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037B1 -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037B1
KR101668037B1 KR1020150052351A KR20150052351A KR101668037B1 KR 101668037 B1 KR101668037 B1 KR 101668037B1 KR 1020150052351 A KR1020150052351 A KR 1020150052351A KR 20150052351 A KR20150052351 A KR 20150052351A KR 101668037 B1 KR101668037 B1 KR 10166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module
contact
extens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기술
Priority to KR102015005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9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signal generators, power supplies or circuit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9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signal generators, power supplies or circuit analysers
    • G01R31/2841Signal 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4Testing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된 연장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에 접촉하여 점등검사를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모듈에서 상기 연장부가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와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베이스 및 상기 승하강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며 연장부의 끝단에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전송하는 컨텍부를 포함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지그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하부베이스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 상기 승하강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검출센서부에서 검출된 위치정보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기 컨택부의 연직 하부에서 정렬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Contacting Device of Display Module for Testing}
본 발명은 제조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검사 하는데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모듈에 구비된 연장부와 점등신호를 전송하는 컨텍부를 정렬하여 불량신호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이다.
디스플레이모듈이란 화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써, 가전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 예로 엘씨디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엘씨디란 TV나 컴퓨터등의 모니터에 사용되고 있는 음극선관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표시장치로, 경량화가 용이하고 고화질, 저전력소비 등의 장점을 가지므로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소형 디스플레이모듈 시장이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제조공정에서 색도, 색 얼룩, 콘트라스트 등의 동작상태를 검사하는 점등검사를 거치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가 점차 고도의 기술과 품질이 요구되는 칼라 디스플레이모듈을 탑재하게 됨에 따라, 정밀한 검사가 필연적으로 수반됨은 물론, 대량생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검사의 효율성 향상이 수반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모듈의 테스트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종래에 개발된 디스플레이모듈 연결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이송스테이지에 의해 제조 완료된 디스플레이모듈이 이송되어 검사위치에 안착된다. 그리고 컨텍모듈과 연결되어 점등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때, 디스플레이모듈의 PCB와 컨텍모듈의 PCB가 정렬되었는지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을 이동시킴으로써 PCB를 정렬시킨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PCB에는 카메라가 인식하기 위한 표적이 마킹되어 있고, 카메라에서 상기 표적의 위치의 매칭 여부를 분석하여 이송스테이지를 이동시켜 정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모듈에 구비된 PCB를 촬상하고, 2차 이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촬상 데이타 분석에 의해 위치값 이동을 하고, 2차 촬상위치 이동 및 오차 범위 확인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오차 범위 이내로 만족될 때까지 반복수행하고, 오차 범위 이내에 오면 컨텍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모듈을 점등시키는 과정으로 검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경우 이송스테이지를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의 점등 검사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정밀하게 PCB를 정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모듈에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제공하는 컨텍부와 디스플레이모듈에 구비된 연장부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모듈에 점등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돌출된 연장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에 접촉하여 점등검사를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모듈에서 상기 연장부가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와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베이스 및 상기 승하강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며 연장부의 끝단에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전송하는 컨텍부를 포함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지그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하부베이스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 상기 승하강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검출센서부에서 검출된 위치정보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기 컨택부의 연직 하부에서 정렬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출센서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부와 상기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이격되어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부와 상기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거리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하부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연장부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검사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제1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연장부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검사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사유닛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연장부 끝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컨텍부에는 상기 제1마커에 대응하는 제2마커가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마커와 상기 제2마커의 상부에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지그는 상기 연장부의 끝단이 안착되는 별도의 안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부는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연결방법은, 돌출된 연장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을 안착지그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상기 안착지그와 이격되어 배치된 검사유닛상에 설치된 검출센서부 에서 상기 연장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상기 검출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연장부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검사유닛이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검사유닛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연장부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연장부가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렬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검사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며 피드백하는 정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모듈의 점등검사 시 길게 연장된 연장부와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전달하는 컨택부가 연장부의 연직 상부에서 올바르게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이에 따라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컨텍부에서 전달되는 점등신호가 연장부의 틀어짐 등으로 인한 노이즈를 줄이고, 접촉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별도의 감지센서부를 통해 컨텍부와 연장부의 횡 방향에 따른 따른 상대위치정보를 검출하여 검사유닛의 거시적 위치를 조절하고, 추후 별도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컨텍부와 연장부의 횡 방향에 따른 상대위치정보를 통해 검사유닛의 미시적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에 컨텍부를 접근시켜 정렬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은 도 1의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에서 연장부의 상부에 컨텍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4의 연장부와 컨택부가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4읜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에서 승하강베이스가 하강하여 연장부와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는 제조된 디스플레이모듈(D)의 점등검사를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디스플레이모듈(D)에 연결된 연장부(10)의 소켓과 연결장치의 컨텍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점등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모듈(D)이 점등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도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는 크게 디스플레이모듈(D)이 안착되는 안착지그(100), 상기 안착지그(100)와 이격되며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모듈(D)과 접촉하는 검사유닛(200), 상기 검사유닛(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유닛(300) 및 검사유닛(200)과 디스플레이모듈(D)의 상대위치를 감지하고 이송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지그(100)는 일반적인 스테이지 형태로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이 안착되며 바닥에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지그(100)는 평탄한 상면을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지그(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의 일측에서 별도의 안착가이드(110)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연장부(10)의 끝단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가이드(110)에 안착된 상기 연장부(10)는 후술하는 컨텍부(23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전달받는다.
상기 안착가이드(110) 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연장부(10)의 끝단부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연장부(10)가 검사위치에 배치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안착지그(100)에는 상기 안착가이드(11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검사유닛(200)은 상기 안착지그(100)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위치가 조절되어 일부가 상기 연장부(10)에 접촉함으로써 점등신호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모듈(D)의 점등검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다른 검사유닛(200)은 크게 고정베이스(210), 승하강베이스(220) 및 컨텍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베이스(210)는 상기 안착지그(100)와 이격되어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이송유닛(300)과 연결되어 횡 방향에 따른 위치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베이스(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승하강베이스(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지그(100)에서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300)에 의해 횡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베이스(22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베이스(22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안착지그(1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300)에 의해 상기 고정베이스(210)가 상기 안착지그(1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승하강베이스(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지그(1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텍부(230)는 상기 승하강베이스(220)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베이스(220)의 승하강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연장부(10)의 끝단과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부(23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에 구비되는 구성이며, 별도로 구비된 송출모듈(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상기 연장부(10)와 접촉하여 전달한다.
이와 같이 승하강베이스(22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컨텍부(230)가 상기 안착가이드(110)에 안착된 상기 연장부(10)와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컨텍부(230)는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텍부(230)는 상기 연장부(10)의 끝단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모듈(D)에 대해 점등검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유닛(200)은 상기 안착지그(100)와 별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컨텍부(230)와 상기 연장부(10)가 접촉하여 점등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검사유닛(20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210)는 일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12)가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베이스(2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베이스(220)는 상기 돌출부(212)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2)에는 별도의 구동수단(214)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수단(214)이 동작함으로써 상기 승하강베이스(220)가 승하강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300)은, 상기 검사유닛(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검사유닛(200)이 일정높이 이상에서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안착지그(10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300)은 후술하는 상기 제어유닛(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검사유닛(200)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컨텍부(230)가 상기 연장부(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고정베이스(210)가 상기 안착지그(100)의 상면과 상항방향에 따른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검사유닛(200)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유닛(300)은 XY스테이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검사유닛(200)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310) 및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320)를 포함한다.
제1이송부(31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부(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검사유닛(200)의 위치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이송부(310)는 상면에 적층형태로 상기 고정베이스(210)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베이스(210)가 상기 안착지그(100)로부터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이송부(31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하부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안착지그(100)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베이스(2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부(310)는 제1구동모터(312)가 구비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312)가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고정베이스(210)가 상기 안착지그(100)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2이송부(320)는 상기 제1이송부(3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이송부(310)와 함께 상기 고정베이스(210)를 상기 제2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방향은 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향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이송부(320)는 상기 제1이송부(310)와 함께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이송부(320)는 바닥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제1이송부(310)가 적층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이송부(310)를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상기 제2이송부(320)의 상면에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부에 상기 제1이송부(310)가 적층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부(320)는 제2구동모터(322)가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322)가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안착지그(100)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베이스(21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2이송부(32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와 함께 상기 제1이송부(310) 자체의 위치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함께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이송부(32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을 중심으로 상기 검사유닛(200)의 좌우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이송부(3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을 중심으로 상기 검사유닛(200)의 전후방향에 다른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검사유닛(200)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컨텍부(230)의 횡 방향에 따른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210)는 상기 안착지그(100)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는 조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고정베이스(210)상에 구비되어 상기 검사유닛(200)과 상기 연장부(10)의 상대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연장부(10)의 끝단이 상기 컨텍부(230)의 연직 하부에서 정렬되도록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400)은 크게 검출센서부(410), 촬영부(4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센서부(41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10)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제1센서(412) 및 제2센서(414)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센서부(410)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상에서 상기 안착지그(100) 방향으로 돌출 상기 제1센서(412) 및 상기 제2센서(414)가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센서(412)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상에서 상기 안착지그(10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10)와 상기 컨텍부(230)의 횡 방향에 따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414)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상에서 상기 제1센서(41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10)와 상기 컨텍부(230)의 횡 방향에 따른 제2방향으로의 거리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컨텍부(230)는 상기 제1센서(412)와 상기 제2센서(414)가 좌우로 이격된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연장부(10)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센서(412) 및 상기 제2센서(414)는 상기 고정베이스(210)상에서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지그(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이 상기 연장부(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과의 상대적 이격거리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연장부(10)와 상기 컨텍부(230)의 횡 방향에 따른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센서(412) 및 상기 제2센서(414)는 일반적인 거리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412) 및 상기 제2센서(414)에서 각각 감지된 이격거리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이송유닛(300)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컨텍부(230)의 하부에 상기 연장부(10)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상기 검사유닛(200)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촬영부(420)는 상기 검출센서부(410)와 별도로 상기 승하강베이스(220)상에 구비되며,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10)와 상기 컨텍부(230)의 배치를 연직상부에서 이미지로 촬영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촬영부(420)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컨텍부(230)와 상기 연장부(10)의 끝단이 연직방향에 대해 정렬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420)에서 측정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연장부(10)의 끝단에 구비된 소켓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렬되어 상기 컨텍부(23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마커(M1)가 구비되고 상기 컨텍부(230)에는 상기 제2마커(M2)에 대응하는 제2마커(M2)가 구비되어 상기 촬영부(420) 상기 제1마커(M1)와 상기 제2마커(M2)의 상부에서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42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연장부(10)가 기 설정된 위치에 정렬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이송유닛(300)의 구동 여부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먼저 상기 검출센서부(410)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송유닛(300)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컨텍부(230)가 상기 연장부(10)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상기 검사유닛(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42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연장부(10)의 끝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렬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이송유닛(300)의 구동 여부를 조절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커(M1)와 상기 제2마커(M2)의 상대적 위치를 통해 상기 연장부(10)와 상기 컨텍부(230)가 기 설정된 위치에 정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위치란 상기 컨텍부(230)와 상기 연장부(10)의 횡 방향에 대한 상대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컨텍부(230)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연장부(10)의 끝단에 구비된 소켓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4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컨텍부(230)와 상기 연장부(10)가 안정적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검출센서부(41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과 상기 컨텍부(230)의 횡 방향에 따른 상대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검사유닛(200)의 거시적 위치를 조절하고, 추후 상기 촬영부(42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컨텍부(230)와 상기 연장부(10)의 상대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검사유닛(200)의 미시적 위치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지그(100)에 안착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에 상기 검사유닛(200)을 인접하게 접근시켜 정렬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가 구동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안착지그(100)와 상기 검사유닛(200)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안착지그(100)의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지그(100)와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센서부(410)가 상기 연장부(10)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거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이송유닛(300)을 구동시켜 상기 검사유닛(200)이 상기 안착지그(100)에 인접하도록 이송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기 검출센서부(4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부(41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과 성기 검사유닛(200)의 상대적 위치정보 피드백하며 상기 컨텍부(230)가 상기 연장부(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피드백하는 이송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상기 검출단계 및 상기 이송단계는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검사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연장부(10)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연장부(10)가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렬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검사유닛(200)의 위치를 다시 정렬하는 정렬단계를 거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검출센서부(410) 및 상기 촬영부(42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컨텍부(230)와 상기 연장부(10) 사이의 위치정보를 통해서 상기 컨텍부(230)의 하부에 상기 연장부(10)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상기 연장부(10)(10)가 상기 컨텍부(230))에 대응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는 디스플레이모듈(D)의 점등검사 시 길게 연장된 연장부(10)와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전달하는 컨텍부(230)가 올바르게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컨텍부(230)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컨텍부(230) 에서 전달되는 점등신호가 연장부(10)의 틀어짐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이고, 접촉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안착지그
110: 안착가이드
200: 검사유닛
210: 고정베이스
220: 승하강베이스
230: 컨텍부
300: 이송유닛
310: 제1이송부
320: 제2이송부
400: 제어유닛
410: 검출센서부
420: 촬영부
D: 디스플레이모듈
10: 연장부

Claims (8)

  1. 돌출된 연장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에 접촉하여 점등검사를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모듈에서 상기 연장부가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와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베이스 및 상기 승하강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며 연장부의 끝단에 접촉하여 점등신호를 전송하는 컨텍부를 포함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지그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하부베이스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 상기 승하강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검출센서부에서 검출된 위치정보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기 컨텍부의 연직 하부에서 정렬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센서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부와 상기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이격되어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부와 상기 컨텍부의 횡 방향에 따른 거리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컨텍부의 거시적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컨텍부의 연직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텍부의 미시적 위치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하부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연장부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검사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제1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연장부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검사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컨텍부에는 상기 제1마커에 대응하는 제2마커가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마커와 상기 제2마커의 상부에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지그는,
    상기 연장부의 끝단이 안착되는 별도의 안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부는,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8. 삭제
KR1020150052351A 2015-04-14 2015-04-14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KR10166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51A KR101668037B1 (ko) 2015-04-14 2015-04-14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51A KR101668037B1 (ko) 2015-04-14 2015-04-14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037B1 true KR101668037B1 (ko) 2016-10-20

Family

ID=5725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351A KR101668037B1 (ko) 2015-04-14 2015-04-14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164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포인투테크놀로지 고정 지그모듈을 포함하는 광전변환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451A (ko) * 2009-03-09 201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20093530A (ko) * 2011-02-15 2012-08-23 하이텍교역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자동화 연결장치
KR20140126799A (ko) * 2013-04-22 2014-11-03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오토 프로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타입의 패널 검사 방법
KR101499462B1 (ko) * 2013-12-02 2015-03-06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백라이트 유닛의 소형 비전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451A (ko) * 2009-03-09 201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20093530A (ko) * 2011-02-15 2012-08-23 하이텍교역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자동화 연결장치
KR20140126799A (ko) * 2013-04-22 2014-11-03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오토 프로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타입의 패널 검사 방법
KR101499462B1 (ko) * 2013-12-02 2015-03-06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백라이트 유닛의 소형 비전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164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포인투테크놀로지 고정 지그모듈을 포함하는 광전변환 검사장치
KR102625546B1 (ko) 2021-11-09 2024-01-16 주식회사 포인투테크놀로지 고정 지그모듈을 포함하는 광전변환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391B1 (ko) 위치검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연속 검사 및 초점 조정 장치
KR100958204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비 및 방법
KR101958206B1 (ko) 멀티 프로브 검사기용 정렬장치
KR102072061B1 (ko) 기판벤딩장치, 기판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벤딩검사방법
KR101582859B1 (ko) 밸브 스프링 특성 측정장치 및 특성 측정방법
KR101455846B1 (ko) 카메라 렌즈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04483106A (zh) 一种倒装led芯片在线检测装置
KR101732629B1 (ko) 멀티 프로브 검사기용 정렬장치
KR101090333B1 (ko) 척의 능동적 기울기 제어가 가능한 웨이퍼 프로브 스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101747852B1 (ko) 인쇄회로기판 코팅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20110072584A (ko) 프로브 핀의 위치 자동 보정 기능을 갖는 프로브 구동 장치
US932284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leaning needles of a probe card
KR20110022202A (ko) 멀티 프로브 유니트
TW201514520A (zh) 電性檢查裝置
KR100805873B1 (ko) Lcd 패널의 자동 압흔검사장치
KR101668037B1 (ko) 디스플레이모듈 검사용 연결장치
JPWO2008087694A1 (ja) 部品装着検出装置及び方法
KR101470424B1 (ko) 렌즈 검사 장치
KR101924853B1 (ko) 디스플레이패널의 열화상 검사장치
KR101674016B1 (ko) 카메라 모듈의 vcm 검사용 소켓
CN113984348B (zh) 一种自动插接机构及插接方法
KR101218572B1 (ko) 평판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자동화 연결장치
KR100756438B1 (ko) 엘씨디 셀 검사용 프로빙장치
KR101977305B1 (ko) 셀 얼라인을 통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화상 검사장치
TWI467197B (zh) An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unit for an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working device for its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