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892B1 -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 - Google Patents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892B1
KR101711892B1 KR1020160137532A KR20160137532A KR101711892B1 KR 101711892 B1 KR101711892 B1 KR 101711892B1 KR 1020160137532 A KR1020160137532 A KR 1020160137532A KR 20160137532 A KR20160137532 A KR 20160137532A KR 101711892 B1 KR101711892 B1 KR 10171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thermal conductivity
plastic injection
injection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섭
손종락
황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주식회사 동부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주식회사 동부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6013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1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5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die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75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사출수지 대비 열전도율을 획기적으로 개선된 LED패키지의 외형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사출수지를 성형하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섬유(Glass Fiber)와 이산화티타늄(TiO2)를 일정량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성 필러 6~12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Plastic injection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LED package using it}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사출수지 대비 열전도율을 획기적으로 개선된 LED패키지의 외형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사출수지를 성형하는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기존 가정용 조명, TV 및 전장용의 발광 소재로써, 저전력 소모 및 우수한 광 효율을 보이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차세대 광원을 대체할 주자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고효율의 LED에 대한 다양한 응용을 위하여 출력이 증가됨에 따라 발열 등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현재 LED칩 구동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한 광 손실 및 수명저하를 유발하는 방열 기술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열판의 증가 및 방열 소재의 열용량 개선 등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LED패키지(LED Package)의 사이즈(Size) 증가 또는 소재 개선의 한계로 LED 소재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지 못하여 고출력 LED생산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별도의 히트싱크(Heat Sink)를 적용하여 LED제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의 고출력 LED를 구현하기 위하여 칩(Chip)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다양한 방법이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칩의 발열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열판을 확장하거나, 메탈 기판층을 기형적으로 크게(예, COB)하는 등의 구조적 변경을 시도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래터럴칩(Lateral Chip)의 경우 고 열용량의 증착층(Adhesion Layer)을 적용하거나, 칩 하단부에 반사메탈 형성 후 메탈 증착(Adhesion)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칩에서 발생하는 열이 사파이어층으로 집중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파이어층을 바꾸는 수직 칩구조 또는 플립칩(Flip Chip)구조 등을 적용하여 발열을 해결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리드프레임타입(Lead Frame Type) LED패키지 또한 고출력량으로 진행되면서 발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나, 래터럴칩의 기본 구조에 리드(Lead)에만 의존하는 등 방열 기술에 제한적이었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8134호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706호 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3108호 4.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9891호
본 발명에서는 LED Package Size 및 제한된 방열소재로 인한 고출력 LED 제작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방열판 외에 지지기판으로의 방열을 확대하여 LED Size 확대 및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여 방열이 우수한 고출력 LED 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LED패키지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사출수지를 형성함에 있어 열전도율이 1W/mK이하의 기존 사출대비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필러를 첨가하여 열전도율이 1W/mK이상으로 개선되면서 광 효율 또한 개선된 우수한 열전도율 및 광반사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율이 개선된 플라스틱 사출수지를 적용하여 LED패키지의 외형(이하, '몰드'라 한다)을 구성함으로써 LED패키지의 우수한 방열성을 확보하고, 광반사 특성이 향상된 경제성 있고 외관이 우수한 LED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Glass Fiber)와 이산화티타늄(TiO2)를 일정량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성 필러 6~12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프탈아마이드(Polyphthalamide; PPA),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엔지니어링 수지(Thermiplastic Polyester Engineering Resins; PCT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입자크기 1~100㎛의 크기를 가지는 알루미늄(Al), 티타늄(Ti), 크로뮴(Cr),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납(Pd), 은(Ag), 카드뮴(Cd), 백금(Pt), 금(Au), 텅스텐(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메탈파우더(Metal Powd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입자크기 1~100㎛ 크기의 그라핀(Graphine)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LED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몰드를 포함하는 LED패키지로 구성된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방열판 외에 지지기판으로의 방열을 확대하여 LED Package Size 및 제한된 방열소재로 인한 고출력 LED 제작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LED Size 확대 및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여 방열이 우수한 고출력 LED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LED패키지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LED패키지의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LED Package Size 및 제한된 방열소재로 인한 고출력 LED 제작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방열판 외에 지지기판으로의 방열을 확대하여 LED Size 확대 및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여 방열이 우수한 고출력 LED를 구현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방열 효율을 개선해야 하는 Lead Frame Type LED는 플라스틱 사출 수지로 외형을 구성하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 수지는 LED 제품 기준, 전극으로 분리된 금속재질의 Lead 단자를 연결하며, R, G, B 각 파장의 반사율을 극대화하여 광 효율을 개선하고자, 주로 Glass Fiber, TiO2 및 Base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기본 구성인 Polymer 재질의 성분으로 인하여 방열에 기여하는 바는 미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열전도도가 기존 사출수지 대비 열전도성 필러로 Metal Powder를 수지대비 일정량 첨가하여 열전도율이 개선되고 (1W/mK 이상) 동시에 광반사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수지를 적용하여 방열 효과 및 광반사율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Glass Fiber)와 이산화티타늄(TiO2)를 일정량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성 필러 3~1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열전도 필러의 혼합량은 6~12중량부인 것이 더욱 좋다.
만일, 상기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6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반사율은 90%이상 확보가 가능하나, 열전도율이 본발명이 목적하는 1W/mK 이하가 되는 단점이 있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10W/mK이상의 우수한 열전도율을 가지나 반사율이 85%이하가 되어 광반사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에 함유된 유리섬유와 이산화티타늄은 수지의 강성 증가 및 백색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그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 LED패키지용 사출수지에 적용되는 함량이 적용되어 혼합된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수지 총량에 대하여 유리섬유 5 ~ 30중량%, 이산화티타늄 5 ~ 5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프탈아마이드(Polyphthalamide; PPA),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엔지니어링 수지(Thermiplastic Polyester Engineering Resins; PCT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입자크기 1~100㎛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알루미늄(Al), 티타늄(Ti), 크로뮴(Cr),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납(Pd), 은(Ag), 카드뮴(Cd), 백금(Pt), 금(Au), 텅스텐(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메탈파우더(Metal Powder)를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탈파우더의 입자크기는 1~100㎛, 더욱 좋게는 2~50㎛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메탈파우더의 입자크기가 1㎛미만 또는 100㎛를 초과할 경우 제품 구현을 위한 사출시 유동성을 저해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입자크기 1~100㎛ 크기의 그라핀(Graphine) 또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크기는 2~50㎛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일, 그 입자크기가 1㎛미만 또는 100㎛를 초과할 경우 제품 구현을 위한 사출시 유동성을 저해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내흡수성수지, 산화방지제, 광 안정제, 이형제, 가소제, 핵형성제, 안료, 가교제, 형광증백제 등을 더 첨가하거나, 개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일 예로서 일 구현예에 따른 LED패키지를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LED패키지의 기본 구조로, LED패키지(100)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하여 형성되어 외관을 구성하는 몰드(110); 상기 몰드(110)내에 배치되는 리드 프레임 등의 도전층(120, 130); 상기 도전층(130)상에 실장되어 배치되는 LED칩(140); 상기 리드프레임(120, 130)과 LED칩을 연결하는 본딩와이어(150); LED칩을 덮고 있는 봉지재(1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전층(120)과 도전층(130)의 사이에 사출수지가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몰드(110)는 본 발명의 사출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것으로 열전도율이 1W/mK이상이고, 반사율이 90%이상을 가지게 됨으로써, 열전도 효율 뿐만 아니라 광반사율이 매우 우수한 물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몰드는 생산자의 목적 또는 요구되는 열전도율 및 반사율에 따라 상기 사출수지를 열전도율이 1W/mK 이상이고, 반사율이 90% 이상을 갖는 고분자수지를 적용하거나, 또는 열전도율이 2W/mK 이상이고, 반사율이 90% 이상을 갖는 고분자수지를 적의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고효율 및 고방열의 LED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수지가 적용된 몰드의 구성과 리드프레임의 구성의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LED패키지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2는 리드프레임타입 LED패키지의 일예로, 이외에도 플립칩(Filp Chip) 타입 LED패키지 또는 버티컬칩(Vertical Chip) 타입 LED패키지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몰드(110)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사출수지의 열전도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열전도성 필러가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드프레임과 몰드사이에 절연층을 구성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몰드를 포함하는 LED패키지는 다양한 LED조명기구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하기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1~3]
수지 총량에 대하여 유리섬유 5 ~ 30중량%, 이산화티타늄 5 ~ 5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탈아마이드(Polyphthalamide; PPA)를 준비하고, 열전도성 필러로 5~ 100㎛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알루미늄 분말(실시예1), 구리분말(실시예2), 은 분말(실시예3)의 열전도성 필러를 준비하여, 상기 PPA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열전도성 필러를 0~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여 펠렛 상태로 제조하였다. 수득된 펠렛을 충분히 제습건조하여 사출기로 열전도도 및 광 반사율을 측정하기위한 시편을 얻었으며,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에 따른 반사율과 열전도율 변화를 측정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열전도도 측정은 ASTM E1461의 측정방법을 사용하였고, 광 반사율은 스펙트로메터의 D65 광원을 이용한 전반사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를 얻었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W/mK)
0 0.17 0.30 0.31
3 0.45 0.70 0.79
6 1.03 1.71 1.79
10 2.05 3.47 3.63
15 2.65 4.51 4.72
20 3.45 5.80 6.01
30 6.05 9.89 10.12



(%)
0 97.5 97.5 97.5
3 96.1 95.8 96.3
6 94.5 93.7 95.1
10 92.5 91.5 93.2
15 90.1 89.5 90.8
20 83.4 77.5 84.7
30 70.5 58.7 72.2
상기 표 1의 결과로 살펴본 바, 열전도성 필러의 첨가량에 따라 반사율과 열전도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메탈파우더 또는 탄소나노튜브 함량이 PPA수지 100중량부 대비 3중량부이상 포함되도록 혼합시 반사율은 90%이상으로 보이며, 열전도율은 1W/mK 이상으로써, LED광효율 감소를 최소화하며, 매우 우수한 방열효율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측정결과를 살펴본 바, 바람직하게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PPA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6~15중량부의 범위에서 반사율이 90%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그 이상에서는 열전도율이 증가하지만 반사율이 90%이하로 감소하므로 고효율 및 고방열 LED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없음을 알 수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100: LED 패키지
110: 몰드
120, 130: 리드프레임
140: LED칩
150: 본딩와이어
160: 봉지재

Claims (10)

  1. LED패키지용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리섬유(Glass Fiber)와 이산화티타늄(TiO2)를 일정량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성 필러 6~1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프탈아마이드(Polyphthalamide; PPA),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엔지니어링 수지(Thermiplastic Polyester Engineering Resins; PCT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입자크기 1~100㎛의 크기를 가지는 알루미늄(Al), 티타늄(Ti), 크로뮴(Cr),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납(Pd), 은(Ag), 카드뮴(Cd), 백금(Pt), 금(Au), 텅스텐(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메탈파우더(Metal Powder)로 구성되어,
    열전도율이 1W/mK 이상이고, 반사율이 90%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입자크기 1~100㎛ 크기의 그라핀(Graphine)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5. 청구항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전층상에 실장되어 배치되는 LED칩을 포함하는 LED패키지.
  6. 청구항 제5항의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몰드를 포함하는 LED패키지로 구성된 조명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칩은 Epi-Up Chip, Vertical Chip, Flip Chi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칩을 포함하는 LED패키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칩을 구성하는 LED는 측면발광 LED, Top View LED, High Power LED, COB LED, CSP LED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패키지.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열전도율이 2W/mK 이상이고, 반사율이 90% 이상을 갖는 고분자수지를 포함하는 LED 패키지.
KR1020160137532A 2016-10-21 2016-10-21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 KR10171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32A KR101711892B1 (ko) 2016-10-21 2016-10-21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32A KR101711892B1 (ko) 2016-10-21 2016-10-21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892B1 true KR101711892B1 (ko) 2017-03-03

Family

ID=5841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532A KR101711892B1 (ko) 2016-10-21 2016-10-21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724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방열플라스틱을 이용한 차량용 등화장치
KR20200099245A (ko) * 2019-02-13 2020-08-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매트릭스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반사경 사출성형용 펠렛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134A (ko) 2008-02-14 2009-08-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도, 반사율 및 열전도도가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10003706A (ko) 2009-07-06 2011-01-13 케이디아이주식회사 열전도성 수지 및 그 열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led 히트싱크, led 조명 케이스 및 smps 케이스
KR20130063108A (ko) 2011-12-06 2013-06-1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60089891A (ko) 2016-07-15 2016-07-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루미늄 분말과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방열구조물.
KR20160106676A (ko) * 2014-01-06 2016-09-12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인크. 고 종횡비의 질화 붕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134A (ko) 2008-02-14 2009-08-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도, 반사율 및 열전도도가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10003706A (ko) 2009-07-06 2011-01-13 케이디아이주식회사 열전도성 수지 및 그 열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led 히트싱크, led 조명 케이스 및 smps 케이스
KR20130063108A (ko) 2011-12-06 2013-06-1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60106676A (ko) * 2014-01-06 2016-09-12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인크. 고 종횡비의 질화 붕소,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89891A (ko) 2016-07-15 2016-07-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루미늄 분말과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방열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724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방열플라스틱을 이용한 차량용 등화장치
KR102475370B1 (ko) * 2018-01-29 2022-12-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방열플라스틱을 이용한 차량용 등화장치
KR20200099245A (ko) * 2019-02-13 2020-08-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매트릭스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반사경 사출성형용 펠렛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779B1 (ko) 2019-02-13 2020-1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매트릭스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반사경 사출성형용 펠렛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4342B2 (en) Chip coate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759671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8890140B2 (en) Radiation-emitting component with a semiconductor chip and a conversion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8905600B2 (en) Light-emitting diode lamp and method of making
WO2014119693A1 (ja) 電子線硬化性樹脂組成物、リフレクター用樹脂フレーム、リフレクター、半導体発光装置、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5699329B2 (ja) リフレクター用樹脂組成物、リフレクター用樹脂フレーム、リフレクター、及び半導体発光装置
JP2007194401A (ja) 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を用いたledパッケージ
KR101711892B1 (ko) 열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led패키지
JP6194155B2 (ja) リフレクター用樹脂組成物、リフレクター用樹脂フレーム、リフレクター、半導体発光装置、及び成形方法
CN106133929B (zh) 半导体发光装置及光半导体安装用基板
KR101670685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US20150029723A1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and light-emitting diode light bulb
TWI425675B (zh) 發光二極體封裝結構
KR101740484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Shih et al. Optical interaction between LED backside reflectors and die attach adhesives
JP6102413B2 (ja) 電子線硬化性樹脂組成物、リフレクター用樹脂フレーム、リフレクター、半導体発光装置、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TW201526308A (zh) 超薄高效能Flash LED 元件及其製備工藝
JP6155929B2 (ja) 半導体発光装置、半導体発光装置用部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反射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I565104B (zh) 發光二極體裝置
JP2013197543A (ja) 半導体発光装置、半導体発光装置用部品、半導体発光装置用反射体、半導体発光装置用反射体組成物、半導体発光装置用反射体の製造方法
JP6155928B2 (ja) 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発光装置用部品の製造方法、反射体の製造方法及び反射体形成用組成物
TW201205732A (en) Package structure of LED light emitting device
JP6167603B2 (ja) 電子線硬化性樹脂組成物、リフレクター用樹脂フレーム、リフレクター、半導体発光装置、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TWM305433U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JP2016035010A (ja) 樹脂組成物、リフレクター、リフレクター付きリードフレーム及び半導体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