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754B1 - 차량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754B1
KR101712754B1 KR1020157000449A KR20157000449A KR101712754B1 KR 101712754 B1 KR101712754 B1 KR 101712754B1 KR 1020157000449 A KR1020157000449 A KR 1020157000449A KR 20157000449 A KR20157000449 A KR 20157000449A KR 101712754 B1 KR101712754 B1 KR 10171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xtending
stretching
vehic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670A (ko
Inventor
미노루 스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5002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10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dashboard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04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미터 본체(10)와, 이 미터 본체에 보유 지지되는 투광성 창(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투광성 창은, 투광성의 유리 본체부(51), 당해 본체부의 외측 테두리 부분(52)으로부터 표시 방향(SD)으로 연장되는 제1 연신부(54), 제1 연신부의 선단 부분(54a)으로부터 배면 방향(BD)으로 연장되는 제2 연신부(55), 및 제2 연신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받침부(27)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57)를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걸림 지지 갈고리에 필요한 휨 길이(Lb)가 걸림 지지 갈고리 및 제2 연신부의 협동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걸림 지지 갈고리의 위치를 표시 방향으로 이동시켜 차량 부품(90)의 간극(d)을 확보해도, 설치 구조(70)가 성립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FOR VEHICLE}
본 개시는 2012년 6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2-134223호와, 2013년 5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3-114959호에 기초한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의 실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지침 계기와 같이,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판과, 문자판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요부(「페이싱부」라고도 함)와, 위요부에 의해 문자판의 표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를 덮는 투광성의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차량용의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를 위요부에 보유 지지시키기 위한 설치 구조는, 일반적으로,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 플랜지부로부터 표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와, 위요부의 외주벽면에 설치되어 걸림 지지 갈고리를 걸림 지지하는 받침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61996호 공보
그런데, 최근의 차량에서는, 표시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근방에 위치하는 차량 부품이, 이 수용 공간을 침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위요부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받침부 및 걸림 지지 갈고리는, 차량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또는 당해 차량 부품과의 간극을 확보하기 위해, 표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받침부 및 걸림 지지 갈고리를 표시 방향으로 크게 이동시켜 버리면, 상술한 설치 구조가 성립 곤란해진다는 과제를 본원 발명자는 발견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술한 설치 구조에 있어서의 걸림 지지 갈고리는, 커버 플레이트를 위요부에 설치하는 공정 시에, 접촉된 받침부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휘면서 당해 받침부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걸림 지지부는, 휨을 허용할 수 있도록, 표시 방향을 따른 소정의 길이(이하, 「휨 길이」라고 함)가 확보될 필요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지지 갈고리의 위치가 표시 방향으로 이동되면, 당해 걸림 지지 갈고리 자체의 길이는 확보가 곤란해진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길이도, 걸림 지지 갈고리와 마찬가지로, 확보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휨 길이의 확보가 곤란해짐으로써, 받침부 및 걸림 지지 갈고리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와 같은 투광 부재를 위요부에 보유 지지시키는 설치 구조는, 성립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여기서, 플랜지부에 절삭 홈을 형성함으로써, 걸림 지지 갈고리에 걸리는 휨 길이를 확보하는 수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투광 부재에 절삭 홈을 형성한 경우, 투광 부재와 위요부 사이에 절삭 홈을 통해, 위요부와 투광 부재 사이에 먼지 등이 침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삭 홈의 형성은 표시 장치의 설치 구조에는 적용이 곤란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예를 들어 차량 부품의 간극을 확보한 후에, 걸림 지지 갈고리 및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설치 구조에 의해, 투광 부재를 보유 지지 가능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으로서,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고, 표시 조립체와 이것에 보유 지지되는 투광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 조립체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에 의해 당해 표시부의 표시 방향으로 표시 개구를 형성하는 위요벽부, 및 위요벽부의 외주벽면에 설치되는 받침부를 갖는다. 상기 투광 부재는, 상기 표시 개구를 표시 방향으로부터 덮는 투광성의 투광 본체부, 투광 본체부의 외측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표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신부, 당해 제1 연신부에 있어서의 표시 방향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위요벽부의 외주측을 향해 표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신부, 및 제2 연신부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받침부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를 갖는다.
이 관점의 구성에 있어서, 받침부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는, 당해 걸림 지지 갈고리의 표시 방향에 설치된 제2 연신부로부터, 표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연신부는, 투광 본체부의 외측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표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신부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걸림 지지 갈고리의 위치가 표시 방향으로 이동되었다고 해도, 제2 연신부는, 표시 방향을 따른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받침부 및 걸림 지지 갈고리의 위치를 표시 방향으로 옮김으로써 당해 걸림 지지 갈고리 자체의 길이 확보가 곤란해졌다고 해도, 걸림 지지 갈고리를 받침부에 걸림 지지시킬 때에 필요하게 되는 휨 길이는, 걸림 지지 갈고리 및 이 걸림 지지 갈고리와 일체적으로 휘는 제2 연신부의 협동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위요벽부의 외주측에 설치된 받침부 및 걸림 지지 갈고리에 의해 표시 조립체에 투광 부재를 보유 지지시키는 설치 구조는 성립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용 개구의 근방의 차량 부품과의 간섭을 피한 후에, 또는 당해 차량 부품 사이의 간격을 확보한 후에, 걸림 지지 갈고리 및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설치 구조에 의해 표시 조립체에 투광 부재를 보유 지지 가능한 차량용 표시 장치가 실현된다.
본 개시에 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미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 콤비네이션 미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화살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미터가 구비하는 투광성 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 투광성 창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화살표도이다.
도 3은 투광성 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며, 도 2의 화살표 Ⅲ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투광성 창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징 부분인 돌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은 투광성 창을 미터 본체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 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미터가 구비하는 투광성 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 투광성 창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작업자가 콤비네이션 미터를 파지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변형예에 의한 콤비네이션 미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 콤비네이션 미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당해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되어 설명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명시하고 있는 구성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생기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복수의 실시 형태의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미터(100)는, 차량의 실내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운전석측의 영역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수용 공간(93) 내에 수용되어 있다. 콤비네이션 미터(100)는, 정면측을 운전석측을 향하게 하여 배치하고 있고, 차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기본 구성)
이하, 콤비네이션 미터(100)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적으로, 콤비네이션 미터(100)의 정면측을 향하는 방향을 표시 방향 SD로 하고, 이 표시 방향 SD와는 반대의 방향을 배면 방향 BD로 한다. 또한, 콤비네이션 미터(100)의 길이 방향을 수평 방향 HD로 하고, 중력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 HD와 직교하는 방향을 연직 방향 VD로 한다.
콤비네이션 미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터 본체(10) 및 이 미터 본체(10)의 눈으로 보는 측에 조립된 투광성 창(5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미터 본체(10)는 문자판(30), 케이스(40), 및 위요 부재(20) 등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문자판(30)은, 투광성의 수지 재료를 기재로 하고, 당해 기재에 차광성의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문자판(30)의 양면 중 표시 방향 SD에 위치하는 한쪽에는, 투광성 인쇄에 의해, 눈금, 숫자, 문자를 형성하는 표시부(31)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31)는 예를 들어 당해 표시부(31)를 따라 회전하는 지침(도시하지 않음)과 협동하여, 차량의 정보 표시를 형성한다.
케이스(40)는 차광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40)는, 문자판(30)의 배면 방향 BD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문자판(30)을 배면 방향 BD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케이스(40)에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다. 회로 기판에는, 콤비네이션 미터(100)의 표시를 형성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하는 제어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위요 부재(20)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차광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차광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위요 부재(20)는, 케이스(40) 중, 문자판(30)의 표시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표시 방향 SD로부터 설치됨으로써, 케이스(40)와 함께 문자판(30)을 끼움 지지하고 있다. 위요 부재(20)는 위요벽부(21) 및 받침부(27)를 갖고 있다.
위요벽부(2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연직 방향 VD보다도 수평 방향 HD로 넓어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요벽부(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판(30)의 표시 방향 SD에 위치하고 있고, 표시부(31)를 둘러싸는 형상에 의해, 당해 표시부(31)의 표시 방향 SD에 표시 개구(29)를 형성하고 있다. 표시 개구(29)는, 표시 방향 SD를 따라 위요 부재(20)를 관통함으로써, 당해 표시 방향 SD로부터 표시부(31)를 시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위요벽부(21)는, 받침부(27)가 설치되는 본체벽 부분(23)과, 당해 본체벽 부분(23)과 연속하고 있는 연장벽 부분(2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장벽 부분(24)은 본체벽 부분(23)으로부터 표시 방향 SD로 연장되어 있다.
받침부(27)는 후술하는 걸림 지지 갈고리(57) 등과 협동으로 설치 구조(70)를 구성하고 있다. 받침부(27)는 위요벽부(21)의 외주벽면(22)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지지 부분(27a)과, 걸림 결합 부분(27b)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분(27a)은 외주벽면(22)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지지 부분(27a)은 위요벽부(2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걸림 결합 부분(27b)은 각 지지 부분(27a)에 있어서의 돌출 방향의 각 선단 부분과 연속되어 있고, 이들 지지 부분(27a)을 연결시키고 있다. 걸림 결합 부분(27b)은, 외주벽면(22)과의 사이에서 걸림 지지 갈고리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28)을 형성하고 있다.
투광성 창(50)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광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투광성 창(50)은, 콤비네이션 미터(100)의 차량에의 탑재에 의해, 예를 들어 미터 클러스터(80)에 의해 외측 테두리 부분(52)을 표시 방향 SD로부터 덮인다. 미터 클러스터(80)는 차량에 설치된 피복 부재이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 중 하나이다. 투광성 창(50)은, 미터 본체(10)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본체부(51), 외주 리브(58), 및 걸림 지지 갈고리(57)를 갖고 있다.
도 2,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본체부(51)는 표시 개구(29)의 형상에 대응하고, 연직 방향 VD보다도 수평 방향 HD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 본체부(51)는, 위요 부재(20)의 표시 방향 SD에 위치함으로써, 표시 개구(29)를 표시 방향 SD로부터 덮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HD 및 표시 방향 SD를 따른 유리 본체부(51)의 단면 형상은, 수평 방향 HD의 중앙에 근접함에 따라 배면 방향 BD를 향해 오목 형상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그러므로, 유리 본체부(5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52a)은, 길이 방향의 양단부 부분보다도, 문자판(30)에 근접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 VD 및 표시 방향 SD를 따른 유리 본체부(51)의 단면 형상도, 배면 방향 BD를 향해 오목 형상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에 의해, 유리 본체부(51)는, 연직 방향 VD의 하방을 향함에 따라, 문자판(30)에 근접하고 있다.
도 1, 도 3에 도시하는 외주 리브(58)는, 유리 본체부(51)의 외측 테두리 부분(52)으로부터 배면 방향 BD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브(58)는, 유리 본체부(51)를 둘러싸도록, 외측 테두리 부분(52)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외주 리브(58)는, 위요벽부(21)의 외주측에서, 당해 벽부(21)와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 2, 도 5에 도시하는 걸림 지지 갈고리(57)는, 투광성 창(50)을 미터 본체(10)에 보유 지지시키기 위한 설치 구조(70)를, 받침부(27)와 협동으로 구성하고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57)는, 받침부(27)의 표시 방향 SD에 의해, 당해 받침부(27)에 대응된 배치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 지지 갈고리(57)는,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각 받침부(27)에 삽입됨으로써, 당해 각 받침부(27)에 의해 걸림 지지된다. 걸림 지지 갈고리(57)는 갈고리 본체부(57a) 및 볼록부(57b)를 갖고 있다.
갈고리 본체부(57a)는, 외주 리브(58)의 선단 부분 또는 후술하는 연신 본체 부분(55a)의 선단 부분(55c)으로부터, 배면 방향 BD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갈고리 본체부(57a)의 폭은, 수평 방향 HD를 따른 통과 구멍(28)의 안치수보다도, 약간 좁게 되어 있다. 볼록부(57b)는, 갈고리 본체부(57a)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외주벽면(22)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7b)는, 갈고리 본체부(57a)의 선단 부분과 함께 통과 구멍(28)을 통과 가능하다. 통과 구멍(28)을 통과한 볼록부(57b)는, 걸림 결합 부분(27b)에 배면 방향 BD로부터 접촉된다. 그러므로, 볼록부(57b)의 표시 방향 SD로의 이동은 걸림 결합 부분(27b)에 의해 규제된다. 이상에 의해 걸림 지지 갈고리(57)는 삽입된 받침부(27)에 의해 걸림 지지된다.
(특징 부분)
이하, 콤비네이션 미터(100)의 특징 부분인 투광성 창(50)의 돌출 부분(53) 등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돌출 부분(53)은, 투광성 창(50)에 있어서 연직 방향 VD의 하방으로 되는 외측 테두리 부분(52)에 설치되어 있고, 유리 본체부(51)로부터 표시 방향 SD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 부분(53)은, 투광성 창(5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52a)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 부분(5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터 클러스터(80)에 대해 연직 방향 VD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미터 클러스터(80)와 겹쳐져 있다. 돌출 부분(53)은 제1 연신부(54) 및 제2 연신부(55)를 갖고, 연신 공간(56)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연신부(54)는 외측 테두리 부분(52)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벽부이다. 제1 연신부(54)는 외주벽면(22)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연신부(54)는 외측 테두리 부분(52)으로부터 표시 방향 SD로 연장되어 있고, 표시 방향 SD를 향함에 따라, 유리 본체부(51)의 외주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제2 연신부(55)는, 제1 연신부(54)와 마찬가지로, 외측 테두리 부분(52)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벽부이다. 제2 연신부(55)는, 제1 연신부(54)에 있어서의 표시 방향 SD의 선단 부분(54a)으로부터, 위요벽부(21)의 외주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연신부(55)는 연결 부분(55b) 및 연신 본체 부분(55a)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분(55b)은, 선단 부분(54a)으로부터 유리 본체부(51)의 외주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이며, 연장벽 부분(24)의 표시 방향 SD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 부분(55b)은, 연직 방향 VD를 따라 연장벽 부분(24)을 걸쳐 있는 형태에 의해, 제1 연신부(54)와 연신 본체 부분(55a)을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연신 본체 부분(55a)은 연결 부분(55b)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있고, 위요벽부(21)의 외주측에서 배면 방향 BD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 본체 부분(55a)의 배면 방향 BD를 따른 길이는, 외주 리브(58)의 배면 방향 BD를 따른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연신 본체 부분(55a)은 외주 리브(58)와 일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주 리브(58)를 겸하고 있다. 연신 본체 부분(55a)은 일부의 갈고리 본체부(57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 부분(55c)에서 갈고리 본체부(57a)를 지지하고 있다. 돌출 부분(53)이 표시 방향 SD로 돌출되는 형태인 것에 의해, 갈고리 본체부(57a)의 기단부 부분은, 외주 리브(58)에 있어서 가장 배면 방향 BD에 위치하는 부분(58a)보다도, 표시 방향 SD에 위치하고 있다(도 3의 ΔL 참조).
도 5에 도시하는 연신 공간(56)은 연직 방향 VD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연신 본체 부분(55a) 및 제1 연신부(5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연신 공간(56)은 제1 연신부(54) 및 제2 연신부(55)에 둘러싸인 공간이며, 유리 본체부(51)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측 테두리 부분(52)보다도 표시 방향 SD로 형성되어 있다. 연신 공간(56)은 외측 테두리 부분(52)보다도 표시 방향 SD로 연장된 연장벽 부분(24)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투광성 창(50)에는,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HD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코인 캐치부(59)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코인 캐치부(59)는, 돌출 부분(53)과 수평 방향 HD에 있어서 돌출 부분(53)을 사이에 둔 양측 부분의 합계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각 코인 캐치부(59)는 표시 방향 SD로 노출된 투광성 창(50)의 앞면으로부터, 표시 방향 SD로 돌출되어 있다. 코인 캐치부(59)에는 캡(59a)이 장착되어 있다. 캡(59a)은 고무 재료 또는 펠트 등의 수지 재료보다도 유연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59a)은 코인 캐치부(59)를 표시 방향 SD로부터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코인 캐치부(59)는, 콤비네이션 미터(100)의 차량으로의 탑재에 의해, 미터 클러스터(80)에 설치된 리브(81)의 절결 부분(82)에 끼워 넣어진다. 이에 의해 캡(59a)은 코인 캐치부(59)와 절결 부분(82) 사이의 간극을 매립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콤비네이션 미터(100)를 조립하는 공정 중, 특히 투광성 창(50)을 미터 본체(10)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설치 공정을 실시하는 작업자는, 투광성 창(50) 중에서 특히 돌출 부분(53)을 파지하면서, 표시 방향 SD로부터 배면 방향 BD를 향해, 당해 투광성 창(50)을 미터 본체(10)에 근접시킨다. 이에 의해, 각 걸림 지지 갈고리(57)는 대향하여 위치하는 각 받침부(27)의 각 걸림 결합 부분(27b)에, 각 볼록부(57b)와 접촉시킨다.
작업자가 배면 방향 BD로의 힘을 돌출 부분(53) 등에 인가함으로써, 각 볼록부(57b)는 접촉된 각 걸림 결합 부분(27b)으로부터 반력을 받는다. 이에 의해, 각 걸림 지지 갈고리(57)는 제2 연신부(55)[또는 외주 리브(58)(도 2 참조)]와 일체적으로, 내주측으로 휜다. 그러면, 갈고리 본체부(57a)의 선단 부분 및 볼록부(57b)는 통과 구멍(28)을 통과하여, 걸림 결합 부분(27b)의 배면 방향 BD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볼록부(57b)가 걸림 결합 부분(27b)을 걸침으로써, 걸림 지지 갈고리(57)와 제1 연신부(54)[또는 외주 리브(58)(도 2 참조)]에 발생하고 있던 휨은 저감된다. 이상에 의해, 외주벽면(2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볼록부(57b)는 걸림 결합 부분(27b)에 배면 방향 BD로부터 접촉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57)의 표시 방향 SD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57)가 받침부(27)에 의해 걸림 지지됨으로써, 투광성 창(50)은 미터 본체(10)에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콤비네이션 미터(100)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수용 공간(93) 내에 조립하는 조립 공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조립 공정을 실시하는 작업자는, 콤비네이션 미터(100)에 설치된 돌출 부분(53)에 손가락을 걸면서, 당해 미터(100)를 파지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배면 방향 BD를 향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수용 공간(93) 내에 콤비네이션 미터(100)를 삽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콤비네이션 미터(100)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차량의 구조 부재에 고정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유리 본체부(51)의 외측 테두리 부분(52)을 표시 방향 SD로부터 덮는 미터 클러스터(80) 등의 부재를 설치한다. 이상에 의해, 콤비네이션 미터(100)는 차량에 설치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걸림 지지 갈고리(57)를 지지하는 제2 연신부(55)는 제1 연신부(54)의 선단 부분(54a)으로부터 배면 방향 BD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걸림 지지 갈고리(57)의 위치가 표시 방향 SD로 이동되었다고 해도, 제2 연신부(55)의 연신 본체 부분(55a)은 표시 방향 SD를 따른 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설치 구조(70)를 표시 방향 SD로 이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당해 걸림 지지 갈고리(57) 자체의 길이 확보가 곤란해졌다고 해도, 걸림 지지 갈고리(57)를 받침부(27)에 걸림 지지시킬 때에 필요하게 되는 휨 길이 Lb는 걸림 지지 갈고리(57) 및 제2 연신부(55)의 협동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걸림 지지 갈고리(57)의 위치를 표시 방향 SD로 적어도 길이 ΔL(도 3 참조) 이동시켰다고 해도, 받침부(27) 및 걸림 지지 갈고리(57)로 이루어지는 설치 구조(70)는 성립 가능해진다. 따라서, 걸림 지지 갈고리(57) 및 차량 부품(90) 사이의 간극 d를 확보한 후에, 걸림 지지 갈고리(57) 및 받침부(27)로 이루어지는 설치 구조(70)에 의해 미터 본체(10)에 투광성 창(50)을 보유 지지 가능한 콤비네이션 미터(100)가 실현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연신부(55)는 유리 본체부(51)를 외주측에 의해 보강하는 리브의 기능을 외주 리브(58)와 함께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신부(55)는 외주 리브(58)보다도 표시 방향 SD의 길이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외주 리브(58)보다도 강한 보강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신부(54)와 연신 본체 부분(55a)을 연결 부분(55b)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U자 단면 형상에 의해, 돌출 부분(53)은 높은 강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연신부(55) 단체의 보강 작용과 당해 연신부(55)를 포함하는 돌출 부분(53)에 의한 보강 작용에 의해 강성이 높아진 유리 본체부(51)는 설치 공정 시의 변형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에 의해 돌출 부분(53)에 인가된 힘은, 복수 설치된 걸림 지지 갈고리(57)의 각각으로 전달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걸림 지지 갈고리(57) 및 제2 연신부(55)[또는 외주 리브(58)]는 유리 본체부(51)에 대해 일체적으로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걸림 지지 갈고리(57)를 받침부(27)에 걸림 지지시키는 설치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성은 향상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위요벽부(21)에서 본체벽 부분(23)으로부터 연장벽 부분(24)을 연장시키는 구성에 의해 표시 방향 SD를 따른 길이를 얻음으로써, 위요벽부(21)의 강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받침부(27)를 지지하는 본체벽 부분(23)의 변형이 억제된다. 이상에 의해, 받침부(27)가 걸림 지지 갈고리(57)에 반력을 작용시키기 쉬워지므로, 걸림 지지 갈고리(57) 및 제2 연신부(55)는 받침부(27)로부터의 반력을 적절히 받아 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지지 갈고리(57)를 받침부(27)에 걸림 지지시키는 설치 공정의 작업성은 향상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장벽 부분(24)은 연신 공간(56)을 향해 연장함으로써, 제1 연신부(54) 및 연신 본체 부분(55a)에 끼워진 배치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투광성 창(50)의 제1 연신부(54) 및 연신 본체 부분(55a)과, 위요 부재(20)의 연장벽 부분(24)이 번갈아 위치함으로써, 먼지 등은 투광성 창(50)과 미터 본체(10) 사이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콤비네이션 미터(100)는 설치 구조(70)에 의한 투광성 창(50)의 보유 지지를 확실한 것으로 한 후에, 먼지 등의 내부로의 침입에 기인하는 미관의 저하도 회피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52a)이 문자판(30)에 근접하도록 배면 방향 BD로 만곡된 유리 본체부(51)(도 4 참조)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52a)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투광성 창(50)이 만곡된 형태에서는, 중앙 부분(52a)에 돌출 부분(53)을 설치함으로써, 이 돌출 부분(53)은 유리 본체부(51)의 만곡에 의해 생기는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휨 길이 Lb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돌출 부분(53)이 차량 부품(90)과 간섭하는 사태는 회피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경화(硬貨) 등의 물품이 미터 클러스터(80)와 유리 본체부(51) 사이의 간격을 통해 떨어지려고 해도, 이와 같은 경화의 낙하는, 미터 클러스터(80)의 연직 방향 VD 하측에서 유리 본체부(51)로부터 표시 방향 SD로 연장되는 돌출 부분(53)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유리 본체부(51)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측 테두리 부분(52)에 돌출 부분(53)을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제1 연신부(54)와 미터 클러스터(80)를 겹침으로써, 돌출 부분(53)은 경화 등의 낙하를 저지하는 소위 코인 캐쳐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미터 클러스터(80)와 돌출 부분(53) 사이의 간극을 통해 경화 등이 더 떨어지려고 해도, 경화의 낙하는 돌출 부분(53)으로부터 돌출된 코인 캐치부(59)에 의해 확실히 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돌출 부분(53)은 연결 부분(55b)을 포함함으로써 연직 방향 VD를 따른 두께를 획득하므로, 한층 파지 용이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파지 용이한 돌출 부분(53)을 설치함으로써, 콤비네이션 미터(100)를 들어 올릴 때에 파지하려고 하는 위치가, 돌출 부분(53)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리 본체부(51)로의 작업자의 접촉이 억제되게 되어, 작업 시에 당해 본체부(51)가 손상되는 사태는 저감 가능해진다. 또한, 돌출 부분(53)에 의해 유리 본체부(51)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작업 시에 있어서의 투광성 창(50)의 파손도 저감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터 본체(10)는 표시 조립체라고도 언급된다. 위요벽부(21)는 차광벽부라고도 언급된다. 투광성 창(50)은 투광 부재라고도 언급된다. 또한, 유리 본체부(51)는 투광 본체부라고도 언급된다. 미터 클러스터(80)는 피복 부재라고도 언급된다. 콤비네이션 미터(100)는 차량용 표시 장치라고도 언급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투광성 창(250)에서는, 제1 연신부(254) 및 제2 연신부(255)를 포함하는 돌출 부분(253)이, 연직 방향 VD의 상방에 위치하는 외측 테두리 부분(252)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 부분(253)은 투광성 창(25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252a)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수평 방향 HD 및 표시 방향 SD를 따른 단면에 있어서 유리 본체부(251)는 문자판(230)을 따른 평판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연직 방향 VD 및 표시 방향 SD를 따른 유리 본체부(251)의 단면 형상은 배면 방향 BD를 향해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에 의해, 유리 본체부(251)는 연직 방향 VD의 상방을 향함에 따라, 문자판(230)에 근접하고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받침부(227) 및 걸림 지지 갈고리(257)로 이루어지는 설치 구조(270)를 표시 방향 SD로 이동했다고 해도, 걸림 지지 갈고리(257)에 필요해지는 휨 길이는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부품과의 사이의 간극을 확보한 후에, 설치 구조(270)에 의해 미터 본체(210)에 투광성 창(250)을 보유 지지 가능한 콤비네이션 미터(200)가 실현된다.
또한, 콤비네이션 미터(200)를 조립하는 작업 시, 및 당해 미터(200)를 차량에 조립할 때에 있어서, 각 작업의 작업자는 이 콤비네이션 미터(200)를 들어 올리게 된다. 그러므로, 연직 방향 VD의 상방에 위치하는 외측 테두리 부분(252)에 돌출 부분(253)을 설치하는 구성이면, 작업자는 유리 본체부(251)로부터 돌출된 돌출 부분(253)에 손가락을 걸면서, 콤비네이션 미터(200)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자에게 있어서의 들어올림 동작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콤비네이션 미터(200)에 관한 각 작업의 작업성은 각각 향상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터 본체(210)는 표시 조립체라고도 언급된다. 투광성 창(250)은 투광 부재라고도 언급된다. 유리 본체부(251)는 투광 본체부라고도 언급된다. 콤비네이션 미터(200)는 차량용 표시 장치라고도 언급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에 의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코인 캐치부(59)(도 2 참조)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코인 캐치부(59)의 생략된 변형예 1에 의한 콤비네이션 미터(300)라도, 돌출 부분(53)은 경화 등의 낙하를 저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수평 방향 HD에 있어서의 돌출 부분(53)의 양측에만 코인 캐치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출 부분은, 수평 방향 HD를 따른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돌출 부분이 설치되는 위치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돌출 부분이, 유리 본체부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연신부 및 외주 리브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걸림 지지 갈고리의 위치도 콤비네이션 미터의 외관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걸림 지지 갈고리와 차량 부품 사이에 간극 d가 확보되어 있었다. 그러나, 콤비네이션 미터는 걸림 지지 갈고리 및 받침부를 표시 방향 SD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것만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직 방향 VD 및 표시 방향 SD를 따른 돌출 부분의 횡단면 형상은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돌출 부분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연직 방향 VD를 따라 연장되는 연결 부분(55b)이 생략됨으로써, 돌출 부분은 제1 연신부와 제2 연신부가 접어 포개진 형태로 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연신 부분은, 외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2 연신 부분은, 걸림 지지 갈고리를 지지할 수 있다면, 형상이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연신부는 걸림 지지 갈고리와 동일한 정도의 폭으로 제1 연신부로부터 배면 방향 BD로 연신되는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투광성 창(50)은, 연직 방향 VD의 하방을 향함에 따라, 문자판(30)에 근접하도록 만곡되는, 소위 인커브 형상이었다. 한편,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투광성 창(250)은, 연직 방향 VD의 상방을 향함에 따라, 문자판(230)에 근접하도록 만곡되는 소위 아웃커브 형상이었다. 이상과 같이, 투광성 창에 있어서의 만곡의 유무, 및 만곡의 형상은 콤비네이션 미터의 외관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투광성 창은 상술한 투광성의 수지 재료가 아니고, 강화 유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또한 그들의 일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것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실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93) 내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이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1), 상기 표시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에 의해 당해 표시부의 표시 방향(SD)으로 표시 개구(29)를 형성하는 위요벽부(21), 및 상기 위요벽부의 외주벽면(22)에 설치되는 받침부(27, 227)를 갖는 표시 조립체(10, 210)와,
    상기 표시 개구를 상기 표시 방향으로부터 덮는 투광성의 투광 본체부(51, 251), 상기 투광 본체부의 외측 테두리 부분(52, 252)으로부터 상기 표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신부(54, 254), 상기 제1 연신부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방향의 선단 부분(54a)으로부터 상기 위요벽부의 외주측을 향해 상기 표시 방향과는 반대 방향(BD)으로 연장되는 제2 연신부(55, 255), 및 상기 제2 연신부로부터 상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57, 257)를 갖고, 상기 표시 조립체에 보유 지지되는 투광 부재(50, 25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신부, 상기 제2 연신부 및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는 상기 투광 본체부의 외측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일체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신부는, 대향하는 상기 제1 연신부와의 사이에서 연신 공간(56)을 형성하는 연신 본체 부분(55a), 및 상기 연신 본체 부분과 상기 제1 연신부의 상기 선단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55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요벽부는, 상기 받침부가 설치되는 본체벽 부분(23), 및 상기 본체벽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신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벽 부분(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신부는, 상기 투광 본체부의 상기 외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본체부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신부 및 상기 제2 연신부는, 상기 투광 부재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52a)에 위치하고,
    상기 투광 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의 형상은,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해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부는, 상기 투광 부재에 대해 중력 방향(VD)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피복 부재(80)에 의해, 상기 외측 테두리 부분이 상기 표시 방향으로부터 덮이고,
    상기 제1 연신부는, 상기 피복 부재에 대해 상기 중력 방향의 하방에 위치하여, 당해 피복 부재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부는, 상기 투광 부재에 대해 중력 방향(VD)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본체부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직사각 형상에 있어서, 수평 방향인 길이 방향(HD)은, 직교하는 중력 방향(VD)보다 길고,
    상기 제1 연신부 및 상기 제2 연신부는, 상기 투광 부재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52a)에 위치하고,
    상기 투광 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표시 방향을 따른 단면의 형상은,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해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0. 삭제
KR1020157000449A 2012-06-13 2013-06-11 차량용 표시 장치 KR101712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4223 2012-06-13
JPJP-P-2012-134223 2012-06-13
JP2013114959A JP5541392B2 (ja) 2012-06-13 2013-05-31 車両用表示装置
JPJP-P-2013-114959 2013-05-31
PCT/JP2013/003656 WO2013187049A1 (ja) 2012-06-13 2013-06-11 車両用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670A KR20150020670A (ko) 2015-02-26
KR101712754B1 true KR101712754B1 (ko) 2017-03-06

Family

ID=4975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449A KR101712754B1 (ko) 2012-06-13 2013-06-11 차량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1247B2 (ko)
JP (1) JP5541392B2 (ko)
KR (1) KR101712754B1 (ko)
CN (1) CN104350363B (ko)
DE (1) DE112013003000T5 (ko)
WO (1) WO2013187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3045A1 (de) 2015-08-07 2017-02-0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zeige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WO2018061929A1 (ja) * 2016-09-29 2018-04-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筐体
JP6946818B2 (ja) * 2017-07-25 2021-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DE102019202854A1 (de) * 2019-03-01 2020-09-03 Psa Automobiles Sa Festlegevorrichtung zum Festlegen eines Moduls an einer Fahrzeug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
JP7484560B2 (ja) 2020-08-19 2024-05-16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2776724B (zh) * 2021-02-04 2023-03-21 苏州桐劼汽车电子有限公司 弹性缓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281U (ko) * 1978-09-21 1980-03-26
JPS6041820U (ja) * 1983-08-30 1985-03-25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ケ−ス
JPS6059919U (ja) 1983-09-30 1985-04-25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ハウジング
JPH0672022U (ja) * 1993-03-23 1994-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計器盤
JP3168955B2 (ja) * 1997-09-29 2001-05-21 日本精機株式会社 組付構造
JP2000161996A (ja) * 1998-11-30 2000-06-16 Nippon Seiki Co Ltd 計器ハウジング
JP3324115B2 (ja) * 2000-03-07 2002-09-17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装置
KR100602670B1 (ko) * 2004-09-15 2006-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스터 게이지 장착구조
US7398947B2 (en) * 2005-05-26 2008-07-15 Michael A Bartrom Car radio mounting device
JP2009264816A (ja) * 2008-04-23 2009-11-12 Calsonic Kansei Corp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50363A (zh) 2015-02-11
WO2013187049A1 (ja) 2013-12-19
CN104350363B (zh) 2016-05-04
JP2014016342A (ja) 2014-01-30
US20150151636A1 (en) 2015-06-04
DE112013003000T5 (de) 2015-03-19
JP5541392B2 (ja) 2014-07-09
US9481247B2 (en) 2016-11-01
KR20150020670A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754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JP5156652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CN108372788B (zh) 车室内前部结构
JP4789758B2 (ja) Atセレクタカバー
JP2009083720A (ja) ラジエターグリルへの車載カメラ取付方法及びラジエターグリルへの車載カメラ取付構造
JP6232971B2 (ja) メータカバー部材
US8444202B2 (en) Display surround
US8002340B2 (en) Joint structure for fixing between sunroof and headliner
JP2011240845A (ja) 車両用計器
JP4766431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機器取付構造
CN107000644A (zh) 车辆用车门后视镜
JP2009056982A (ja) フェンダートップカバーの取付け構造
JP618365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加飾部品の取り付け構造
JP2022048562A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JP2009259022A (ja) 車両のレバーブーツ取付構造
JP6013151B2 (ja) 補助ミラー付きドアミラー
JP5870595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4832883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表示装置
JP5607948B2 (ja) メータクラスタの取付構造
JP6992501B2 (ja)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構造
JP2014065401A (ja) 車両用メータクラスタの組付け構造
JP5090035B2 (ja) 車載電子機器
JP4447401B2 (ja) 車両用表示器のフード構造
JP6766630B2 (ja) 乗物用内装材
JPH04128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