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804B1 - 생선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생선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804B1
KR101659804B1 KR1020150031716A KR20150031716A KR101659804B1 KR 101659804 B1 KR101659804 B1 KR 101659804B1 KR 1020150031716 A KR1020150031716 A KR 1020150031716A KR 20150031716 A KR20150031716 A KR 20150031716A KR 101659804 B1 KR101659804 B1 KR 10165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knife
incision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768A (ko
Inventor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양충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양충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to KR102015003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8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5Eviscera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6Removing fish-bones; Filleting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생선 가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고, 생선의 몸통의 양측을 지지하여 생선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생선의 배를 절개하는 제1 절개칼,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 절개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절개된 생선의 배 내부의 내장을 제거하는 내장제거칼,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내장제거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생선의 절개된 배에 삽입되어 양측에서 뼈를 중심으로 생선의 살을 절개하는 한 쌍의 제2 절개칼,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2 절개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한 쌍의 제2 절개칼 사이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절개되는 생선의 살 사이에 위치한 뼈를 밀어 제거하는 뼈제거칼 및 제2 절개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생선의 몸통 상부을 누르는 누름판과, 생선의 꼬리가 삽입되도록 누름판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꼬리잘림방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선 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fish}
본 발명은 생선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의 내장과 뼈 제거의 생선 가공을 자동화하는 생선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생선을 저장하여 먹기 위해, 수작업으로 생선의 내장과 뼈를 제거하여 건조시키거나 소금을 뿌려 염장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선 가공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면서 수작업만으로는 많은 생선의 뼈와 내장 등을 제거할 수 없어 생선 가공 자동화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생선 가공 장치는 공정을 수행하는 구성 단계가 많고 복잡하며 수작업과 병행하여 가공 공정이 이루어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생선 가공 장치로 크기나 종류가 다른 생선을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품의 형태 보존과 건조 등을 위해서 생선의 꼬리가 잘리지 않고 유지되어야 하나, 이를 수행하거나 하나의 가공 공정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가공 장치를 찾아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820호 2007. 8. 1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선 가공 공정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자동화하는 생선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생선의 몸통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생선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생선의 배를 절개하는 제1 절개칼,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절개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절개된 상기 생선의 배 내부의 내장을 제거하는 내장제거칼,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내장제거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생선의 절개된 배에 삽입되어 양측에서 뼈를 중심으로 상기 생선의 살을 절개하는 한 쌍의 제2 절개칼,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절개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개칼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양측으로 절개되는 생선의 살 사이에 위치한 뼈를 밀어 제거하는 뼈제거칼 및 상기 제2 절개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생선의 몸통 상부을 누르는 누름판과, 상기 생선의 꼬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누름판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꼬리잘림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꼬리잘림방지부재의 삽입부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보다 너비가 좁고 긴 형상을 가지는 이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은 제2 삽입홀이 형성된 끝단이 상부방향으로 위로 올라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장제거칼은 선단 및 상부에 내장제거날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에 일렬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측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측날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측날부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측날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측날부재 각각은 돌출된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된 방향의 길이가 긴 측날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뼈제거칼은 뭉뚝한 선단부와 상기 선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유선형의 뒷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상부에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생선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눌러주는 판스프링의 누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뼈제거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뼈가 제거된 생선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제1 회전축이 결합된 복수 개의 제1 풀리들과, 상기 제1 풀리들을 연결하는 제1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제2 회전축이 결합된 복수 개의 제2 풀리들과, 상기 제2 폴리들을 연결하는 제2 벨트부재를 포함하고,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이격되어 상기 생선의 이송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회전축들 및 제2 회전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 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생선의 이송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는 제1 고정축과, 상기 제1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제1 기어치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제1 기어판이 포함된 제1 회전부, 제2 고정축과, 상기 제2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제2 기어치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회전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제2 기어판이 포함되고, 상기 제2 기어치는 상기 제1 기어치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1 기어판 및 상기 제2 기어판 각각에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들 사이를 연결하고 외면에 나선면이 형성된 조임나사, 및 상기 조임나사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판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임부및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프레임 상부를 덮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을 회전시키는 덮개판 회전축 및 상기 덮개판 회전축과 상기 덮개판를 연결하여 상기 덮개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의 상부에 상기 이송부의 간격조절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간략화된 자동화 공정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선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선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선 가공 장치의 설비을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의 간격조절부의 작동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2의 제1 절개칼과 내장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5의 내장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5의 내장제거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5의 내장제거칼의 상부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2의 제2 절개칼과 뼈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절개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뼈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뼈제거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누름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2의 제2 절개칼과 뼈제거칼 상부에 위치한 꼬리잘림방지부재를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꼬리잘림방지부재의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꼬리잘림방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2의 덮개부의 작동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내지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는 생선의 내장 및 뼈를 자동화 공정을 통해 제거하도록 한다. 특히, 고등어, 꽁치, 과메기 등과 같은 생선의 내장 및 뼈를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생선의 살의 손실 및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생선 가공 장치(1)는 프레임(10), 이송부(20), 제1 절개칼(30), 내장제거칼(40), 제2 절개칼(50), 뼈제거칼(60), 누름 부재(70), 꼬리잘림방지부재(80), 구동부(D), 배출부(E) 및 덮개부(90)를 포함한다. 생선 가공 장치(1)는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생선(F)의 내장 및 뼈를 제1 절개칼(30), 내장제거칼(40), 제2 절개칼(50) 및 뼈제거칼(60)로 제거한다.
프레임(10)은 생선 가공 장치(1)의 골격을 형성하며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고 보호한다. 프레임(10)은 운반이 용이하도록 그 하부에 바퀴와 같은 구름 부재(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공 공정시 프레임(1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13)도 설치될 수 있다.
도3은 도1의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의 간격조절부의 작동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이송부(20)는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생선(F)의 몸통의 양측을 지지하여 생선(F)을 이송시킨다. 이송부(20)는 컨베이어 벨트(210,220)를 이용하여 생선(F)의 몸통 양측을 지지한다. 이에, 생선(F)은 양측의 컨베이어 벨트(210,220)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공된다. 이송부(20)는 제1 컨베이어 벨트(210), 제2 컨베이어 벨트(220), 구동모터(M) 및 간격조절부(230)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 벨트(210)는 복수 개의 제1 풀리(212)와 제1 풀리(212)들을 연결하는 제1 벨트부재(214)를 포함하며, 제2 컨베이어 벨트(220)는 복수 개의 제2 풀리(222)와 제2 풀리(222)들을 연결하는 제2 벨트부재(224)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 벨트(210)와 제2 컨베이어 벨트(220)는 생선(F)이 이송될 수 있는 길, 즉, 이송로(W)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채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벨트부재(214)와 제2 벨트부재(224)가 생선(F) 몸통의 양측 각각에 외접하도록 설치된다.
제1 풀리(212)는제1 벨트부재(2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제1 회전축(21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제1 풀리(212)는생선이 이송될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 개가 일렬로 설치된다. 복수 개의 풀리(212)들은 가공 공정이나 생선 크기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풀리(212)들은 간격조절부(230)에 의해 이동된다.
제2 풀리(222)는 제2 벨트부재(224)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제2 회전축(22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풀리(222)도 복수 개가 설치되며 제1 풀리(212)와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다만, 제1 풀리(212)들과제2 풀리(222)들은 생선(F)의 이송로(W)가 형성되도록 양측으로이격되게 각각 배치된다. 또한,제1 풀리(212)와 제2 풀리(222)는 서로 쌍을 이루면서 연결되며 쌍을 이룬 풀리들(212,222)이 이동하면서 생선(F)의 이송로(W)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벨트부재(214)는 복수 개의 제1 풀리(212)들에 접한채로 회전하는 제1 풀리(212)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이동한다. 제1 벨트부재(214)는 다양한 형태와 소재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체인, 띠 구조의 고무벨트 또는 금속벨트일 수 있다. 제2 벨트부재(224)는 제1 벨트부재(214)와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구동 모터(M)는 제1 풀리(212)들의 제1 회전축(216)들 및 제2 풀리(222)들의 제2 회전축(226)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컨베이어 벨트(210,22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터(M)는 제1 풀리(212)들 중 하나와 결합된제1 회전축(216) 또는 제2 풀리(222)들 중 하나와 결합된 제2 회전축(226)과 연결되어 컨베이어 벨트(210,2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모터(M)와 연결된 제1회전축(216) 또는 제2 회전축(226)은 구동모터(M)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해당 제1 풀리(212) 또는제2 풀리(222)를 회전시킨다. 다만,구동 모터(M)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제1 풀리(212)들과 제2 풀리(222)들은 구동모터(M)에 연결된제1 회전축(216) 또는 제2 회전축(226)에 의해 종속적으로 회전된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구동 모터(M)는 하나 이상의 제1 회전축(216) 및 제2 회전축(226)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M)는 컨베이어 벨트(210,220)의 일 끝단에 위치한 풀리(212,222)의 회전축(216,226)에 결합하여 컨베이어 벨트(210,2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간격조절부(230)는 풀리(212,222)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생선(F)의 이송로(W)를 조절한다. 즉, 이송부(20)는 원활한 생선(F)의 이송을 위해 제1 벨트부재(214)와 제2 벨트 부재(224)가 생선(F) 몸통의 양측에 접하여 구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생선(F)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생선(F)의 몸통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이에 맞춰 간격조절부(230)도 제1 풀리(212)와 제2 풀리(222)를 이동시켜 제1 벨트부재(214)와 제2 벨트부재(22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조절부(230)는 제1 회전축(216)들 중 어느 하나와 제2 회전축(226)들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제1 회전축(216) 및 제2 회전축(226)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이동시켜 생선(F)의 이송로(W)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간격조절부(230)는 제1 컨베이어 벨트(210)의 제1 풀리(212) 또는 제2 컨베이어 벨트(220)의 제2 풀리(222) 또는 그 둘 모두를 이동시켜 풀리들(212,222)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특히, 제1 회전축(216)과 제2 회전축(226)은 서로 쌍을 이뤄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쌍을 이루게 된 제1 풀리(212)와 제2 풀리(222)는 연결된 제1 회전축(216) 또는 제2 회전축(226)의 이동에 의해 둘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간격조절부(230)는 모든 제1 회전축(216)들과 제2 회전축(226)들에 연결되지 않고 일부의 제1 회전축(216)들과 제2 회전축(226)들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간격조절부(230)는 제1 절개칼(30), 내장제거칼(40), 제2 절개칼(50) 및 뼈제거칼(60)로 이어지는 이송로(W)의 양측에 위치한 풀리들(212,222)의 간격을 조절하여 생선(F)이 적절한 위치로 이송되고 효과적으로 가공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230)는 제1 회전부(240), 제2 회전부(250), 조임부(260) 및 탄성부재(270)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240)는 제1 고정축(241)과 제1 기어판(243)을 포함하고, 제2 회전부(250)는 제2 고정축(251)과 제2 기어판(253)을 포함한다. 제1 회전부(240)와 제2 회전부(250)는 쌍을 이루며, 제1 회전축(216) 및 제2 회전축(226)이 각각 결합된다.
제1 기어판(243)은 프레임(10)에 고정된 제1 고정축(24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 기어판(243)은 그 일측에는 제1 기어치(24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회전축(216)이 결합되는 제1 연결홀(2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기어판(243)이 제1 고정축(24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 회전축(216)에 결합된 제1 풀리(212)도 제1 고정축(2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판(253)도 프레임(10)에 고정된 제2 고정축(2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 기어판(253)도 그 일측에는 제2 기어치(25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회전축(226)이 결합되는 제2 연결홀(257)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기어판(253)이 제2 고정축(25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2 회전축(226)에 결합된 제2 풀리(222)도 제2 고정축(25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기어판(243)과 제2 기어판(253)에 각각 형성된 제1 기어치(245)와 제2 기어치(255)는 서로 맞물리면서회전하면 제1 회전축(216)과 제2 회전축(226)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축(241,251)으로부터 기어치(245,255)까지의 거리와 고정축(241,251)으로부터 회전축(216,226)이 결합된 연결홀(247,257)까지의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기어판(243,253)의 기어치(245,255)와 연결홀(247,257)은 고정축(241,25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동일하더라도 고정축(241,251)으로부터의 거리가 즉 회전반경이 다르므로, 기어치(245,255)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거리와 회전축(216,226)이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거리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고정축(241,251)으로부터 기어치(245,255)까지의 거리가 고정축(241,251)으로부터 회전축(216,226)까지의 거리보다 짧다면, 기어치(245,255)의 작은 회전에 의해서도 회전축(216,226)이 민감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기어치(245,255)가 기어판(243,253)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면 회전축(216,226)에 결합된 연결홀(247,257)의 이동 거리가 한정되므로 풀리를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임부(260)는 제1 기어판(243)과 제2 기어판(2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고정축(241,251)을 중심으로 각 기어판(243,253)이 회전하도록 한다. 조임부(260)는 지지판(261), 조임나사(263) 및 체결부재(265)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판(261)은 제1 기어판(243)과 제2 기어판(253)각각에 형성된다. 조임나사(263)는 외면에 나선면이 형성되어지지판(261)들 사이를 연결한다. 체결부재(265)는 조임나사(263)의 나선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체결부재(265)는 지지판(26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한 지지판(261)에는 조임나사(263)의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다른 지지판(261)에 형성된 체결홀(267)에는조임나사(263)의 타측이 삽입되어 체결부재(265)를 조이거나 풀면 지지판(261)이 기어판(243,253)과 함께 이동한다.
탄성부재(270)는 제1 회전축(216)과 제2 회전축(226) 사이를 탄성지지한다. 기어판들(243,253)이 체결부재(265)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때, 제1 회전축(216)과 제2 회전축(226) 사이를 탄성지지하여 그 회전축들(216,226)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기어판들(243,253)의 위치가 고정될 때 제1 회전축(216)과 제2 회전축(226)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지지한다. 탄성부재(270)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끝에 스프링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도 5는 도2의 제1 절개칼과 내장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5의 내장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5의 내장제거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5의 내장제거칼의 상부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절개칼(30)은 이송부(20)를 따라 이송되는 생선(F)의 배를 절개한다. 제1 절개칼(30)은 제1 절개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판형이며, 원판 끝단을 둘러싸며제1 절개날(32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절개칼(30)은 생선(F)의 이송로의 하부의 프레임(10)에 결합된다.따라서, 생선(F)의 배가 아래방향으로 향하도록 이송되어 오면 이에 맞춰 회전하는 제1 절개칼(30)이 생선(F)의 배를절개한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절개칼(3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생선(F)의 배의 위치에 따라 제1 절개칼(30)이 설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내장제거칼(40)은 절개된 생선(F)의 배 안으로 들어가 내장을 제거한다. 따라서, 생선(F)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 절개칼(30)의 후방에 위치한다. 특히, 내장제거칼(40)은 제1 절개칼(3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가 절개된 생선(F)의 내장을 제거한다. 내장제거칼(40)은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생선(F)이 이송부(20)에 의해 내장제거칼(40)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생선(F) 배 안의 내장이 내장제거칼(40)에 의해 제거된다.
내장제거칼(40)은 선단 및 상부에 내장제거날(412)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410)와 몸체(410)의 양측에 일렬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측날부재(420)를 포함한다. 내장제거칼(40)의 전체적인 형상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몸체(410)는 생선(F)의 이송방향을 따라 긴 판형으로 제공되며, 측날부재(420)가 몸체(41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다. 몸체(410)의 선단에는 내장제거날(412)이 형성되어 있어 생선(F)이 내장제거칼(40)을 통과시 살이나 뼈에 붙은 내장을 자른다.
또한, 복수 개의 측날부재(420)는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된 측날부재(420)와 몸체(410)의 타측에 형성된 측날부재(420)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는 몸체(410)의 양측으로 있는 생선(F)의 내장이 번갈아가며 제거되기 때문에 작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측날부재(420) 각각은 돌출된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몸체(410)의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방향의 길이가 긴 측날 부재(414)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내장제거칼(40)은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는 이송방향에 따라 이송되는 생선(F)의 내장을 원활하게 제거한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내장제거칼(40)의 몸체(410)도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를 넓게 하고, 측날부재(420)의 돌출방향으로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내장제거칼(40)의 전체적인 형상을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제2 절개칼과 뼈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 절개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뼈제거칼을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뼈제거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절개칼(50)은 제2 절개축(5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판 한 쌍이 제공된다. 각 원판의 끝단의 둘레에는 제2 절개날(5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절개칼(50)은 생선(F)의 이송방향에 따라 내장제거칼(40)의 후방에 설치된다. 내장제거칼(40)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2 절개칼(50)은 내장제거칼(40)을 통과한 생선(F)의 배에 삽입되어 양측에서 뼈를 중심으로 생선(F)의 살을 절개한다.
또한, 제2 절개칼(50)은 생선(F)의 이송로의 하부의 프레임(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생선(F)의 배가 아래방향으로 향하도록 이송되어 오면 이에 맞춰 회전하는 제2 절개칼(50)이 생선(F)의 살을 절개한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생선(F)의 배의 위치에 따라 제2 절개칼(50)이 설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절개칼(50)은 생선(F)의 살을 절개하는 방향의 제2 절개날(510)의 끝단이 모아지도록 설치된다. 즉, "??" 형상이 되도록 각 제2 절개칼(50)을 기울여 설치한다. 이는 뼈에 인접하게 생선(F)의 살을 절개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뼈제거칼(60)은 생선(F)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2 절개칼(50)의 후방에 위치한다. 특히, 뼈제거칼(60)의 선단부(610)가 한 쌍의 제2 절개칼(5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절개칼(50)에 의해 양측으로 절개되는 생선(F)의 살 사이에 위치한 뼈를 뼈제거칼(60)이 밀어 제거한다. 즉, 생선(F)은 제2 절개칼(50)과 뼈제거칼(60)을 동시에 통과하면서, 살이 제2 절개칼(50)의 양측으로 절개되고 그 사이에 있는 뼈가 붙어 있는 살은 뼈제거칼(60)에 맞닿아 생선(F)으로부터 분리된다.
뼈제거칼(60)는 상부에 뼈제거날(6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뼈제거칼(60)의 선단부(610)는 뭉뚝하여 형성되고, 선단부(610)를 따라 이어지는 뒷단부(620)는 뼈제거칼(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뒷단부(620)는 뼈가 붙어 있는 살이 선단부(610)에 걸려 생선(F)으로부터 분리될 때, 생선(F)은 뼈제거칼(60)의 상부로 이동하고 분리된 살은 유선형의 뒷단부(620)을 따라 프레임(10)의 하부방향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뼈제거칼(60)의 뒷단부(620)는 제2 절개칼(50)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곡률을 가진다.
도 13은 도 2의 누름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누름 부재(70)는 생선(F)의 상부를 누르도록 형성되며, 프레임(10) 상부에 복 수개 설치된다. 특히, 누름 부재(70)는 제1 절개칼(30), 내장제거칼(40), 제2 절개칼(50) 및 뼈제거칼(60)을 향하여 설치된다. 누름 부재(70)는 생선(F)이 제1 절개칼(30) 등의 가공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생선(F)을 가공할 때, 각 구성에 진입하거나 이송할 때 생선(F)이 위로 솟구치거나 흐트리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절개칼(30)로 생선(F)이 진입하기 앞서서 누름 부재(70)로 생선(F)이 위로 솟구치는 것을 눌려주고, 내장제거칼(40) 상부에 위치하여 측날부재(420)에 의해 내장이 긁힐 때 생선(F)이 흐트러지지 못하도록 눌러주고, 제2 절개칼(50)로 생선(F)이 진입하기 전에 생선(F)이 위로 솟구치거나 흐트러지지 않도록 상부에서 눌러준다.
따라서, 누름 부재(70)는 생선(F)의 상부를 누를 때 손상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누름 부재(70)는 판스프링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탄성력을 가진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안정적으로 생선(F)을 누를 수 있도록 누르는 부분은 판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도 14는 도2의 제2 절개칼과 뼈제거칼 상부에 위치한 꼬리잘림방지부재를 이용한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꼬리잘림방지부재의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꼬리잘림방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꼬리잘림방지부재(80)는 제2 절개칼(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생선(F)의 꼬리가 잘리는 것을 방지한다. 꼬리잘림방지부재(80)는 누름판(810)과 삽입부(820)를 포함한다.
누름판(810)은 누름 부재(70)와 같이 생선(F)의 몸통 상부을 누르도록 형성된다. 즉, 꼬리잘림방지부재(80)는 누름 부재(70) 대신에 설치되어 생선(F)을 눌러주는 역할도 한다. 누름판(810)도 생선(F)의 상부를 누를 때 손상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누름판(810)도 판스프링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판스프링은 고정부에서 꺽여 누름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820)는 생선(F)의 꼬리가 삽입되도록 누름판(810)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삽입부(820)는 제1 삽입홀(821), 이동홀(823) 및 제2 삽입홀(825)을 포함하고, 제1 삽입홀(821), 이동홀(823) 및 제2 삽입홀(825)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 삽입날(827)을 가진다.
제1 삽입홀(821) 및 제2 삽입홀(825)은 이동홀(823)보다 그 너비가 넓게 형성되어 있고, 이동홀(823)은 제1 삽입홀(821)과 제2 삽입홀(825)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생선(F)의 꼬리는 제1 삽입홀(821)로 삽입되어 이동홀(823)을 따라 생선(F)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삽입홀(825)로 빠져나간다. 이 때, 누름판(810)은 생선(F)의 몸통을 누르고 있어, 생선(F)의 몸통은 누름판(810)의 하부에 맞닿으며 이동하고 생선(F)의 꼬리부분은 누름판(810) 상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꼬리잘림방지부재(80)는 누름 부재(70)와 같이 프레임(10) 상부에 고정된다. 다만, 생선(F)의 꼬리부분이 삽입되어야 잘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누름판(810)은 누름 부재(70)보다 더 아래까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제2 절개칼(50) 상부 끝단 일부가 이동홀(823)에 삽입되도록 꼬리잘림방지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뼈제거칼(60)에 인접한 위치에 꼬리잘림방지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판(810)은 제2 삽입홀(825)이 형성된 끝단이 상부로 휘어져 올라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생선(F)의 꼬리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꼬리가 제2 절개칼(50)에 닿지 않고 생선(F)이 뼈제거칼(6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부(E)는 뼈와 내장이 제거된 생선(F)을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부(E)는 생선(F)의 이송방향을 따라 뼈제거칼(60)의 후방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뼈제거칼(60)의 후방에 이송부(20)의 끝단의 풀리(212,222)를 설치하여 생선(F)이 배출부(E)를 통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도 17은 도2의 덮개부의 작동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2 및 도17을 참조하면, 덮개부(90)는 프레임(10)상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덮개부(90)는 프레임(10) 상부를 덮는 덮개판(910), 덮개판(910)의 일측에 설치된 덮개판 회전축(920), 덮개판(910)과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930)를 포함한다.
덮개부(90)는 덮개판(91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덮개판 회전축(9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덮개판(910)의 일측에 손잡이(9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덮개판 회전축(920)이 지지 플레이트(930)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 플레이트(930)는 덮개판(910)에 연결되고, 덮개판 회전축(920)과 결합홀(936)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덮개판(910)은 지지 플레이트(930)에 의해 덮개판 회전축(920)과 결합되어 덮개판 회전축(9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덮개판(910)은 이송부(20)의 간결조절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930)는 덮개판(910)과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밑바닥면에는 프레임(10)과 결합되는 결합돌기(932) 및 결합홈(934)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판(910)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덮개판 회전축(920)을 감싸는 지지 플레이트(930)의 일부면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덮개판(9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덮개판(910)이 덮개판 회전축(9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덮개판(910)에 결합된 간격조절부(23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D)는 이송부(20)의 풀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M)를 포함하여 생선(F) 가공 장치(1)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모터(M)는 제1 절개칼(30) 및 제2 절개칼(50)을 회전시키는 데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터(M)는 이송부(20)의 풀리뿐 만 아니라 제1 절개칼(30)과 제2 절개칼(50)을 구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구동부(D)는 구동 모터(M)에서 발생한 동력을 제2 절개칼(50)의 제2 절개축(510)과 동력축(S)을 연결하여 제2 절개칼(50)에 전달하고, 제2 절개축(510)과 제1 절개축(310)을 연결하여 제1 절개칼(30)에 전달한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여, 이송부(20), 제1 절개칼(30) 및 제2 절개칼(50)을 각각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선 가공 장치에 의해 생선을 가공하는 모습은 다음과 같다.
생선(F)은 제1 절개칼(30)까지 이어져 있는 투입용 이송판(I)에 의해 지지되고 이송부(20)의 벨트부재들(214,224) 사이에 접하면서 이송된다. 제1 절개칼(30) 전방의 상부에 설치된 누름 부재(70)는 생선(F)의 몸통 상부를 눌러 생선이 제1 절개칼(30)에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도와준다. 제1 절개칼(30)은 회전하면서 생선의 배를 절개하고, 절개된 배 내부에 내장제거칼(40)이 삽입된다. 복수 개의 측날부재(420)는 순차적으로 생선(F)의 배 내부에 있는 내장을 제거한다. 이 때 내장제거칼(40) 상부에서 누름 부재(70)들이 생선(F)의 몸통 상부를 눌러 생선(F)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생선(F)은 내장제거칼(40)를 따라 이송되면서 한 쌍의 제2 절개칼(50)에 진입하게 된다. 제2 절개칼(50)에 인접한 내장제거칼(40) 끝단은 생선(F)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한 쌍의 제2 절개칼(50)은 뼈를 중심으로 살을 양측으로 절개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절개칼(50)은"??"형상으로 생선(F)의 내부를 절개한다. 뼈제거칼(60)은 제2 절개칼(50)에 의해 양측으로 절개된 생선(F) 살 사이의 뼈가 있는 살을 밀어 생선(F)으로부터 분리한다. 생선(F)은 그 꼬리가 꼬리잘림방지부재(80)의 제1 삽입홀(821)에 삽입되어 이동홀(823)을 따라 이동한 후 제2 삽입홀(825)로 빠져 나와 제2 절개칼(50)에 잘리지 않고 뼈제거칼(60)을 따라 이송한다.
마지막으로, 뼈와 내장이 제거된 생선(F)은 각 측의 제2 절개칼(50)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져지고, 이후 뼈제거칼(60)을 따라 배출부(E)로 이송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생선 가공 장치
10: 프레임
20: 이송부
210: 제1 컨베이어 벨트
212: 제1 풀리 214: 제1 벨트부재
216: 제1 회전축
220: 제2 컨베이어 벨트
222: 제2 풀리 224: 제2 벨트부재
226: 제2 회전축
230: 간격조절부
240: 제1 회전부
250: 제2 회전부
30: 제1 절개칼 40: 내장제거칼
50: 제2 절개칼 60: 뼈제거칼
70: 누름부재 80: 꼬리잘림방지부재
90: 덮개부

Claims (1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생선의 몸통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생선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생선의 배를 절개하는 제1 절개칼;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절개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절개된 상기 생선의 배 내부의 내장을 제거하는 내장제거칼;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내장제거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생선의 절개된 배에 삽입되어 양측에서 뼈를 중심으로 상기 생선의 살을 절개하는 한 쌍의 제2 절개칼;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절개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개칼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양측으로 절개되는 생선의 살 사이에 위치한 뼈를 밀어 제거하는 뼈제거칼; 및
    상기 제2 절개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생선의 몸통 상부을 누르는 누름판과, 상기 생선의 꼬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누름판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꼬리잘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잘림방지부재의 삽입부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보다 너비가 좁고 긴 형상을 가지는 이동홀을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제2 삽입홀이 형성된 끝단이 상부방향으로 위로 올라가도록 형성된 생선 가공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제거칼은
    선단 및 상부에 내장제거날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에 일렬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측날부재를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측날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측날부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측날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생선 가공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측날부재 각각은 돌출된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된 방향의 길이가 긴 측날부재가 배치되는 생선 가공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뼈제거칼은
    뭉뚝한 선단부와 상기 선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유선형의 뒷단부를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부에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생선의 몸통 상부를 탄성적으로 눌러주는 판스프링의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뼈제거칼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뼈가 제거된 생선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제1 회전축이 결합된 복수 개의 제1 풀리들과, 상기 제1 풀리들을 연결하는 제1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제2 회전축이 결합된 복수 개의 제2 풀리들과, 상기 제2 폴리들을 연결하는 제2 벨트부재를 포함하고,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이격되어 상기 생선의 이송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회전축들 및 제2 회전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1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생선의 이송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제1 고정축과, 상기 제1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제1 기어치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제1 기어판이 포함된 제1 회전부;
    제2 고정축과, 상기 제2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제2 기어치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회전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제2 기어판이 포함되고, 상기 제2 기어치는 상기 제1 기어치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1 기어판 및 상기 제2 기어판 각각에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들 사이를 연결하고 외면에 나선면이 형성된 조임나사, 및 상기 조임나사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판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임부;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프레임 상부를 덮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을 회전시키는 덮개판 회전축; 및
    상기 덮개판 회전축과 상기 덮개판를 연결하여 상기 덮개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생선 가공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상부에 상기 이송부의 간격조절부가 결합되는 생선 가공 장치.
KR1020150031716A 2015-03-06 2015-03-06 생선 가공 장치 KR10165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716A KR101659804B1 (ko) 2015-03-06 2015-03-06 생선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716A KR101659804B1 (ko) 2015-03-06 2015-03-06 생선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768A KR20160108768A (ko) 2016-09-20
KR101659804B1 true KR101659804B1 (ko) 2016-10-04

Family

ID=5710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716A KR101659804B1 (ko) 2015-03-06 2015-03-06 생선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293A (ko) 2017-05-08 2018-11-16 부의식 참치 살코기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190B1 (ko) * 2018-11-30 2021-02-23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생선절단장치
CN109730130A (zh) * 2019-01-17 2019-05-10 珠海市之山水产发展有限公司 一种去鳞机
CN109874853A (zh) * 2019-04-04 2019-06-14 广东志伟妙卓智能机械制造有限公司 杀鱼机
KR102184209B1 (ko) * 2019-09-09 2020-11-27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펀칭기
KR102344376B1 (ko) * 2019-11-21 2021-12-29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생선비늘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50A (ja) 2000-05-08 2001-11-13 Nippon Fillester Co Ltd 魚体処理装置
KR200437167Y1 (ko) 2006-12-05 2007-11-08 양희창 생선의 내장제거 및 뼈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55Y2 (ko) * 1987-09-24 1993-05-26
JP3037532B2 (ja) * 1992-07-15 2000-04-24 株式会社ニッコー 魚の内臓物取り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51820B1 (ko) 2006-08-24 2007-08-23 진우용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50A (ja) 2000-05-08 2001-11-13 Nippon Fillester Co Ltd 魚体処理装置
KR200437167Y1 (ko) 2006-12-05 2007-11-08 양희창 생선의 내장제거 및 뼈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293A (ko) 2017-05-08 2018-11-16 부의식 참치 살코기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768A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804B1 (ko) 생선 가공 장치
KR102140809B1 (ko) 생선 가공장치
KR101774998B1 (ko)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100751820B1 (ko)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KR100963445B1 (ko)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EP0118963A1 (en) Device for removing, in pieces, the meat from breast of slaughtered poultry
US5429548A (en) Multiple drive press roller and slicer apparatus and method
EP2965633A1 (en) Crab shelling device
US4590643A (en) High yield gizzard harvesting apparatus
CN211064988U (zh) 一种辣椒自动去把装置
KR101838940B1 (ko) 게 가공용 탈갑 및 절단 분리기
RU2576068C1 (ru) Способ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го удаления межмышечных костей из филейных частей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х ры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9609882B2 (en) Apparatus for removing bones from fish meat
DK151762B (da) Apparat til fjernelse af hovedet og de hermed sammenhaengende indvolde fra fisk.
CN85102738B (zh) 剥皮机
KR101617417B1 (ko) 식재료 절단 장치
KR20150032047A (ko) 어류 필렛 머신
WO2015041511A1 (es) Maquina para procesar mangos
KR101576572B1 (ko) 미꾸라지 가공장치
JP5584926B2 (ja) 魚体処理システム
JP2000083578A (ja) 魚体の身割り前処理方法及び前処理機
DK143833B (da) Apparat til behandling af saltet krydret eller paa anden maade tilberedt fisk,fortrinsvis sild
FI87300B (fi) Saett att avlaegsna huden pao dubbelfileer och 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saettet.
JPH0257893B2 (ko)
KR102028153B1 (ko)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