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024B1 -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 Google Patents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024B1
KR102534024B1 KR1020220154423A KR20220154423A KR102534024B1 KR 102534024 B1 KR102534024 B1 KR 102534024B1 KR 1020220154423 A KR1020220154423 A KR 1020220154423A KR 20220154423 A KR20220154423 A KR 20220154423A KR 102534024 B1 KR102534024 B1 KR 10253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uperconducting
superconducting coil
oxidation
coil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024B9 (ko
Inventor
김호민
김지형
이성훈
채윤석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5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024B1/ko
Publication of KR10253402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02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8Superconductive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6/00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oils
    • H01F6/06Coils, e.g. winding, insulating, terminating or casing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36/00Inductor devices
    • Y10S336/01Super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최외각에 전기도금된 구리 안정화층에 대하여 표면 거칠기와 산화량을 조절하여 코일 권선내 턴간 접촉저항을 상대적으로 크게함으로써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발생 자기장의 시간적 지연을 줄여 자기장의 응답성(속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Coil using Control on surface conditions of the conductor}
본 발명은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최외각에 전기도금된 구리 안정화층에 대하여 표면 거칠기와 산화량을 조절하여 코일 권선내 턴간 접촉저항을 상대적으로 크게함으로써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발생 자기장의 시간적 지연을 줄여 자기장의 응답성(속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무절연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고온초전도 선재는 BSCCO 계열의 1세대 선재와 YBCO 계열의 2세대 선재가 있다.
1세대 선재는 외부 자장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모재로 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 절감에 한계가 있다.
이것의 대안으로 2세대 선재는 1세대 선재에 비해 n value 특성이 좋아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초전도 기기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초전도 전력기기의 핵심인 코일을 제작하게 되면 턴 수에 비례하여 전자력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코일이 움직이게 되고 전압이 발생하여 결국에는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초전도 선재를 사용하여 코일을 제작할 시에는 코일을 구조적으로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에폭시와 같은 함침재 또는 필름 절연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에폭시를 함침하여 필름 형태로 절연한 2세대 고온초전도(2G-HTS) 코일을 제작한 경우 초전도코일에 큰 전류를 흘리기 위해서는 77K나 그 이하의 저온으로 온도를 낮춰 주어야 한다. 여기서 문제는 저온에서 모든 물질들이 수축한다는 것이다.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사용한 에폭시 함침 초전도 코일에서는 권선사이에 에폭시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코일 냉각 시 보빈날개와 초전도 코일이 고정되어 있어 초전도 코일에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다시 말해, 초전도체는 Quench 발생 시 열의 국부적인 축적으로 인해 초전도체의 영구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전도체를 이용한 코일 제작 시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보호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초전도 코일의 Quench 보호기술의 한 방편으로 턴 간 절연물질을 삽입하지 않는 무절연 권선기술이 개발되었다.
해당 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턴 간 절연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Quench 시 발생되는 과도한 열 및 전류를 인접 턴 간 기계적/전기적인 접촉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우회시킴으로써 별도의 보호 장치 없이 초전도 코일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무절연 고온초전도 코일의 턴간 접촉저항은 값이 작을수록 자기장 응답의 지연이 오래 발생하게 되어 신속한 자기장 제어가 어려워져 오히려 고온초전도 코일의 운전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전동기 또는 발전기 운전 중 내외부적으로 전자기적, 기계적, 열적 외란이 발생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외란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접촉저항 특성으로 인하여 통전 전류의 누설이 발생할 경우 초전도 계자코일의 기자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회전기 출력 제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작은 턴간 접촉저항으로 초전도 코일의 시정수가 커질 경우 충방전에 필요한 시간은 시정수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며, 만약 유지보수가 요구될 시 정상운전으로의 복구 시간을 길게 하여 시스템 이용률 저하에 의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5038호(2016.10.0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최외각에 전기도금된 구리 안정화층에 대하여 표면 거칠기와 산화량을 조절하여 코일 권선내 턴간 접촉저항을 상대적으로 크게함으로써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발생 자기장의 시간적 지연을 줄여 자기장의 응답성(속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과 그 권선기술은 2세대 고온초전도 코일을 권선함에 있어, 권선 턴간의 전기적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절연체를 제거함으로써 초전도 코일의 소형경량성을 증대하여 응용 시스템의 에너지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선 턴간의 접촉상태에 있어 전기적 저항과 열적 저항을 작게 하여 초전도체의 국부적인 혹은 전역의 상전도화(Quench) 현상이 발생할 경우 코일에 통전되는 전류의 일부를 인접한 턴으로 우회 및 분산시키고, 상전도 지역의 저항과 통전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줄열(Joule heating)을 인접한 턴으로 전달 및 분산시킴으로써 전자기적 혹은 열적으로 과도적인 운전환경에서 자체적 안정화(Self stabilizing effect)를 수행하여 2세대 고온초전도 코일 시스템의 운전 신뢰성과 경제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초전도 코일의 목표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제1단계(S100)와; 초전도 코일의 목표 시정수 범위를 산정하는 제2단계(S200)와; 목표 시정수 만족을 위한 접촉저항 범위를 산정하는 제3단계(S300)와; 접촉저항 특성 지표에 근거한 거칠기 및 산화량을 산정하는 제4단계(S400)와; 목표한 특성에 따라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거칠기와 산화량이 조절되도록 한 뒤 이를 초전도 코일로서 권선하는 제5단계(S500)와; 초전도 코일 특성 유지를 위해 에폭시를 도포하는 제6단계(S6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2단계(S200)에서 목표 시정수 범위를 산정하는 공식은 '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1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2
여기서 Rct, Wd, Ci는 각각 접촉저항, 고온초전도 선재의 폭, 코일의 i번째 턴의 둘레이다.
초전도 코일의 특성저항은 코일의 인덕턴스와 같은 코일 사양에 지배되는 파라미터이며 접촉저항은 코일 사양과는 무관하며 코일 권선시의 장력, 도체 표면의 청결도, 거칠기, 산화량에 지배되는 파라미터이다.
또한, 상기 제4단계(S400)에서 거칠기 및 산화량을 산정하는 공식은 '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5단계(S500)는 권선장치를 구비한 거칠기 가공장치(l00)를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거칠기 가공장치(l00)는 일 실시예로서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110)와; 고온초전도 선재 보빈이 부착되는 권취부(120)와; 권출부와 권취부 사이 선상에 배치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과 이송을 도모하도록 하는 가이드풀리(130)와; 고온초전도 선재의 권출과 권취 진행방향 일측 선상에 장력 제어장치(141)가 구비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대하여 샌딩페이퍼(142)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선재 거칠기 제어부(14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5단계(S500)는 권선장치를 구비한 산화처리 가공장치(200)를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산화처리 가공장치(200)는 다른 실시예로서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210)와; 고온초전도 선재 보빈이 부착되는 권취부(220)와; 권출부와 권취부 사이 선상에 배치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과 이송을 도모하도록 하는 가이드풀리(230)와; 고온초전도 선재의 권출과 권취 진행방향 일측 선상에 산화 온도 제어 장치(241)와 산화 조건 제어 장치(242)가 구비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대하여 산화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선재 산화 환경 제어부(24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 거칠기와 산화량을 조절하여 코일 권선내 턴간 접촉저항을 상대적으로 크게함으로써 누설전류를 억제하고, 발생 자기장의 시간적 지연을 줄여 자기장의 응답성(속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권선 턴간의 전기적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절연체를 제거함으로써 초전도 코일의 소형경량성을 증대하여 응용 시스템의 에너지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선 턴간의 접촉상태에 있어 전기적 저항과 열적 저항을 작게 하여 초전도체의 국부적인 혹은 전역의 상전도화(Quench) 현상이 발생할 경우 코일에 통전되는 전류의 일부를 인접한 턴으로 우회 및 분산시키고, 상전도 지역의 저항과 통전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줄열(Joule heating)을 인접한 턴으로 전달 및 분산시킴으로써 전자기적 혹은 열적으로 과도적인 운전환경에서 자체적 안정화(Self stabilizing effect)를 수행하여 2세대 고온초전도 코일 시스템의 운전 신뢰성과 경제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의 단계별 예시도,
도 2는 고온초전도 코일의 절연 상태와 무절연 상태를 나타낸 대비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칠기 가공장치의 샌딩페이퍼를 이용하여 고온초전도 코일(도체)의 표면 상태 제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처리 가공장치의 산화 제어부를 이용하여 고온초전도 코일(도체)의 표면 상태 제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초전도 선재 표면 산화량 및 거칠기 변화에 따른 고온초전도 코일의 시정수 특성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계(S100)는 초전도 코일의 목표 파라미터를 산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목표 파라미터는 초전도 코일을 적용하는 응용시스템 사양에 의해 산정되며 해석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초전도 코일의 목표 파라미터를 설계하게 된다.
초전도 코일의 목표 파라미터의 예시로서 운전전류, 턴수, 자속밀도, 인덕턴스 등이 있다.
이에, 상기 제2단계(S200)에서 목표 시정수 범위를 산정하는 공식은 '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4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초전도 코일의 목표 시정수는 응용시스템 사양에 의해 산정되며 해석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응용 시스템에 적합한 자기장 제어의 속응성 (단위시간당 자기장 제어량, ex) mT/s)범위를 산정한 후 초전도 코일의 설계 파라미터 (턴수, 인덕턴스)를 기준으로 제어 속응성을 만족하는 시정수를 산정하게 된다.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5
여기서 Rct, Wd, Ci는 각각 접촉저항, 고온초전도 선재의 폭, 코일의 i번째 턴의 둘레이다.
초전도 코일의 특성저항은 코일의 인덕턴스와 같은 코일 사양에 지배되는 파라미터이며 접촉저항은 코일 사양과는 무관하며 코일 권선시의 장력, 도체 표면의 청결도, 거칠기, 산화량에 지배되는 파라미터이다.
참고로,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간의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으로 인하여 권선 턴간의 접촉저항이 매우 낮아져 권선방향으로 통전되는 전류의 일부가 인접한 턴으로 누설되는데, 이는 자기장이 발생하는 권선방향으로의 전류가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통전 전류와 목표하는 발생 자기장 사이의 시간차가 발생하면서 자기장 충전 지연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초전도 코일의 전기적 시정수(응답속도)를 크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권선턴간의 접촉저항을 어떠한 물질의 삽입 없이 종래의 무절연 코일의 접촉저항 수준보다 높여 누설 전류의 감소가 가능하다면 전기적,열적 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자기장 지연이라는 단점을 고온초전도 회전기용 계자 코일 응용에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3단계(S300)는 목표 시정수 만족을 위한 접촉저항 범위를 산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접촉저항 범위는 목표 시정수 만족을 위한 코일의 특성저항값을 기준으로 산정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응용 시스템의 자기장 속응성을 만족하는 고온초전도 코일의 접촉저항을 산정한다는 의미이다.
이후, 제4단계(S400)는 접촉저항 특성 지표에 근거한 거칠기 및 산화량을 산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단계(S400)에서 거칠기 및 산화량을 산정하는 공식은 '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6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체 표면 거칠기 및 산화량 변화에 따른 접촉저항 변화에 관한 사전 실험 및 검증을 바탕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목표 시정수를 만족하기 위한 접촉저항을 예측 산정하게 된다.
참고로, 표면 산화의 정도가 커질수록 접촉저항이 비례적으로 커져 코일 시정수 감소효과가 커지고 자기장 지연 특성 완화 효과가 커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사전의 요소시험 수행을 바탕으로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표면의 거칠기 및 산화 정도를 접촉저항 제어 설계 변수로 두어 거칠기와 산화량 변화에 따른 접촉저항 특성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초전도 코일의 요구 특성, 특히, 목표하는 자기장 제어 속응성에 대응하여 가능한 고온초전도 코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5단계(S500)는 목표한 특성에 따라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거칠기와 산화량이 조절되도록 한 뒤 이를 초전도 코일로서 권선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5단계(S500)는 권선장치를 구비한 거칠기 가공장치(l00)를 통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칠기 가공장치(l00)는 일 실시예로서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110)와; 고온초전도 선재 보빈이 부착되는 권취부(120)와; 권출부와 권취부 사이 선상에 배치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과 이송을 도모하도록 하는 가이드풀리(130)와; 고온초전도 선재의 권출과 권취 진행방향 일측 선상에 장력 제어장치(141)가 구비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대하여 샌딩페이퍼(142)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선재 거칠기 제어부(14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선재 거칠기 제어부(140)는 샌딩페이퍼(142)가 권선 중인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압 장력에 변화를 주면서 그 힘에 따라 거칠기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력 제어장치(141)는 샌딩페이퍼를 고온초전도 선재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디바이스로서, 일측에 샌딩페이퍼가 고정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후단에는 에어실린더가 지지판에 결합되어 공압에 따른 동작시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작동하면서 샌딩페이퍼의 전후진을 도모하면서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밀착 가압 또는 미세 가압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5단계(S500)는 권선장치를 구비한 산화처리 가공장치(200)를 통해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산화처리 가공장치(200)는 다른 실시예로서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210)와; 고온초전도 선재 보빈이 부착되는 권취부(220)와; 권출부와 권취부 사이 선상에 배치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과 이송을 도모하도록 하는 가이드풀리(230)와; 고온초전도 선재의 권출과 권취 진행방향 일측 선상에 산화 온도 제어 장치(241)와 산화 조건 제어 장치(242)가 구비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대하여 산화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산화 환경 제어부(24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선재 산화 환경 제어부(240)는 권선 중인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대하여 O2와 H2O를 분사하여 산화시키는 것으로, O2와 H2O의 분사량 및 온도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산화 조건 제어 장치(242)는 O2와 H2O의 분사량과 분사분포 등을 공급노즐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계량 밸브 등을 통해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산화 온도 제어 장치(241)는 분사된 O2와 H2O에 대하여 급속으로 말려 산화가 촉진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 히터가 형성되고 후단측에 송풍기가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6단계(S600)는 초전도 코일 특성 유지를 위해 에폭시를 도포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외부 피복에 해당하는 것으로, 코일 제작완료후 코일표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대기중 산화 및 오염에 의한 초전도 코일의 특성 변화를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기술 개념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는 여러 물질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전기적 기계적 보호를 목적으로서 구리 안정화층을 최외각에 전기도금하여 최종적으로 테이프 형태로 제작된다.
무절연 코일은 권선 턴간의 단면상에 있어 구리 안정화층끼리 직접적인 접촉을 이룬다.
이때, 구리 안정화층의 표면 상태와 권선 압력에 따라 무절연 초전도 코일의 접촉저항 특성이 결정되며 표면 상태의 예로서 표면 청결 정도, 표면 조도(거칠기), 표면 산화 정도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의 최외각을 구성하는 구리 안정화층 표면에 임의로 미세한 긁힘을 주어 표면 거칠기를 변화시켜 권선턴간 접촉상태를 거칠게 하여 물리적 접촉저항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구리 안정화층 표면을 임의로 산화시켜 구리 안정화층의 구리 조성율 변화에 의한 전기적 접촉저항을 높일 수 있다.
다시말해, 구리 안정화층 표면의 거칠기 및 산화량을 제어하는 것은 구리 안정화층이 전기도금 및 전해연마 처리된 종래의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로 권선된 무절연 코일의 매우 낮은 접촉저항 특성을 상대적으로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초전도 코일 운전시 저항이 낮은 권선 턴간으로 누설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자기장 지연 특성을 완화하는 것에 있다.(도 2 참조)
한편, 도 3 내지 4는 샌딩페이퍼를 이용하여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최외각에 위치하는 구리 안정화층의 표면 거칠기 변화에 따라 접촉 저항 특성이 변화하는 것의 예시를 보여준다.
즉, 구리 안정화층이 전해 연마된 샘플(Bare)대비 샌딩 페이퍼로 긁힘이 생긴 샘플(sanding_100, 400, 1000, 샌딩 페이퍼 거칠기 정도: 100 > 400 > 1000)의 접촉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큰 수치를 보이며 긁힘의 정도가 커질수록 접촉저항이 커지는 특성을 보인다.
그리고, 도 9에는 구리 안정화층 표면 거칠기를 변화시킨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로 제작된 고온초전도 코일의 시정수 변화 특성 변화의 예시를 보여준다.
즉, 구리 안정화층이 전해 연마된 샘플(Bare) 대비 샌딩 페이퍼로 인한 긁힌 샘플 코일(sanding #400, 샌딩 페이퍼 거칠기 #400)의 접촉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커 코일 시정수가 짧아지며 이는 고온초전도 코일 내부 턴간으로 누설되는 전류가 감소되어 자기장 지연 특성이 완화됨을 의미한다.
아울러, 도 5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가 적용된 고온초전도 코일 제작을 위한 거칠기 가공장치(l00)의 예시를 보여준다.
이에,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110)가 일측에 형성되고, 선재가 권선될 보빈이 타측 권취부(120)에 배치된다.
그리고 그 중간에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을 위한 가이드 풀리(130)가 존재하게 된다.
이때, 권출부에 근접합 가이드 풀리 사이에는 선재 거칠기 제어부(140)가 구성된다.
이러한 선재 거칠기 제어부(140)는 샌딩페이퍼(142)의 거칠기와 샌딩 장력 제어 장치(141)의 수치를 조절하여 목표하는 거칠기를 갖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온초전도 코일을 권선 및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7은 산화 방법을 이용하여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최외각에 위치하는 구리 안정화층의 표면 거칠기 변화에 따라 접촉저항 특성이 변화하는 것의 예시를 보여준다.
즉, 구리 안정화층이 전해 연마된 샘플(Bare)대비 특정 산화 조건에서 산화된 샘플(Oxidation_0.5 h@ 200℃_ 10 mL 및 Oxidation_0.5 h@ 230℃_ 10 mL, 산화량: 230℃ > 200℃)의 접촉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큰 수치를 보이며 표면 산화의 정도가 커질수록 접촉저항이 커지는 특성을 보인다.
그리고, 구리 안정화층이 전해 연마된 샘플(Bare) 대비 특정 산화 조건에서 산화된 샘플 코일(Oxidized at 100℃, 140℃, 170℃ , 200℃, 230℃ 산화량: 230℃ > 200℃ > 170℃ > 140℃ > 100℃)의 접촉저항 값이 상대적으로 커 코일 시정수가 짧아지며, 이는 고온초전도 코일 내부 턴간으로 누설되는 전류가 감소되어 자기장 지연 특성이 완화됨을 의미한다.
아울러, 도 8은 도체 표면 상태 제어가 적용된 고온초전도 코일 제작을 위한 산화처리 가공장치(200)의 예시를 보여준다.
산화처리에 의해 표면이 산화됨에 따라 구리가 산화구리 Ⅰ혹은 산화구리 Ⅱ로 상변이하여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의 최외곽층인 구리 윗면으로 산화구리 Ⅰ혹은 산화구리 Ⅱ가 코팅된 효과가 생긴다.(물성이 바뀌게 되면서 저항률이 바뀌게 된다.)
즉,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의 최외곽층인 구리 윗면으로 산화구리 Ⅰ 혹은 산화구리 Ⅱ가 코팅된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전기적 저항률이 구리보다 높은 산화구리 Ⅰ 혹은 산화구리 Ⅱ 간의 접촉면은 접촉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에,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210)가 일측에 형성되고, 선재가 권선될 보빈이 타측 권취부(220)에 배치된다.
그리고 그 중간에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을 위한 가이드 풀리(230)가 존재하게 된다.
이때, 권출부에 근접합 가이드 풀리 사이에는 선재 산화 환경 제어부(240)가 구성된다.
이러한 선재 산화 환경 제어부(240)는 산화 조건 제어 장치(242)와 산화 온도 제어 장치(241)를 이용하여 산화 정도를 조절하여 목표하는 거칠기를 갖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온초전도 코일을 권선 및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온초전도 선재의 전체 길이 구간에 있어 일정 구간에만 산화를 발생시켜 고온초전도 코일의 접촉저항 특성과 그에 따른 코일 시정수를 제어하는 설계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거칠기 가공장치 110 ... 권출부
120 ... 권취부 130 ... 가이드풀리
140 ... 선재 거칠기 제어부 141 ... 장력 제어장치
142 ... 샌딩페이퍼 200 ... 산화처리 가공장치
210 ... 권출부 220 ... 권취부
230 ... 가이드풀리 240 ... 산화 환경 제어부
241 ... 산화온도 제어장치 242 ... 산화조건 제어장치

Claims (8)

  1. 초전도 코일의 목표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제1단계(S100)와;
    초전도 코일의 목표 시정수 범위를 산정하는 제2단계(S200)와;
    목표 시정수 만족을 위한 접촉저항 범위를 산정하는 제3단계(S300)와;
    접촉저항 특성 지표에 근거한 거칠기 및 산화량을 산정하는 제4단계(S400)와;
    목표한 특성에 따라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거칠기와 산화량이 조절되도록 한 뒤 이를 초전도 코일로서 권선하는 제5단계(S500)와;
    초전도 코일 특성 유지를 위해 에폭시를 도포하는 제6단계(S6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0)에서 목표 시정수 범위를 산정하는 공식은 '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7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00)에서 거칠기 및 산화량을 산정하는 공식은 '
    Figure 112022122623341-pat0000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S500)는 권선장치를 구비한 거칠기 가공장치(l00)를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거칠기 가공장치(l00)는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110)와;
    고온초전도 선재 보빈이 부착되는 권취부(120)와;
    권출부와 권취부 사이 선상에 배치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과 이송을 도모하도록 하는 가이드풀리(130)와;
    고온초전도 선재의 권출과 권취 진행방향 일측 선상에 장력 제어장치(141)가 구비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대하여 샌딩페이퍼(142)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선재 거칠기 제어부(14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거칠기 제어부의 샌딩페이퍼(142)는 테이프 형상의 고온초전도 도체 표면의 한쪽에만 긁힘을 발생시켜 고온초전도 코일의 접촉 저항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S500)는 권선장치를 구비한 산화처리 가공장치(200)를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산화처리 가공장치(200)는
    고온초전도 선재 카세트가 부착되는 권출부(210)와;
    고온초전도 선재 보빈이 부착되는 권취부(220)와;
    권출부와 권취부 사이 선상에 배치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정렬과 이송을 도모하도록 하는 가이드풀리(230)와;
    고온초전도 선재의 권출과 권취 진행방향 일측 선상에 산화 온도 제어 장치(241)와 산화 조건 제어 장치(242)가 구비되어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대하여 산화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선재 산화 환경 제어부(24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7. 제 4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취부의 보빈에 연속적으로 감기는 고온초전도 선재에 대하여 전체 길이 구간 중 일정 구간에만 긁힘 또는 산화를 발생시켜 고온초전도 코일의 접촉저항 특성과 그에 따른 코일 시정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8. 초전도 코일의 목표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제1단계(S100)와; 초전도 코일의 목표 시정수 범위를 산정하는 제2단계(S200)와; 목표 시정수 만족을 위한 접촉저항 범위를 산정하는 제3단계(S300)와; 접촉저항 특성 지표에 근거한 거칠기 및 산화량을 산정하는 제4단계(S400)와; 목표한 특성에 따라 고온초전도 선재의 표면에 거칠기와 산화량이 조절되도록 한 뒤 이를 초전도 코일로서 권선하는 제5단계(S500)와; 초전도 코일 특성 유지를 위해 에폭시를 도포하는 제6단계(S600)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초전도 코일.
KR1020220154423A 2022-11-17 2022-11-17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KR10253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423A KR102534024B1 (ko) 2022-11-17 2022-11-17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423A KR102534024B1 (ko) 2022-11-17 2022-11-17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024B1 true KR102534024B1 (ko) 2023-05-17
KR102534024B9 KR102534024B9 (ko) 2023-12-08

Family

ID=8654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423A KR102534024B1 (ko) 2022-11-17 2022-11-17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0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80A (ko) * 2014-10-20 2016-04-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절연 권선을 이용한 초전도 코일 및 초전도 코일의 제조 방법
KR101665038B1 (ko) 2016-01-11 2016-10-1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JP2019029285A (ja) * 2017-08-02 2019-02-21 中部電力株式会社 無絶縁超電導コイル用の超電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超電導コイル
JP2022111751A (ja) * 2021-01-20 2022-08-01 国立大学法人東海国立大学機構 超電導デバイス及び超電導デバイ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80A (ko) * 2014-10-20 2016-04-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절연 권선을 이용한 초전도 코일 및 초전도 코일의 제조 방법
KR101665038B1 (ko) 2016-01-11 2016-10-1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JP2019029285A (ja) * 2017-08-02 2019-02-21 中部電力株式会社 無絶縁超電導コイル用の超電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超電導コイル
JP2022111751A (ja) * 2021-01-20 2022-08-01 国立大学法人東海国立大学機構 超電導デバイス及び超電導デバイス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024B9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 1-MW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DC induction heater
US3559126A (en) Means to provide electrical and mechanical separation between turns in windings of a superconducting device
US20120181062A1 (en) Multifilament condu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ang et al.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no-insulation and metallic insulation REBCO magnet for the engineering design of a 1-MW DC induction heater
KR101665038B1 (ko)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JP2011198469A (ja) 絶縁被覆酸化物超電導線材および樹脂含浸超電導コイル
Miyazaki et al. Over-current test of REBCO pancake coils impregnated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epoxy resin under conduction-cooled conditions
Lee et al. Investigation on the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of soldered metal insulation REBCO coil
KR102534024B1 (ko) 도체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한 고온초전도 코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코일
US4151498A (en) Combined superconducting coil
US20180301249A1 (en) Superconducting wire rod and superconducting coil
Takahash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four-stacked two tape bundled REBCO pancake coils
Glowa et al. Quench studies of YBCO insulated and noninsulated pancake coils
Miyazaki et al. Study on a stacked REBCO coil composed of six single pancakes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epoxy resin
Sætre et al. Winding, cooling and initial testing of a 10 H superconducting MgB2 coil for an induction heater
Awaji et al. Hot spot behavior of Y123 coated conductors
JPS6213010A (ja) 超電導電磁石
KR102559281B1 (ko) 초전도 코일의 자기장 응답 개선을 위한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의 샌딩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코일 권선 장치
JP2007227771A (ja) 超電導コイル装置
US6794970B2 (en) Low alternating current (AC) loss superconducting coils
JP3840819B2 (ja) 誘導機器の超電導コイル
Park et al. Conceptual design of HTS magnet for a 5 MJ class SMES
US3466581A (en) Winding for a magnet coil of high field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iu et al. Effect of winding tension, support material, and epoxy impregnation on the strain and critical current of YBCO coil
KR101549033B1 (ko) 젤-타입 절연물질 삽입을 위한 초전도 코일 권선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