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521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521B1
KR101669521B1 KR1020100081593A KR20100081593A KR101669521B1 KR 101669521 B1 KR101669521 B1 KR 101669521B1 KR 1020100081593 A KR1020100081593 A KR 1020100081593A KR 20100081593 A KR20100081593 A KR 20100081593A KR 101669521 B1 KR101669521 B1 KR 101669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camera
displa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631A (ko
Inventor
심성수
박환구
조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521B1/ko
Priority to US13/029,019 priority patent/US8666454B2/en
Priority to EP11158562.6A priority patent/EP2424210B1/en
Publication of KR2012001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text or character information, e.g. text accompanying an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태깅(tagging)된 위치정보와 함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정보가 태깅된 정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촬영된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정보가 태깅된 정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촬영된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치정보가 태깅된 정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촬영된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태깅(tagging)된 위치정보와 함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획득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정보에 태깅된 위치정보와 함께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획득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영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위치정보가 태깅된 정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촬영된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물리적으로 표시패널들이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가 힌지나 슬라이드로 체결된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한 바디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바디의 내부면이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로써, 이동 단말기 바디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c와 같이 표시패널 내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7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7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75)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기지국(27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7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7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7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7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7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
지상파 DMB 송신기(295)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3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30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30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70)은 여러개의 이동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75)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75)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7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8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9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9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7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단말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카메라(121)를 활성화 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있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있는 카메라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21 또는 121'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부호 121을 카메라로 나타내기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시가 카메라(121)를 특정 위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카메라(121)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제어부(도 1의 180)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도 1의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자세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카메라(121)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감지 센서는 센싱부(도 1의 140)에 포함되며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세감지 센서를 통하여, 제어부(도 1의 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카메라(121)가 위치한 면의 지향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서 카메라(121)가 위치한 면이, 지면을 향하고 있는지 또는 지면과 나란한 전/후방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제어부(도 1의 180)가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121)가 지면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도 1의 180)는 카메라(121)를 비활성화 하여 촬영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가 지면과 나란한 전/후방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도 1의 180)는 카메라(121)를 활성화 하여 촬영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감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자세에 따라서 카메라(121)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부(도 1의 180)가 조절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가하지 않아도 최적화된 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나아가, 최적화된 순간에 카메라(121)가 작동함으로 인하여, 배터리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121)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카메라(121)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카메라(121)가 활성화되면, 카메라(121)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121)를 사용한 촬영이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카메라(121)로 촬영한 영상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방을 향하여 카메라(121)를 활성화하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획득한 영상이 디스플레이(151)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면, 카메라(121)로 촬영되는 영상이 변경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는 영상도 달리질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방향, 카메라(121)의 화각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위치 정보 모듈(도 1의 115)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GNSS는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 Galileo, GLONASS, COMPASS, IRNSS, QZSS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방향은, 이동 단말기(100)의 센서부(도 1의 140)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가 지향하는 방향이 감지될 수 있다.
카메라(121)의 화각은, 이동 단말기(100)의 생산 단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촬영 방향, 화각 등을 알면, 제어부(도 1의 180)는 현재 촬영되고 있는 영상에 어떤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 500m 지점에 개선문이 존재하며, 카메라의 화각범위를 고려할 때 개선문 좌우측의 건물이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고 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서버(S)로부터 특정 지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카메라(121)로 촬영한 영상에는 다양한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에는, 특정한 정보가 링크(link)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S)로부터 획득한 정보가 링크되어 있을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특정 사용자가 등록한 또는 등록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와 정보를 교환하며 인맥이 형성되도록 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면 제 1사용자는 친구로 등록한 제 2사용자가 업로드한 텍스트(text)나 그림 등을 손쉽게 열람할 수 있다. 소셜네티워크서비스로는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마이스페이스(myspace), 미투데이(me2DAY) 등이 잇을 수 있다. 제 2사용자가 업로드한 텍스트나 그림에는, 위치정보가 태깅(tagging)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 2사용자가 텍스트나 그림을 올린 장소, 혹은 제 2사용자가 제 1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싶은 장소 등에 대한 정보가 태깅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촬영한 화면의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정보가 링크되어있는지 여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S)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이동 단말기(1000, 2000)의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위치정보와 함께 정보를 서버(S)로 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S)에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업로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촬영하면 그 특정 위치에 링크되어 있는 정보를 서버(S)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리의 개선문을 먼저 방문한 다른 이동 단말기(1000, 2000)의 사용자가 개선문에 대한 글을 그 위치정보와 함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S)로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파리의 개선문을 카메라(121)로 촬영하면 개선문에 대해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0, 2000)의 사용자가 업로드했던 글을 다운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S)로부터 특정 지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정보를 영상의 특정 지점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21)로 촬영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영상에는, 소셜네트워크 서버(S)로부터 획득한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지점(L1)에 대한 제 1정보(T1), 제 2지점에 대한 제 2정보(T2)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2정보(T1, T2)에는 위치정보가 태깅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특정한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획득한 정보가 디스플레이(151)에 중첩되어 표시됨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카메라(121)로 촬영된 영상에 획득한 영상을 중첩하여 표시할 때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121)로 촬영되는 영상에 일체화되도록 획득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촬영 방향 등을 변경하면, 변경된 영상에 대응되도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121)의 촬영 영역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60)하여, 변경된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새로이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21)로 촬영한 영역 내의 특정 지점에는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위치(L1)에 제 1, 3, 4정보(T1, T3, T4)가 존재하고, 제 2위치(L2)에 제 2정보(T2)가 존재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디스플레이(151)에 복수의 정보가 표시되면, 표시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겹치게 될 수 있다. 겹쳐진 정보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정보(T1)에 관심이 있으나, 제 3, 4정보(T3, T4)로 인하여 제 1정보(T1)가 보이지 않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정보를 서로 다르게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텍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151) 상에서 서로 겹쳐져 보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3, 4정보(T1, T3, T4)는 제 1위치(L1) 상에 태깅되어 있는 관계로, 서로 겹쳐져 표시될 수 있다. 동일한 위치에 복수의 정보가 겹쳐져 표시되면, 정보의 식별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도 1의 180)는 표시되는 정보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표시 함으로써 정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정보의 크기는, 정보가 태깅된 시간을 기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3, 4정보(T1, T3, T4) 중에서 제 4정보(T4)가 가장 최근의 정보이며, 제 1정보(T1)이 가장 예전의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도 1의 180)는 제 4정보(T4)를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고 제 1정보(T1)를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정보를 회전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위치(L1)에 복수의 정보인 제 1, 3, 4정보(T1, T3, T4)가 태깅되어 있을 수 있다. 동일한 위치에 태깅되어 있는 관계로, 제 1정보(T1)는 제 3,4정보(T3, T4)에 의하여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제 4정보(T4)를 상방으로 드래그(drag) 또는 플리킹(flicking)하는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터치동작을 수행하면 제 1, 3, 4정보(T1, T3, T4)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 1위치(L1)에 태깅되어 있는 정보가 회전하여 후방에 있던 정보가 전방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드래그 또는 플리킹을 적절히 수행하여 자신이 보기 원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사용자에게 가까운 정보를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2위치(L1, L2) 중에서 제 2위치(L2)가 사용자에게 가까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어부(도 1의 180)는 제 1위치(L1)에 태깅된 제 1, 3, 4정보(T1, T3, T4) 보다 제 2정보(T2)를 좀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또는 먼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더 작게 표시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정보의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정보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위치(L1)에 태깅되어 있는 제 1, 3, 4정보(T1, T3, T4)를 나란하게 계단식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일한 위치의 정보가 나란하게 표시됨으로 인하여, 정보에 대한 식별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언어로 표시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위치(L1)에 태깅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제 3, 4정보(T3, T4)는 영어이며, 제 1정보(T1)는 한글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제 5버튼(P5)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한 언어로만 표현된 정보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독가능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설정화면(P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글을 보는 경우 외에도, 나의 팔로워(follower)의 글만 보거나, 선택된 특정인이 작성한 글만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설정화면(P2)을 통하여 표시될 정보의 시간 범위를 선택할 수도 있다. 특정한 시간 범위를 선택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디스플레이(151)에 선택된 시간 범위 내의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설정화면(P3)을 통하여 정보를 표시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범위 내의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특정한 사용자, 특정산 시간, 특정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적용하면, 도 9에 도시한 경우와는 달리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찾는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표시될 정보의 필터링은 보다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를 업로드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트, 영화보기 등의 상태 정보를 추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한 상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한 상대방이 이동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특정한 상대방의 이동한 경로는, 그 상대방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도 7의 S)에 업로드한 자료에 기반하여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상대방이 A 지점에서 B 지점을 거쳐 C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각 지점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여 글을 업로드하였다면, 업로드한 글에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글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면, 특정한 상대방이 이동한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경로를 추적할 특정인을 선택하기 위한 팝업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행적을 추적하고자 하는 특정인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아이디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특정인이 이동한 궤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시 50분에 제 1위치(L1), 12시 30분에 제 2위치(L2), 20시 3분에 제 3위치(L3)로 이동하며 사용자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도 7의 S)에 글을 업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다운로드한 각 글에 포함된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동선을 획득한 제어부(도 1의 180)는 글을 올린 각 위치를 연결하는 궤적(RT)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특정인의 과거의 이동 궤적 뿐만 아니라, 앞으로 예측되는 동선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인이 그 사람의 단말기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자신의 스케쥴을 기록하였다면, 기록된 스케쥴을 참조하여 앞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선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다운로드받은 글을 번역하거나, 서버(S)로 번역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번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제 4설정화면(P4)이 표시될 수 있다. 번역을 원하는 사용자가 제 4설정화면(P4)을 선택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다운로드받은 텍스트를 번역하거나, 외부의 다른 서버(S)에 텍스트의 번역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에 대한 번역이 완료되면, 번역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도 1의 18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카메라(121)로 촬영한 영상에 증강현실 기법을 적용하여 텍스트를 표시하거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고유의 방식으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카메라(121)로 촬영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카메라(121)가 지면이 아닌 방향을 촬영하고 있는 경우에 카메라(121)로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고유의 방식으로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카메라(121)가 지면을 향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카메라(121)가 아닌 다른 기능의 사용을 바라고 있을 수 있다. 센싱부(도 1의 140)에 포함된 자세감지 센서의 측정 결과에 의할 때 카메라(121)가 지면을 향하고 있으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카메라(121)를 비활성화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고유의 방식을 적용하여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사용자가 업로드한 텍스트를 제 2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는 제 2정보(T2), 제 4정보(T4) 등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 2정보(T2)를 업로드한 제 2사용자와, 제 4정보(T4)를 업로드한 제 4사용자는 서로 알지 못하는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인 나는 제 2, 4사용자를 알지만, 제 2, 4사용자는 서로간 아무런 관계가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 2, 4사용자가 업로드한 제 2,4정보(T2, T4)가 나에게는 보이지만, 제 2사용자가 업로드한 제 2정보(T2)는 제 4사용자가 볼 수 없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표시된 제 2정보(T2)를 시점으로 하고 표시된 제 4정보(T4)를 종점으로 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정보(T2)에서 제 4정보(T4)를 향하는 터치 동작이 수행되면, 제 2정보(T2)를 제 4사용자(T4)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 2정보(T2)가 제 4사용자(T4)에게 전달되었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어부(도 1의 180)는 제 4정보(T4)의 하단에 제 2정보(T2)를 붙여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19)

  1.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점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태깅(tagging)된 위치정보와 함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정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생성된 시간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태깅된 위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은,
    입력받은 터치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보다 전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특정한 언어로 표현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상기 정보를 업로드한 상대방, 상기 정보를 업로드한 시간, 상기 정보를 업로드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의 이동 궤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생성된 시각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와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의 예상 이동 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표시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상기 다른 언어로의 번역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방향이 지면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00081593A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593A KR101669521B1 (ko)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029,019 US8666454B2 (en) 2010-08-23 2011-02-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1158562.6A EP2424210B1 (en) 2010-08-23 2011-03-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593A KR101669521B1 (ko)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31A KR20120018631A (ko) 2012-03-05
KR101669521B1 true KR101669521B1 (ko) 2016-10-26

Family

ID=4402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593A KR101669521B1 (ko)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66454B2 (ko)
EP (1) EP2424210B1 (ko)
KR (1) KR101669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2221A1 (en) * 2019-07-29 2021-02-03 Hyperconnect, Inc.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606533B2 (en) 2021-04-16 2023-03-14 Hyperconnec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visually displaying countdown time on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727B1 (ko) * 2010-06-25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9753630B1 (en) 2011-03-18 2017-09-05 Amazon Technologies, Inc. Card stack navigation
KR101407670B1 (ko) * 2011-09-15 2014-06-16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단말과 서버 및 그 통신방법
US9639857B2 (en) * 2011-09-30 2017-05-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commenting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objects
KR101295002B1 (ko) * 2012-01-20 2013-08-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751430B2 (ja) * 2012-12-19 2015-07-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端末、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US9104293B1 (en) * 2012-12-19 2015-08-11 Amazon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points of interest approaches for mapping applications
KR101476800B1 (ko) * 2013-03-12 2014-12-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파노라마 영상 기반 오브젝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4426933B (zh) 2013-08-23 2018-01-23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筛选增强现实内容的方法、装置及***
KR102108066B1 (ko) * 2013-09-02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97B1 (ko) 2006-03-21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가 삽입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지도표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0054484A (ja) * 2008-08-29 2010-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6706A1 (en) * 2003-08-28 2005-03-03 Robert Sesek Image data capture method and apparatus
US20060104483A1 (en) * 2004-11-12 2006-05-18 Eastman Kodak Company Wireless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with biometric readers
US7720436B2 (en) * 2006-01-09 2010-05-18 Nokia Corporation Displaying network objects i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US8849821B2 (en) * 2005-11-04 2014-09-30 Nokia Corporation Scalable visual search system simplifying access to network and device functionality
KR101309176B1 (ko) * 2006-01-18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장치 및 방법
US20080071559A1 (en) * 2006-09-19 2008-03-20 Juha Arrasvuori Augmented reality assisted shopping
KR100882025B1 (ko) * 2006-11-17 2009-0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피에스 이미지 검색 방법, 지리적 위치 서비스 기반의지피에스 이미지 검색 방법, 블로그 서비스 기반의지피에스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지역별 블로그 서비스 제공방법
US20080147730A1 (en) * 2006-12-18 2008-06-1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specific image information
KR101341504B1 (ko) * 2007-07-12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US7844229B2 (en) * 2007-09-21 2010-11-30 Motorola Mobility, Inc Mobil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US8180396B2 (en) * 2007-10-18 2012-05-15 Yahoo! Inc. User augmented reality for camera-enabled mobile devices
US8239132B2 (en) * 2008-01-22 2012-08-07 Maran Ma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JP4600515B2 (ja) 2008-05-07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撮像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98632B1 (ko) * 2009-10-01 2016-02-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태그 편집 방법
KR100968837B1 (ko) * 2010-01-20 2010-07-09 (주)테슬라시스템 촬영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용 카메라 시스템
KR101572892B1 (ko) * 2010-05-06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06727B1 (ko) * 2010-06-25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697B1 (ko) 2006-03-21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가 삽입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지도표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0054484A (ja) * 2008-08-29 2010-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2221A1 (en) * 2019-07-29 2021-02-03 Hyperconnect, Inc.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252373B2 (en) 2019-07-29 2022-02-15 Hyperconnect, Inc.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606533B2 (en) 2021-04-16 2023-03-14 Hyperconnec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visually displaying countdown time 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12010457B2 (en) 2021-04-16 2024-06-11 Hyperconnect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31A (ko) 2012-03-05
US20120044163A1 (en) 2012-02-23
EP2424210B1 (en) 2020-01-15
EP2424210A1 (en) 2012-02-29
US8666454B2 (en)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2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22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86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85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7159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61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77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9520B1 (ko)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65720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5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2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90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883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9841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8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95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699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2624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72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051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6190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방법
KR10198746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8418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5446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735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