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57B1 -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57B1
KR101716857B1 KR1020150107294A KR20150107294A KR101716857B1 KR 101716857 B1 KR101716857 B1 KR 101716857B1 KR 1020150107294 A KR1020150107294 A KR 1020150107294A KR 20150107294 A KR20150107294 A KR 20150107294A KR 101716857 B1 KR101716857 B1 KR 10171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way
transportation means
vehicle body
mov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614A (ko
Inventor
문형석
서승일
문지호
김정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0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운송수단의 제1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출입구를 개폐하는 위치 가변식의 메인도어와, 제2 운송수단의 제2 차체에 구비되며 단부에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제2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운송수단의 제1 출입구로 인출가능한 이동통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KTX, 도시철도 또는 버스와 같이 서로 다른 운송수단의 직접 환승시 대응되는 도어의 위치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탑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형성이 가능하고, 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통로가 형성 또는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이동통로를 신속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 Transfer System for Intermodal }
본 발명은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운송수단인 열차 간 환승 또는 열차에서 버스로의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도어 위치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의 형성이 가능하고 통로 형성을 위한 구조가 단순해 승객의 이동통로를 신속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간 환승 또는 열차에서 버스와 같은 다른 운송수단으로 갈아 타기 위해서는 열차가 승강장에 정차한 상태에서 승강장을 통하여 승객이 직접 다른 운송수단으로 이동하는 방식에 의해 환승이 이루어졌다.
이에 최근 들어 환승 뿐만 아니라 물류의 환적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국내에서의 이동 뿐만 아니라, 국외로의 이동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인터모달(Intermodal)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터모달은 승객 또는 물류화물을 선박, 열차, 트럭 등 여러가지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한 번에 목적지까지 중단없이 수송하는 물류체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산업의 주체와 운송시스템이 유기적으로 복합되어 운용되는 핵심기간산업에 해당된다.
하지만, 종래의 승객들이 승강장 등을 통해 직접 다른 운송수단으로 이동하는 방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인터모달 시스템을 이용한 환승 또는 환적 방식은 아직까지 그 개발이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모달 시스템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1-0113536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열차에서 열차로 직접 환승방식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노선의 열차가 서로 수평하게 근접하여 열차에서 열차로 직접 통로가 이어져 다른노선의 열차로 바로 이동할수 있는 방식이다. 이 환승방법은 두열차가 서로 수평으로 근접하여 정차하였을때 두열차의 문에서 문으로 이어지는 가교가 설치되고 문이 열려서 두열차 사이로 왕래가 가능하게 만든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의 경우 하나의 운송수단(열차)에서 다른 운송수단(열차)으로 통로의 역할을 하는 터널 형상의 가교 등을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어느 일측의 운송수단에만 연결 구성이 설치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해지고, 통로가 일측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운송수단이 정위치에 정차되지 않은 경우 연결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행정구간이 길어지게 되어 연결 및 분리 시간이 오래걸리고,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참고문헌: 공개특허 공개특허 제10-2011-011353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에 있어서, 열차 또는 버스 등의 운송수단 간 대응되는 도어 위치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의 형성이 가능한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도어 개방 및 폐쇄와 동시에 통로의 형성 및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로 형성을 위한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승객의 이동통로를 신속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운송수단의 제1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출입구를 개폐하는 위치 가변식의 메인도어와, 제2 운송수단의 제2 차체에 구비되며 단부에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제2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운송수단의 제1 출입구로 인출가능한 이동통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인도어의 측단부에는 제1 주름벽의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주름벽의 타단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로수단은 사각 부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차체의 천장에 구비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제2 차체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상측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전면에는 전면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에는 상기 이동통로수단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통로수단는 제2 운송수단의 제2 차체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차체의 측면 제2출입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운송수단의 출입구로 인출가능한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전면도어가 구비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와 상기 제2 출입구의 측면 및 상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제2 주름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운송수단의 제1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출입구를 개폐하되 하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바닥부가 구비되는 여닫이식 제1 도어와, 제2 운송수단의 제2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를 개폐하되 하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바닥부가 구비되는 여닫이식 제2 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측면 및 상부에는 제1 및 제2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KTX, 도시철도 또는 버스와 같이 서로 다른 운송수단의 직접 환승시 대응되는 도어의 위치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탑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형성이 가능하고, 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통로가 형성 또는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이동통로를 신속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역 내에 별도의 환승을 위한 통로 등의 부가설비의 설치 및운영이 필요없이 열차 등의 운송수단끼리 직접 통로를 확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탑승객의 이동통로를 신속하게 설치 및 회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이송차량의 정차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이동통로 형성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이동통로 형성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이동통로 형성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이동통로 형성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이동통로 형성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이동통로 형성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은 제1 및 제2 운송수단(1,2) 간 환승시스템, 예를 들면 KTX와 도시철도간, KTX와 버스, 도시철도와 버스 사이와 같이 제1 및 제2 운송수단(1,2)간의 환승 시스템에 적용하여 이상의 KTX, 도시철도 또는 버스 등의 운송수단의 탑승객들이 승강장을 통해 이동하지 않고서도 KTX와 도시철도 또는 버스의 도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이동통로를 통해 직접 일측의 제1 운송수단(1)에서 타측의 제2 운송수단(2)으로 환승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은 제1 운송수단(1)의 제1 차체(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출입구(12)를 개폐하는 위치 가변식의 메인도어(100)와,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에 구비되며 단부에 전면도어(210)가 구비되어 제2 차체(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22)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운송수단(1)의 제1 출입구(12)로 인출가능한 이동통로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운송수단(1)은 제1 차체(10)의 측면에 제1 출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입구(12)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메인도어(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운송수단(1)의 제1 차체(10)에 구비되는 메인도어(100)는 차체의 양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도어(100)의 측단부에는 제1 주름벽(110)의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주름벽(110)의 타단부는 제1 차체(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운송수단(1)의 제1 출입구(12)와, 상기 제2 운송수단(2)의 제2 출입구(22)의 위치가 서로 나란한 정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인도어(100)를 개방하여 제1 출입구(12)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도어(100)를 이동시켜 제1 출입구(12)의 위치를 상기 제2 운송수단(2)의 제2 출입구(22)의 위치와 나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이웃한 차체(10,20)간의 메인도어(100) 및 전면도어(210)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주름벽(110)에 의해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메인도어(100)의 열리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일직선으로 이동되는 이동통로수단(2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도어(100) 및 전면도어(210)는 2개의 분할된 도어로 이루어져 양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운송수단(1)의 메인도어(100)의 개폐 및 위치이동은 개폐구동수단인 모터 또는 실린더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로수단(200)은 주행중에는 상기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 내에 구비되지만 정차후 환승을 위해서는 제2 차체(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22)로 출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통로수단(200)은 사각 부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전면에 전면도어(210)가 구비되며 상측에 가이드레일(220)이 구비되어 제2 차체(20)의 천장에 구비되는 가이드홈(24)을 따라 이동통로수단(200)이 제2 차체(20)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이동통로수단(200)을 출몰시키는 구동수단 역시 렉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모터 또는 실린더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로수단(200)의 측면에는 측면도어(212)가 구비되어 환승객이 이동통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환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측면도어(212)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수단(200)의 단부는 이웃한 제1 운송수단(1)의 제1 출입구(12)에 삽입 설치가능한 것으로, 상기 메인도어(100)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서 안전하게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록킹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통로수단(200)의 단부는 이웃한 제1 운송수단(1)의 제1 출입구(1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메인도어(100)가 닫히면서 이동통로수단(200)의 단부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 또는 체결홈에 체결되며, 이후 메인도어(100)가 열리면 록킹핀이 해제될 수 있다. 물론, 고정수단은 솔리노이드 방식으로 상기 록킹핀이 출몰하도록 차상제어기 등을 통한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열차인 제1 및 제2 운송수단(1,2)이 환승을 위해 역 등에 정차하면,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수단(200)의 측면도어(212)가 열려 환승객이 이동통로부수단(20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수단(200)이 인출됨과 동시에 제1 운송수단(1)의 제1 차체(10) 측면의 메인도어(100)가 열리면서 제1 주름벽(110)이 접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 내에서 인출된 이동통로수단(200)이 제1 운송수단(1)의 제1 출입구(12)의 입구에 삽입되면 메인도어(100)가 닫히면서 제1 주름벽(110)이 펼쳐지면서 메인도어(100)가 이동통로수단의 단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일부 닫히게 되면서 고정수단에 의해 이동통로수단(2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이동통로수단(200)의 전면도어(210)가 열리면서 환승객이 제1 운송수단(1)으로 환승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승객이 모두 환승한 이후에는 위 순서의 역순으로 도어의 개폐 및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열차간 통로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일측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에 구비된 이동통로수단(200)이 가이드레일(220)에 의해 제2 차체(20)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환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도어(212)는 이동통로(100)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제2운송수단(2)의 내부를 승객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100)는 제2운송수단(2)의 양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인출될 수 있게 설치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의 제1 운송수단(1)에 구비되는 메인도어(100)는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에 대해 이동통로수단(200a)은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차체(20)의 측면 제2 출입구(22)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운송수단(1)의 제1 출입구(12)로 인출가능한 발판(230)과, 상기 발판(230)의 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전면도어(210)가 구비되는 도어프레임(240)과, 상기 도어프레임(240)과 상기 제2 출입구(22)의 측면 및 상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제2 주름벽(25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주름벽(250)의 하부는 도어프레임(240)에 신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물론, 상기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에 구비된 이동통로수단(200a)의 발판 하부에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제2 차체(20) 바닥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드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수단(200a)을 출몰시키는 구동수단 역시 렉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모터 또는 실린더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제1 및 제2 운송수단(1,2)이 환승을 위해 역 등에 정차하면,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로수단(200a)이 인출되면서 제2 주름벽(250)이 펼쳐져 이동통로를 확보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 운송수단(1)의 제1 차체(10) 측면의 메인도어(100)가 열리면서 제1 주름벽(110)이 접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 내에서 인출된 이동통로수단(200a)의 도어프레임(240)이 제1 운송수단(1)의 제1 출입구(12)의 입구에 삽입되면 메인도어(100)가 닫히면서 제1 주름벽(110)이 펼쳐지면서 메인도어(100)가 이동통로수단(200a)의 도어프레임(240) 단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일부 닫히게 되면서 고정수단에 의해 이동통로수단(2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이동통로수단(200)의 전면도어(210)가 열리면서 제2 운송수단(200)의 환승객이 제1 운송수단(1)으로 환승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승객이 모두 환승한 이후에는 위 순서의 역순으로 도어의 개폐 및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열차간 통로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은 제1 운송수단(1)의 제1 차체(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출입구(12)를 개폐하되 하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바닥부(162)가 구비되는 여닫이식 제1 도어(160)와, 제2 운송수단(2)의 제2 차체(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22)를 개폐하되 하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바닥부(262)가 구비되는 여닫이식 제2 도어(2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도어(160,260)의 측면 및 상부에는 연장부(미도시됨)가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 도어(160,260)가 회동하여 개방되는 경우 탑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KTX와 도시철도의 도어의 경우 여닫이식으로 구성하여 힌지 결합된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도어의 타측 단부가 원호를 이루면서 회전하여 이웃하는 KTX 또는 도시철도의 도어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도록 하고, 도어의 하단부에 도어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통로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도어의 열림과 동시에 KTX와 도시철도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도어(160,260)의 하단부에는 제1 및 제2 바닥부(162,262)가 연결 설치되어 제1 및 제2 도어(160,260)가 회전하여 열리는 경우 제1 및 제2 바닥부(162,262)가 펼쳐지면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바닥부(162,262)의 높이를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도어(160,260)의 개폐는 모터 또는 실린더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어(160,260)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출입구(12,22)의 프레임에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운송수단(1,2)의 제1 및 제2 도어(160,260)가 펼쳐진 경우 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도어가 개방된 경우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어 탑승객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제1 운송수단 2: 제2 운송수단
10: 제1 차체 12: 제1 출입구
20: 제2 차체 22: 제2 출입구
24: 가이드홈 100: 메인도어
110: 제1 주름벽 160: 제1 도어
162: 제1 바닥부 200,200a: 이동통로수단
210: 전면도어 212: 측면도어
220: 가이드레일 230: 발판
240: 도어프레임 250: 제2 주름벽
260: 제2 도어 262: 제2 바닥부

Claims (7)

  1. 제1 운송수단의 제1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출입구를 개폐하는 위치 가변식의 메인도어와,
    제2 운송수단의 제2 차체에 구비되며 단부에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제2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단부가 상기 제1 운송수단의 제1 출입구로 인출가능한 이동통로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로수단은 사각 부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차체의 내측 천장에 구비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제2 차체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상측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전면에는 전면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도어는 2개의 분할된 도어로 이루어지고, 각 도어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주름벽의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주름벽의 타단부는 제1 차체에 고정되어, 메인도어의 개방되는 위치를 이동통로수단의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에는 상기 이동통로수단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5. 삭제
  6. 제1 운송수단의 제1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출입구를 개폐하되 하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바닥부가 구비되는 여닫이식 제1 도어와,
    제2 운송수단의 제2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출입구를 개폐하되 하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바닥부가 구비되는 여닫이식 제2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도어의 단부는 제2 출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어의 단부는 제1 출입구와 연결되어 제1,2 도어 사이에 이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2도어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 바닥부와 제2 바닥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2바닥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측면 및 상부에는 제1 및 제2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KR1020150107294A 2015-07-29 2015-07-29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KR10171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294A KR101716857B1 (ko) 2015-07-29 2015-07-29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294A KR101716857B1 (ko) 2015-07-29 2015-07-29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614A KR20170015614A (ko) 2017-02-09
KR101716857B1 true KR101716857B1 (ko) 2017-03-17

Family

ID=5815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294A KR101716857B1 (ko) 2015-07-29 2015-07-29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24A (ko) 2018-12-31 2020-07-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탈리스 박막의 제조 방법, 그리고 미세패턴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929B (zh) * 2017-12-28 2021-10-08 郑州机械研究所有限公司 车辆连接桥、无轨车辆和无轨列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334A (ja) * 1995-12-28 1997-07-15 Fujita Corp 移動式オフィス
JP5493779B2 (ja) 2009-11-30 2014-05-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検索プログラム及び情報検索装置
KR101383226B1 (ko) * 2012-08-17 2014-04-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대응형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24A (ko) 2018-12-31 2020-07-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탈리스 박막의 제조 방법, 그리고 미세패턴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614A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76172A1 (zh) 一种套叠型站台屏蔽门
CN204871031U (zh) 轨道客车逃生门
TWI284096B (en) Movable fence and method of opening/closing movable fence
JP4141790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US3453778A (en) Plug door mechanism
WO2023134353A1 (zh) 站台屏蔽门***及站台屏蔽门联动控制***
KR101716857B1 (ko) 인터모달을 위한 환승 시스템
EP3461713A1 (en) Vehicle with retractable stair assembly
JP2011519775A (ja) 連節車両または連節バスを形成するために解放可能なように連結される少なくとも2車両間の貫通路
EP3342609B1 (en) Improved door for road vehicle
RU201449U1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подвижной частью пола в дверном проёме
US20140250792A1 (en) Sliding lavatory pocket door
JP2005145372A (ja) 異種車両対応フレキシブル可動柵
US9393910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trofit a sliding door opening of a van
US9248919B2 (en) Carriage assembly for an airplane transporting system on an airport apron
KR200325046Y1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WO2019245453A1 (en) Variable pitch platform screens or sliding doors in transit stations
CN109532933A (zh) 一种列车及交通***
CN208330061U (zh) 一种智轨站台门
KR101701095B1 (ko) 적재함 보호 덮개장치
JPH0316872A (ja) 車両用補助ステップ装置
KR101417969B1 (ko) 회전식 열차운전 제어대 및 전면패널을 구비한 열차 제어차량의 운전실
CN110884507B (zh) 一种帮助载客工具进行轨道运输的装置与方法
DE102016217978A1 (de) Übergangssystem für Schienenfahrzeuge
EP3165444A1 (en) Aircraft do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