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942B1 -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942B1
KR101688942B1 KR1020100086684A KR20100086684A KR101688942B1 KR 101688942 B1 KR101688942 B1 KR 101688942B1 KR 1020100086684 A KR1020100086684 A KR 1020100086684A KR 20100086684 A KR20100086684 A KR 20100086684A KR 101688942 B1 KR101688942 B1 KR 10168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creen
display
displayed
transpa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458A (ko
Inventor
허근재
임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942B1/ko
Priority to US13/089,203 priority patent/US8943427B2/en
Priority to EP11005686.8A priority patent/EP2426597B1/en
Priority to CN201110222988.2A priority patent/CN102385477B/zh
Publication of KR2012002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MULTIPLE DISPLA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본 명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단말기는 보다 새롭고 흥미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단말기가 출시되어 사용자의 관심을 얻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screen)는 투명전자소자를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유리처럼 투명한 상태로 있다가 필요 시 그래픽 객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투명박막 트랜지스터(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 TTFT)가 투명전자소자의 대표적인 예이며, 이러한 TTFT는 투명 디스플레이,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의 구동회로에 사용된다.
그런데, 투명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종래 단말기는 그 디자인적인 특이성으로 사용자의 관심을 어느 정도 이끌어내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투명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흥미로운 UI 또는 UX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전환, 합성,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상의 그래픽 객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제1 화면 및 상기 제1 화면에 관련된 제2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투명성을 가지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된 제1 상태에서,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투명성을 가지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된 제1 상태에서,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투명성을 가지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된 제1 상태에서,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1 화면에 관련된 상기 제2 화면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전환, 합성, 표시하거나, 또는 그래픽 객체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흥미로운 사용자 인터베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바 타입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타입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본체가 2개 디스플레이부와 상하 레이어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화면과 제2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체 교환하여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표시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을 합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3차원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그래픽 객체를 이동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에 서로 관련 있는 내용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거울상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메시지 작성 화면 및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실시간 메신저 대화 화면 및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주소록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의 전체 구성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전환, 합성, 표시하거나, 또는 그래픽 객체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흥미로운 사용자 인터베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종래에 화면분할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들은 적절한 변경을 통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각 분할 화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화면 전환, 화면 합성, 화면 표시, 그래픽 객체 선택 방법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각각 1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불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거나, 2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부는 별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또는 제어 코드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또는 제어 코드에 의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모두가 제어될 수도 있다. 각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다른 별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또는 제어 코드에 의하여 제어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또는 제어코드는 커널 레벨에서 다른 디바이스 드라이버 또는 제어코드와 연동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투명성을 가진 전면 디스플레이부인 제1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투명성을 가진 후면 디스플레이부인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가 상술한 바와 같은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만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부만이 투명성을 가질 수도 있고, 후면 디스플레이부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전면 디스플레이부인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변경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각각의 기능은 미리 정해진 버튼 입력, 터치 입력(싱글 터치, 더블 터치, 긴 터치, 강한 압력 터치 등), 제스처 입력, 모션 입력, 메뉴 선택, 기능 선택, 아이콘 선택 등과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거나 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달리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사용자 입력'이라고 하면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입력, 선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각각의 기능은 사용자 선택,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는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표시 방식은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되거나 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전환,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합성,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그래픽 객체 선택,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표시로 각각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바 타입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 타입(bar type)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각각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만이 투명 디스플레이이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모두가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더 타입(folder type)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경첩(힌지) 등을 통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와 서로 비중첩된 상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만이 투명 디스플레이이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모두가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타입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더 타입(slider type)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슬라이딩 레일(미도시) 등을 통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와 서로 비중첩된 상태로 상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만이 투명 디스플레이이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모두가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본체가 2개 디스플레이부와 상하 레이어 구조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후면에 배치되는 본체,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본체 사이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만이 투명 디스플레이이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모두가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투명전자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발광도,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부(180)가 전류량을 낮추면,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보다 더 투명해진다.
한편,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전자종이(E-Paper) 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디스플레이부(151b)는 전자잉크(E-Ink) 패널 상에 투명 디스플레이 회로가 입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전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전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화면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을 서로 바꾸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던 내용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전체 화면 또는 일부 화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화면과 제2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체 교환하여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남자 아이콘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여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와 중첩된 상태 또는 비중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도 6에서는 중첩된 상태를 예로 듬). 도 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가 조절되어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이 투과되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PIP(picture in picture), 분할화면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PIP 등의 형태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화면을 편집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편집된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표시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표시 내용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표시 내용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내용이란 문자, 숫자, 기호, 아이콘, 이미지, 동영상, UI 구성요소(버튼, 메뉴 등) 등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가능한 형태의 시각적 요소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는 화면 전환을 실행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화면 전환 버튼을 누르거나 가상 키패드 상의 화면 전환 키를 터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화면 전환을 실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더블 터치(클릭), 긴 터치 또는 강한 압력의 터치(이하에서 '강압 터치'라고 부름)를 할 수도 있다. 강압 터치 여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커패시티 값의 증가, 감압식(정압식) 터치스크린에서는 터치 시간 또는 압력값을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화면 전환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하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대칭되는 지점에서 동시에 터치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대칭되는 지점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터치스크린)를 내려 누르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터치스크린)을 올려 누르는 터치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화면 전환을 실행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술한 화면 전환 기능을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문서 보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면 전환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현재 편집되고 있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이전 페이지 또는 상기 다음 페이지를 표시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를 표시하게 된다.
화면 전환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페이지는 고정된 채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페이지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인터넷 브라우저가 접속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합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합성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화면 또는 표시 내용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결합하거나, 겹치거나, 오버레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결합하거나 겹치는데 있어서 컴퓨터 그래픽 효과를 부가하여 2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또는 표시 내용으로부터 새로운 화면 또는 표시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중첩된 상태 또는 비중첩된 상태에서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합성한 화면을 생성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생성된 합성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이미지의 제1 레이어를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2 레이어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툴들이 지원하는 다양한 레이어 합성(블렌딩) 방식에 따라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를 결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합성되거나 결합된 결과 이미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레이어 또는 제2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레이어 또는 제2 레이어를 구성하는 화소(pixel) 데이터 값을 변경함으로써 레이어의 투명도를 직접 변경할 수도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레이어 또는 제2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최종 결과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표시하기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이어의 실제 화소 데이터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성 조절을 통하여 레이어 합성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레이어 합성 시 요구되는 화소 데이터의 프로세싱 리소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180)는 제1 레이어의 색상과 제2 레이어의 색상을 혼합하여 표시하거나, 제1 레이어의 전경(foreground)와 제2 레이어의 배경(background)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을 합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이미지의 제1 레이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이미지의 제2 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는 제1 레이어(전경 화면)은 그대로 유지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제2 레이어(배경 화면)는 교체됨으로써, 동일한 전경에 대하여 다양한 배경이 합성된 결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의 일정 영역(예를 들어, 좌변 또는 우변 영역)에서 상하 스크롤링 또는 상하 드래깅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의 동작만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술한 화면 합성 기능을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2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그래픽 객체 조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그래픽 객체 조작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다른 디스플레이부로 복사 또는 이동시키거나, 다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연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객체란,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 동영상, UI 구성요소(버튼, 메뉴 등) 등과 같이 화면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종류의 객체를 의미한다.
또한, 그래픽 객체 간의 연계란 제1 그래픽 객체가 제2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결합 또는 합성되거나, 제1 그래픽 객체가 표상하는 대상 객체와 제2 그래픽 객체가 표상하는 대상 객체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그래픽 객체가 표상하는 대상 객체란 메일, 일정, 연락처, 작업, 문서, 텍스트, 바이너리 파일 등 가능한 모든 종류의 데이터 또는 전자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대상 객체 간의 연결이란 제1 대상 객체가 제2 대상 객체로 복사 또는 이동되거나, 제1 대상 객체가 제2 대상 객체와 결합 또는 합성되거나, 제2 대상 객체가 제1 대상 객체를 실행하거나 제1 대상 객체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반대로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중첩된 상태 또는 비중첩된 상태에서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하부에 위치하여 서로 중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그래픽 객체가 있는 경우, 상기 위치에서의 짧은 터치에 대하여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고, 상기 위치에서의 긴 터치에 대하여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3차원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래픽 객체가 3차원 영상 형태로 촬상되거나 생성되어 깊이 정보(3-dimensional depth information)를 갖고 있을 때,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는 깊이감이 큰(즉, 보다 전면에 위치한) 그래픽 객체(도 10의 'F')가 우선하여 선택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는 깊이감이 작은(즉, 보다 배경에 위치한) 그래픽 객체(도 10의 'B')가 우선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위치, 폴더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연관(연계)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그래픽 객체를 이동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파일은긴 터치 또는 강압 터치에 의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폴더에 복사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플리킹하면, 상기 그래픽 객체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에 이동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화면과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이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포인터 또는 그래픽 객체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화면의 테두리를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 또는 그래픽 객체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중첩되지 않은 상태(예를 들어, 상대 회전 또는 상대 슬라이딩되어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설정은 화면 확장의 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술한 그래픽 객체 선택 기능을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표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다양한 방식과 조합으로 화면 또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중첩된 상태 또는 비중첩된 상태에서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1 화면에 관련된 상기 제2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화면과 상기 제2 화면은 동일한 화면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화면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 화면과 상기 제2 화면은 서로 관련 있는 내용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서로 관련 없는 내용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2개 디스플레이부에 서로 관련 있는 내용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문서 보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플리킹 동작을 입력할 때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각각 그 다음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터넷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각각 현재 인터넷 페이지와 이전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가 다중 탭 브라우징 방식으로 동작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서로 무관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입력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화면에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화면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원래 표시하던 화면의 거울상(mirror image)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51a)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거울상이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투과하여 보일 수 있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거울상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서로 중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서로 반대되는 외부 방향에서 화면이 보여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투명성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화면을 한 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후면에 위치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원래 화면의 거울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다른 그래픽 객체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한 채 텍스트(문자, 숫자, 기호 등)만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거나(도 13의 상단), 텍스트를 포함한 그래픽 객체 전체의 거울상을 표시할 수 있다(도 13의 하단).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과 시간적 선후관계에 있는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 직전에 접속한 페이지 화면 또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 직후에 접속한 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문서 보기 또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현재 페이지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이전 페이지 화면 또는 다음 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수정 후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수정 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과 공간적 확대 또는 축소 관계에 있는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지도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상기 지도 화면의 중앙부 또는 사용자 선택 지점의 확대 또는 축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지도 화면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상기 선택된 지점의 확대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상기 지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 또는 상기 내용의 특성을 변경시키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예를 들어,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 메뉴, 가상 키패드 등)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카메라(121)가 현재 촬영 중인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촬영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현재 편집 중인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편집 설정, 편집 기능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에 대한 상세내용 또는 상기 내용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현재 사이트에 포함된 링크를 따라 접속한 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 플리킹 동작을 하면,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던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함으로써 화면 전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상기 현재 인터넷 페이지 화면에 나타난 주요 단어들에 대한 연관 검색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연관 검색어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상기 선택된 연관 검색어에 대한 인터넷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수신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상기 수신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신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과 결합되거나 연동될 대상에 대한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서로 중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이 투과되어 보일 수 있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51a)를 투명한 상태로 설정하고, 제2 디스플레이 화면 내용에 대한 메모(텍스트, 이미지, 도형 등) 작성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할 수 있다. 작성된 메모는 제2 디스플레이 화면 내용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되거나 비표시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전자종이(E-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와 상하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도 또는 발광도가 조절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2 디스플레이에 대한 프론트 라이트(front light)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과 동종 또는유사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목록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메시지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수신 메시지 목록을 썸네일 방식, 스크롤 방식, 분할화면 등의 다양한 배열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 화면 또는 표시내용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 또는 표시내용과 교환(전환)될 수 있다.
또는, 그래픽 객체가 3차원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으로 촬상되거나 생성된 것을 전제로,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상기 그래픽 객체의 전면(앞모습)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는 상기 그래픽 객체의 배면(뒷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의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으로 생성된 인물 사진에 대하여,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인물의 앞모습을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중첩된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인물의 뒷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돌려가며 인물의 전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술한 다양한 화면 표시 기능을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화면 전환, 화면 합성, 그래픽 객체 선택, 화면 표시 기능등을 이용하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인 실시예: 메시지 작성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메시지 작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메시지 작성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아이콘에 대한 짧은 터치 입력(또는 약한 압력의 터치)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의 아이콘에 대한 긴 터치 입력(또는 강한 압력의 터치)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메시지 작성 화면 및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메시지 입력을 위한 가상 키패드(예를 들어, 쿼티 자판)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입력되거나 작성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터치 입력이 발생할 때에만 또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후 일정 시간 동안만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대 회전 가능한 폴더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 펼쳐진 디스플레이부가 가상 키패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가 조절됨으로써 가상 키패드가 투명하게 표시되거나,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가 조절됨으로써 메시지 전체 또는 일부(예를 들어, 현재 작성 중인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가 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51a) 화면과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이 서로 교환(전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메시지 입력 내용 및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는 배경 이미지, 파일, 사진, 동영상, 그림 카드, 음악 등의 목록을 썸네일 방식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레이어 편집 방식으로 복수의 배경 이미지, 사진, 그림 카드, 텍스트 등으로부터 하나의 배경 이미지(사용자 정의 배경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편집 전후의 상태를 각각 표시하거나,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편집 전후의 상태를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각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특정 레이어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메시지 입력 화면 및/또는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다른 기능 메뉴 또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이메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토크 애플리케이션 등)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서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서의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등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의 텍스트, 그림,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 상에서 미리 정해진 방식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강압 터치, 긴 터치, 더블 터치 등)을 하였을 때, 그 텍스트 등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메시지 입력 내용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실시간 메신저
도 1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실시간 메신저 대화 화면 및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호 대화 내용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상대방 메시지 입력 여부 및 온라인 상태에 있는 대화상대 목록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상대방 프로파일, 상대방 상태 정보, 메시지 전송 여부, 메시지 수신 상태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특정 대화상대가 선택(터치)되면, 선택된 상대방에 대하여 대화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이 교환(전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송신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수신 메시지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던 메신저 대화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로 전환하여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를 낮춤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메신저 대화 화면을 가릴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주소록
도 1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주소록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주소록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검색한 대상에 대한 기본정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선택된 대상에 대한 기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정보는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메모, 메신저 아이디, SNS 아이디, 사진 등일 수 있다. 상기 기타정보는 통화기록, 통화빈도, 사용자와의 관계, 사용자와의 SNS 연계 상황 등일 수 있다. 사용자가 기타정보 항목을 선택하면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해당 항목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주소록에서 자주 선택되거나 검색되는 대상을 이름 순, 빈도 순 등으로 정렬하여 표시하거나, 별도 폴더에 저장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음악 재생
도 1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커버 아트 이미지, 재생, 일시정지, 되감기, 빨리감기, 한 곡 반복, 전곡 반복, 무작위 재생 등에 관한한 기능 메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가수 정보, 곡 정보, 앨범 정보, 사진, 가사, 인기도, 인지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기본정보(가수 정보 등)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현재 재생되는 곡의 이전 곡과 다음 곡에 대한 기본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이전 곡 또는 다음 곡을 선택(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곡을 재생 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현재 재생되는 곡의 이퀄라이저(EQ) 조절, 재생 리스트 수정, 현재 재생되는 곡을 벨소리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 등에 대한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할 정보, 메뉴 등은 개별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정보, 메뉴 등을 선택(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정보에 대한 세부 정보 또는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세부 메뉴를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곡을 전면 스피커에서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곡을 후면 스피커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전면 스피커 및 후면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서로 다른 음악이 동시에 출력되거나, 한 시점에는 어느 한 음악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지도, 교통정보
도 1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사용자가 현재 검색하거나 선택한 위치의 지도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사용자가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선택(터치)한 위치의 경도 및 위도를 표시하거나, 선택(터치)한 위치를 중심으로 한 확대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지도의 확대 범위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일반적인 형태로 지도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고 있는 지역의 교통정보 길찾기 경로 정보, 관광 정보(음식점, 주유소, 화장실 등)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위성 지도, 등고선 지도, 로드뷰 영상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선택한 지역에 대한 교통정보(예를 들어, 출발지 교통 정보 및 도착지 교통 정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상기 지역에 대한 CCTV 영상, 상기 교통 정보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세 교통 정보(예를 들어, 교통이 원활하지 않는 위치에 대한 정보), 기능 설정 화면, 위치 검색 화면, 교통정보 파일 다운로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특정 상세 교통 정보를 선택(터치)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선택된 상세 정보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게임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고 있는 그래픽 객체(예를 들어, 아이콘, 이미지)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원래 위치로부터 다른 디스플레이부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두 명의 사용자가 각각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상호 작용하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그래픽 객체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대응 지점(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해당 지점과 동일한 좌표 지점 또는 대칭 지점)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로 후퇴하는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특정 그래픽 객체를 선택(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로 전진하는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3차원 영상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를 거리감(depth)을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상술한 시각적 효과를 더 크게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고 있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예를 들어, 아이콘, 이미지)들에 대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51a)를 보고 있는 사용자 기준으로 서로 다른 거리로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가까운 거리로 설정된 그래픽 객체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터치로, 먼 거리로 설정된 그래픽 객체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리가 먼 그래픽 객체를 제1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긴 터치 또는 강압 터치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산개하여 복수의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경우 공간적 거리감의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를 조작하는 제1 사용자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조작하는 제2 사용자가 동일한 그래픽 객체를 클릭하거나 터치할 때마다 상기 그래픽 객체의 앞면, 뒷면이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두 명의 사용자가 각각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상호 작용하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동안 더 많은 앞면 또는 뒷면으로 바꾼 사용자가 게임을 이기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제1 사용자가 조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2 사용자가 조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각자의 그래픽 객체를 조작한 결과를 공통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두 명의 사용자가 각각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상호 작용하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는 상술한 방식으로 자신의 카드를 가지고 카드게임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방송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 영상(예를 들어, DMB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현재 방송 영상에 나타난 물품, 상품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로의 접근 경로(예를 들어, URL 링크)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다른 채널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선택된 채널의 이전 번호 채널 또는 다음 번호 채널의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다른 채널 방송 영상을 선택(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선택된 채널의 방송 영상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복수 채널의 방송 영상들을 썸네일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특정 채널의 방송 영상을 선택(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전체 화면으로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채널정보를 표시하거나,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예를 들어, 볼륨조절 버튼, 채널변경 화살표 아이콘 등)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에 관련된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지역 별 방송수신신호 품질(예를 들어, DMB 수신신호 강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품질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시청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일정관리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달력 형태로 월 단위 일정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오늘 날짜 또는 선택된 날짜에 대한 상세 일정 정보(예를 들어, 일별 일정, 시간 별 일정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 전환이 있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복수의 월별 일정(예를 들어, 이번 월 및 전후 월의 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일정에 대한 상세 내용(예를 들어, 시간, 장소, 주제 등)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해당 일정에 관련된 문서, 이미지, 동영상, 파일, URL 링크 등을 삽입할 수 있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일정을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화면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서 현재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내용에 대한 백업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백업은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또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정 분량 이상 입력 또는 수정이 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백업 내역 중 특정 항목을 선택(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그 백업 항목의 내용으로 일정 내용을 되돌려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잘못된 일정 입력이나 수정으로 인한 재입력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전화번호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이름순, 그룹순, 전화번호순, 전화내역빈도순 등으로 정렬된 전화번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정렬 순위가 높은 항목부터 낮은 항목의 순으로 제1 디스플레이 화면부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화면까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진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전화번호에 연계되어 입력된 프로파일 사진을 3차원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전화번호 목록에서 복수의 대상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대상들을 포함하는 삼자통화 또는 전화회의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는 대상을 기준으로 삼자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대상 목록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대상자 선택이 완료되거나 임의의 전화 통화가 있은 후,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목록에 포함된 대상자들에게 순서대로 전화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전화 연결이 시도되는 중이거나 전화 통화 중에 있는 대상자 관련 정보(대상자 프로파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SNS 로그인 화면 또는 내용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SNS 관련 파일 관리자, 폴더 목록, 보관 텍스트 목록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파일 관리자 화면에 나타난 파일, 보관 텍스트 목록에 포함된 텍스트 등을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파일 내용 또는 선택된 텍스트 등을 내용 입력 화면에 삽입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상기 텍스트와 함께,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게시글 번호 또는 상기 게시글을 포함하는 게시판 페이지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텍스트, 게시글 번호 또는 페이지 번호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해당하는 게시글 또는 게시판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복수의 팔로우어(Follower) 또는 일촌 목록을 트리, 썸네일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원하는 대상을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대상의 SNS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하나의 화면처럼 연동되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드래그)에 따라 복수의 SNS 사용자를 돌려가며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SNS 사용자는 카테고리(섹션, 그룹) 별로 분류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돌려가며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전자메일(E-Mail)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사용자가 현재 읽고 있는 메일 내용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상기 메일이 포함되는 폴더의 메일들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특정 메일을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메일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작성 중인 메일의 배경 화면 또는 첨부파일을 표시할 수도 있다. 메일 작성 완료 시,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메일 내용과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는 배경 화면 및/또는 첨부파일을 하나의 메일로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고 있는 메일 내용 중 일부 내용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고 있는 메일 작성 화면에 복사할 수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전자메일 계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복수의 전자메일 계정의 모든 메일을 시간 순, 이름 순, 메일 크기 순, 발신인 순 등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전자메일 계정 목록을 썸네일, 스크롤, 화면분할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전자메일 계정의 메일 일부를 프리뷰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특정 전자메일 계정을 선택(터치)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선택된 전자메일 계정의 메일들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복수의 전자메일 계정의 모든 메일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카메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촬영 영상에 대한 기능 설정 UI(예를 들어, 메뉴, 버튼, 아이콘 등)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카메라(121)의 촬영 영상에 대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기능 설정 UI 및 프리뷰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화면 꺼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수정이 되거나 영상 설정(노출값, 측광방식, 영상 이펙트 등)이 변경되기 전의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수정 또는 설정 변경 후의 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영상 편집 또는 설정 변경에 따른 카메라 영상의 변경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전면 카메라(셀프 촬영용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 (예를 들어, 사용자 사진)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후면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예를 들어, 배경 사진)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 촬영 이미지와 후면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하나로 합성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셀프 촬영 시 배경 영상과 합성된 촬영 결과물을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카메라 촬영 영상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해 인터넷 상에서 이미지 검색한 결과를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프리뷰 이미지 상에서 이미지 검색할 대상(물품, 상품, 건물, 그림, 조각, 도서 등) 또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이미지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동안, 제어부(180)는 이미지 검색 결과 페이지의 하위 디렉토리 또는 이미지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된 링크의 페이지를 미리 읽어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연사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이미지 포커싱 품질 등)에 따라 결정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를 촬영 영상의 메타데이터 등의 형태로 함께 저장하거나, 촬영 영상과 메모를 연계하되 별개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가 저장된 촬영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를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메모의 외부 노출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통화
통화가 진행되는 중에,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통화 관련 기능 UI(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모, 음성메모 등)를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통화 관련 정보 UI, 특정 기능에 대한 상세 기능/상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통화 관련 정보 또는 기능 UI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UI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영상 통화 시 상대방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전화번호부 검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메모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텍스트 입력 또는 그림 메모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배경 화면 이미지, 음악, 동영상을 첨부할 수 있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된 텍스트 또는 그림 메모와 함께 배경 화면 이미지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작성된 메모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배경 화면 이미지 등을 함께 불러올 수 있다.
작성된 텍스트, 그림 메모 등을 저장할 때,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각각 표시될 부분으로 쪼개어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성된 메모를 불러오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각각 쪼개어 저장된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어느 한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제3자에게 메모 내용 전체가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투명도가 조절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상하로 겹침으로써 메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그래픽 객체(예를 들어, 아이콘)에 대한 메모(예를 들어, 기능 설명, 기타 내용 등)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고 있는 그래픽 객체 상에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해 작성된 메모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앨범(갤러리)
각 사진에 대하여 태그 또는 레이어 정보가 메타데이터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각 태그 별로 또는 각 레이어 별로 분류된 사진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드래깅, 플리킹 등)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사진들이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다른 태그 또는 다른 레이어에 해당하는 사진들이 다시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플리킹 방향에 따라 위와 같은 동작이 반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사진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사진이 저장될 폴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의 사진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폴더로 복사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폴더를 선택(터치) 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기 폴더에 포함된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메모, 태그 등이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사진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흔들거나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을 하면, 제어부(180)는 사진 파일명의 유사도, 메모 텍스트의 유사도, 태그의 유사도 등에 따라 상기 사진들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폴더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각 폴더의 이름을 그 폴더에 속하는 사진들을 대표할 수 있는 이름으로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첫번째 사진 파일명, 메모 텍스트에서 가장 공통적인 텍스트 등으로 폴더 이름을 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동영상 재생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현재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동영상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동영상 목록을 볼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하 폴딩 또는 상하 슬라이딩되는 구조인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화면이 폴더 개방 또는 슬라이딩 개방에 의해 나란히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하나의 동영상을 와이드 화면 형태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편집 전의 동영상 화면을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편집 후의 동영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하 폴딩 또는 상하 슬라이딩되는 형태인 경우, 사용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나란히 펼쳐서 편집 전후의 영상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동영상 레이어 #1 및 #2를 각각 표시하고, 제어부(180)는 각 레이어를 별도의 동영상으로 저장하거나, 합성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레이어가 추가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전체 화면으로 하나의 동영상 레이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나머지 레이어들을 분할화면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각각 하나의 레이어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레이어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지 않다가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플리핑)이 있는 경우 기존 레이어를 교체하여(롤링 형태)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인물이나 주요 사물 영상을 재생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배경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함으로써 3차원 영상 표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통상의 방식으로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기 동영상을 시간 지연시켜 표시하거나 다양한 영상 효과(예를 들어, 연기 효과 등)를 표시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통상의 방식으로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화면 캡쳐 기능에 의해 캡쳐된 정지 화면을 표시하거나, 다수의 정지 화면을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인터넷 브라우저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이전 페이지, 현재 페이지에 포함된 링크 페이지, 서브 디렉토리, 인터넷 사용 히스토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현재 인터넷 페이지에 나타난 텍스트의 연관 검색어, 연관 검색어에 대해 검색한 결과(관련 사이트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고, 후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 내 포함되거나 링크된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플래시, 이미지 등)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현재 페이지의 특정 텍스트를 선택(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된 자체 사전 기능 또는 인터넷 사전 검색을 통하여 상기 텍스트에 대한 사전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에 대한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와 상기 메모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 상에서의 텍스트 입력 등을 위한 가상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펼쳐지는 등 일정한 위치 또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가상 키패드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표시하는 인터넷 페이지를 즐겨찾기 추가하거나 HTML, XML, PDF,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저장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추가된 즐겨찾기 또는 저장된 인터넷 페이지를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상기 인터넷 페이지를를 선택(터치)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기존에 표시하고 있던 인터넷 페이지와 선택된 인터넷 페이지를 함께 화면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검색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검색된 파일, 컨텐츠 등의 목록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검색 결과 목록에서 선택된 파일,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각각 서로 다른 파일,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전자책(E-Book)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전자종이(E-Paper) 패널(예를 들어, E-Ink 패널)을 포함하거나 이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텍스트를 주로 표시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컬러 사진, 컬러 영상 등과 같이 색표현이 중요한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책의 내용 중 사진, 영상 등을 전자책 생성 시 삽입되는 태그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텍스트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하고, 사진, 영상 등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를 조절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메모를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 상에서 작성된 메모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내용에 삽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를 조절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북마크 목록을 아이콘, 이미지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 특정 북마크를 선택(터치)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선택된 북마크에 해당하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를 조절한다(S2010).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 역시 조절할 수도 있다(S2020).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030).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050).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07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하며(S2071),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합성하고(S2073),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합성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75).
여기서, 상기 제1 화면은 이미지의 제1 레이어 화면이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이미지의 제2 레이어 화면일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80). 특히,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현재 시점의 제2 화면)가 변경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변경된 제1 화면(현재 시점의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를 조절한다(S2110).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S2120).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13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150).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한다(S217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짧은 터치 또는 약한 압력의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긴 터치 또는 강한 압력의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S218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 상에서 깊이감이 높은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 상에서 깊이감이 낮은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S2191).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시키거나, 상기 제2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시킬 수도 있다(S2193).
도 2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화면 및 상기 제1 화면에 관련된 제2 화면을 결정한다(S2210).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투명도를 조절한다(S2230).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S2240).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25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270).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화면에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화면을 변경하거나, 상기 제2 화면에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S2281).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변경된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변경된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283).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가 상기 제1 화면의 거울상(mirror image)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화면의 거울상이 비춰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화면의 내용은 상기 제1 화면의 내용과 시간적 선후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화면의 내용은 상기 제1 화면의 내용과 공간적 확대 또는 축소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화면의 내용은 상기 제1 화면의 내용을 변경시키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화면의 내용은 상기 제1 화면의 내용에 대한 상세 내용 또는 상기 제1 화면의 내용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화면의 내용은 상기 제1 화면의 내용과 결합되거나 연동될 대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화면의 내용은 상기 제1 화면의 내용과 동종인 항목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의 내용은 각각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37)

  1.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과 연관된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1 화면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투과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1 화면의 정보가 가려지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의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변경된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합성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합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이미지의 제1 레이어 화면이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이미지의 제2 레이어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과 연관된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 1 화면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투과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가 가려지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숏터치 또는 기준압력보다 약한 압력의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롱터치 또는 기준압력보다 강한 압력의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 상에서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깊이감이 높은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 상에서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깊이감이 낮은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시키거나, 상기 제2 화면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제1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1 화면 및 상기 제1 화면에 관련된 제2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1 화면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투과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1 화면의 정보가 가려지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에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화면을 변경하거나, 상기 제2 화면에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변경된 제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변경된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화면의 거울상(mirror image)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의 거울상이 비춰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의 다음 또는 이전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와 공간적 확대 또는 축소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상세 내용 또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와 결합되거나 연동될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는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와 연관된 항목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는 각각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6. 투명성을 가지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화면과 연관된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투과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1 화면의 정보가 가려지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비중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거나,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0. 투명성을 가지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화면과 연관된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에 위치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가 가려지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비중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거나,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투명성을 가지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된 제1 상태에서,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1 화면과 관련된 제2 화면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투과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1 화면의 정보가 가려지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비중첩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거나,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086684A 2010-09-03 2010-09-03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8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684A KR101688942B1 (ko) 2010-09-03 2010-09-03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13/089,203 US8943427B2 (en) 2010-09-03 2011-04-18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multiple display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11005686.8A EP2426597B1 (en) 2010-09-03 2011-07-12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multiple display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201110222988.2A CN102385477B (zh) 2010-09-03 2011-08-01 基于多个显示器提供用户界面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684A KR101688942B1 (ko) 2010-09-03 2010-09-03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458A KR20120023458A (ko) 2012-03-13
KR101688942B1 true KR101688942B1 (ko) 2016-12-22

Family

ID=4491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684A KR101688942B1 (ko) 2010-09-03 2010-09-03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43427B2 (ko)
EP (1) EP2426597B1 (ko)
KR (1) KR101688942B1 (ko)
CN (1) CN102385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3949B2 (en) 2010-10-01 2015-01-13 Z124 User interaction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through an extended graphics context
US8819705B2 (en) 2010-10-01 2014-08-26 Z124 User interaction support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US8726294B2 (en) 2010-10-01 2014-05-13 Z124 Cross-environment communication using application space API
US20130076592A1 (en) * 2011-09-27 2013-03-28 Paul E. Reeves Unified desktop docking behavior for visible-to-visible extension
US9152582B2 (en) 2010-10-01 2015-10-06 Z124 Auto-configuration of a docked system in a multi-OS environment
US9047102B2 (en) 2010-10-01 2015-06-02 Z124 Instant remote rendering
US8966379B2 (en) 2010-10-01 2015-02-24 Z124 Dynamic cross-environment application configuration/orientation in an active user environment
KR20120004669A (ko) * 2010-07-07 2012-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세계 시간 표시 장치 및 방법
EP2622490B1 (en) 2010-10-01 2018-12-05 Z124 Cross-environment communication framework
US8749484B2 (en) 2010-10-01 2014-06-10 Z124 Multi-screen user interface with orientation based control
US8761831B2 (en) 2010-10-15 2014-06-24 Z124 Mirrored remote peripheral interface
US8832564B2 (en) * 2011-02-11 2014-09-09 Sony Corporation Personalized second display browsing experience due to multiple session feature
JP5815275B2 (ja) 2011-04-26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5428B2 (ja) 2011-04-26 2015-11-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07811A (ko) *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0976981B2 (en) * 2011-07-15 2021-04-13 Vmware, Inc. Remote desktop exporting
US20130080932A1 (en) 2011-09-27 2013-03-28 Sanjiv Sirpal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toggle
US9990063B1 (en) * 2011-09-28 2018-06-05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operating electronic paper displays
US20130107122A1 (en) * 2011-11-01 2013-05-02 Sungchang HA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943987B1 (ko) * 2011-12-06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의 페이지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9223138B2 (en) 2011-12-23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ixel opacity for augmented reality
US9606586B2 (en) 2012-01-23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at transfer device
US9297996B2 (en) 2012-02-15 2016-03-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ser illumination scanning
US9779643B2 (en) 2012-02-15 2017-10-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emitter configurations
US9726887B2 (en) 2012-02-15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color conversion
US9368546B2 (en) 2012-02-15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with embedded light sources
US9578318B2 (en) 2012-03-14 2017-0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emitter calibration
US11068049B2 (en) 2012-03-23 2021-07-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ght guide display and field of view
US9558590B2 (en) 2012-03-28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light guide display
RU2654513C1 (ru) * 2012-03-28 2018-05-21 Йота Девайсез Ипр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дисплей и аппаратную кнопку питания
US10191515B2 (en) * 2012-03-28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light guide display
GB201205761D0 (en) * 2012-03-30 2012-05-16 Sony Corp A method and device
US9717981B2 (en) 2012-04-05 2017-08-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and physical games
EP2648086A3 (en) * 2012-04-07 2018-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 control method performed in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th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30271355A1 (en) 2012-04-13 2013-10-17 Nokia Corporation Multi-segment wearable accessory
KR101921161B1 (ko) * 2012-05-15 2018-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 기능 수행을 위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10502876B2 (en) 2012-05-22 2019-1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optics focus elements
US8989535B2 (en) 2012-06-04 2015-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waveguide imaging structure
US20130335340A1 (en) * 2012-06-19 2013-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display of images received from secondary display devices
KR20130142301A (ko)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US9335919B2 (en) * 2012-06-25 2016-05-10 Google Inc. Virtual shade
US20140006999A1 (en) * 2012-06-27 2014-01-02 David BUKURAK Method, system and apparatus identifying workspace associations
WO2014021658A1 (en) *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40017420A (ko)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21527B1 (ko) * 2012-08-30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TWI637312B (zh) 2012-09-19 2018-10-0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用於在透明顯示裝置顯示資訊的方法、顯示裝置及電腦可讀記錄媒體
TWI470590B (zh) * 2012-10-05 2015-01-21 Wistron Corp 影音娛樂系統及其方法
KR102058994B1 (ko) * 2012-10-11 201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US9502193B2 (en) 2012-10-30 2016-11-22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9710069B2 (en) 2012-10-30 2017-07-18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flex tails upon which keyboard keycaps are coupled
KR101907949B1 (ko) * 2012-10-31 201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73245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0192358B2 (en) 2012-12-20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stereoscopic augmented reality display
KR20140080220A (ko) * 2012-12-20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380227A1 (en) * 2012-12-28 2014-12-25 Kar Mun Ng Convertible computing device
CN103914269B (zh) * 2013-01-09 2019-04-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060155B1 (ko) 2013-01-11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204039A1 (en) * 2013-01-22 2014-07-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mpositing display
TW201430825A (zh) * 2013-01-28 2014-08-01 E Ink Holdings Inc 即時多工操作方法以及電子裝置
CN109375713A (zh) 2013-02-06 2019-02-22 苹果公司 具有可动态调整的外观和功能的输入/输出设备
WO2014122656A1 (en) * 2013-02-10 2014-08-14 Menachem Erad A mobile device with multiple interconnected display units
US20140285531A1 (en) * 2013-03-19 2014-09-25 Ericsson Television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display luminance
KR20140117811A (ko) * 2013-03-27 2014-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록 데이터 시각화 방법 및 장치
KR102148809B1 (ko) * 2013-04-22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96312B1 (ko) * 2013-04-29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4515B1 (ko) * 2013-05-14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103543B2 (ja) 2013-05-27 2017-03-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行程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
JP6191241B2 (ja) 2013-05-3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05460B1 (ko) * 2013-06-14 2020-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457999B1 (ko) * 2013-06-28 2014-11-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445976B1 (ko) * 2013-07-01 2014-10-0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면 표시부 및 전면 투명 표시부가 적층된 디스플레이
US9908310B2 (en) 2013-07-10 2018-03-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reduced friction surface
KR102102760B1 (ko) * 2013-07-16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입력 및 제스쳐 입력 감지가 가능한 후면 투사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6642B1 (ko) 2013-07-30 2020-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US9367280B2 (en) * 2013-08-06 2016-06-14 Intel Corporation Dual screen visibility with virtual transparency
KR20150026565A (ko) * 2013-09-03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37199B1 (ko) * 2013-09-06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047449B (zh) * 2013-09-25 2021-12-31 索尼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WO2015047606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having reduced thickness
US20150116311A1 (en) * 2013-10-28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Accelerated video pos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TWI625579B (zh) 2013-12-27 2018-06-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模組
KR20150081657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11914419B2 (en) 2014-01-23 2024-02-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CN111488112B (zh) * 2014-01-23 2024-03-08 苹果公司 虚拟计算机键盘
US10133548B2 (en) * 2014-01-27 2018-11-20 Roadwarez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ersonal security platform
US9804635B2 (en) 2014-02-06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s
US10453371B2 (en) *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KR20150096826A (ko) 2014-02-17 201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5176186A (ja) * 2014-03-13 2015-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247667B1 (ko) * 2014-03-21 2021-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43680B1 (ko) * 2014-04-07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65448B1 (ko) * 2014-04-09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US9607411B2 (en) * 2014-04-23 2017-03-28 Ebay Inc. Specular highlights on photos of objects
KR102219861B1 (ko) * 2014-05-23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76108B1 (ko) * 2014-05-26 2021-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표시부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2207106B1 (ko) * 2014-06-10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079692A (zh) * 2014-06-18 2014-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副屏结构、双面显示手机及电子纸屏制作方法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KR101575648B1 (ko) 2014-07-01 201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9304235B2 (en) 2014-07-30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crofabrication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KR20160015843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KR102262051B1 (ko) * 2014-08-01 2021-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180678A1 (en) 2014-08-15 2017-06-21 Apple Inc. Fabric keyboard
US10082880B1 (en) 2014-08-28 2018-09-25 Apple Inc. System level features of a keyboard
US10061506B2 (en) * 2014-09-22 2018-08-28 Casio Computer Co., Ltd. Touch determination on stacked or laminated display panels
JP6176289B2 (ja) * 2014-09-22 2017-08-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317541B (zh) * 2014-09-30 2019-05-28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终端中显示图片的备注信息的方法和设备
JP3213042U (ja) 2014-09-30 2017-10-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ーボードアセンブリ用のキー及びスイッチハウジング
US9910518B2 (en) * 2014-10-01 2018-03-0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ransparency augmented industrial automation display
KR102161694B1 (ko) * 2014-10-20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254863B2 (en) * 2014-12-19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086216B2 (en) 2015-02-09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electronic components
US10317677B2 (en) 2015-02-09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372347B1 (en) 2015-02-09 2016-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513480B2 (en) 2015-02-09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US9827209B2 (en) 2015-02-09 2017-1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429692B1 (en) 2015-02-09 2016-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omponents
US9423360B1 (en) 2015-02-09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omponents
US9535253B2 (en) 2015-02-09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10018844B2 (en) 2015-02-09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image display system
US20160284265A1 (en) * 2015-03-26 2016-09-29 Emagin Corporation Method of Implementing Global Illumination With OLED Displays
KR20160123622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37070B2 (ja) 2015-05-13 2020-01-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用のキーボード
EP3295466B1 (en) 2015-05-13 2023-11-29 Apple Inc. Keyboard assemblies having reduced thicknesses and method of forming keyboard assemblies
WO2016183498A1 (en) 2015-05-13 2016-11-17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 for an input device
US10274728B2 (en) * 2015-05-18 2019-04-30 Facebook Technologies, Llc Stacked display panels for image enhancement
US10180741B2 (en) * 2015-05-27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missiv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763599B1 (ko) * 2015-06-01 201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TWI708169B (zh) 2015-06-02 2020-10-2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180404B1 (ko) 2015-06-02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34915B2 (en) 2015-06-10 2018-04-03 Apple Inc. Reduced layer keyboard stack-up
EP3115867B1 (en) * 2015-07-10 2018-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 hybrid secondary screen smart cover with e-ink
US10574807B2 (en) 2015-07-10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secondary screen smart cover with e-ink
KR20170008071A (ko) * 2015-07-13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003938B2 (en) 2015-08-14 2018-06-19 Apple Inc. Easy location sharing
USD814458S1 (en) * 2015-08-18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USD809506S1 (en) * 2015-08-18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08954S1 (en) * 2015-08-18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08953S1 (en) * 2015-08-18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398503B1 (ko) * 2015-09-09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의 압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445425B2 (en) 2015-09-15 2019-10-15 Apple Inc. Emoji and canned responses
US9971084B2 (en) 2015-09-28 2018-05-15 Apple Inc. Illumination structur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KR102468314B1 (ko) 2015-10-21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6699166B2 (ja) 2015-12-24 2020-05-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25484B1 (ko) * 2016-01-06 202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4586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70088691A (ko) * 2016-01-25 201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05611462A (zh) * 2016-01-29 2016-05-25 刘炳钺 控制显示屏画面的方法、***及音箱
KR102534963B1 (ko) * 2016-02-23 202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327276B2 (ja) 2016-03-23 2018-05-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時刻表示制御方法
KR102567144B1 (ko) * 2016-04-26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028172A (zh) * 2016-06-13 2016-10-1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音/视频处理方法及装置
US10475397B2 (en) * 2016-06-20 2019-11-12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esent content using electronic paper display
EP3455845A4 (en) * 2016-06-21 2019-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US10437427B2 (en) * 2016-07-15 2019-10-08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and method for touch/gesture based device control
US10353485B1 (en) 2016-07-27 2019-07-16 Apple Inc.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US10115544B2 (en) 2016-08-08 2018-10-30 Apple Inc. Singulated keyboard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keyboard
US10755877B1 (en) 2016-08-29 2020-08-25 Apple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570189B1 (ko) * 2016-09-0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00538B2 (en) 2016-09-13 2022-11-15 Apple Inc. Keyless keyboard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feedback
US10691330B2 (en) * 2016-09-23 2020-06-2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ce-sensitive gestures on the back of a device
US20180121000A1 (en) * 2016-10-27 2018-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pressure to direct user input
US10366642B2 (en) * 2016-12-01 2019-07-30 Disney Enterprises, Inc. Interactive multiplane display system with transparent transmissive layers
KR102606120B1 (ko) 2016-12-20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EP3333695B1 (en) * 2016-12-06 2019-10-16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KR20180074070A (ko) * 2016-12-23 2018-07-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8120191A1 (zh) * 2016-12-30 2018-07-0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控制方法及装置
KR20180080484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853634B2 (en) * 2017-02-21 2023-12-26 Jeffrey E. Koziol Detachable display system
JP2018170605A (ja) * 2017-03-29 2018-11-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7291368B (zh) * 2017-06-29 2020-12-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屏、电子设备以及信息处理方法
CN117270637A (zh) 2017-07-26 2023-12-22 苹果公司 具有键盘的计算机
CN107450875A (zh) * 2017-07-31 2017-12-08 北京雷石天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多屏幕显示***及多屏幕显示方法
US11157111B2 (en) * 2017-08-29 2021-10-2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Ultrafine LED display that includes sensor elements
DE102017217591A1 (de) * 2017-10-04 2019-04-04 Audi Ag Bediensystem mit dreidimensionaler Anzeige für ein Fahrzeug
KR101977092B1 (ko) * 2017-12-11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1480132A (zh) * 2017-12-19 2020-07-31 索尼公司 信息处理***、信息处理方法和程序
DK180171B1 (en) 2018-05-07 2020-07-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KR102454195B1 (ko) * 2018-05-14 2022-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0860278B2 (en) * 2018-05-23 2020-1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829304A (zh) * 2018-05-29 2018-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CN108769766B (zh) * 2018-06-29 2020-09-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8919902A (zh) * 2018-06-29 2018-11-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9289197A (zh) * 2018-08-22 2019-02-01 深圳点猫科技有限公司 一种在图形化编程平台下的跨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9918159A (zh) * 2019-01-24 2019-06-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辅助聊天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储存介质
CN110007835B (zh) * 2019-03-27 2022-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管理方法及移动终端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US11074408B2 (en) * 2019-06-01 2021-07-27 Apple Inc. Mail application features
CN110377220B (zh) * 2019-07-18 2022-02-0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指令响应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10025967A (ko) * 2019-08-28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US20220391084A1 (en) * 2019-09-25 2022-12-08 Zhangyue Technology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reader, computer storage medium, ink screen reading device and screen projection display system
KR20210045187A (ko) * 2019-10-16 2021-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67630B2 (en) * 2019-11-19 2022-10-11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CN110928464B (zh) * 2019-11-27 2023-08-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用户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256165B (zh) 2019-12-13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20045635A (ko) * 2020-10-06 202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D955356S1 (en) 2020-10-12 2022-06-21 Ivan Faria Double sided smart phone
WO2022123771A1 (ja) * 2020-12-11 2022-06-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150578A (zh) * 2021-03-31 2022-10-04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双显示双面相机视频呼叫***
CN114038874B (zh) * 2021-07-27 2023-03-24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屏
CN113676687A (zh) * 2021-08-30 2021-11-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3A (ja)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KR100686165B1 (ko) * 2006-04-18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678A (ja)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KR101526970B1 (ko)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129091A1 (en) * 2008-05-29 2009-12-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transparent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EP2129084B1 (en) 2008-05-29 2010-11-24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37992B1 (ko) * 2008-06-17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운용방법
KR20100027867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뉴 실행 방법
CN201435744Y (zh) * 2009-04-16 2010-03-31 李晓 增设有双稳态显示屏的滑盖结构便携式电子设备
US9262063B2 (en) * 2009-09-02 2016-02-16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user interface
KR20110034858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넥슨모바일 게임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8784200B2 (en) * 2011-01-22 2014-07-22 Novomatic Ag Gaming machine and method having bonus feature highligh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3A (ja)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KR100686165B1 (ko) * 2006-04-18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6597A1 (en) 2012-03-07
CN102385477A (zh) 2012-03-21
US8943427B2 (en) 2015-01-27
KR20120023458A (ko) 2012-03-13
EP2426597B1 (en) 2019-09-04
US20120060089A1 (en) 2012-03-08
CN102385477B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942B1 (ko)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646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230266876A1 (en)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5922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US974701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535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019944B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s thereof
KR101609162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86034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95685B1 (ko) 전자책의 사용 이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US9141768B2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83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
KR101688154B1 (ko) 인터넷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N102707873A (zh)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移动终端的方法
KR201200066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28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100011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0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047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15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64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20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401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0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056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