(170)의 구동모터(174)를 작동시켜 회전중심축(172)이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중심축(172)이 회전하면 암(176)이 회전하게 되고, 암(176)의 회전에 의해 버킷(160)이 검체슬라이드(10)의 삽입을 위하여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전도된다.
이 때 버킷(160)은 암(176)에 형성된 구름부재(178)를 통해 외부로 슬라이딩되고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버킷(160)은 반출수단(180)인 반출콘베이어밸트(182)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버킷(160)이 반출콘베이어벨트(182)에 안착되면 반출콘베이어밸트(182)를 작동시켜 버킷(160)을 외부로 반출한다.
버킷(160)이 반출되면 작업자에 의해 원내 또는 원외의 보관을 위한 창고에 입고시켜 검체슬라이드(10)를 보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160)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0)과,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버킷(160)이 적재되는 적재캐비닛(300)과,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버킷(160)을 적재캐비닛(300)에 적재시키거나, 적재캐비닛(300)에 적재된 버킷(160)을 배출시키는 적재로봇(400)과, 적재로봇(400)에 의해 배출되는 버킷(160)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00)을 포함한다.
이송수단(200)은 반출수단(180)에 의해 반출되는 버킷(160)을 적재캐비닛(300)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수단(200)은 끝단이 적재캐비닛(300)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적재캐비닛(300)은 다수의 버킷적재공간(311)이 양측에 마주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립되는 외벽(320)에 다수의 격벽(310)이 버킷(160)의 높이와 버킷(160)의 폭만큼의 간격으로 상하좌우로 이격되게 형성됨에 의해 버킷적재공간(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320)들이 서로 마주됨에 의해 버킷적재공간(311)들이 서로 마주되게 된다. 그리고, 적재캐비닛(300)은 일측이나 타측에 이송수단(200)이나 배출수단(500)이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10)들에는 문자나 숫자 또는 바코드로 구성되는 인식마크(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적재로봇(400)은 적재캐비닛(3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외벽(320)들의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재로봇(400)은 전술한 관리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적재로봇(400)은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버킷(160)이 안착되는 버킷안착부(410)와, 버킷안착부(410)에 구비되어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 버킷(160)을 밀어서 적재캐비닛(300)에 적재시키거나 적재캐비닛(300)에 적재된 버킷(160)을 흡착하여 배출시키는 버킷적재/배출부(420)와, 버킷적재/배출부(420)가 고정된 버킷안착부(410)를 전후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부(430)와, 전환부(430)를 좌우로 이송시키기 위한 좌우이송부(440)와, 좌우이송부(44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450)를 포함한다.
버킷안착부(41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160)의 넓이에 대응되는 넓이로 형성되면서 양측에 버킷(160)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벽(4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버킷적재/배출부(420)가 고정되고, 후단에는 적재공간확인부재(460)가 고정될 수 있다.
버킷적재/배출부(420)는 버킷(160)의 측면에 밀착되고, 전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통로(422)가 형성되며, 후면에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호스가 연결되는 공기호스연결구(423)가 형성되는 패드(421)와, 패드(421)에 연결되는 축을 신축시키는 신축부(424)를 포함한다.
패드(421)는 오목하면서 탄성을 갖는 고무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421)가 버킷(160)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공기호스연결구(423)에 연결된 공기호스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패드(421)의 공기통로(42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므로 패드(421)가 버킷(160)에 강하게 흡착될 수 있다. 이때, 패드(421)가 버킷적재공간(311)에 적재된 버킷(160)을 흡착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신축부(424)의 구동에 의해 버킷적재공간(311)에서 버킷(160)을 배출시켜서 버킷안착부(4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버킷(160)을 버킷적재공간(311)에 적재시키기 위해 패드(421)가 버킷(160)을 밀 때 또는 미는 동작이 완료된 후에 공기호스연결구(423)를 통해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즉,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패드(421)가 버킷(16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어서, 회수되는 패드(421)에 의해 버킷(160)이 흡착된 상태로 다시 배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호스에는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콤프레셔(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공기호스연결구(423)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패드(421)의 공기통로(42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므로 패드(421)가 버킷(160)의 외측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신축부(424)는 패드(421)의 후면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부(424)가 실린더축을 신장시키면 패드(421)가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 버킷(160)을 밀어서 버킷적재공간(311)에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적재/배출부(420)는 패드(421)를 대신하여 집게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집게유닛은 버킷(160)을 파지하는 복수의 집게패드(425)와, 집게패드(425)들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집게패드구동부(426)을 포함한다.
집게패드(425)는 버킷(160)의 양측을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복수로 구성되면서 판재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되는 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이나 요철 등으로 구성되는 논슬립이 구비될 수 있다.
집게패드구동부(426)는 신축부(424)인 실린더축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집게패드(425)들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집게가이드레일과 가이드블록은 리니어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집게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블록들이 가까워지면 집게패드(425)들이 버킷(160)을 파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집게패드(425)들이 가까워지게 하거나 멀어지게 하기 위해 리드스크류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유닛은 버킷(160)을 파지하는 복수의 집게패드(425)와, 집게패드(425)들 각각의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신축부(424)의 실린더축에 연결되는 베이스판(427)과, 베이스판(427)에 마주되게 구비되어 집게패드(425)들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부(428)를 포함한다.
집게패드(425)는 'S'형태로 절곡되면서 일단에 버킷(160)을 파지할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논슬립이 형성될 수 있고, 중간부분이 힌지(미부호)를 통해 베이스판(427)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판(427)은 신축부(424)의 실린더축에 연결되므로 신축되는 실린더축과 함께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다.
회전부(428)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힌지(미부호)를 통해 베이스판(427)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실린더축이 집게패드(425)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428)가 작동되어서 실린더축을 수축시켜서 당기면 집게패드(425)들이 회전되어서 각각의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버킷(160)의 양측을 가압하여서 버킷(160)을 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집게패드(425)들의 작동공간이 확보되도록 전술한 버킷안착부(410)에 측벽(411)을 형성하지 않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부(430)는 버킷안착부(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축을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환부(430)의 구동에 의해 버킷안착부(410)가 180도 각도로 방향이 전환되므로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 버킷(160)이 적재캐비닛(3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버킷적재공간(311)에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좌우이송부(440)는 전환부(430)의 하부에 고정되는 좌우가이드블록(441)과, 좌우가이드블록(441)을 좌우로 안내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좌우가이드레일(442)로 구성된다. 이러한, 좌우이송부(440)는 리니어모터나 볼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부(450)는 좌우이송부(440)의 좌우가이드레일(442)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승강블록(451)과, 승강블록(451)들의 승강을 각각 안내하도록 수직되는 승강레일(452)로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부(450)는 리니어모터나 볼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로봇(400)은 적재캐비닛(300)의 버킷적재공간(311)을 확인하는 적재공간확인부(4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재공간확인부(460)는 적재캐비닛(300)의 버킷적재공간(311)을 촬영하는 디지털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공간확인부(460)인 카메라가 버킷적재공간(311)을 촬영하여 전술한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영상을 확인하여 인식마크(330)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서버는 인식된 인식마크(330)를 근거로 좌우이송부(440)와 승강부(450)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적재로봇(400)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적재공간확인부(460)가 촬영되는 버킷적재공간(311)을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관리서버가 전송된 영상에서 버킷(160)이 적재된 버킷적재공간(311)과 버킷(160)이 적재되지 않은 버킷적재공간(311)을 구분하여서 인식할 수 있다.
배출수단(500)은 적재로봇(400)에 의해 배출되는 버킷(16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콘베이어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수단(500)은 끝단이 적재캐비닛(300)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송수단(200)과 배출수단(500)은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적재캐비닛(300)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거나 양측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반출수단(180)에 의해 반출되는 버킷(160)이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버킷(160)이 적재로봇(400)의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다.
버킷(160)이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승강부(450)가 작동되어 버킷안착부(41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적재공간확인부(460)가 버킷적재공간(311)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관리서버는 전송된 영상을 통해 인식마크(330)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식마크(330)를 근거로 미리 입력된 버킷적재공간(311)으로 적재로봇(4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적재 버킷(160)이 적재되지 않은 버킷적재공간(311)으로 적재로봇(4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좌우이송부(440)와 승강부(450)의 구동에 의해 버킷적재/배출부(420)와 함께 버킷안착부(410)이 정밀하게 이동되어서 버킷적재공간(311)에 일치된다.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 버킷적재공간(311)이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버킷적재/배출부(420)의 신축부(424)가 작동되어서 패드(421)를 전진시키면 패드(421)가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되어 있는 버킷(160)을 밀어서 버킷적재공간(311)에 정확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이어서, 이송수단(200)에 의해 다른 버킷(160)이 이송되어 오면, 좌우이송부(440)와 승강부(450)의 구동에 의해 버킷적재/배출부(420)와 함께 버킷안착부(410)이 이동되어서 이송수단(200)의 끝단에 위치된다.
계속해서,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다른 버킷(160)이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우이송부(440)와 승강부(450)의 구동에 의해 버킷적재/배출부(420)와 함께 버킷안착부(410)이 승강되면서 좌우로 이동된다.
이때, 일측의 버킷적재공간(311)들에 버킷(160)들이 모두 적재된 상태인 경우에는 전환부(430)에 의해 버킷적재/배출부(420)와 함께 버킷안착부(410)의 방향이 180도 각도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킷적재/배출부(420)가 작동되어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 다른 버킷(160)을 밀어서 버킷적재공간(311)에 적재시킨다.
한편, 버킷적재공간(311)에 적재된 버킷(160)을 패드(421)가 접촉된 상태에서 공기호스연결구(423)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공기통로(422)로 공기가 흡입됨에 의해 패드(421)가 버킷(160)에 흡착된다.
그리고, 버킷적재/배출부(420)의 신축부(424)가 작동되어 패드(421)를 당기면 패드(421)와 함께 흡착된 버킷(160)이 버킷적재공간(311)에서 배출되어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다. 진공을 형성하는 패드(421)에 의해 버킷(160)이 버킷적재공간(311)에서 정확하게 배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좌우이송부(440)와 승강부(450)의 구동에 의해 버킷적재/배출부(420)와 함께 버킷안착부(410)이 하강되면서 배출수단(500)의 끝단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신축부(424)가 작동되어 패드(421)를 밀면 버킷(160)이 배출수단(500)에 안착된다. 이때, 공기호스연결구(423)를 통해 공기흡입이 중단된 후에 반대로 공기가 공급되면 공기통로(42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므로 패드(421)에서 버킷(160)이 분리된다. 즉, 배출수단(500)에 의해 버킷(16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검체슬라이드(10)들이 삽입된 버킷(160)들이 자동으로 적재캐비닛(300)에 적재되거나 배출되므로 검체슬라이드를 보관하는 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검체슬라이드 11 : 검체정보
12 : 검체 20 : 트레이
21 : 수용홈 110 : 콘베이어
120 : 로봇암 130 : 적재수단
140 : 가이드 150 : 푸셔
160 : 버킷 170 : 전도수단
180 : 반출수단 200 : 이송수단
300 : 적재캐비닛 400 : 적재로봇
500 : 배출수단 410 : 버킷안착부
420 : 버킷적재/배출부 430 : 전환부
440 : 좌우이송부 450 : 승강부
460 : 적재공간확인부 421 : 패드
422 : 공기통로 423 : 공기호스연결구
424 : 신축부

Claims (18)

  1. 안착되는 검체슬라이드(10)를 이송시키는 콘베이어(110)와,
    콘베이어(110)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는 검체슬라이드(1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적재수단(130)과,
    적재수단(130)에 검체슬라이드(10)가 적재되면 검체슬라이드(10)를 밀어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150)와,
    푸셔(150)에 의해 이동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버킷(160)과,
    트레이에 수용된 검체슬라이드(10)를 콘베이어(110)로 이동시키는 로봇암(120)을 포함하며,
    로봇암(120)은
    X축 가이드레일(124)과,
    X축 가이드레일(124)의 하부에 X축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Y축 가이드레일(126)과,
    Y축 가이드레일(126)의 하부에 Y축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개의 검체슬라이드(10)를 동시에 흡착하거나 개별적으로 흡착하는 복수개의 흡착구(122)를 포함하고,
    흡착구(122)에 진공이 인가되는 공급라인 상에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검체슬라이드(10)에 대응하는 흡착구(122)의 솔레노이드밸브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수단(130)은
    베이스(135)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실린더(134)와,
    구동실린더(134)의 단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검체슬라이드(10)가 안착되는 안착판(132)과,
    안착판(132)의 양측에 검체슬라이드(10)가 정렬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측면판(136)과,
    측면판(136)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39)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여닫이문(1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재수단(130)은
    콘베이어(110)로부터 낙하하는 검체슬라이드(10)의 수를 감지하는 낙하감지수단(190a)과,
    낙하감지수단(190a)에 검체슬라이드(10)의 낙하가 감지될 경우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구동실린더(134)가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19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제어부(192a)는 낙하감지수단(190a)에서 감지된 검체슬라이드(10)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검체슬라이드(10)의 개수에 도달할 경우 콘베이어(1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푸셔(150)가 검체슬라이드(10)를 밀어서 검체슬라이드(10)가 버킷(160)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재수단(130)은
    콘베이어(110)로부터 낙하하여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수단(190b)과,
    높이감지수단(190b)에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높이가 변화될 경우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구동실린더(134)가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19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제어부(192b)는 높이감지수단(190b)에 입력된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검체슬라이드(10)의 개수에 해당하는 높이에 도달할 경우 콘베이어(1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푸셔(150)가 검체슬라이드(10)를 밀어서 검체슬라이드(10)가 버킷(160)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재수단(130)은
    콘베이어(110)로부터 낙하하여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수단(190c)과,
    중량감지수단(190c)에 의해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중량이 변화된 경우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구동실린더(134)가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3제어부(19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3제어부(192c)는 중량감지수단(190c)에 입력된 적재된 검체슬라이드(10)의 중량이 미리 설정된 검체슬라이드(10)의 개수에 해당하는 중량에 도달할 경우 콘베이어(1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푸셔(150)가 검체슬라이드(10)를 밀어서 검체슬라이드(10)가 버킷(160)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콘베이어(110)로부터 배출되는 검체슬라이드(10)가 반전되지 않도록 콘베이어(110)의 하측 전방에 콘베이어(11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가이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검체슬라이드(10)가 삽입되는 버킷(160)의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버킷(160)을 전도시키는 전도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전도수단(170)은
    콘베이어(110)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중심축(172)과,
    회전중심축(17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4)와,
    버킷(160)을 지지하도록 회전중심축(17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암(17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전도수단(170)에 의해 전도된 버킷(160)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수단(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킷(160)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0)과,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버킷(160)이 적재되는 적재캐비닛(300)과,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버킷(160)을 적재캐비닛(300)에 적재시키거나, 적재캐비닛(300)에 적재된 버킷(160)을 배출시키는 적재로봇(400)과,
    적재로봇(400)에 의해 배출되는 버킷(160)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적재로봇(400)은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버킷(160)이 안착되는 버킷안착부(410)와,
    버킷안착부(410)에 구비되어 버킷안착부(410)에 안착된 버킷(160)을 밀어서 적재캐비닛(300)에 적재시키거나 적재캐비닛(300)에 적재된 버킷(160)을 흡착하여 배출시키는 버킷적재/배출부(420)와,
    버킷적재/배출부(420)가 고정된 버킷안착부(410)를 전후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부(430)와,
    전환부(430)를 좌우로 이송시키기 위한 좌우이송부(440)와,
    좌우이송부(44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버킷적재/배출부(420)는
    버킷(160)의 측면에 밀착되고, 전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통로(422)가 형성되며, 후면에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호스가 연결되는 공기호스연결구(423)가 형성되는 패드(421)와,
    패드(421)에 연결되는 축을 신축시키는 신축부(4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18. 삭제
KR1020150058835A 2015-04-27 2015-04-27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KR10171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835A KR101718474B1 (ko) 2015-04-27 2015-04-27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PCT/KR2015/004322 WO2016175353A1 (ko) 2015-04-27 2015-04-29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835A KR101718474B1 (ko) 2015-04-27 2015-04-27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432A KR20160127432A (ko) 2016-11-04
KR101718474B1 true KR101718474B1 (ko) 2017-03-21

Family

ID=5719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835A KR101718474B1 (ko) 2015-04-27 2015-04-27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8474B1 (ko)
WO (1) WO2016175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600153YA (en) * 2011-09-09 2016-02-26 Ventana Med Syst Inc Imaging Systems, Cassett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6956885A (zh) * 2017-04-28 2017-07-18 湖南三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存储的样瓶中转柜装置
WO2019111221A1 (en) * 2017-12-07 2019-06-13 Modula S.P.A. A storage system
CN113800174A (zh) * 2021-09-15 2021-12-17 深圳市银翔科技有限公司 智能装备管理柜
CN114275432A (zh) * 2021-12-29 2022-04-05 安徽美诺福科技有限公司 样品自动存样***
CN114313552A (zh) * 2021-12-30 2022-04-12 福建瑞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切片存储移动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0353A1 (en) * 2004-10-01 2006-04-06 Aaldert Christiaan Van Dam Device for filling a carton
US20130164781A1 (en) * 2010-12-28 2013-06-27 Sakura Finetek U.S.A., Inc.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iological specime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112A (en) * 1984-01-20 1985-10-15 Rima Enterprises Signature handling apparatus
US6574943B2 (en) * 2001-08-17 2003-06-10 Blue Print Holding B.V. Conveyor assembly for packagings, and method for delivery of a pack
KR101538687B1 (ko) * 2013-08-28 2015-07-23 주식회사 아세테크 검체 슬라이드 보관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0353A1 (en) * 2004-10-01 2006-04-06 Aaldert Christiaan Van Dam Device for filling a carton
US20130164781A1 (en) * 2010-12-28 2013-06-27 Sakura Finetek U.S.A., Inc.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iological specim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5353A1 (ko) 2016-11-03
KR20160127432A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474B1 (ko) 검체슬라이드 버킷 관리 및 보관 시스템
US7600642B2 (en) High throughput automated seed analysis system
US11298722B2 (en) Automatic labeling production line for solid state disk
JP6739531B2 (ja) 真空採血管のラベリングマシン、真空採血管の搬送及びラベリング方法
JP5926403B2 (ja) 搬送システム
US9435818B2 (en) Sample transport systems and methods
TWI683659B (zh) 藥劑分類裝置及藥劑分類方法
US6669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ipetting tip magazines
JP4444986B2 (ja) ラックへの試験管準備装置
JP6791665B2 (ja) 搬送システム
EP3797035B1 (en)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plates
JP4444985B2 (ja) トレイ又はラックへの試験管準備装置
JP6104429B2 (ja) 搬送システム
CN114582765A (zh) 一种晶片颜色检测设备
CN114570732B (zh) 标签剥离装置以及标签剥离方法
JP3739844B2 (ja) ハンドラ装置のストッカ部
US20230182284A1 (en) Component Supply Device
JP7223888B2 (ja) 標本搬送装置および標本搬送方法
JP5688712B2 (ja) 選果システム
TWM579168U (zh) Test tube automated transfer system
JP6522824B1 (ja) 注射液用容器認識システム
JP7148993B2 (ja) 細胞構造体製造システム
JP7233237B2 (ja) トレイ搬送装置及び実装装置
CA3161229A1 (en)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and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JP2021058243A (ja) 採血管自動準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