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231B1 -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231B1
KR101696231B1 KR1020160096663A KR20160096663A KR101696231B1 KR 101696231 B1 KR101696231 B1 KR 101696231B1 KR 1020160096663 A KR1020160096663 A KR 1020160096663A KR 20160096663 A KR20160096663 A KR 20160096663A KR 101696231 B1 KR101696231 B1 KR 101696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weight
parts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기자
오까베라
Original Assignee
(주) 크리오코리아
염기자
오까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크리오코리아, 염기자, 오까베라 filed Critical (주) 크리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9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져 운동에너지 전달로 고유의 파동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패치, 화장품원료, 팔찌, 목걸이 등의 장신구, 의류, 스포츠용품, 스포츠 보조기구, 미용용품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FUNCTIONAL COMPOSITION AND ACCESSO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져 운동에너지 전달로 고유의 파동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패치, 화장품원료, 팔찌, 목걸이 등의 장신구, 의류, 스포츠용품, 스포츠 보조기구, 미용용품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희토류 원소는 주기율표 제3족인 스칸듐, 이트륨 및 원자번호 57에서 71일 란탄계열의 15원소를 합친 17원소의 총칭으로 대개 은백색 또는 회색 금속으로, 화학적 성질은 무엇보다도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크다는 것을 들 수 있고 그 이용으로써 발화합금, 전구 및 진공관 등 가스의 흡수제(getter)용도가 있다.
또 안정한 산화물과 고융점의 황화물의 형성으로 고온재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산화이트륨은 Cubic ZrO2의 안정화제로써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 지르코니아는 고온재로서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전극재 및 산소센서로 이용된다. 화학적 성질의 응용은 또한 석유화학, 배기가스(자동차)의 연소 등 촉매로서 응용분야가 넓다. 희토류 산화물 특히 CeO2는 유리 연마재로서 주요한 재료이며, 기계적 마멸작용과 함께 부분적으로는 화학적 작용에 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희토류 원소는 생리학적으로 불활성이기 때문에 인체에 해가 없어 공해문제가 없다. 배멀미와 혈전증 등 의약품으로 수산세륨, 이소니콘틴산 니오디뮴이 1930년대에 대두되기도 했으며, 근래에는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희토류 원소를 이용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26873호 『희토류 광물이 포함된 피부 접착형 패치』,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379호 『천연 희토류 광물층을 적층한 바닥재』, 공개특허 제10-2012-0078952호 『희토류 이온이 도핑된 상향 에너지 전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기태양 전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특정 기술에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기술분야에 널리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에 있어서,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져, 기능성 패치, 화장품원료, 팔찌 및 목걸이 등의 장신구, 의류, 스포츠 용품, 스포츠 보조기구, 미용용품 등의 다양한 기술에 사용되어 BIO-RESONANCE를 이용하여 파동에 의한 활성에너지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에 있어서, 와이어와 방사부재 및 걸림부재를 구성하되, 상기 방사부재를 상기 기능성 조성물로 구성하여 활성에너지 상승 및 건강회복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은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되,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방사부재;
상기 방사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사부재에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는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져, 다양한 제품 및 기술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진동-파동을 이용한 물성변화로 건강, 미용, 재활 분야에서 건강회복 및 활성 에너지가 극대화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장신구를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되,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방사부재와, 상기 방사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사부재에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장신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기능성 조성물에 의해 활성에너지가 극대화 되어 건강회복의 기능을 갖을 수 있으며, 발광유닛을 통하여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통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에 구비되는 발광유닛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에 구비되는 신호생성모듈의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Bio-Resonance 란 용어는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단순 선언적인 의미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은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희토류 광물은 희토류 원소를 많이 함유한 광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때 희토류 원소는 주기율표 Ⅲ족에 속하는 스칸듐(Sc, 원자번호 21) 이트륨(Y, 원자번호 39) 및 란타이노이드(원자번호 57~71) 중의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로븀(Eu), 가돌리늄(Gd), 테르%(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루테튬(Lu)의 17원소를 희토류 원소라 총칭한다.
이와 같은 원소의 화합물이 최초 비교적 희귀한 광물에서 얻어지는 복잡한 혼합 산화물에서 분리되었으므로 이렇게 이름이 붙여진 것이지만 그 지각상의 존재량이 그다지 희소한 것은 아니다. 희토류 원소는 광물에서 혼합물로 취득되는 사례가 많고, 분리하는데는 용매추출법(溶媒抽出法) 또는 이온교환법 등이 이용된다.
희토류 원소는 원자번호 57에서 62(La~Sm)의 세륨족과 21(Sc), 39(Y), 63~71(Eu~Lu)을 합한 이트륨족으로 분류된다. 세륨족은 수산화물의 염기성이 강하지만 이트륨족은 수산화물의 염기성이 약하다.
희토류 원소는 산화수 3의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2가(價), 4가 등의 화합물을 갖는 것도 있다.
희토류 원소 단체(單體) 및 화합물의 용도로는 합금, 촉매, 원자로 재료 등과 자성체, 유전체로서도 쓰인다. 또 이트륨, 란탄은 산화물 초전도체의 원료이다. 특히 이트륨은 현재 발견된 최고의 전이온도를 갖는 Y-Ba-Cu-O계 초전도체의 구성 요소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희토류 원소의 성질로는 응용금속중의 산소, 질소, 유황이라든가 응고시 입계면에 모여드는 유해한 불순물을 깨끗이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희토류 금속이 이들 성분들(O, S, N, P, C 등)과 화합물을 형성해 슬래그화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강중 황화물 개재물의 형상조정, 주철에 있어서의 흑연의 구상화는 희토류 금속의 괄목할 만한 경제적 응용분야라고 할 수 있으며 소량 첨가로 큰 효과를 얻고 있다.
한편, 비철금속분야에 있어 알루미늄, 구리의 전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희토류 금속을 사용, 산소와 유황을 고정시키는 것은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으나 마그네슘 재료의 경화제로는 아직도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서 희토류 금속은 고온안정성인 금속간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희토류 원소는 그들의 원자구조 때문에 흥미로운 자기적 성질을 갖게 돼 다양한 용도로 응용되고 있다. 중요한 것으로는 영구자석재료로 경희토(Light rare earths)를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는 Sm-Co계와 Nd-Fe-B계 영구자석이다. Pr, La 또는 중희토(Heavy rare earths)에 있어서도 앞으로의 개발에 따라서는 특수 용도로의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흥미로운 개발이며 전산기 기억소자의 혁명이라고도 할 수 있는 포자구 기억소자(Magnetic bubble memories) 는 갈리움-가도리늄-가넷트(Ga-Gd-Garnets)로 만든다. 또한 희토류의 Ortho-ferrite(RFeO3)나 희토류 가넷트 또는 희토류 원소와 철족 원소와의 2성분으로 되는 비정질 반박의 출현도 보게 됐다. 이 기억소자는 정보저장 밀도가 큰 것이 특징이다. 열펌프로서의 Gd금속은 자기적 성질의 응용으로 자기적 변태점이 실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희토류 원소를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희토류 원소의 초기 응용은 사실상 광학적 분야였다. 즉 Auer의 가스만틀과 아아크 카본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트륨과 유로피움을 사용한 칼라TV브라운관 형광체에서 선명한 적색이 나오는 것도 유로피움에 의한 610A에서의 강하고 예민한 발광 때문이다. 산화가도리늄(G203)은X-선 증감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어, 적은 선량(Radiation dosage)으로도 X-선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희토류 원소에 의한 유리의 착색, 예를 들어 니오디뮴이나 프라지오디뮴에 의한 착색은 가시광선 파장 범위에서 이들에 의한 선택적인 빛의 흡수 때문이다. 유리의 소색(decouloring)에 있어 +4가 세륨(Ce4+)의 산화효과는 소량의 Nd나 Pr의 흡광과 결부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에는 약간의 Pr과 Nd를 함유하는 Ce의 농축물을 첨가한다. Pr과 Nd는 Ce와 늘 같이 따라다니는 성분들로써 이런 용도로는 이들 성분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Pr의 가장 중요한 응용은 요업분야의 안료인데, 매우 곱고 고온에도 견디는 레몬 색의 안료에 사용된다. Pr은 또 규산지르코늄의 결정 격자내에 끼어들었을 때 더욱 광채를 발휘하기도 한다. 산화란탄(La203)을 유리에 첨가하면 색의 변화없이 고굴절류의 것이 되므로 카메라, 현미경, 망원경 등 고급렌즈용 유리에 이용된다. 그래서 오늘날 내식석을 주기 위해 La203첨가량이 40%에 이르는 유리도 제조되고 있다. 희토류 원소는 레이저용 유리에 활성제 역할을 한다.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네오디뮴 레이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희토류 원소 중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물질은 패치, 화장품원료, 팔찌, 목걸이 등의 장신구, 의류, 스포츠용품, 스포츠 보조기구, 미용용품 등에 사용됨에 따라 그 기술분야에 제한이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에 구비되되,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사부재(W1) 및 상기 방사부재(W1)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M)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방사부재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유닛(R) 및 상기 발광유닛(R)을 제어하는 스위치(S)가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이어(W)는 목걸이, 팔찌 등에 사용되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W)에는 복수개의 방사부재(W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사부재(W1)들 사이에 각각 걸림부재(M)가 구비되어 방사부재(W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방사부재에는 야간의 식별을 위한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을 ON/OFF 하기 위한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발광유닛은 어느 하나의 방사부재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방사부재 전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발광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야간에 사용자가 도보를 하는 경우, 운전자 또는 다른 보행자에게 사용자의 존재를 보다 손쉽게 식별시킴에 따라 교통사고 및 다양한 범죄로부터 피해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스위치는 제어신호를 통해 발광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면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 : 와이어 W1 : 방사부재
M : 걸림부재 R : 발광유닛
S : 스위치

Claims (4)

  1.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되, 네오디뮴 100 중량부일 때, 란탄 20~50중량부, 세륨 10~30 중량부, 디스프로슘 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사부재;
    상기 방사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사부재에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광유닛과 스위치 사이에는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증폭부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 및 상기 제2증폭회로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96663A 2016-07-29 2016-07-29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KR10169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63A KR101696231B1 (ko) 2016-07-29 2016-07-29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63A KR101696231B1 (ko) 2016-07-29 2016-07-29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231B1 true KR101696231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663A KR101696231B1 (ko) 2016-07-29 2016-07-29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00B1 (ko) * 2017-07-04 2018-04-24 김현진 희토류 금속 장신구
KR20190103871A (ko) 2018-02-28 2019-09-05 박치애 희토류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장신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2632B2 (ja) * 2002-11-29 2008-04-09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方法
KR20130091266A (ko) * 2012-02-07 2013-08-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천수 부유 콜로이드를 함유한 원적외선 방출용 조성물
KR20140019059A (ko) * 2012-07-18 2014-02-14 장준영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KR101635587B1 (ko) * 2016-03-24 2016-07-20 주식회사 소룩스 엘이디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2632B2 (ja) * 2002-11-29 2008-04-09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方法
KR20130091266A (ko) * 2012-02-07 2013-08-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천수 부유 콜로이드를 함유한 원적외선 방출용 조성물
KR20140019059A (ko) * 2012-07-18 2014-02-14 장준영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KR101635587B1 (ko) * 2016-03-24 2016-07-20 주식회사 소룩스 엘이디 조명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00B1 (ko) * 2017-07-04 2018-04-24 김현진 희토류 금속 장신구
KR20190103871A (ko) 2018-02-28 2019-09-05 박치애 희토류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Morphology control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YVO4: Eu phosphor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Zhou et al. Energy transfer and upconversion luminescence properties of Y2O3: Sm and Gd2O3: Sm phosphors
KR101696231B1 (ko)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Katayama et al. Deep-red persistent luminescence in Cr3+-doped LaAlO3 perovskite phosphor for in vivo imaging
Tiwari et al. Enhanced temperature sensing response of upconversion luminescence in ZnO–CaTiO3: Er3+/Yb3+ nano-composite phosphor
DE69104100T2 (de) Strontium und Lanthanid Mischoxide und Laser der Einkristalle dieser Oxide verwendet.
EP3036194B1 (en) Optical compounds, us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CN104043138A (zh) 稀土基纳米颗粒磁共振造影剂及其制备方法
CN107163937B (zh) 一种具有多孔结构的稀土掺杂氟化锆锂纳米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Yogananda et al. Colour quality parameters and enhanced white light emanation via solution combustion derived MoO3: Dy3+ micro-architectures: Fluorescent probe for sensitive visualization of latent fingerprints
Chepurko et al. Magnetic and spectral studies of Er2BaNiO5 and other rare earth nickelates
García et al. Enhancing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Sr4Al14O25: Eu2+, Dy3+ persistent phosphors by codoping with Bi3+ ions
Vereshchagin Electroluminescence of crystals
DE59806553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otierter Ceroxidkeramik
Zhu et al. Observation of upconversion white light and ultrabroad infrared emission in YbAG: Ln3+ (Ln= Nd, Sm, Tb, Er)
EP1437421A3 (en) Method for producing a titanium-base alloy having an oxide dispersion therein
Shi et al. Solution combustion synthesis and enhanced luminescence of Eu3+-activated Y2Ce2O7 phosphor nanopowders
CN103351858A (zh) 一种稀土掺杂的发光铁电材料及制备方法
Jusza et al. Short wavelength emission properties of Tm3+ and Tm3++ Yb3+ doped LaAlO3 nanocrystals and polymer composites
Chang et al. Luminescence properties of anodically etched porous Zn
Yang et al. Unusual power-dependent and time-dependent upconversion luminescence in nanocrystals Y2O3: Ho3+/Yb3+
Kaur et al. Optical excitations and ferromagnetic ordering in Sm doped WO3 at dilute concentrations
Manivannan et al. Nature of luminescent centers in Cerium-activated materials with the CaFe2O4 structure
Lemos et al. Photoluminescence of Er3+ doped in PbTiO3 perovskite-type obtained via polymeric precursor method
Farooq et al. Explor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doped rare earth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