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545B1 -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545B1
KR101697545B1 KR1020160112375A KR20160112375A KR101697545B1 KR 101697545 B1 KR101697545 B1 KR 101697545B1 KR 1020160112375 A KR1020160112375 A KR 1020160112375A KR 20160112375 A KR20160112375 A KR 20160112375A KR 101697545 B1 KR101697545 B1 KR 10169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ar wheel
wheel
coupled
whee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6011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545B1/ko
Priority to EP17846995.3A priority patent/EP3505421A4/en
Priority to PCT/KR2017/009491 priority patent/WO2018044070A1/ko
Priority to CN201780048396.9A priority patent/CN109562773B/zh
Priority to US16/322,153 priority patent/US1041442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7Coaster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0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60B33/023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by using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13Protection covers, e.g. against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B62B5/082Children'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유아용 웨건에서 지지되는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축 간격이 넓어 방향전환을 하려면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축 간격이 큼에 따라 방향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보호자의 팔에 무리가 가고, 유아용 웨건을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시 앞으로 내딛는 보호자의 발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프레임에 부딪히는 불편함으로 인해 편한 보폭을 유지할 수 없어 보호자의 피로감이 증가하고, 구동바퀴의 탈착이 간편하지 않아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하고, 브레이크 패드를 장기간 사용시 회전축을 통해 안정적으로 회전되지 않고 헛돌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받침 프레임, 측면 프레임, 전방 핸들프레임, 후방 핸들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전륜바퀴와 후륜바퀴 사이의 축간거리를 단축하여 이동 및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팔에 부담을 줄여주고,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유아용 웨건을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시 앞으로 내딛는 보호자의 발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프레임에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고, 구동바퀴의 탈부착이 간편하여 사용모드·보관모드의 변환이 용이하고, 차륜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절감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구동바퀴의 마모 및 손상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전륜부와 후륜부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은 유아용 웨건을 지지하는 전륜바퀴와 후륜바퀴의 축간거리를 좁혀 보호자의 팔에 작용하는 힘을 줄여주고, 좁은 공간에서 방향전환 및 운전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유아용 웨건을 밀어서 이동 시 보호자의 발이 프레임에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형태를 개조하여 편안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구동바퀴의 탈부착이 간편하여 부피를 줄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에 비해 수납공간이 넉넉히 구비되고 보호자 혼자서도 2~3명의 유아를 태우고 외출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손수레 형식의 유아용 웨건은 어린 자녀를 둔 부모의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보편화 되어 유아용 이동수단으로서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웨건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유아용 웨건은 지지되는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축 간격이 넓어 방향전환을 하려면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축 간격이 큼에 따라 방향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보호자의 팔에 무리가 가고, 유아용 웨건을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시 앞으로 내딛는 보호자의 발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프레임에 부딪히는 불편함으로 인해 편한 보폭을 유지할 수 없어 보호자의 피로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웨건을 사용하지 않을 시 구동바퀴의 탈착이 간편하지 않아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하고, 브레이크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올라감에 따라 제품비용이 상승하여 초기구입시 소비자의 부담이 크고, 구동바퀴가 마모 및 손상될 경우 교체해야하는 범위가 넓어 유지·보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륜바퀴와 후륜바퀴 사이의 축간거리를 단축하여 이동 및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팔에 부담을 줄여주고,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유아용 웨건을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시 앞으로 내딛는 보호자의 발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프레임에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고, 구동바퀴의 탈부착을 간편하여 사용모드·보관모드의 변환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생산비용을 절감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구동바퀴의 마모 및 손상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은,
접이식 본체 프레임, 차륜부, 시트부, 캐노피부로 구성되어 유아의 이동수단 역할을 하는 유아용 웨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이식 본체 프레임은
전면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진 'ㅁ'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면 프레임과,
후면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지고, 하단 프레임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1
'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면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결합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웨건 중심축이 형성되고, 전방 받침 프레임과 후방 받침 프레임이 중심축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받침 프레임과,
전방의 상단과 후방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측면 상단 프레임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전방의 하단과 후방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측면 하단 프레임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직립된 수직 수직 연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이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의 중심과 축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과,
정면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한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2
' 형상의 프레임으로, 정면 프레임의 좌·우측 정면에 핸들고정 클립을 통해 결합되어 직립되는 전방 핸들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3
' 형상의 프레임으로,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후면에 핸들고정 클립을 통해 결합되어 직립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외측에 회전제어버튼이 결합되어 후면 각도조절 핸들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후방 핸들프레임이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륜바퀴와 후륜바퀴 사이의 축간거리를 단축하여 이동 및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팔에 부담을 줄여주고,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유아용 웨건을 후방에서 밀어서 이동시 앞으로 내딛는 보호자의 발이 유아용 웨건의 후면 프레임에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보폭을 유지함에 따라 보호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구동바퀴의 탈착이 간편하여 사용모드·보관모드의 변환이 용이하고, 차륜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절감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구동바퀴의 마모 및 손상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전륜부와 후륜부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받침 프레임, 측면 프레임을 도시하고, 캐노피 고정 폴대의 삽입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2축 지지 고정구에 고정된 바구니 결합 프레임의 회전을 통해 바구니 사용 모드에서 바구니 접이식 모드로 변경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바구니 고정핀의 움직임에 따른 바구니 결합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과 제1 후륜 구동타입이 선택적으로 결합된 차륜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구동부에 하중이 가해져 전륜 고정축을 기준으로 전륜 회전축에 결합된 전륜 구동바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전륜 탄성 스프링이 수축되도록 변화하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과, 제2 후륜 구동타입으로 이루어진 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의 구성요소를 표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의 브레이크 패드 후면을 밟아 하단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의 하단에 결합되는 후륜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후륜 탈착 손잡이의 하단을 눌러 후륜 탈착핀이 내측 관통홀과 외측 관통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에 하중이 가해져 후륜 고정축을 기준으로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에 하중이 가해져 후륜 고정축을 기준으로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변화하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브레이크 핀이 후륜 구동바퀴의 브레이크 기어에 삽입되도록 변화하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후륜 구동타입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후륜 구동타입이 결합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후륜 구동타입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아용 웨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과 제2 후륜 구동타입이 선택적으로 결합된 차륜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 차륜부(200), 시트부(300), 캐노피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아용 웨건(1)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프레임(110), 후면 프레임(120), 받침 프레임(130), 측면 프레임(140), 전방 핸들 프레임(150), 후방 핸들 프레임(160)으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프레임(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0)은 전면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진 'ㅁ'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전방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 핸들 고정 클립(113), 캐노피 고정 폴대(114)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는 'ㄱ'자 형상으로 전방에 형성된 전면 프레임의 상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대칭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단면 중앙 일측에 내부면이 나사골로 이루어진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이 형성되고, 상단 수평 프레임(131)의 전·후방 끝단과 축 결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는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의 하단방향으로 관통되어 캐노피 고정 폴대(114)가 전면 프레임(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폴대 삽입 고정홀의 상단 내부면의 나사골을 통해 캐노피 고정 폴대(114)의 상단 끝단에 형성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4b)과, 하단 끝단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은 캐노피부(400) 설치시에는 내부에 삽입된 캐노피 고정 폴대를 전면 프레임의 상단에 직립시킨 후 캐노피 고정 폴대의 하단에 위치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4b)을 나사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캐노피(400) 분리시에는 전면 프레임의 내부에 캐노피 고정 폴대를 삽입시킨 후 캐노피 고정 폴대의 상단에 위치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a)을 나사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의 접이식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시 캐노피 고정 폴대(114)가 고정되지 않아 분리되어 분실되거나, 흘러내림을 통해 프레임의 손상 및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는 'ㄱ'자 형상으로 전면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대칭으로 고정 결합되고, 하단 수평 프레임(132)의 끝단과 축 결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112a), 전륜 탈착 스위치(112b)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112a)는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정면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치로, 상하방향 조절에 따라 내부 하단에 연결된 회전 고정핀(112a-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는 회전 고정핀 삽입홈(211a)에 고정·분리시켜 전륜 구동부(210)의 수평방향 360°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112a)를 상단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부 하단에 연결된 회전 고정핀(112a-1)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며 회전 고정핀 삽입홈(211a)에서 탈착되어 전륜 구동부(210)가 전륜 결합핀(211b)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360°회전이 가능한 방향전환 모드로 설정되고,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112a)를 하단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부 하단에 연결된 회전 고정핀(112a-1)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며 회전 고정핀 삽입홈(211a)에 결합되어 전륜 구동부(210)의 수평방향 회전을 차단하여 고정시키는 직진 모드로 설정된다.
여기서,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방향전환 모드와 직진 모드 중 선택적으로 한개의 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 모드는 전륜 구동바퀴가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유아용 웨건의 원활한 방향전환을 유도하고, 방향전환시 필요한 힘을 줄여주어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준다.
상기 직진 모드는 전륜 구동바퀴가 정면을 바라보도록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여 방향전환 하지않고 유아용 웨건의 직선방향 이동시 핸들의 강한 조작 없이 미는 힘으로도 일정하게 이동시켜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준다.
상기 전륜 탈착 스위치(112b)는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외측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치로, 상하방향 조절에 따라 전륜 탈착핀 삽입홈(112b-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전륜 탈착바(112b-2)가 전륜 결합핀(211b)의 결합 핀 홈(211b-1)에 결합·분리되며 전륜 구동부(210)를 탈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륜 탈착 스위치(112b)를 상단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전륜 탈착바(112b-2)가 상승하며 결합 핀 홈(211b-1)에서 분리되어 전륜 구동부(210)가 탈착되고, 전륜 탈착 스위치(112b)를 하단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전륜 탈착바(112b-2)가 하강하며 결합 핀 홈(211b-1)에 결합되어 전륜 구동부(210)가 전면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전륜 구동부(210)의 탈착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전륜 구동바퀴의 마모나 손상시 부분적인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요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핸들 고정 클립(113)은 전방 핸들프레임(150)과 후방 핸들프레임(160)의 하단 일측과 전면 프레임(110)의 하단 일측을 감싸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방 핸들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보호자가 전방 핸들프레임을 잡고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한 이동 또는 방향전환시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호자 혼자서 이동하더라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체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고정 클립(113)은 전면 프레임(110) 좌·우측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전방 핸들프레임(150)과 전면 프레임(110)을 결합시켜주는 정면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핸들 고정 클립(113)은 양쪽 내측면에 바구니 프레임(115)의 설치되는 고정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안내레일(113b)과 고정핀 삽입 장홀(113a)이 형성된다.
이때, 핸들 고정 클립(11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레일 후단의 고정핀 삽입 장홀에 바구니 고정핀(115a)를 삽입하여 바구니 프레임(115)이 전면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눕혀지면 바구니 사용모드가 되고, 안내레일 전단의 고정핀 삽입 장홀에 바구니 고정핀(115a)를 삽입하여 바구니 프레임(115)이 전면 프레임과 수평이 되도록 직립되면 바구니 접이식 모드가 된다.
상기 캐노피 고정 폴대(114)는 상단 끝단과 하단 끝단에 동일한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봉 형상으로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의 상단면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홀(111a)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폴대 삽입 고정홀(111a)의 나사골에 하단부에 형성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4b)과, 상단부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a)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캐노피 설치시에는 하단 끝단의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14b)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의 상단 내부면의 폴대 삽입 고정홀(111a)에 고정되도록 하고, 캐노피 분리 및 접이식 모드에는 상단 끝단의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14a)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의 상단 내부면의 폴대 삽입 고정홀(111a)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캐노피 고정 폴대(114)가 직립되는 캐노피 설치상태뿐만 아니라 전면 프레임(110)의 상단방향 내부로 삽입되는 캐노피 분리 및 접이식 모드에서도 캐노피 고정 폴대(11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유아용 웨건의 이동시 캐노피 고정 폴대가 돌출되어 발생하는 휘어짐과 같은 손상이나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프레임(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후면 프레임(120)은 후면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지고, 하단 프레임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4
'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후방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21),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22), 핸들 고정 클립(123), 캐노피 고정 폴대(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후면 프레임(120)은 하단의 프레임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단 방향으로 굽어져 후방 하단 내측방향에 형성된 브레이크 패드(213a)와 후면 프레임(120)과의 이격간격을 넓혀 브레이크 패드를 밟는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의 걸음걸이에 따라 앞으로 내딛는 발이 후면 프레임의 하단에 부딪히는 킥백 현상을 방지하여 보호자의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고, 유아의 승차감 또한 상승한다.
상기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21)는 'ㄱ'자 형상으로 전방에 형성된 전면 프레임의 상단 좌·우측 끝단에 각각 대칭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단면 중앙 일측에 내부면이 나사골로 이루어진 폴대 삽입 고정홀(121a)이 형성되고, 상단 수평 프레임(131)의 후방 끝단과 축 결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21)는 폴대 삽입 고정홀(121a)의 하단방향으로 관통되어 캐노피 고정 폴대(124)가 후면 프레임(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폴대 삽입 고정홀의 상단 내부면의 나사골을 통해 캐노피 고정 폴대(124)의 상단 끝단에 형성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24b)과, 하단 끝단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24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폴대 삽입 고정홀(121a)은 캐노피부(400) 설치시에는 내부에 삽입된 캐노피 고정 폴대를 전면 프레임의 상단에 직립시킨 후 캐노피 고정 폴대의 하단에 위치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24b)을 나사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캐노피부(400) 분리시에는 전면 프레임의 내부에 캐노피 고정 폴대를 삽입시킨 후 캐노피 고정 폴대의 상단에 위치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24a)을 나사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의 접이식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시 캐노피 고정 폴대(124)가 고정되지 않아 분리되어 분실되거나, 흘러내림을 통해 프레임의 손상 및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22)는 'ㄱ'자 형상으로 후면 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끝단에 대칭으로 고정 결합되고, 하단 수평 프레임(132)의 후면 끝단과 축 결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후륜 탈착 스위치(122a)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륜 탈착 스위치(122a)는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외측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치로, 상하방향 조절에 따라 후륜 탈착핀 삽입홈(122a-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후륜 탈착바(122a-2)가 후륜 결합핀(221a)의 결합 핀 홈(221a-1)에 결합·분리되며 후륜 구동부(220)를 탈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후륜 탈착 스위치(122a)를 상단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후륜 탈착바(122a-2)가 상승하며 결합 핀 홈(221a-1)에서 분리되어 후륜 구동부(220)가 탈착되고, 후륜 탈착 스위치(122a)를 하단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후륜 탈착바(122a-2)가 하강하며 결합 핀 홈(221a-1)에 결합되어 후륜 구동부(220)가 후면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후륜 구동부(220)의 탈착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후륜 구동바퀴의 마모나 손상시 부분적인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요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핸들 고정 클립(123)은 후방 핸들프레임(160)의 하단 일측과 후면 프레임(120)의 하단 일측을 감싸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방 핸들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보호자가 후방 핸들프레임을 잡고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한 이동 또는 방향전환시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호자 혼자서 이동하더라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체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고정 클립(123)은 후면 프레임(110) 좌·우측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방 핸들프레임(160)과 후면 프레임(120)을 결합시켜주는 정면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핸들 고정 클립(123)은 양쪽 내측면에 바구니 프레임(115)의 설치되는 고정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안내레일(123b)과 고정핀 삽입 장홀(123a)이 형성된다.
이때, 핸들 고정 클립(12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레일 후단의 고정핀 삽입 장홀에 바구니 고정핀(125a)를 삽입하여 바구니 프레임(115)이 후면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눕혀지면 바구니 사용모드가 되고, 안내레일 전단의 고정핀 삽입 장홀에 바구니 고정핀(125a)를 삽입하여 바구니 프레임(115)이 후면 프레임과 수평이 되도록 직립되면 바구니 접이식 모드가 된다.
상기 캐노피 고정 폴대(124)는 상단 끝단과 하단 끝단에 동일한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봉 형상으로 후면 프레임(120)의 상단방향으로 삽입되고,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21)의 상단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홀(121a)의 나사골에 하단부에 형성된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24b)과, 상단부에 형성된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24a)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캐노피 설치시에는 하단 끝단의 폴대 돌출 고정 나사산(124b)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21)의 상단 내부면의 폴대 삽입 고정홀(121a)에 고정되도록 하고, 캐노피 분리 및 접이식 모드에는 상단 끝단의 폴대 삽입 고정 나사산(124a)이 상단 2축 지지 고정구(111)의 상단 내부면의 폴대 삽입 고정홀(121a)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캐노피 고정 폴대(124)가 직립되는 캐노피 설치상태뿐만 아니라 전면 프레임(110)의 상단방향 내부로 삽입되는 캐노피 분리 및 접이식 모드에서도 캐노피 고정 폴대(12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유아용 웨건의 이동시 캐노피 고정 폴대가 돌출되어 발생하는 휘어짐과 같은 손상이나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받침 프레임(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받침 프레임(130)은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결합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웨건 중심축(131)이 형성되고, 전방 받침 프레임과 후방 받침 프레임이 중심축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유아용 웨건의 사용모드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프레임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시트부(300)가 펼쳐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접이식 모드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프레임이 'V'자 형태의 대칭으로 접어지며 부피를 감소시킨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프레임(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140)은 전방의 상단과 후방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측면 상단 프레임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전방의 하단과 후방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측면 하단 프레임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직립된 수직 수직 연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이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의 중심과 축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측면 상단 프레임(141), 측면 하단 프레임(142), 수직 연결 프레임(1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 상단 프레임(141)은 측면 프레임의 상단을 이루는 대칭 힌지구조의 프레임으로 전면 프레임의 상단과 후면 프레임의 상단에 각각 축 결합되어 연결되고, 대칭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측면 상단 전방 프레임(141a), 측면 상단 후방 프레임(141b), 상단 힌지부(141c)로 구성된다.
여기서 측면 상단 전방 프레임(141a)은 정면방향에 위치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면이 전면 프레임(110)과 축 결합되고, 후면이 상단 힌지부(141c)와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면 상단 후방 프레임(141b)은 후면방향에 위치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면이 상단 힌지부(141c)와 축 결합되고, 후면이 후면 프레임(120)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단 힌지부(141c)는 측면 상단 전방 프레임(141a)의 후방 회전축과 측면 상단 후방 프레임(141b)의 전방 회전축에 각각 대칭으로 결합되는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5
' 형상의 프레임으로, 결합된 측면 상단 전방 프레임과 측면 상단 후방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된다.
상기 측면 하단 프레임(142)은 측면 프레임의 하단을 이루는 대칭 힌지구조의 프레임으로 전면 프레임의 하단과 후면 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축 결합되어 연결되고, 대칭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측면 하단 전방 프레임(142a), 측면 하단 후방 프레임(142b), 하단 힌지부(142c)로 구성된다.
여기서 측면 하단 전방 프레임(142a)은 정면방향에 위치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면이 전면 프레임(110)과 축 결합되고, 후면이 하단 힌지부(143c)와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면 하단 후방 프레임(142b)은 후면방향에 위치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면이 하단 힌지부(142c)와 축 결합되고, 후면이 후면 후면 프레임(120)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단 힌지부(142c)는 측면 하단 전방 프레임(142a)의 후방 회전축과 측면 하단 후방 프레임(142b)의 전방 회전축에 각각 대칭으로 결합되는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6
' 형상의 프레임으로, 결합된 측면 상단 전방 프레임과 측면 상단 후방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된다.
상기 수직 연결 프레임(143)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I'자형 프레임으로 상단이 측면 상단 프레임의 중심과 연결되고, 하단이 측면 하단 프레임의 중심에 연결되어 측면 상단 프레임과 측면 하단 프레임을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연결 프레임(143)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상단 힌지부(141c)의 2개의 축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 형성된 하단 힌지부(142c)의 2개의 축에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아용 웨건의 사용 모드에서는 상단에 결합된 측면 상단 전방 프레임(141a), 측면 상단 후방 프레임(141b)과 하단에 결합된 측면 하단 전방 프레임(142a), 측면 하단 후방 프레임(142b)이 대칭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접이식 모드에서는 상단 힌지부(141c)와 하단 힌지부(142c)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승하며 측면 상단 전방 프레임(141a)과 후방 상단 전방 프레임(141b)이 수직으로 직립되며 하단면이 서로 맞닿아 밀착되고, 측면 하단 전방 프레임(142a)과 측면 하단 후방 프레임(142b)이 수직으로 직립되며 하단면이 서로 맞닿아 밀착되도록 지지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핸들프레임(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방 핸들프레임(150)은 정면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한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7
' 형상의 프레임으로, 정면 프레임의 좌·우측 정면에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결합되어 직립되어 구성된다.
이는 굽어진 단일형 프레임으로 내구성이 좋고,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핸들프레임(1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후면 핸들프레임(160)은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후면에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결합되어 직립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외측에 회전제어버튼이 결합되어 후면 각도조절 핸들(162)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후면 각도조절 핸들(162)은 버튼조절식 회전으로 단계별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좌·우측의 후면핸들 회전버튼(161)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핸들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후면 핸들은 후면 지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며 접어진 상태인 0°에서부터 반대방향으로 직립되는 180°의 각도까지 10단계에 걸쳐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1단계 회전시 18°의 각도로 회전되며 사용자의 신장과 팔의 높이,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전방에서 끌어서 이동하거나 밀어서 이동하는 등 편의에 따라 각도를 가변하여 팔에 작용하는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접이식 모드에서는 후면 각도조절 핸들과 후면 지지프레임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후면 핸들프레임을 밀어서 이동시 후면 핸들의 각도를 수직으로 설정할 경우 보호자의 발과 유아용 웨건의 간격이 최대로 넓혀져 보호자의 걸음걸이에 따라 앞으로 나오는 발이 유아용 웨건에 부딪히는 킥백 현상을 방지하여 보호자의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고, 유아의 승차감 또한 상승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륜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차륜부(200)는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향 하단에 체결되어 유아용 웨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 구동부(210), 후륜 구동부(22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전륜 구동부(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륜 구동부(210)는 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면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축이 후방으로 밀착되어 전방을 지지하는 전륜 구동바퀴와 유아용 웨건의 무게중심과의 거리를 7~10cm 단축시킨 것으로, 이는 전륜 고정프레임(211),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12), 브레이크 프레임(213), 전륜 구동바퀴(214)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 고정프레임(211)은 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에 대칭으로 결합된 타원기둥 형상으로, 상단면에 회전 고정핀 삽입홈(211a)과, 전륜 결합핀(211b)이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 내장되는 전륜 탄성 스프링(212c)의 상단을 지지하고, 하단에 결합된 충격 흡수 프레임(212)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핀 삽입홈(211a)은 전륜 회전 고정스위치(112a)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 고정핀(112a-1)의 수직방향 하단에 형성되어 회전 고정핀이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핀 삽입홈(211a)에 회전 고정핀(112a-1)이 삽입되면 전륜 구동바퀴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정면방향으로 고정되어 웨건이 직선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 고정핀(112a-1)이 분리되면 전륜 구동바퀴가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360° 회전되어 원활한 방향전환을 유도하고, 방향전환시 필요한 힘을 줄여주어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준다.
여기서 전륜 결합핀(211b)은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전륜 탈착핀 삽입홈(112b-1)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삽입되어 전륜 구동부(210)가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전륜 결합핀(211b)은 전륜 탈착핀 삽입홈(112b-1)에 삽입되고, 전륜 결합핀(211b)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결합 핀 홈(211b-1)에 전륜 탈착핀 삽입홈(112b-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전륜 탈착바(112b-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전륜 탈착스위치(112b)를 상단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전륜 탈착바(112b-2)가 결합 핀 홈(211b-1)에서 탈착되며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에서 전륜 결합핀(211b)이 분리되고, 전륜 탈착스위치(112b)를 하단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전륜 탈착바(112b-2)가 결합 핀 홈(211b-1)에 삽입되며 전륜 결합핀(211b)이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접이식 모드에서 돌출부위가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전륜 구동부(210)를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유아용 웨건(1)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212)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전륜 구동바퀴의 상단 전면방향에 이격되고 좌·우 측면 전방 일측에 전륜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축 결합되는 전륜 고정축(212a)과, 좌·우 측면 중앙 일측에 전륜 구동바퀴의 측면에 축 결합되는 전륜 회전축(212b)이 형성되고, 내측 상단에 내장되는 전륜 탄성 스프링(212c)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 프레임(213)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전륜 구동바퀴의 상단 후면방향에 이격되고 좌·우 측면 중앙 일측이 전륜 구동바퀴 축에 결합되며, 상단 후면방향에 브레이크 패드(21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213a)는 하단면에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브레이크 핀(213a-1)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를 하단방향으로 누르면 복수개의 브레이크 핀(213a-1)이 하강하여 전륜 구동바퀴(214)에 맞닿으며 마찰력을 발생시켜 전륜 구동바퀴의 회전을 억제시킴으로써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패드를 상단방향으로 올리면 브레이크 핀(213a-1)과 전륜 구동바퀴 사이의 공간이 이격되어 전륜 구동바퀴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어서 이동 중 정지하고 싶을 때 후방에 형성된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러 돌아가야 하고, 보호자가 후방으로 돌아가는 사이에 웨건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전륜 구동바퀴(214)는 좌·우 회전축이 충격 흡수 프레임의 전륜 회전축(212b)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웨건 전면의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후륜 구동부(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후륜 구동부(220)는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면 전방에 결합되는 지지축이 전방으로 밀착되어 후방을 지지하는 후륜 구동바퀴와 유아용 웨건의 무게중심과의 거리를 7~10cm 단축시킨 것으로, 이는 제1 후륜 구동타입(220a)과, 제2 후륜 구동타입(23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후륜 구동타입(220a)은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면 전방 일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좌·우측 회전축 끝단에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는 제1 후륜 구동바퀴가 탈착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후륜 고정프레임(221),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2), 후륜 브레이크부(223), 후륜 구동바퀴(224)로 구성된다.
상기 후륜 고정프레임(221)은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에 대칭으로 결합된 타원기둥 형상으로, 상단면에 후륜 결합핀(221a)이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 내장되는 후륜 탄성 스프링(222c)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하단에 위치한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2)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륜 결합핀(221a)은 후륜 탈착핀 삽입홈(122a-1)에 삽입되고, 후륜 결합핀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결합 핀 홈(221a-1)에 후륜 탈착핀 삽입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후륜 탈착바(122a-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후륜 탈착스위치(122a)를 상단방향으로 상승시키면 후륜 탈착바(122a-2)가 결합 핀 홈(221a-1)에서 탈착되며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22)에서 후륜 결합핀(221a)이 분리되고, 후륜 탈착스위치(122a)를 하단방향으로 하강시키면 후륜 탈착바(122a-2)가 결합 핀 홈(221a-1)에 삽입되며 후륜 결합핀(221a)이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22)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접이식 모드에서 돌출부위가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후륜 구동부(220)를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유아용 웨건(1)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2)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후륜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후방 일측에 후륜 고정프레임과 축 결합되는 후륜 고정축(222a)과, 전방 일측에 후륜 브레이크부와 축 결합되는 후륜 회전축(222b)에 연결되는 후륜 탄성 스프링(222c)을 지지하고, 내측 방향으로 후륜 브레이크부가 결합되고, 외측 방향으로 후륜 구동바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 브레이크부(223)는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내측에 봉 형상의 브레이크 회전축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면적을 띄는 브레이크 패드(223b)가 형성되어 회전되며 후륜 구동바퀴(224)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브레이크 회전축(223a), 브레이크 패드(223b), 회전 프레임(223c)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회전축(223a)은 대칭으로 형성된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결합되고, 원형 봉 형상의 전·후방에 돌출날개(223a-1)가 형성되어 측단면이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08
'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측의 끝단에 제1 기어(223a-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출날개(223a-1)는 중앙에 결합되어 보호자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는 브레이크 패드(223b)의 회전시 결합부분이 미끌림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거나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좌·우측 끝단에 결합된 제1 기어(223a-2)를 동일한 회전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223b)는 상단면이 직사각 형태를 띄며 측면방향으로 브레이크 회전축 중앙에 관통 결합되어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브레이크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브레이크 패드(223b)의 후면을 하단방향으로 밟으면 브레이크 회전축(223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기어(223a-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브레이크 패드(223b)의 전면을 하단방향으로 밟으면 브레이크 회전축(223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기어(223a-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223b)는 사다리꼴 형상의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후면 프레임의 하단과 수직방향으로 20~30cm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보호자가 웨건의 이동 및 정지시 원활하게 브레이크 패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223b)는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제1 기어(223a-2)가 제2 기어(223c-1)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회전시 회전력의 손실없이 회전 프레임(223c)을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223c)은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고, 내측면 방향으로 브레이크 회전축의 제1 기어(223a-2)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기어(223c-1)가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후륜 구동바퀴의 회전제어 홈에 탈착되어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핀(223c-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 프레임(223c)은 브레이크 패드의 후면을 하단방향으로 밟으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브레이크 핀(223c-2)이 후륜 구동바퀴 내측에 형성된 브레이크 기어(224a)의 톱니에 삽입되며 후륜 구동바퀴의 회전을 억제하여 정지되고, 브레이크 패드의 전면을 하단방향으로 밟으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브레이크 핀(223c-2)이 브레이크 기어(224a)의 톱니에서 탈착되며 후륜 구동바퀴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는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어(224a)에 삽입되는 브레이크 핀(223c-2)으로 인해 후륜 구동바퀴의 회전을 완벽히 차단하여 미끌림이 없고, 브레이크 기어를 탈착시키지 않으면 브레이크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되어 유아용 웨건(1)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후륜 구동바퀴(224)는 좌·우 회전축이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유아용 웨건 후면의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외측면 중앙에 원형 푸쉬 버튼형식의 탈착버튼(224b)이 형성되고, 탈착버튼(224b)과 연결되어 후륜 구동바퀴의 내측 방향으로 반호 형상이 대칭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반호형 탈착핀(224c)이 이루어지고, 반호형 탈착핀의 끝단 둘레를 따라 핀 돌기(224c-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탈착버튼(224b)을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이격된 반호형 탈착핀(224c)이 중앙 방향으로 모이며 핀 돌기(224c-1)의 반경이 좁아져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2) 외측면의 후륜 회전축(222b)에서 탈착되어 후륜 구동바퀴가 분리되고, 탈착버튼(224b)을 눌러 반호형 탈착핀을 중앙 방향으로 모이게 한 후 분리되어 있는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 외측면의 후륜 회전축(222b)의 끝단까지 밀착하여 끼우면 내측 홈에 반호형 탈착핀의 핀 돌기(224c-1)가 고정되어 후륜 구동바퀴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후륜 구동타입(220a)은 후륜 구동바퀴의 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탈착버튼(224b)을 밀어 내측방향에 대칭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반호형 탈착핀(224c)의 간격을 중앙방향으로 밀착시켜며 결합된 핀 돌기(224c-1)를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에서 탈착시켜 후륜 구동바퀴를 1차로 분리·결합하고;,
내측 후륜 지지프레임의 내측 관통홀(122a-1)과 일치되는 외측 후륜 지지프레임의 외측 관통홀에 삽입되는 탈착 손잡이의 후륜 탈착핀(221b-1)을 탈결합하여 후륜 구동부를 전체적으로 2차 분리·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의 제1 후륜 구동타입으로 이루어진 후륜 구동부를 단계별로 탈착하여 부피 및 무게를 줄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후륜 구동부의 마모 및 파손시 부분적인 탈착으로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후륜 구동타입(230a)은 후면 프레임의 좌측 하단면 전방 일측과 우측 하단면 전방 일측에 각각 탈착형으로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 결합된 회전축에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는 제2 후륜 구동바퀴가 형성된 제2 후륜 구동타입(230a)의 구성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타입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후륜 고정프레임(231),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32), 브레이크 프레임(233), 후륜 구동바퀴(234)로 구성된다.
상기 후륜 고정프레임(231)은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에 대칭으로 결합된 타원기둥 형상으로, 상단면에 후륜 결합핀(231a)이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 내장되는 후륜 탄성 스프링(232c)의 상단을 지지하고, 하단에 결합된 충격 흡수 프레임(232)과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륜 결합핀(231a)은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후륜 탈착핀 삽입홈(122a-1)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삽입되어 후륜 구동부(220)가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후륜 결합핀(221a)은 후륜 탈착핀 삽입홈(122a-1)에 삽입되고, 후륜 결합핀(221a)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결합 핀 홈(221a-1)에 후륜 탈착핀 삽입홈(122a-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후륜 탈착바(122a-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후륜 탈착스위치(122a)를 상단방향으로 상승시키면 후륜 탈착바(122a-2)가 결합 핀 홈(221a-1)에서 탈착되며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22)에서 후륜 결합핀(221a)이 분리되고, 후륜 탈착스위치(122a)를 하단방향으로 하강시키면 후륜 탈착바(122a-2)가 결합 핀 홈(221a-1)에 삽입되며 후륜 결합핀(221a)이 하단 3축 지지 고정구(122)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접이식 모드에서 돌출부위가 크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제2 후륜 구동타입(230a)의 후륜 구동부를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부피를 줄여 유아용 웨건(1)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32)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후륜 구동바퀴의 상단 전면방향에 이격되고 좌·우 측면 전방 일측에 후륜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축 결합되는 후륜 고정축(232a)과, 좌·우 측면 중앙 일측에 후륜 구동바퀴의 측면에 축 결합되는 후륜 회전축(232b)이 형성되고, 내측 상단에 내장되는 후륜 탄성 스프링(232c)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 프레임(233)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후륜 구동바퀴의 상단 후면방향에 이격되고 좌·우 측면 중앙 일측이 후륜 구동바퀴 축에 결합되며, 상단 후면방향에 브레이크 패드(23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233a)는 하단면에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브레이크 핀(233a-1)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를 하단방향으로 누르면 복수개의 브레이크 핀(233a-1)이 하강하여 후륜 구동바퀴(234)에 맞닿으며 마찰력을 발생시켜 후륜 구동바퀴의 회전을 억제시킴으로써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패드를 상단방향으로 올리면 브레이크 핀(233a-1)과 후륜 구동바퀴 사이의 공간이 이격되어 후륜 구동바퀴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 중 정지하고 싶을 때 후방에 형성된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러 돌아가야 하고, 보호자가 후방으로 돌아가는 사이에 웨건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후륜 구동바퀴(234)는 좌·우 회전축이 충격 흡수 프레임의 후륜 회전축(232b)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웨건 후면의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후륜 구동타입(230a)은 전륜 구동부(210)와 동일한 형태로 후륜 탈착 스위치(122a)를 통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분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유아용 웨건의 제2 후륜 구동타입으로 이루어진 후륜 구동부를 탈착하여 부피 및 무게를 줄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후륜 구동부의 마모 및 파손시 여분의 전륜 구동부와 호환하여 부분적인 탈착으로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부(200)는 유아용 웨건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륜 구동부와 후방을 지지하는 후륜 구동부 사이의 축간거리를 14~20cm 단축하여 이동 및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팔에 부담을 줄여주고,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륜 구동부와 후륜 구동부의 축간거리를 14~20cm로 설정하는 이유는, 축간거리를 14cm 이하로 줄일 경우 보호자의 팔에 작용하는 힘과 회전반경에 차이가 크지 않아 용이한 이동 및 방향전환이 어렵고, 축간거리를 20cm 이상으로 늘릴 경우 전체적인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축간거리가 짧아져 유아용 웨건의 안정적인 이동이 어렵고, 방향전환시 회전방향으로 쓰러질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시트부(300)는 직사각 바구니 형상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내부 둘레와 하단에 스냅단추 및 버클, 벨크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유아가 유아용 웨건에서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시트부의 두께는 5mm~10mm로 형성되고,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접이식 모드에 따라 접어지는 부분에 접힘 골이 형성되어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트부의 내부면 정중앙에 접이식 고리가 형성된다.
이때 시트부의 두께를 5mm 미만으로 할 경우 시트부가 쿠션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워 이동중 흔들림과 충격이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10mm 이상으로 할 경우 접이식 본체 프레임이 원활하게 접히지 않고 유아용 웨건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의 정면 내측 방향과 후면 내측 방향에는 5점 결합식 안전밸트가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양쪽 어깨, 허리, 양쪽 허벅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5점 결합식 안전벨트는 상체를 모두 감싸주어 몸을 가누기 힘든 유아부터 어린이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 및 아동의 탑승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캐노피(400)는 직사각형상의 측면을 이루고 지붕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탈부착되는 것으로, 햇빛, 비, 바람 등의 날씨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보관되어 있는 접이식 모드의 유아용 웨건의 측면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펼치며 유아용 웨건을 펼친다.
다음으로, 전방에 형성된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전륜 탈착 스위치를 상단방향으로 올린 후 전륜 결합핀을 삽입하고, 전륜 탈착 스위치를 하단방향으로 내려 결합 핀 홈에 전륜 탈착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전륜 구동부는 지지축이 후방으로 밀착되어 전륜 구동바퀴와 유아용 웨건의 무게중심과의 거리를 7~10cm 단축시켜 이동 및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팔의 부담을 줄여주고,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 후륜 구동타입과 제2 후륜 구동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여 후방에 형성된 하단 3축 지지 고정구의 하단에 결합한다.
이때, 유아용 웨건에 유아를 태우고 이동할 시에는 접지력이 우수하고 흔들림을 줄일 수 있는 제1 후륜 구동타입을 결합하고, 짐을 싣고 이동할 시에는 비교적 가볍고, 방향전환이 우수한 제2 후륜 구동타입을 결합한다.
여기서 제1 후륜 구동타입을 결합하여 사용시 후륜 구동바퀴에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면 후륜 구동바퀴만을 탈착하여 교체하고, 운반 및 보관시 제1 후륜 구동타입 전체를 탈착하여 보관한다.
여기서 제2 후륜 구동타입을 결합하여 사용시 후륜 구동바퀴에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면 전륜 구동부와 동일한 형태로 호환되는 여분의 전륜 구동부를 결합하여 교체하고, 운반 및 보관시 탈착하여 보관한다.
이때, 후륜 구동부는 지지축이 전방으로 밀착되어 후륜 구동바퀴와 유아용 웨건의 무게중심과의 거리를 7~10cm 단축시켜 이동 및 방향전환시 보호자의 팔의 부담을 줄여주고,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상단에 캐노피 고정 폴대를 설치하고, 캐노피를 끼움결합하여 설치한다.
다음으로, 5점 결합식 안전벨트로 유아의 양쪽 어깨, 허리, 양쪽 허벅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다음으로, 유아용 웨건을 밀거나 당기기 수월하도록 후면 각도조절 핸들의 각도를 조절한 후 이동하고, 전면 이동 및 정지시에는 전면 브레이크 패드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후면 이동 및 정지시에는 후면 브레이크 패드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다음으로, 유아용 웨건의 사용을 마친 후 유아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캐노피를 분리 및 캐노피 고정 폴대를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에 삽입고정시키며, 시트부 중앙에 형성된 접이식 고리를 잡아당겨 웨건을 접는다.
또한, 전륜 탈착 스위치를 통해 전륜 구동부를 탈착하고, 후륜 탈착 스위치를 통해 후륜 구동부를 탈착하고, 전면 결합 바구니를 접으며, 후방 핸들프레임의 각도조절핸들을 후면 프레임과 수평이 되도록 밀착회전시킨다.
끝으로, 부피를 최소화시킨 접이식 모드의 유아용 웨건을 자가용 트렁크에 싣는다.
1 : 유아용 웨건 100 : 접이식 본체 프레임
110 : 전면 프레임 120 : 후면 프레임
130 : 받침 프레임 140 : 측면 프레임
150 : 전방 핸들프레임 160 : 후방 핸들프레임
200 : 차륜부 210 : 전륜 구동부
211 : 전륜 고정프레임 212 : 전륜 충격 흡수 프레임
213 : 브레이크 프레임 214 : 전륜 구동바퀴
220 : 후륜 구동부 220a : 제1 후륜 구동 타입
230a : 제2 후륜 구동 타입 300 : 시트부
400 : 캐노피부

Claims (7)

  1.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 차륜부(200), 시트부(300), 캐노피부(400)로 구성되어 유아의 이동수단 역할을 하는 유아용 웨건에서
    상기 접이식 본체 프레임(100)은
    전면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진 'ㅁ'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면 프레임(110)과,
    후면 끝단에 직립되어 세워지고, 하단 프레임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단 방향으로 굽어진 '
    Figure 112016122658500-pat00032
    ' 형상의 프레임으로 접이식 본체 프레임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면 프레임(120)과,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결합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웨건 중심축(131)이 형성되고, 전방 받침 프레임과 후방 받침 프레임이 중심축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태를 가변시키는 받침 프레임(130)과,
    전방의 상단과 후방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측면 상단 프레임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전방의 하단과 후방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측면 하단 프레임이 대칭으로 축 결합되고, 직립된 수직 수직 연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이 상단 수평 프레임과 하단 수평 프레임의 중심과 축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140)과,
    정면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한 '
    Figure 112016122658500-pat00033
    ' 형상의 프레임으로, 정면 프레임의 좌·우측 정면에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결합되어 직립되는 전방 핸들프레임(150)과,
    후면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
    Figure 112016122658500-pat00034
    ' 형상의 프레임으로,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후면에 핸들고정 클립(113)을 통해 결합되어 직립되고,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의 외측에 회전제어버튼이 결합되어 후면 각도조절 핸들의 단계별 각도를 제어하는 후방 핸들프레임(1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륜부(200)는 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면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축이 후방으로 밀착되어 전방을 지지하는 전륜 구동바퀴와 유아용 웨건의 무게중심과의 거리를 7~10cm 단축시킨 전륜 구동부(210)와,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면 전방에 결합되는 지지축이 전방으로 밀착되어 후방을 지지하는 후륜 구동바퀴와 유아용 웨건의 무게중심과의 거리를 7~10cm 단축시킨 후륜 구동부(220)로 이루어지는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상기 후륜 구동부(220)는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면 전방 일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좌·우측 회전축 끝단에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는 제1 후륜 구동바퀴가 탈착형으로 형성된 제1 후륜 구동타입(220a)과,
    후면 프레임의 좌측 하단면 전방 일측과 우측 하단면 전방 일측에 각각 탈착형으로 결합되고, 하단 중앙에 결합된 회전축에 유아용 웨건의 후면 하단을 지지하는 제2 후륜 구동바퀴가 형성된 제2 후륜 구동타입(230a)의 구성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타입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후륜 구동타입(220a)은
    후면 프레임의 좌·우측 하단에 형성된 내측 후륜 지지프레임의 외측방향에 끼움결합되는 타원통 형상으로, 후면에 후륜 탈착 손잡이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 내장되는 후륜 탄성 스프링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하단에 위치한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과 축 결합되는 후륜 고정프레임(221)과,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후륜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후방 일측에 후륜 고정프레임과 축 결합되는 후륜 고정축과, 전방 일측에 후륜 브레이크부와 축 결합되는 후륜 회전축에 연결되는 후륜 탄성 스프링을 지지하고, 내측 방향으로 후륜 브레이크부가 결합되고, 외측 방향으로 후륜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222)과,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내측에 봉 형상의 브레이크 회전축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면적을 띄는 브레이크 패드가 형성되어 회전되며 후륜 구동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후륜 브레이크부(223)와,
    좌·우 회전축이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유아용 웨건 후면의 이동동력을 제공하는 후륜 구동바퀴(2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6. 제5항에 있어서 후륜 브레이크부(223)는
    대칭으로 형성된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결합되고, 원형 봉 형상의 전·후방에 돌출날개가 형성되어 측단면이 '
    Figure 112016085262767-pat00012
    '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측의 끝단에 제1 기어가 결합되는 브레이크 회전축과,
    상단면이 직사각 형태를 띄며 측면방향으로 브레이크 회전축 중앙에 관통 결합되어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브레이크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패드와,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의 후면 일측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회전축의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기어가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후륜 구동바퀴의 회전제어 홈에 탈착되어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핀이 형성된 회전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7. 제1항에 있어서 제1 후륜 구동타입(220a)은
    후륜 구동바퀴의 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탈착버튼(224b)을 밀어 내측방향에 대칭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반호형 탈착핀(224c)의 간격을 중앙방향으로 밀착시켜며 결합된 핀 돌기(224c-1)를 후륜 충격 흡수 프레임에서 탈착시켜 후륜 구동바퀴를 1차로 분리·결합하고;,
    내측 후륜 지지프레임의 내측 관통홀(122a-1)과 일치되는 외측 후륜 지지프레임의 외측 관통홀에 삽입되는 탈착 손잡이의 후륜 탈착핀(221b-1)을 탈결합하여 후륜 구동부를 전체적으로 2차 분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20160112375A 2016-09-01 2016-09-01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69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75A KR101697545B1 (ko) 2016-09-01 2016-09-01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EP17846995.3A EP3505421A4 (en) 2016-09-01 2017-08-30 BABY TROLLEY WITH IMPROVED EASE OF USE
PCT/KR2017/009491 WO2018044070A1 (ko) 2016-09-01 2017-08-30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N201780048396.9A CN109562773B (zh) 2016-09-01 2017-08-30 提高使用便利性的婴儿用推车
US16/322,153 US10414422B2 (en) 2016-09-01 2017-08-30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75A KR101697545B1 (ko) 2016-09-01 2016-09-01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545B1 true KR101697545B1 (ko) 2017-01-18

Family

ID=5799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375A KR101697545B1 (ko) 2016-09-01 2016-09-01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4422B2 (ko)
EP (1) EP3505421A4 (ko)
KR (1) KR101697545B1 (ko)
CN (1) CN109562773B (ko)
WO (1) WO201804407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52A1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9198968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357813B1 (ko) * 2021-07-16 2022-02-08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KR20230164489A (ko) 2022-05-25 2023-12-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크기와 용도 변경이 가능한 폴딩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0644B2 (ja) * 2016-07-22 2020-09-23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金型搬送台車
CA3025155C (en) * 2017-12-06 2023-01-10 Britax Child Safety, Inc. Universal construction stroller
TWM585222U (zh) * 2019-05-28 2019-10-21 康得倫事業有限公司 層板及包含該層板之推車
US11420664B2 (en) * 2019-06-13 2022-08-23 Ktl International Co., Ltd. Shelf board and cart including the same
WO2020248800A1 (zh) * 2019-06-14 2020-12-17 晨辉婴宝儿童用品有限公司 手推车
CN112389567B (zh) 2019-08-15 2023-05-02 雷德福来尔有限公司 可折叠沙滩拖车
US11465665B2 (en) 2019-10-09 2022-10-11 Radio Flyer Inc. Wagon with recline seatback
WO2021081182A1 (en) * 2019-10-23 2021-04-29 Radio Flyer Inc. Handle release and locking mechanism
CN111319670B (zh) * 2020-04-22 2024-05-10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婴儿车
US11897534B2 (en) 2020-10-14 2024-02-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Wagon stroller, systems, and methods
CN113147826B (zh) * 2021-05-17 2022-01-07 青岛城市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特征决策轮对分级交换的优化镟修方法和装置
WO2023081622A1 (en) * 2021-11-02 2023-05-11 Summer Infant (Usa), Inc. Collapsible wagon stroller
US11465664B1 (en) 2021-12-08 2022-10-11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CN115092236A (zh) * 2022-05-13 2022-09-23 青岛沃天地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侧开式儿童车底盘及侧开式儿童车
CN219183056U (zh) * 2022-12-20 2023-06-16 宁波一象吹塑家具有限公司 一种可载物拉手
CN219183053U (zh) * 2022-12-20 2023-06-16 宁波一象吹塑家具有限公司 一种活动载物架
USD1010965S1 (en) * 2023-06-30 2024-01-09 Ningbo Yixin Metal Technology Co., Ltd. Fishing ca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1181A (ja) * 2010-10-08 2013-12-05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幼児搬送装置用の車輪組立体
KR101573235B1 (ko) * 2015-07-03 2015-12-02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626778B1 (ko) * 2016-03-08 2016-06-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610Y1 (ko) 1985-02-21 1988-03-14 정도식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US7523955B2 (en) * 2007-04-17 2009-04-28 Maryann Blair Foldable wagon
US8011686B2 (en) * 2008-10-10 2011-09-06 Zhaosheng Chen Folding wagon
CN101973304A (zh) * 2010-10-08 2011-02-1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其车轮组件
US8973940B2 (en) * 2013-08-05 2015-03-10 Zhaosheng Chen Folding wagon
CN103693086A (zh) * 2013-12-04 2014-04-02 金旭刚 一种可折叠式手推车
US9145154B1 (en) * 2014-09-19 2015-09-29 Brian Horowitz Folding wagon
KR101619835B1 (ko) * 2015-11-10 2016-05-1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1181A (ja) * 2010-10-08 2013-12-05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幼児搬送装置用の車輪組立体
KR101573235B1 (ko) * 2015-07-03 2015-12-02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626778B1 (ko) * 2016-03-08 2016-06-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52A1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9198968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US10913481B2 (en) 2018-04-10 2021-02-09 Bran-New International Baby carriage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KR102357813B1 (ko) * 2021-07-16 2022-02-08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2372031B1 (ko) * 2021-07-16 2022-03-07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KR20230164489A (ko) 2022-05-25 2023-12-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크기와 용도 변경이 가능한 폴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70A1 (ko) 2018-03-08
US20190185038A1 (en) 2019-06-20
EP3505421A1 (en) 2019-07-03
EP3505421A4 (en) 2020-05-27
CN109562773A (zh) 2019-04-02
US10414422B2 (en) 2019-09-17
CN109562773B (zh)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545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697544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101573235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120030621A (ko) 유모차
KR101626778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N202760743U (zh) 婴儿座椅
CN201510473U (zh) 多功能手扶杖
ES2244950T3 (es) Asiento para niños.
CN112109795A (zh) 无动力车体用包括驱动单元的搭乘装置
KR20170049182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230012949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CN102641058A (zh) 儿童学步车
KR101619835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GB2481138A (en) A stroller with a longitudinally slidable and detachable second seat
CN202619061U (zh) 儿童学步车
CN211543779U (zh) 一种便携的折叠滑板车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KR20110050410A (ko) 요람 겸용 유모차
KR20140032865A (ko) 유아용 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 보조 탑승구
CN206394682U (zh) 成长型婴儿车与儿童玩具车一体化结构
CN106476875B (zh) 成长型婴儿车与儿童玩具车一体化结构
TWI620678B (zh) 改良之嬰兒車結構
RU211737U1 (ru)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 ширине рам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