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038B1 -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038B1
KR101665038B1 KR1020160003285A KR20160003285A KR101665038B1 KR 101665038 B1 KR101665038 B1 KR 101665038B1 KR 1020160003285 A KR1020160003285 A KR 1020160003285A KR 20160003285 A KR20160003285 A KR 20160003285A KR 101665038 B1 KR101665038 B1 KR 10166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uperconducting wire
superconducting
impregnated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진
박승영
장재영
이상갑
김동락
이지호
김그라시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38B1/ko
Priority to PCT/KR2016/015203 priority patent/WO20171229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01B5/04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wound or co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그의 코일은, 보빈과, 보빈 상에 복수의 인접한 권선 턴들로 감겨진 초전도 선재와, 초전도 선재의 복수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에 배치된 도전성 함침 층을 포함한다. 도전성 함침 층은 초전도 선재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갖고, 초전도 선재의 국부적인 결함에 의해 핫 스팟이 발생될 때, 초전도 선재의 복수개의 인접한 권선 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impregnated no-insulation superconducting coil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제작 시 도전성 물질을 함침함으로써 기계적 응력으로부터 무절연 초전도 코일을 보호함과 동시에 무절연 초전도 코일이 갖는 ??치에 대한 자가 보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체는 ??치 발생 시 열의 국부적인 축적으로 인해 초전도체의 영구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전도체를 이용한 코일 제작 시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보호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초전도 코일의 ??치 보호기술의 한 방편으로 턴 간 절연물질을 삽입하지 않는 무절연 권선기술이 개발되었다. 해당 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턴 간 절연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치 시 발생되는 과도한 열 및 전류를 인접 턴 간 기계적/전기적인 접촉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우회시킴으로써 별도의 보호 장치 없이 초전도 코일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초전도 코일은 권선 턴 수와 전류에 비례하여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코일이 움직이게 되고 마찰열에 의한 전압이 발생하여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초전도 선재를 사용하여 코일을 제작할 시에는 코일을 구조적으로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에폭시와 같은 함침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에폭시 함침재는 절연성 재료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무절연 초전도 코일을 함침할 경우 초전도 코일 내에 에폭시가 턴 간 절연 물질로 작용함으로써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무절연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 무절연 초전도 코일은 턴 간 접촉 저항 제어가 어려워 초전도 코일의 필드 충방전 지연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제작 시 권선 간함침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함챔재를 통해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기계적인 안전성을 향상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은, 보빈; 상기 보빈 상에 복수의 인접한 권선 턴들로 감겨진 초전도 선재; 및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에 배치된 도전성 함침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고분자 층; 상기 고분자 층 내에 혼합된 도전성 입자들; 및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도전성 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볼들 각각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은 초전도 선재의 국부적인 결함에 의해 핫 스팟이 발생될 때,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개의 인접한 권선 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무절연 초전도 코일은, 보빈; 상기 보빈 상에 복수의 권선 턴들로 감겨진 초전도 선재; 및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의 권선 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 층과,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초전도 선재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 입자들과,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직경보다 큰 직경를 갖는 도전성 볼들을 구비하는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볼들 각각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제조 장치는, 초전도 선재를 푸는 권출 부; 상기 초전도 선재를 보빈에 감는 권취 부; 및 상기 권취부와 상기 권출 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초전도 선재 상에 도전성 함침 층을 형성하는 함침 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 부는: 상기 도전성 입자들과, 상기 도전성 입자들에 혼합되는 고분자 층을 상기 초전도 선재 상에 형성하는 도전성 물질 주입부; 및 상기 도전성 물질 주입 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도전성 볼들을 상기 초전도 선재 상의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도포하는 도전성 볼 도포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은 보빈에 감기는 초전도 선재의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에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도전성 물질은 ??치에 의한 핫 스팟 발생 시 초전도 코일의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로 전류를 우회시켜 초전도 코일을 보호할 수 있으며, 권선 턴들 간 함침으로 인해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절연 초전도 코일에 제공되는 소스 전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의 소스 전류에 따른 일반적인 에폭시 함침 층에서의 비정상 피크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의 소스 전류에 따른 도 1의 초전도 선재의 정상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A 부분에서의 도전성 함침 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6의 도전성 볼들과 초전도 선재의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은 도 4의 초전도 선재의 반경과 도전성 볼들의 반경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1의 A 부분에서의 도전성 함침 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초전도 선재와 도전성 블록들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 및 도 11의 도전성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초전도 선재와 도전성 블록들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도전성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2의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제조 장치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6의 도 6의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제조 장치의 일 예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을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구조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10)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무절연 초전도 코일(10)은 보빈(20), 초전도 선재(30), 및 도전성 함침 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20)은 무절연 초전도 코일(1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 및 도전성 함침 층(40)은 보빈(20)의 외곽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20)은 원통형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0)의 내부는 개방(opened)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빈(20)은 원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20)의 내부는 유전체 또는 금속으로 충진(filled)될 수도 있다.
초전도 선재(30)는 복수개의 권선 턴들로 보빈(20)의 외주 면을 따라 감겨있다. 예를 들어, 초전도 선재(30)는 보빈(20)의 외주 면을 따라 제 1 권선 턴(W1), 제 2 권선 턴(W2), 제 3 권선 턴(W3), … 제 N-1권선 턴(WN -1), 및 제 N 권선 턴(WN)으로 감길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는 1 MA/cm2 이상의 임계 전류밀도로 전류(I)를 저항 손실 없이 통전할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는 약 30K 미만의 온도에서 초전도성을 갖는 저온 초전도체와 30K 이상의 온도 이상에서 초전도성을 갖는 고온 초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온 초전도체는 금속 초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온 초전도체는 YBCO, GdBCO의 산화물 초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은 초전도 선재(30)의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adjoining-winding turn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함침 층(40)은 제 1 및 제 2 권선 턴들(W1, W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은 제 2 및 제 3 권선 턴들(W2, W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은 제 N-1 권선 턴(WN-1)과 제 N 권선 턴(WN)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함침 층(40)은 도전성 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전성 함침 층(40)은 고분자 층(42)과 도전성 입자들(44)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층(42)은 에폭시, 또는 수지(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입자들(44)은 약 10Å 내지 약 10㎛의 직경을 갖는 금속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입자들(44)은 금(Au0 은(Ag), 백금(Pb), 니켈(Ni), 구리(Cu), 텅스텐(W), 칼슘(Ca), 알루미늄(Al), 및 크롬(Cr)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환원성이 높은 니켈(Ni) 및 구리(Cu)의 도전성 입자들은 금(Au), 은(Ag), 백금(Pt)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 성분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도전성 입자들(44)은, 탄소나노튜브, 퓰러렌,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의 탄소 소재(carbon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전성 함침 층(40)은 저온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함침 층(40)은 갈륨, 인듐, 또는 수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초전도 선재(30)는 약 90K 이하의 온도에서 저항 없이 전류(I)를 흘릴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은 절연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의 저항 증가가 발생되면, 도전성 함침 층(40)은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에 전류(I)를 흘릴 수 있다.
만약, 초전도 선재(30)의 국부적인 결함으로 핫 스팟(12)이 발생되면, 핫 스팟(12)에서의 초전도 선재(30)는 줄열에 의해 자발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의 저항은 증가할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은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에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핫 스팟(12)이 제 2 권선 턴(W2)의 초전도 선재(30)에 발생되면, 전류(I)는 도전성 함침 층(40)을 통해 제 1 권선 턴(W1)과 제 2 권선 턴(W2) 사이 및/또는 제 2 권선 턴(W2)과 제 3 권선 턴(W3) 사이로 인가될 수 있다. 전류(I)는 도전성 함침 층(40)을 통해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로 우회(bypass)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함침 층(40)은 핫 스팟(12)에서의 열을 복수개의 인접하는 턴들 사이에 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함침 층(40)은 ?봬》觀壙? 초전도 코일(10)의 영구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무절연 초전도 코일(10)에 제공되는 소스 전류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소스 전류에 따른 일반적인 에폭시 함침 층에서의 비정상 피크 전압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3의 소스 전류에 따른 도 1의 초전도 선재(30)의 정상 전압을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에폭시 함침 층(미도시)의 초전도 코일은 소스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피크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전도 선재에 약 280A(암페어) 또는 약 300A의 전류가 인가되면, 에폭시 함침 층의 초전도 코일은 약 30mV에서 100mV 또는 175mV의 비정상적인 피크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피크 전압의 출력은 핫 스팟(12)에 의한 초전도 코일의 영구적인 손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전성 함침 층(40)의 초전도 코일(10)은 소스 전류와 전압을 비례하여 흘릴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전류가 증가하면, 전압 또한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피크 전압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가 20A 내지 280A로 증가하면, 전압은 0V 내지 150mV 사이에 균등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핫 스팟(12)이 발생할 경우, 도전성 함침 층(40)은 권선 턴들 간의 전류를 우회시키기 때문이다.
도 6은 도 1의 A 부분에서의 도전성 함침 층(4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전성 함침 층(40)은 고분자 층(42), 도전성 입자들(44), 도전성 볼들(46)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20), 초전도 선재(30), 고분자 층(42), 및 도전성 입자들(44)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전성 볼들(46)은 도전성 입자들(44)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초전도 선재(30)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고분자 층(4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도전성 입자들(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도전성 입자들(4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100㎛ 내지 1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볼들(46)의 직경은 초전도 선재(30)의 복수개의 권선 턴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전성 볼들(46)의 직경은 복수개의 권선 턴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초전도 선재(30)의 제 1 권선 턴(W1)과 제 2 권선 턴(W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제 2 권선 턴(W2)과 제 3 권선 턴(W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권선 턴(W2)의 초전도 선재(30)에 핫 스팟(12)이 발생되면, 전류(I)는 도전성 볼들(46)을 통해 제 1 권선 턴(W1)과 제 2 권선 턴(W2) 사이 및/또는 제 2 권선 턴(W2)과 제 3 권선 턴(W3) 사이로 인가될 수 있다. 도전성 입자(44)는 초전도 코일(10)을 ??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도전성 볼들(46)과 초전도 선재(30)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7를 참조하면, 초전도 선재(30)는 보빈(20)의 종 방향을 따라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전도 선재(30)는 저온 초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의 고분자 층(42), 도전성 입자들(44), 및 도전성 볼들(46)은 제 1 권선 턴들(W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권선 턴들(W1)의 초전도 선재(30)는 보빈(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제 1 권선 턴들(W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고분자 층, 도전성 입자들(44), 및 도전성 볼들(46)은 제 1 권선 턴들(W1)과 제 2 권선 턴들(W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제 1 권선 턴들(W1)과 제 2 권선 턴들(W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고분자 층(42), 도전성 입자들(44), 및 도전성 볼들(46)은 제 2 권선 턴들(W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은 제 2 권선 턴들(W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초전도 선재(30)의 반경(a)과 도전성 볼들(46)의 반경(b)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전성 볼들(46)은 초전도 선재(30)의 직경(2a)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중심점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볼들(46)의 반경(b)은 초전도 선재(30)의 반경(a)의
Figure 112016002882922-pat00001
Figure 112016002882922-pat00002
배일 경우, 제 1 권선 턴들(W1)과 제 2 권선 턴(W2)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전성 볼들(46)의 반경(b)은 초전도 선재(30)의 반경(a)의
Figure 112016002882922-pat00003
Figure 112016002882922-pat00004
배보다 클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의 제 1 권선 턴들(W1)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 1 권선 턴들(W1)과 제 2 권선 턴(W2)은 분리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A 부분에서의 도전성 함침 층(4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전성 함침 층(40)은 고분자 층(42), 도전성 입자들(44), 및 도전성 블록들(48)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20), 초전도 선재(30), 고분자 층(42), 및 도전성 입자들(44)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전성 블록들(48)은 도전성 입자들(44)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갖고, 초전도 선재(30)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은 고분자 층(4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은 도전성 입자들(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은 도전성 입자들(44)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의 높이는 초전도 선재(30)의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간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블록들(48)의 높이는 제 1 및 제 2 권선 턴들(W1, W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은 약 100μm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은 제 1 권선 턴(W1)과 제 2 권선 턴(W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은 제 2 권선 턴(W2)과 제 3 권선 턴(W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권선 턴(W2)의 초전도 선재(30)에 핫 스팟(12)이 발생되면, 전류(I)는 도전성 블록들(48)을 통해 제 1 권선 턴(W1)과 제 2 권선 턴(W2) 사이 및/또는 제 2 권선 턴(W2)과 제 3 권선 턴(W3) 사이로 인가될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은 초전도 코일(10)의 ??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초전도 선재(30)와 도전성 블록들(48)을 보여준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도전성 블록(48)을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초전도 선재(30)는 보빈(20)의 종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전도 선재(30)는 고온 초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는 극저온보다 높은 약 90K 이하의 저온에서 초전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전성 블록들(48)은 입방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전성 블록들(48)은 직육면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보빈(20), 고분자 층(42), 및 도전성 입자들(44)은 도 7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3은 도 10의 초전도 선재(30)와 도전성 블록들(48)을 보여준다. 도 14은 도 12의 도전성 블록(48)을 보여준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전성 블록들(48a)은 실린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블록들(48a)은 초전도 선재(3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빈(20), 고분자 층(42), 및 도전성 입자들(44)은 도 7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5는 도 2의 무절연 초전도 코일(10)의 제조 장치(10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제조 장치(100)는 권출 부(110), 권취 부(120), 장력 측정 부(130), 선재 가이드 부140), 함침 부(150), 및 가열 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 부(110)는 초전도 선재(30)를 풀어줄 수 있다. 권취 부(120)는 초전도 선재(30)를 감을(coiling)수 있다. 권출 부(110) 및 권취 부(120) 각각은 회전체(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측정 부(130)는 권출 부(110)와 권취 부(120) 사이의 초전도 선재(30)의 인장력(tension)을 측정할 수 있다. 선재 가이드 부(140)는 장력 측정 부(130)와 권취 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재 가이드 부(140)는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함침 부(150)는 선재 가이드 부(140)와 권취 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함침 부(150)는 초전도 선재(30) 상에 도전성 함침 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가열 부(160)는 도전성 함침 층(40)의 소스(32)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160)는 도전성 함침 층(40)의 고분자들을 가열할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의 고분자는 약 100℃이하로 가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열 부(160)는 도전성 함침 층(40)은 도전성 함침 층(40)의 저온 금속을 가열 할 수 있다. 도전성 함침 층(40)의 저온 금속은 약 100℃이하로 가열될 수 있다. 초전도 선재(30)는 약 100℃이하에서 열적으로 안정할 수 있다.
도 16 도 6의 무절연 초전도 코일(10)의 제조 장치(10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 도 6,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면,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제조 장치(100)는 도전성 물질 주입 부(152)와 도전성 볼 도포 부(154)를 구비한 함침 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 부(110), 권취 부(120), 장력 측정 부(130), 선재 가이드 부들(140), 및 가열 부(160)는 도 1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전성 물질 주입 부(152)는 선재 가이드 부들(140)과 권취 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물질 주입 부(152)는 초전도 선재(30) 상에 고분자 층(42)과 도전성 입자들(44)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볼 도포 부(154)는 권취 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볼 도포 부(154)는 초전도 선재(30) 상의 고분자 층(42) 내에 도전성 볼들(146)을 도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전성 볼 도포 부(154)는 도전성 물질 주입 부(152)와 권취 부 (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보빈;
    상기 보빈 상에 복수의 인접한 권선 턴들로 감겨진 초전도 선재; 및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에 배치된 도전성 함침 층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고분자 층;
    상기 고분자 층 내에 혼합된 도전성 입자들; 및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도전성 볼들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볼들 각각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갖고, 상기 초전도 선재의 국부적인 결함에 의해 핫 스팟이 발생될 때,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개의 인접한 권선 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도전성 에폭시를 포함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들은, 금, 은, 백금, 은, 니켈, 구리, 텅스텐, 칼슘, 알루미늄, 및 크롬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는 탄소 나노 튜브, 퓰러렌,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원형의 단면을 가질 때, 상기 도전성 볼들은 상기 원형 단면의 반경보다
    Figure 112016060441635-pat00005
    Figure 112016060441635-pat00006
    배 이상으로 큰 반경을 갖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도전성 블록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블록들 각각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때, 상기 도전성 블록들은 입입방체 모양을 갖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때, 상기 도전성 블록들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갈륨, 인듐, 또는 수은을 포함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2. 보빈;
    상기 보빈 상에 복수의 권선 턴들로 감겨진 초전도 선재; 및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의 권선 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 층과,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초전도 선재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 입자들과,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직경보다 큰 직경를 갖는 도전성 볼들을 구비하는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볼들 각각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개의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원형의 단면을 가질 때, 상기 도전성 볼들은 상기 원형 단면의 반경보다
    Figure 112016060441635-pat00007
    Figure 112016060441635-pat00008
    배 이상으로 큰 반경을 갖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층은 상기 도전성 입자들 사이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입자들보다 큰 크기를 갖는 도전성 블록들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블록들 각각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상기 복수개의 인접하는권선 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때, 상기 도전성 블록들은 상기 인접하는 권선 턴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입방체 모양을 갖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때, 상기 도전성 블록들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실린더 모양을 갖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
  18. 초전도 선재를 푸는 권출 부;
    상기 초전도 선재를 보빈에 감는 권취 부; 및
    상기 권취부와 상기 권출 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초전도 선재 상에 도전성 함침 층을 형성하는 함침 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저항보다 높은 저항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 입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함침 부는:
    상기 도전성 입자들과, 상기 도전성 입자들에 혼합되는 고분자 층을 상기 초전도 선재 상에 형성하는 도전성 물질 주입부; 및
    상기 도전성 물질 주입 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도전성 볼들을 상기 초전도 선재 상의 상기 고분자 층 내에 도포하는 도전성 볼 도포 부를 포함하는 초전도 코일의 제조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 주입 부에 제공되는 상기 도전성 함침 층의 소스를 가열하는 가열 부를 포함하는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제조 장치.
  20. 삭제
KR1020160003285A 2016-01-11 2016-01-11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KR10166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85A KR101665038B1 (ko) 2016-01-11 2016-01-11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PCT/KR2016/015203 WO2017122947A1 (ko) 2016-01-11 2016-12-23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85A KR101665038B1 (ko) 2016-01-11 2016-01-11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038B1 true KR101665038B1 (ko) 2016-10-13

Family

ID=5717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85A KR101665038B1 (ko) 2016-01-11 2016-01-11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5038B1 (ko)
WO (1) WO201712294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42A (ko) * 2016-10-18 2018-04-26 한국전기연구원 전도냉각형 고온초전도 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2086A (ko) * 2017-12-29 2019-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된 초전도 마그넷 및 이의 제조방법
US11631514B2 (en) 2017-12-29 2023-04-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uperconducting magnet with improved thermal and electrical stabili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34024B1 (ko) 2022-11-17 2023-05-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44994A1 (en) * 2018-05-10 2019-11-14 Raytheon Company Nanomaterial encased transmissive wire
WO2020130522A1 (ko) * 2018-12-18 2020-06-25 한국전기연구원 마이크로 수직 채널을 구비하는 고온 초전도 자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04B2 (ja) * 1986-01-29 1994-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電導撚線
JPH11260625A (ja) * 1998-03-16 1999-09-24 Toshiba Corp 超電導マグ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4356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서남 초전도체 코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116B1 (ko) * 2008-03-25 2010-12-27 주식회사 서남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KR101212111B1 (ko) * 2010-06-10 2012-12-13 한국기계연구원 이붕소마그네슘 초전도 선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이붕소마그네슘 초전도 선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04B2 (ja) * 1986-01-29 1994-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電導撚線
JPH11260625A (ja) * 1998-03-16 1999-09-24 Toshiba Corp 超電導マグ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4356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서남 초전도체 코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42A (ko) * 2016-10-18 2018-04-26 한국전기연구원 전도냉각형 고온초전도 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532425B1 (ko) * 2016-10-18 2023-05-12 한국전기연구원 전도냉각형 고온초전도 코일의 제조방법
KR20190082086A (ko) * 2017-12-29 2019-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된 초전도 마그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3319B1 (ko) * 2017-12-29 2020-09-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된 초전도 마그넷 및 이의 제조방법
US11631514B2 (en) 2017-12-29 2023-04-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uperconducting magnet with improved thermal and electrical stabili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34024B1 (ko) 2022-11-17 2023-05-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2947A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038B1 (ko)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JP4620637B2 (ja) 抵抗型超電導限流器
RU2684901C2 (ru) Металлическая сборка, содержащая сверхпроводник
KR102494710B1 (ko) 스마트 인슐레이션을 구비하는 고온 초전도 코일, 그에 사용되는 고온 초전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04203B1 (ko) 초전도 케이블
US7633014B2 (en) Superconductor cable
US8112135B2 (en) Superconductive electrical cable
JPH0523485B2 (ko)
JP2010251713A (ja) 限流装置
AU1965599A (en) High voltage induction device
JP2002533895A (ja) 超伝導ケーブル
KR101148574B1 (ko) 초전도 케이블
JP4843937B2 (ja) 超電導ケーブル
US4763404A (en) Low current superconducting magnet with quench damage protection
JP5443835B2 (ja) 超電導ケーブル線路
KR20010092758A (ko) 초전도 케이블
US3336549A (en) Superconducting magnet coil
AU737248B2 (en) A power transformer
US20110034337A1 (en) Superconductive current limiter with magnetic field triggering
EP1183768A1 (en) A power cable
JP4638983B2 (ja) 超伝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511953A1 (en) Low-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rod having low stabilizing matrix ratio, and superconducting coil having same
WO2020067335A1 (ja) 酸化物超電導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im et al. Research on insulation design of 22.9-kV high-T/sub c/superconducting cable in Korea
JP2012174403A (ja) 常温絶縁型超電導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