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609B1 - 폐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609B1
KR101687609B1 KR1020160031842A KR20160031842A KR101687609B1 KR 101687609 B1 KR101687609 B1 KR 101687609B1 KR 1020160031842 A KR1020160031842 A KR 1020160031842A KR 20160031842 A KR20160031842 A KR 20160031842A KR 101687609 B1 KR101687609 B1 KR 10168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dust
dust collection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천
Original Assignee
박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천 filed Critical 박병천
Priority to KR102016003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01D2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46/00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집진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정화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한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며, 하단에 콘 형상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하부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집진 장치에 구비된 오염된 집진셀을 고압 스팀세척기로 세척할 수 있도록 오염된 집진셀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된 집진셀을 세척한 물이 하부로 배수될 때, 배수되는 물로부터 먼지와 기름찌꺼기는 걸러 제거하는 제1 집진 필터부; 상기 제1 집진 필터부를 통과한 물로부터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본체의 배수구 하단에 설치되되, 일측에 배수관이 형성된 케이싱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의 배수구를 통해 낙하되는 물이 원통 형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되면서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하는 제2 집진 필터부; 및 상기 제2 집진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의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초기에 공급된 수돗물과 같은 깨끗한 물로 처리되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배수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수되는 물을 최종 여과시키는 상하부 부직포필터와 소정 두께의 모래필터로 이루어진 제3 집진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수 처리 장치{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장치 혹은 공기 정화시스템 등에 구비되는 집진셀(필터)이 오염된 경우 오염된 진집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정화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한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 중에 반복적으로 행하는 호흡은 인간이 입이나 코를 통하여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과정으로서,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큰 행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은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를 내 몸안에 흡수하고 내 몸속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행위로서, 공기의 질은 호흡기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은 물론 인간의 건강한 삶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삶이 풍부해진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나, 이와는 반대로 공장이나 차량 등지에서 내뿜는 각종 매연 등 유해물질이 공기 중에 더욱 많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기의 질은 점점 더 나빠져 가고 있는 추세로서, 인간의 호흡 및 이를 통한 건강한 삶을 위협하고 있다.
부연하면, 공기 중에는 우리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수많은 미립자를 포함하는 입자들이 떠돌아다니고 있는데, 우리가 호흡할 때마다 이 입자들이 인체의 호흡기로 유입되므로 공기의 질에 따라 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거나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공기 중에 유해한 미립자가 많고 이들 유해 미립자들에 의해 인체의 호흡기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건강상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정이나 병원 또는 대형건물, 공장 등 어디에서든지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거나 공기정화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많은 노력들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철도 차량 내부 혹은 지하철 역사 내부의 실내공기는 중요한 고객 서비스의 하나로, 많은 사람이 이용할수록 실내공기는 매우 중요하며, 빠른 속도로 달려야 하는 차량일수록 창문을 밀폐할 가능성이 많다. 밀폐된 공간일수록 공기의 질이 중요하며 공기의 필터링이 점점 중요해짐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를 위해 차량 내부 혹은 지하철 역사와 같이 사람이 많은 곳에는 효율이 좋은 공기정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기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내보내므로 차량 냅 및 역사 전체를 청정지역으로 유지하여, 시민들의 안전과 역사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공기 정화기의 내부에는 오염공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입자를 걸러주어 필터링하기 위한 집진셀(필터)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집진셀은 주기적으로 세척하지 않게 되면 필터링의 기능을 상실하여 공기 정화 효율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집진셀의 세척은 매우 중요하다.
통상, 집진셀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수돗물을 이용한 고압세척기를 활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집진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이 재사용되지 못하고 하수구를 통해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4-0047334호, 오폐수 또는 원수의 처리장치.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04-0009452호, 오폐수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정화장치 혹은 공기 정화시스템 등에 구비되는 집진셀을 주기적으로 세척할 경우, 오염된 진집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정화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한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틀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며, 하단에 콘 형상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하부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집진 장치에 구비된 오염된 집진셀을 고압 스팀세척기로 세척할 수 있도록 오염된 집진셀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집진셀을 세척한 물이 하단의 배수구를 통해 하부로 배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된 집진셀을 세척한 물이 하부로 배수될 때, 배수되는 물로부터 먼지와 기름찌꺼기는 걸러서 제거하는 제1 집진 필터부; 상기 제1 집진 필터부를 통과한 물로부터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본체의 배수구 하단에 설치되되, 일측에 배수관이 형성된 케이싱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의 배수구를 통해 낙하되는 물이 원통 형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되면서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하는 제2 집진 필터부; 및 상기 제2 집진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의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초기에 공급된 수돗물과 같은 깨끗한 물로 처리되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배수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수되는 물을 최종 여과시키는 상하부 부직포필터와 소정 두께의 모래필터로 이루어진 제3 집진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집진 필터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2장의 부직포필터가 소정 간격을 이루게 2단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집진 필터부는: 0.3㎛의 이상의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갖는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나노화이버필터, 헤파필터 또는 울파필터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집진 필터부의 모래필터는 30cm의 두께를 이루게 설치되되, 상기 모래필터는 30Cm의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상부 부직포필터와 하부 부직포필터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부직포의 하단부에는 제3 집진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배수되게 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물튀김 방지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에 의하면, 오염된 집진셀을 주기적으로 세척할 경우, 세척에 사용된 물을 정화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물 낭비를 줄이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오염된 필터의 세척에 사용된 물에 녹아있는 유해한 미립자들을 필터링하여 단순 필터 정화 방식에 비해 우수한 성능 및 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는 본체(110)와 제1 집진 필터부(120), 제2 집진 필터부(130) 및 제3 집진 필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다. 즉, 바닥에 지지되는 틀체(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틀체(102)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도록 프레임을 사각틀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집진 장치에 구비된 오염된 집진셀(12)을 고압 스팀세척기(14)로 세척할 수 있도록 오염된 집진셀(12)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집진셀(12)을 세척한 물이 하단의 배수구(112)를 통해 하부로 배수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수구(112)는 콘(con)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배수되는 물이 콘 형상의 배수구(112)를 통해 모이도록 하여 배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고압 스팀세척기(14)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부식이 방지되도록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는 물튀김 방지판(11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튀김 방지판(114)에 의해 본체(110)의 상부에서 오염된 집진셀(12)을 세척할 경우 물이 본체(110)의 외부로 튀지 않게 함으로서 주위 작업 환경을 정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집진 필터부(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된 집진셀(12)을 세척한 물이 하부로 배수될 때, 배수되는 물로부터 먼지와 기름찌꺼기는 걸러서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집진 필터부(110)는 비교적 입자가 큰 오염입자를 걸러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제1 집진 필터부(120)는 부직포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직포필터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2장의 부직포필터(122a,122b)가 소정 간격을 이루게 2단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110)의 내부 양단에 가이드레일(116a,116b)을 소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116a,116b)에 2장의 부직포필터(122a,122b)가 얻혀지는 형태로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오염된 집진셀(12)을 세척한 물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를 통해 하부로 배수될 때 상기 제1 집진 필터부(120)를 구성하는 2장의 부직포필터(122a,122b)에 의해 먼지와 기름찌꺼기가 걸려 제거되며, 상기 2장의 부직포필터(122a,122b)에 의해 걸러지지 않는 몰에 녹아 있는 오염 미립자만이 통과된다.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는 제1 집진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지 않고 통과된 오염물, 즉 물에 녹아 있는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는 본체(110)의 배수구 하단에 원통 형상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배수구(112)를 통해 낙하되는 물이 원통 형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되면서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한다.
이때,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는 케이싱(132)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게 설치되되, 상기 케이싱(132)의 일측에는 배수관(134)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에서 오염 미립자가 필터링된 물이 상기 배수관(134)을 통해 케이싱(132)의 외부로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134)은 케이싱(132)의 중간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필터링된 물이 케이싱(132)의 내부에서 일정 수위만큼 채워진 후 배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는 물에 녹아있는 오염 미립자를 효율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는 0.3㎛의 이상의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갖는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나노화이버필터, 헤파필터 또는 울파필터 중 어느 하나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를 구성하는 나노화이버필터, 헤파필터 또는 울파필터는 물에서도 녹지 않으면서도 0.3㎛의 이상의 미세한 입자까지 필터링함으로서 폐수 처리에 탁월한 기능을 기질 수 있다.
상기 제3 집진 필터부(140)는 제2 집진 필터부(130)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132)의 배수관(134)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최종 여과시켜 초기에 공급된 수돗물과 같은 깨끗한 상태의 물로 처리함으로서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3 집진 필터부(140)는 케이싱(132)의 배수관(134)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수관(134)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최종 여과시켜 초기에 공급된 수돗물과 같은 깨끗한 상태의 물로 정화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집진 필터부(140)는 상하부 부직포필터(142a,142b)의 사이에 소정 두께를 이루게 모래필터(14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3 집진 필터부(140)의 모래필터(144)는 30cm 정도의 두께를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래필터(142)는 30cm의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상부 부직포필터(142a)와 하부 부직포필터(142b)의 사이에 구비되어, 오염된 집진셀(12)을 세척한 물이 최종적으로 제3 집진 필터부(140)의 모래필터(140)를 통과하여 처리됨으로, 폐수를 원수로 바꾸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3 집핀 필터부(140)의 하부에는 모래필터(144)를 통과한 물이 배수되게 하는 배수공(146)이 상기 하부 부직포(142b)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제3 집진 필터부(140)를 통과한 물이 배수되게 하며, 상기 배수공(146)을 통해 배수되는 정하 처리된 물을 모을 수 있게 하는 저장통(14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3 집진 필터부(140)는 저장통(148)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저장통(148)에는 물 이동라인(미도시)을 연결되게 설치하여 정화 처리된 물을 이동시켜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본체 120 - 제1 집진 필터부
130 - 제2 집진 필터부 140 - 제3 집진 필터부

Claims (5)

  1. 바닥에 지지되는 틀체(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며, 하단에 콘 형상의 배수구(112)가 형성되어 하부로 물이 배수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집진 장치에 구비된 오염된 집진셀(12)을 고압 스팀세척기(14)로 세척할 수 있도록 오염된 집진셀(12)을 올려놓을 수 있고 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물튀김 방지판(114)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셀(12)을 세척한 물이 하단의 배수구(112)를 통해 하부로 배수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된 집진셀(12)을 세척한 물이 하부로 배수될 때 배수되는 물로부터 먼지와 기름찌꺼기를 걸러서 제거하는 제1 집진 필터부(120)로서, 상기 제1 집진 필터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본체(110) 양단에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2단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6a, 116b)과, 2단의 상기 가이드레일(116a, 116b) 각각에 탑재되어 소정 간격을 이루게 2단으로 설치된 부직포필터(122a, 12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진 필터부(120)를 통과한 물에 녹아있는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배수구(112) 하단에 연락되게 설치되되, 일측에 배수관(134)이 형성된 케이싱(132)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110)의 배수구(112)를 통해 낙하되는 물이 원통 형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되면서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하는 제2 집진 필터부(130); 및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132)의 배수관(134)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초기에 공급된 수돗물과 같은 깨끗한 물로 처리되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32)의 배수관(134)에 인접하여 연락되게 설치되어 배수되는 물을 최종 여과시키는 상하부 부직포필터(142a,142b)와 소정 두께의 모래필터(144)로 이루어진 제3 집진 필터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진 필터부(130)는:
    0.3㎛의 이상의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갖는 오염 미립자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나노화이버필터, 헤파필터 또는 울파필터 중 어느 하나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집진 필터부(140)의 모래필터(144)는 30cm의 두께를 이루게 설치되되, 상기 모래필터(144)는 30Cm의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상부 부직포필터(142a)와 하부 부직포필터(142b)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부직포필터(142b)의 하단부에는 제3 집진 필터부(140)를 통과한 물이 배수되게 하는 배수공(1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5. 삭제
KR1020160031842A 2016-03-17 2016-03-17 폐수 처리 장치 KR10168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42A KR101687609B1 (ko) 2016-03-17 2016-03-17 폐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42A KR101687609B1 (ko) 2016-03-17 2016-03-17 폐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609B1 true KR101687609B1 (ko) 2017-01-02

Family

ID=5781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842A KR101687609B1 (ko) 2016-03-17 2016-03-17 폐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6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52A (ko) 2002-07-23 2004-01-31 고명한 오폐수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96284A (ko) * 2007-04-27 2008-10-30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집진기 셀 청소장치
CN102397737A (zh) * 2010-09-09 2012-04-04 成都中铁隆工程有限公司 负压湿式除尘器
KR20120075919A (ko) * 2010-12-29 2012-07-09 김형은 버켓엘리베이터가 장착된 분뇨 처리 장치
JP2013501614A (ja) * 2009-08-14 2013-01-17 ユン,ジャンシク 遠心分離式の洗浄式空気清浄機
KR20140047334A (ko) 2012-10-12 2014-04-22 김규홍 오폐수 또는 원수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52A (ko) 2002-07-23 2004-01-31 고명한 오폐수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96284A (ko) * 2007-04-27 2008-10-30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집진기 셀 청소장치
JP2013501614A (ja) * 2009-08-14 2013-01-17 ユン,ジャンシク 遠心分離式の洗浄式空気清浄機
CN102397737A (zh) * 2010-09-09 2012-04-04 成都中铁隆工程有限公司 负压湿式除尘器
KR20120075919A (ko) * 2010-12-29 2012-07-09 김형은 버켓엘리베이터가 장착된 분뇨 처리 장치
KR20140047334A (ko) 2012-10-12 2014-04-22 김규홍 오폐수 또는 원수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83364U (zh) 一种通风***空气污染物净化装置
JP4632939B2 (ja) 水の浄化装置並びに水の浄化方法、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CN209173590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新型气体过滤器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20140046151A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030003677A (ko) 세정식 공기정화장치
CN106051869A (zh) 一种用于厨房的环保设备
WO2011035632A1 (zh) 空气清净机
KR100786782B1 (ko) 지하철역사 공기정화시스템
KR100630422B1 (ko) 주방배기탈취장치
KR101256512B1 (ko) 정화성능이 개선된 습식집진장치
CN205412567U (zh) 一种家具加工过程中的废气除尘净化设备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KR101687609B1 (ko) 폐수 처리 장치
KR200411348Y1 (ko) 간이 정수장치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19440B1 (ko)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KR20180110738A (ko)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중 복합오염물질 처리용 집진장치
CN209918535U (zh) 一种安全型实验室通风柜净化***
CN214891427U (zh) 多功能空气净化机
CN209237716U (zh) 一种除甲醛、苯系物的空气净化装置
JP5775393B2 (ja) 除染システム
JPS6269033A (ja) 気体の除塵・除菌装置
CN112902266A (zh) 多功能空气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