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176B1 -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176B1
KR101662176B1 KR1020140087005A KR20140087005A KR101662176B1 KR 101662176 B1 KR101662176 B1 KR 101662176B1 KR 1020140087005 A KR1020140087005 A KR 1020140087005A KR 20140087005 A KR20140087005 A KR 20140087005A KR 101662176 B1 KR101662176 B1 KR 10166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tread
weight member
emergency escap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061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1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는, 접히거나 권취되어 선박의 일 측에 수납되며 일단부가 선박에 고정되는 디딤부재, 및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선박이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아래로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디딤부재를 끌어 내리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Assistive devices for emergency escape of the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가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경우, 선원 또는 승객의 탈출을 도울 수 있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갑판(deck) 상에는 거주구(accommodation)가 위치하며, 거주구에는 선원이 거주하거나 승객이 머무를 수 있도록 다수의 격실이 마련된다. 다수의 격실은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복도 상에 각각 출입구가 형성되어 복도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복도는 양 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된다.
한편, 선박이 선회하는 도중 복원력을 잃고 선체의 폭 방향으로 점차 기울어지는 경우, 격실 및 복도에 위치한 선원 또는 승객들은 선체의 상부, 즉, 기울어진 선체의 반대 쪽으로 대피해야만 한다. 그러나, 선체가 기울어진 경사에 의해 쉽게 대피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인명 피해가 클 수 밖에 없다. 특히, 비상 탈출 통로가 되는 복도의 경우, 상부로 이동하기 위한 별도의 대피 도구 또는 설비가 없어 오로지 인력으로만 경사진 복도를 기어 올라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2177호 2011. 03. 0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체가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경우, 선원 또는 승객의 탈출을 도울 수 있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는, 접히거나 권취되어 선박의 일 측에 수납되며 일단부가 상기 선박에 고정되는 디딤부재, 및 상기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이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아래로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디딤부재를 끌어 내리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디딤부재는, 상기 선박의 일 측과 상기 웨이트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와, 상기 가요성 연결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디딤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딤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마찰면이 형성되거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디딤부재가 권취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딤부재는 서로 힌지 결합된 복수 개의 디딤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의 바닥면과 접하는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딤부재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선박의 출입구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기울어진 경사각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상기 선박에 고정하거나 이탈시키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선박의 경사각을 입력받아 상기 웨이트부재를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이 복원력을 잃고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디딤부재가 경사진 면을 따라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선원 또는 승객들이 디딤부재를 잡고 이동하여 기울어진 선박의 반대 쪽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딤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딤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딤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선박(S)이 복원력을 잃고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동작하여 선원 또는 승객들의 탈출을 도울 수 있는 장치로서, 선박(S)의 폭 방향(도 1의 x 방향)으로 배치된 복도에 형성된 출입문(D)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가 복도에 형성된 출입문(D)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격실에 형성된 출입문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복도가 선박(S)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복도는 선박(S)의 길이 방향(도 1의 y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선박(S)이 기울어진 경우, 디딤부재(도 3의 10 참조)가 경사진 면을 따라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선원 또는 승객들이 디딤부재(10)를 잡고 이동하여 기울어진 선박(S)의 반대쪽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상 상황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디딤부재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디딤부재(10)와 웨이트부재(20)를 포함한다.
디딤부재(10)는 선원 또는 승객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접히거나 권취되어 선박(S)의 일 측에 수납되며 일단부가 선박(S)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디딤부재(10)는 일단부가 선박(S), 예를 들어, 선박(S)의 출입구(E)의 내측에 고정되되,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접히거나 권취되어 선박(S)의 일 측에 수납된다. 디딤부재(10)의 일단부가 선박(S)의 출입구(E)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비상 시 펼쳐진 디딤부재(10)를 따라 선원 또는 승객들이 출입문(D)을 향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디딤부재(10)는 타단부에 웨이트부재(20)가 결합된다.
웨이트부재(20)는 임의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로, 선박(S)이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아래로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디딤부재(10)를 끌어 내린다. 즉, 디딤부재(10)는 일 측이 선박(S)에 고정되고 타 측이 웨이트부재(20)에 고정되어, 선박(S)이 기울어지면 슬라이딩 이동하는 웨이트부재(20)에 의해 전개되거나 권출된다. 그러나, 디딤부재(10)가 웨이트부재(20)의 중량에 의존하여 전개 또는 권출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딤부재(10)는 자체 중량만으로도 전개 또는 권출될 수 있으며, 이 때, 웨이트부재(20)는 디딤부재(10)가 원활하게 전개 또는 권출될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웨이트부재(20)가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웨이트부재(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디딤부재(10)가 권취되어 선박(S)에 수납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디딤부재(10)는 가요성 연결부(11)와 디딤판(12a)을 포함한다.
가요성 연결부(11)는 유연한 성질을 갖는 로프(rope)와 같은 부재로, 선박(S)의 일 측과 웨이트부재(20)를 연결한다. 다시 말해, 가요성 연결부(11)는 일단부가 출입구(E)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웨이트부재(20)에 고정되며, 쌍을 이루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가요성 연결부(11)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후술할 디딤판(12a)의 길이에 따라 개수가 가감될 수 있다. 가요성 연결부(11)에는 복수 개의 디딤판(12a)이 결합된다.
디딤판(12a)은 막대 또는 판 형상의 부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요성 연결부(11)에 수직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된다. 복수 개의 디딤판(12a)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가요성 연결부(11)에 결합됨으로써, 디딤부재(10)가 펼쳐지면 선원 또는 승객들은 가요성 연결부(11) 또는 디딤판(12a)을 파지하고 디딤판(12a)을 디디면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 때, 디딤판(12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각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선원 또는 승객들이 파지하거나 디딜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딤부재(10)는 권취롤(30)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롤(3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통 형상의 부재로, 디딤판(12a)과 같이 가요성 연결부(11)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웨이트부재(20)에 고정되어 디딤부재(10)를 권취한다. 즉, 디딤부재(10)는 일단부가 선박(S)의 출입구(E)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권취롤(30)에 고정되어, 권취롤(30)에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권취롤(30)은 웨이트부재(20)와 디딤판(12a)의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권취롤(30)을 사용함으로써, 디딤부재(10)를 보다 효과적으로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으며, 디딤부재(10)가 권취 또는 권출되며 엉키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권취롤(30)은 연결부재(40)에 의해 웨이트부재(20)와 연결된다.
연결부재(40)는 막대 또는 판 형상의 부재로, 권취롤(3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웨이트부재(20)를 서로 연결한다. 즉, 연결부재(40)는 일단부가 웨이트부재(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권취롤(30)에 고정되어, 웨이트부재(20)와 권취롤(30)을 서로 연결하되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웨이트부재(20)와 권취롤(30)이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디딤부재(10)의 총 길이에 관계없이 권취롤(30)에 용이하게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부재(20)는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50)가 결합될 수 있다. 롤러(50)는 웨이트부재(20)의 슬라이딩 이동을 돕는 것으로, 선박(S)의 바닥면과 접하는 웨이트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선박(S)이 기울어지면 아래로 경사진 면을 따라 롤러(50)가 회동하게 되며, 롤러(50)의 회동에 의해 웨이트부재(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롤러(50)가 권취롤(30)과 근접한 웨이트부재(20)의 측면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롤러(50)의 결합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50)는 웨이트부재(20)의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디딤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롤러(50)는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롤러(50)는 이격 배치되어 웨이트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출입구(E)의 내측에 권취되어 수납되며, 선박(S)이 기울어진 경우 경사진 면을 따라 자동으로 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선원 또는 승객들이 기울어진 선박(S)의 반대 쪽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상 상황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선박(S)이 평형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출입구(E)의 내측에 수납된다.
웨이트부재(20)는 출입구(E)의 내측에 수용되되 일 측면이 출입구(E)와 동일 면 상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선박(S)이 평형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웨이트부재(20)는 커버와 같은 역할을 하여 디딤부재(10)의 노출을 방지하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디딤부재(10)는 일단부가 출입구(E)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권취롤(30)에 고정되며, 권취롤(30)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어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선박(S)이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경사진 면을 따라 권출되어 펼쳐진다.
선박(S)이 복원력을 잃고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웨이트부재(20)에 결합된 롤러(50)는 경사진 면을 따라 회동한다. 롤러(50)의 회동에 의해 웨이트부재(20)도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디딤부재(10)는 점차 권출되어 펼쳐진다. 웨이트부재(2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반대 쪽 출입구(E)에 도달하면, 디딤부재(10)는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선원 또는 승객들은 펼쳐진 가요성 연결부(11) 또는 디딤판(12a)을 파지하고, 디딤판(12a)을 디디면서 상부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딤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디딤부재(10)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마찰면이 형성되거나 요철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디딤부재(10)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마찰면이 형성되거나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딤부재(10)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마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딤부재(10)는 가요성 재질을 갖는 판 형태의 부재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출입구(E)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권취롤(30)에 고정되어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마찰면은 디딤부재(10)의 표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디딤부재(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디딤부재(10)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되 표면에 마찰면이 형성됨으로써, 디딤부재(10)는 권취롤(30)에 용이하게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으며, 디딤부재(10)가 펼쳐졌을 때 선원 또는 승객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상부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딤부재(10)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요철이 디딤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디딤부재(10)의 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돌출 및 만입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요철은 디딤부재(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디딤부재(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돌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딤부재(10)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디딤부재(10)가 펼쳐졌을 때 선원 또는 승객들이 요철을 파지하고 디디면서 상부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딤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디딤부재(10)가 서로 힌지 결합된 복수 개의 디딤판(12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디딤부재(10)가 서로 힌지 결합된 복수 개의 디딤판(12b)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디딤판(12b)은 일 측면이 돌출 형성되고 타 측면이 만입 형성되도록 가공된 판으로서, 일 측면과 타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상면이 굴절되어 단면 형상이 '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만입 형성된 타 측면의 상면이 굴절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디딤판(12b)은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각각의 관통구에는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딤판(12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된 타 측면의 상면이 서로 어긋나도록 반전 배치되며, 돌출된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와 만입된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 사이에 힌지축이 삽입되어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딤판(12b)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디딤부재(10)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다. 이 때, 최외곽에 배치되는 디딤판(12b)은 각각 출입구(E)의 내측과 웨이트부재(20)에 고정되며, 웨이트부재(20)에 고정되는 디딤판(12b)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선박(S)이 평형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복수 개의 디딤판(12b)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접혀 출입구(E)의 내측에 수납된다. 반대로, 선박(S)이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경우, 롤러(50)의 회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웨이트부재(20)를 따라 디딤판(12b)이 전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딤판(12b)은 굴절된 타 측면의 상면이 서로 어긋나도록 반전 배치되므로, 디딤부재(10)는 상면이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디딤부재(10)의 상면이 요철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선원 또는 승객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상부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디딤판(12b)의 일 측면이 돌출 형성되고 타 측면이 만입 형성된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디딤판(12b)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딤판(12b)이 사각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디딤판(12b)은 경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센서부(60)와 결속부(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1)는 센서부(60)와 결속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센서부(60)는 선박(S)의 기울어진 경사각(∂)을 측정하는 것으로, 선박(S)의일 측에 설치된다. 도면 상에는 센서부(60)가 출입구(E)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센서부(6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60)는 디딤부재(10) 또는 웨이트부재(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부(60)는 틸트 센서(tilt angle sensor)와 같은 경사각 센서로 형성되거나, 자이로 센서(gyro sensor)와 같은 가속도 센서로 형성되어 선박(S)의 기울어진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60)는 결속부(70)와 연동된다.
결속부(70)는 웨이트부재(20)를 선박(S)에 고정하거나 이탈시키는 것으로, 선박(S), 예를 들어, 출입구(E)의 내측에 설치되되 웨이트부재(2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결속부(70)는 센서부(60)로부터 선박(S)의 경사각(∂)을 전기 또는 기계적으로 입력 받아 웨이트부재(20)를 이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60)로부터 입력 받은 경사각(∂)이 기준각도 이하인 경우, 결속부(7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부재(20)를 관통하여 체결된 결속핀(71)을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결속핀(71)이 체결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웨이트부재(20)는 출입구(E)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며, 디딤부재(10)는 권취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센서부(60)로부터 입력 받은 경사각(∂)이 기준각도 이상인 경우, 결속부(7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부재(20)에 체결된 결속핀(71)을 빼내어 웨이트부재(20)를 이탈시킨다. 출입구(E)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된 웨이트부재(20)는 경사진 면을 따라 회동하는 롤러(5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디딤부재(10)를 권출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10: 디딤부재
11: 가요성 연결부 12a, 12b: 디딤판
20: 웨이트부재 30: 권취롤
40: 연결부재 50: 롤러
60: 센서부 70: 결속부
71: 결속핀 D: 출입문
E: 출입구 S: 선박

Claims (8)

  1. 접히거나 권취되어 선박의 일 측에 수납되며, 일단부가 상기 선박에 고정되는 디딤부재;
    상기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이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아래로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디딤부재를 끌어 내리는 웨이트부재;
    상기 선박의 바닥면과 접하는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웨이트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디딤부재가 권취되는 권취롤; 및
    상기 권취롤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부재는,
    상기 선박의 일 측과 상기 웨이트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와, 상기 가요성 연결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디딤판을 포함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마찰면이 형성되거나 요철이 형성된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부재는 서로 힌지 결합된 복수 개의 디딤판을 포함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부재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선박의 출입구의 내측에 고정되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기울어진 경사각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상기 선박에 고정하거나 이탈시키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선박의 경사각을 입력받아 상기 웨이트부재를 이탈시키는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KR1020140087005A 2014-07-10 2014-07-10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KR10166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005A KR101662176B1 (ko) 2014-07-10 2014-07-10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005A KR101662176B1 (ko) 2014-07-10 2014-07-10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61A KR20160007061A (ko) 2016-01-20
KR101662176B1 true KR101662176B1 (ko) 2016-10-05

Family

ID=5530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005A KR101662176B1 (ko) 2014-07-10 2014-07-10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1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752B2 (ja) 1991-02-15 2000-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最小偏位変調波復調回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752A (ja) * 1989-08-15 1991-03-29 Oki Electric Ind Co Ltd ダイレクトメモリアクセス再開方式
JP3154536B2 (ja) * 1991-12-27 2001-04-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カーフェリー用岸壁側ランプウエイ
US5746287A (en) * 1996-08-29 1998-05-05 Durham, Jr.; Stevenson Ham ladder
KR101059943B1 (ko) 2009-08-27 2011-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탈출이 용이한 선박 거주구의 외부 계단
KR101784044B1 (ko) * 2014-06-03 2017-10-10 윤종식 선박의 비상 탈출용 줄사다리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752B2 (ja) 1991-02-15 2000-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最小偏位変調波復調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61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9267A1 (en) Bicycle support rack
US9108071B2 (en) Deployable fire escape with multiple alternating ramps
GB2450435A (en) Apparatus for carrying a load up and down stairs and comprising an energy store
US9938767B2 (en) Object transfer system for a flight of steps
EP2733301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retractable blinds
KR20160029886A (ko) 수중청소로봇용 케이블 감지 및 제어를 위한 승강장치
US9527562B1 (en) Paddle board dock rack
KR101662176B1 (ko) 선박의 비상탈출 보조장치
US6474442B1 (en) Safety device
KR101710926B1 (ko) 접이식 들것을 장착한 무인 인명 구난로봇
US8881866B1 (en) Self-rescue device
KR102340632B1 (ko)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JP3181313U (ja) 車両用の緊急脱出装置
JP3195089U (ja) 避難梯子
KR102092663B1 (ko) 상자 운반장치
KR102151104B1 (ko)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JP2016172509A (ja) 折り畳み式のスロープ
KR101616331B1 (ko) 선박 객실 비상탈출장치
KR101762586B1 (ko)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672005B1 (ko) 핸드레일
KR102222065B1 (ko) 선박용 거주구 비상 탈출구조
KR101625379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626485B1 (ko)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JP2020037810A (ja) 斜張式縄梯子
JP2009510294A (ja) 支持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