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802B1 -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802B1
KR101658802B1 KR1020140195494A KR20140195494A KR101658802B1 KR 101658802 B1 KR101658802 B1 KR 101658802B1 KR 1020140195494 A KR1020140195494 A KR 1020140195494A KR 20140195494 A KR20140195494 A KR 20140195494A KR 101658802 B1 KR101658802 B1 KR 101658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wheel
support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539A (ko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한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9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8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0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1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핸들, 핸들이 장착된 핸들프레임을 구비한 핸들부;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부재,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양측부가 각각 핸들프레임과 슬라이딩부재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이드바를 구비한 지지부; 지지프레임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장착된 제1전륜과 제1후륜을 구비한 바퀴부;를 구비한 접이식 적재기구를 동력장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작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본 발명은 적재기구 및 전동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하기 편하게 접을 수 있는 적재기구와, 이를 전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일르 이용한 전동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리어는 물품을 싣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넓은 의미로 쇼핑용 카트 또는 유아용 유모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에는 구매한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바구니가 구비되고, 유모차에는 아기를 앉힐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된다. 여기서, 종래의 유모차에 대한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1호(발명의 명칭 : 유모차)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과 후륜을 구비한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시트(11)와, 몸체(10)를 밀 수 있도록 장착된 핸들(12)을 구비한다. 또한, 몸체(10)와 전륜(13) 또는 후륜(14)의 결합부위 및, 몸체(10)와 핸들(12)의 결합부위에는 측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5)와, 스프링(16)과 손잡이부재(18)를 통해 고정부재(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부재(18)를 당기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고정부재(17)가 축회전하면, 고정부재(17)와 회전부재(15)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15)를 회전시킨 후, 손잡이부재(18)를 놓으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7)가 원위치로 축회전하여 고정부재(17)와 회전부재(15)가 다시 체결된다. 이때, 회전부재(15)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10)에 대해 전륜(13) 또는 후륜(14)이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핸들(111)이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6호(발명의 명칭 :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를 보면, 도 1c에서와 같이 몸체(10)와 시트 장착부는 고정홈(20)을 구비하면서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1), 고정홈(20)과 체결되도록 스프링(16)과 손잡이부재(18)를 통해 설치된 고정부재(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부재(18)를 당기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고정부재(17)가 축회전하여 고정홈(20)과의 체결이 해제되고, 회전축(21)을 회전시킨 후 손잡이부재(18)를 놓으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7)가 원위치로 축회전하여 고정부재(17)와 회전축(21)이 다시 체결된다. 이때, 회전축(21)을 회전시킴으로써, 몸체(10)에 대해 시트(11)가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b의 회전부재(15)와 고정부재(17), 도 1c의 회전축(21)과 고정부재(17) 간의 결합력은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전적으로 의지하게 되므로, 스프링(16) 하나가 파손 또는 녹이 슬어 탄성력이 저하되면 전륜(13), 후륜(14), 핸들(12) 및 시트(11)의 회전 기능이 무력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1호(2012.03.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6호(2012.03.29. 공개)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 제2989-0005134호(1989.08.02.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프레임들이 상호 링크방식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인줄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고, 이 접힘 및 펼침 동작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적재기구는, 핸들, 핸들 이 장착된 핸들프레임을 구비한 핸들부;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부재,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양측부가 각각 핸들프레임과 슬라이딩부재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이드바를 구비한 지지부;와 지지프레임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장착된 제1전륜과 제1후륜을 구비한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지지부는 슬라이딩부재에 일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이 가이드부재의 타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가이드부재가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부재를 당기거나 밀면 지지부재가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퀴부는 지지부재의 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전륜이 체결된 전륜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지지부재가 축회전하면 측면상 전륜프레임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륜프레임은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지지프레임에 장착되거나 지지프레임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에 장착되고, 다수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경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거나 제1몸체에 장착된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또한, 바퀴부는 지지프레임의 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후륜이 체결된 제1후륜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제1후륜프레임에 장착된 제3몸체, 일측부가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에 고정되면서 타측부가 제3몸체 또는 제1후륜프레임에 고정된 제2후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후부에 고정되면서 제1후륜프레임이 장착된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핸들부는 핸들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핸들프레임, 제1핸들프레임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핸들프레임, 제2핸들프레임에 장착된 적재프레임과, 제2핸들프레임의 일측부가 고정되면서 지지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3핸들프레임을 구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적재프레임은, 제2핸들프레임에 대해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회전몸체, 제2핸들프레임에 높이 방향으로 장착된 고정마찰부재와, 제1회전몸체가 회전하면 고정마찰부재와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호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제1회전몸체의 내면과 고정마찰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수단;과 제2핸들프레임에 대해 축회전하면서 제1회전몸체와 결합된 제2회전몸체, 제2회전몸체의 선단측부위에 적재부재와 장착되는 받침부재, 제2핸들프레임의 외주면에 가공된 고정홈, 고정홈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도록 벌려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제작되어 제2회전몸체에 내장된 고정부재, 고정부재를 벌리거나 오므라들도록 동작시켜 고정홈과 체결 또는 체결 해제시키도록 설치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재기구를 구비한 전동캐리어는 상술된 적재기구;와 적재기구를 이동시키도록 동력부, 동력부에 의해 운동하도록 설치된 바퀴부, 동력부와 바퀴부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이 메인바디와 적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부는 바퀴부를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 이 동력원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도록 설치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부는 메인바디의 하부에 장착되어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바퀴부의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구름 운동을 증감시키도록 설치된 가속기,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구름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치된 제동기와,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력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구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는 메인바디와, 적재기구의 일부위 또는 제2몸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이 연결프레임을 메인바디 또는 적재기구의 일부위 또는 제2몸체에 착탈 또는 축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부가 지지부에 대해 축회전하고, 전륜이 지지부에 대해 축회전하여 접음으로써, 보관시 적재기구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핸들부의 축회전과 더불어 전륜이 접히도록 축회전함으로써, 접기 편리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부가 접히면서 지지부의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면서 지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접거나 펴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핸들부가 및 지지부에 대해 견고히 지지되면서 축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프레임이 핸들부의 핸들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또는 축회전함으로써, 적재프레임에 장착되는 적재부재의 높낮이 및 축회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접은 상태에서 적재프레임을 축회전시켜 접은 상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재기구를 동력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a는 종래의 유모차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b와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몸체와, 바퀴 또는 핸들 또는 시트의 결합부위의 작동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가 도시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바퀴 프레임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적재기구가 접히는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적재기구>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가 도시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핸들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바퀴 프레임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기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10), 지지부(120)와 바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재기구(100)는 받침부재(114d)에 적재부재(미도시)를 착탈하도록 제작되고, 받침부재(114d)에 적재부재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적재기구(100)가 일 예로 유모차인 경우 적재부재는 아기가 탑승하는 시트(seat)가 되고, 다른 예로 카트인 경우 적재부재는 물품을 담는 바구니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적재기구(100)는 유모차 또는 카트에 한정하지 않고,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기구나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기구를 통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재 역시 유모차의 시트 또는 카트의 바구니에 한정하지 않고,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이 적재되는 통상의 부재를 통칭할 수 있다.
핸들부(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1), 제1핸들프레임(112), 제2핸들프레임(113), 적재프레임(114)과, 제3핸들프레임(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핸들(111)은 대략 평면상 폐도형의 형상이고, 제1핸들프레임(112)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 핸들(111)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핸들프레임(112)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물론, 핸들(111)은 축회전시 측면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일정 각도 단위로 축회전하여 고정 가능하고, 제1핸들프레임(112)과 접촉하는 정도의 각도가 최대 축회전 각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핸들프레임(112)은 상부에 핸들(111)이 장착되고, 기타 부위가 제2핸들프레임(113)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1핸들프레임(112)은 제2핸들프레임(113)에 삽입되는 경우, 핸들(111)과의 결합부위까지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제1핸들프레임(112)은 일정 길이만큼 삽입 또는 인출된 후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핸들프레임(112)이 제2핸들프레임(113)에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핸들부(110)의 전체 길이가 조정된다.
또, 제2핸들프레임(113)은 상부에 제1핸들프레임(112)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장착되고, 하부가 제3핸들프레임(115)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핸들프레임(113)에는 적재프레임(114)이 장착된다. 이 적재프레임(114)은 제2핸들프레임(113)을 따라 승/하강하고,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축회전(도 6c 참조)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적재프레임(114)은 제1회전몸체(114a)와 제2회전몸체(11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회전몸체(114a)는 승/하강수단과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승/하강수단은 제2핸들프레임(113)을 중심으로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회전몸체(114a)를 포함한다. 또한, 승/하강수단은 제2핸들프레임(113)의 외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부착된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 제1회전몸체(114a)의 회전에 의해 고정마찰부재(114b)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도록 제1회전몸체(114a)의 내면과 고정마찰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마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회전몸체(114a)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위가 직경이 다르게 경사져 가공되고, 이를 통해 제1회전몸체(114a)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동마찰부재가 상호 밀착하여 체결되거나 상호 이격되어 체결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회전몸체(114a)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동마찰부재를 이격시킨 후 적재프레임(114)을 승/하강시키고, 다시 제1회전몸체(114a)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고정마찰부재(114b)와 이동마찰부재를 밀착 및 체결시켜 적재프레임(114)을 승/하강된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회전수단은 제2핸들프레임(113)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면서 제1회전몸체(114a)와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되도록 설치된 제2회전몸체(114c)를 포함한다. 이 제2회전몸체(114c)의 선단측 부위에는 적재부재가 착탈되는 받침부재(114d)가 설치된다. 또한, 회전수단은 제2회전몸체(114c)가 제2핸들프레임(113)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제2회전몸체(114c) 내부에 설치된 고정부재(미도시)와, 고정부재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된 작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벌려지거나 오므라들도록 동작하면서 제2핸들프레임(11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가공된 고정홈(미도시)에 수용되거나 이탈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작동부재를 이동시켜 고정부재와 고정홈의 체결을 해제시킨 후 제2회전몸체(114c)를 축회전시키고, 다시 작동부재를 원위치시켜 고정부재와 고정홈을 체결시켜 제2회전몸체(114c)를 축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3핸들프레임(115)은 상부에 제2핸들프레임(113)이 고정되고, 하부가 후술된 지지프레임(121,도 4 참조))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핸들프레임(115)의 일부위에 후술된 가이드바(123,도 4 참조)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지지부(12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1), 슬라이딩부재(122), 가이드바(123), 지지부재(124)와 가이드부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지지프레임(121)은 전부(前部)에 제1전륜(131)과 제3핸들프레임(115)이 축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후부에 제1후륜(132)이 장착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21)에는 외주면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슬라이딩부재(122)가 장착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재(122)는 지지프레임(121)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일부위에 가이드바(123)의 일단측 부위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며, 타부위에 가이드부재(125)의 일단측 부위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가이드바(123)는 일단측 부위가 슬라이딩부재(122)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면서 타단측 부위가 제3핸들프레임(115)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가이드바(123)는 제3핸들프레임(115)이 후방(이하, '후방'은 제1후륜(132)측 방향을 지칭한다)으로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부재(122)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슬라이딩부재(122)가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 지지부재(124)는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면서 가이드부재(125)의 타단측 부위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지지부재(124)는 일 예로, 대략 "ㄷ"자 형상이고, 도면상 대략 상방향으로는 수평을 이루는 정도까지 축회전되며, 하방향으로는 가이드부재(125)가 후방으로 이동한 만큼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 지지부재(124)의 양측 단부를 관통하여 후술된 전륜프레임(131a)이 장착되고,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면 전륜프레임(131a)이 측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13)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지지부재(124)의 형상은 일자 형상일 수도 있고, "ㄴ"자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일측부가 지지프레임(121)에 직접 장착되거나 제1몸체(126)에 장착되어 가이드부재(125)의 이동에 의해 축회전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25)는 일단측 부위가 슬라이딩부재(122)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고, 타단측 부위가 지지부재(124)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 가이드부재(125)는 일 예로, 대략 "ㄴ"자 형상이고, 슬라이딩부재(122)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양측부는 슬라이딩부재(122)와 지지부재(124)에 대해 축회전한다. 물론, 가이드부재(125)는 일자 형상일 수도 있고, "ㄷ"자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일측부가 슬라이딩부재(122)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부재(122)와 함께 이동하면서 지지부재(124)를 축회전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구성된 지지부(120)는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제3핸들프레임(115) 즉, 핸들부(110)가 후방(제1후륜(132)측 방향)으로 축회전할 때 이를 지지하게 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제3핸들프레임(115)이 후방으로 축회전하면서 가이드바(123)를 밀면, 가이드바(123)가 슬라이딩부재(122)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때 가이드부재(125)가 함께 이동하면서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4)의 축회전과 더불어 전륜프레임(131a)이 측면상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131)이 접힌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의 연계 동작으로 인해 제3핸들프레임(115) 즉, 핸들부(110)가 후방으로 축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물론, 핸들부(110)가 후방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전방(제1전륜(131)측 방향)으로 축회전할 때, 각 가이드바(123), 슬라이딩부재(122), 가이드부재(125)와 지지부재(124)는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호 연계 동작하게 되고, 또한 전륜(13)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펼쳐진다.
여기서, 지지부(120)는 바퀴부(130)를 지지프레임(121)에 장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장착된 제1몸체(126)와, 후부에 장착된 제2몸체(1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를 배제할 수도 있고, 이들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가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고정 또는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몸체(126)는 대략 "ㄷ"자 형상인 지지부재(124)의 양측단부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제3핸들프레임(115)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제2몸체(127)에는 제1후륜프레임(132b)이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이때 제1후륜프레임(132b)은 지지프레임(121)을 관통하지 않고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의 바퀴부(130) 설명에서는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가 구비된 상태에서의 구조를 토대로 설명하지만, 제1몸체(126)와 제2몸체(127)를 배제한 채 지지프레임(121)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바퀴부(130)는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장착된 제1전륜(131)과, 후부에 장착된 제1후륜(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전륜(131)은 지지프레임(121)의 전방에 위치하고,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 제1전륜(131)은 제1몸체(126)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대략 "ㄷ"자 형상인 지지부재(124)의 양측 단부를 관통하는 전륜프레임(131a)이 설치되고, 이 전륜프레임(131a)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전륜프레임(131a)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호 분리되어 장착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륜프레임(131a)이 다수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진 경우 제1몸체(126)에 연결부재(131b)를 통해 장착될 수 있고, 이때 연결부재(131b)는 지지부재(124)의 양측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륜(131)은 제1몸체(126)에 대해 후방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물론, 전륜프레임(131a)은 제1몸체(126)가 배제된 채 지지프레임(121)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22)와 더불어 가이드부재(125)가 이동하면 제1몸체(126)에 대해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게 되고, 연결부재(131b) 또는 전륜프레임(131a)이 측면상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륜(131)이 접히거나 펼쳐진다. 물론, 지지부재(124)와 별개로 연결부재(131b) 또는 전륜프레임(131a)이 설치될 수도 있고, 따라서 지지부재(124)의 축회전과 전륜(13)의 접힘과 펼침은 상호 별개의 동작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후륜(132)은 지지프레임(121)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1후륜(132)의 구름 운동 중심 축에 장착된 제3몸체(132a), 지지프레임(121)의 후부에 장착된 제2몸체(127)를 관통하면서 제3몸체(132a)에 장착된 제1후륜프레임(132b)과, 제1몸체(126)에 장착되며서 제3몸체(132a)를 관통하여 제1후륜(132)에 장착된 제2후륜프레임(132c)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후륜(132)은 고정된 구조로 제3몸체(132a), 제1후륜프레임(132b)과 제2후륜프레임(132c)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다. 여기서, 제3몸체(132a)가 배제된 채 제1후륜프레임(132b)의 양측부에 제1후륜(132)이 장착되고, 제2후륜프레임(132c)의 일단측 부위가 제1후륜프레임(132b)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접힘 동작>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적재기구가 접히는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적재기구(100)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와 같이 접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적재기구(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물론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동작은 접힘 동작과는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적재기구(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3핸들프레임(115) 즉, 핸들부(110)가 후방으로 축회전한다. 이처럼 제3핸들프레임(115)은 제1몸체(126)에 대해 후방으로 축회전하면, 가이드바(123)가 슬라이딩부재(122)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물론, 가이드바(123)는 제3핸들프레임(115)과 슬라이딩부재(122)에 대해 축회전하게 된다. 이후, 슬라이딩부재(122)가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부재(125)를 이동시킨다. 이 가이드부재(125)의 이동과 함께 지지부재(124)가 제1몸체(126)에 대해 하방으로 축회전한다. 또한, 제1전륜(131)을 후방으로 축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핸들부(110)가 접힘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핸들프레임(112)을 제2핸들프레임(113)에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또한, 핸들(111)을 상방으로 축회전시켜 제2핸들프레임(113)과 접촉시킨다. 여기서, 제1회전몸체(114a)를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의 체결을 해제한 다음, 적재프레임(114)을 최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후, 다시 제1회전몸체(114a)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끝으로, 제2회전몸체(114c)를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의 체결을 해제한 다음, 적재프레임(114)을 눕히도록 회전시킨다. 이후, 다시 제2회전몸체(114c)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여 적재기구(100)를 최소의 크기로 접힌 상태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술된 접힘 순서는 상호 바뀌어도 무관하다. 또한, 이렇게 접힌 상태의 적재기구(100)를 다시 펼치는 순서는 반대로 이루어지고, 역시 그 순서는 상호 바뀌어도 무관하다.
<전동 캐리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는 도 7에서 보듯이, 상술된 적재기구(100)와, 이 적재기구(100)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여기서, 적재기구(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동력장치(200)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210), 동력부(220), 바퀴부(230)와 연결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동력장치(200)는 접히거나 펼칠 수 있도록 제작된 적재기구(100)를 전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적재기구(100)에 연결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메인바디(210)는 동력부(220)의 배터리(221)와 바퀴부(230)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이 메인바디(210)는 일 예로, 도 8에서와 같이 상부바디(211)와 하부바디(212)의 체결로 이루어진다. 이 메인바디(210)에 배터리(221)와 제어기(223)가 내장되고, 하부에 바퀴부(230)가 장착되며, 전부(前部)에 연결부(240)가 장착된다. 또한, 메인바디(210)에는 동력장치(200)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속기 및 제동기가 설치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동력부(220)는 바퀴부(230)를 구동시키는 장치로, 배터리(221), 전원스위치(미도시), 동력원(222), 가속기(미도시), 제동기와 제어기(223)를 구비한다.
여기서, 배터리(221)는 동력원(222)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설치되면서 제어기(223)에 의해 제어되도록 메인바디(210)에 내장된다.
또한, 전원스위치는 배터리(221)의 전기를 동력원(222)에 전달 또는 단절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전원스위치는 버튼 형태, 일반 스위치 형태 또는 열쇠를 꽂아 돌리는 방식의 구조일 수 있다. 전원스위치는 이러한 구조의 형태에 따라 적재기구(100)의 핸들(111)부위나 동력장치(200)의 메인바디(210) 등을 포함한 적재기구(100)의 어느 곳에 무방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동력원(222)은 메인바디(210)에 내장되면서 바퀴부(230)의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을 직접 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메인바디(210)에 내장되면서 체인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해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을 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동력원(222)은 일 예로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가속기 또는 제동기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제어기(223)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가속기는 일 예로 가속패달(pedal) 형태의 구조일 수도 있고,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방식인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레버(lever)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가속패달을 밟거나 레버를 당겨 동력장치(200)의 이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동기의 경우 차량용 브레이크 방식이 차용될 수도 있고, 일 예로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와 밀착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210)에 별도의 제동부재(21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동부재(213)에 외력을 가하여 제동부재(213)가 축회전하면서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에 밀착됨으로써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일 예로, 제동부재(213)는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제2후륜(232) 모두에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이때 제2후륜(232)들은 상호 동일 구름 운동을 하도록 연결축(미도시)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제동부재(213)에 외력을 가하여 어느 하나의 제2후륜(232)의 회전이 감속하면 다른 하나의 제2후륜(232) 역시 동일하게 감속 회전함으로써, 동력장치(200)가 정지하게 된다. 한편,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작동이 제어기(223)를 거쳐 동력원(222)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가속기와 제동기 및, 제어기가 배제되고, 항상 일정한 속도로만 동력장치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기(223)는 메인바디(210)에 내장되면서 전원스위치, 동력원(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기(223)는 전원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222)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절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기(223)가 가속기와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가속기와 제동기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222)의 출력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바퀴부(230)는 메인바디(210)의 전부와 후부에 장착된 적어도 1개의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을 구비한다. 일 예로, 바퀴부(230)는 1개의 제2전륜(231)과 2개의 제2후륜(232)으로 이루어지고, 이외에도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이 2개의 제2전륜(231)과 1개의 제2후륜(232), 2개의 제2전륜(231)과 2개의 제2후륜(232) 또는 3개 이상의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은 메인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 중 어느 바퀴는 동력원(222)에 의해 구름 운동하는 구동바퀴가 되고, 다른 바퀴는 종동바퀴가 된다. 물론,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 모두 구동바퀴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퀴부(230)는 제2전륜(231)과 제2후륜(232) 이외에도 보조 바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1개의 제2전륜(231)을 구비한 경우, 제2전륜(231)은 별도의 매개부재(233)를 통해 메인바디(210)에 장착된다. 또한, 제2후륜(232)이 구동바퀴인 경우, 2개의 제2후륜(232)들은 동일 구름 운동을 하도록 연결축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동력원(222)의 구동력이 2개의 제2후륜(232)에 전달되고, 1개의 제2후륜(232)에 제공된 제동력이 다른 제2후륜(232)에도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240)는 동력장치(200)와 적재기구(1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프레임(241)과 고정핀(242)을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프레임(24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메인바디(210)의 전부(前部)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연결프레임(241)은 적재기구(100)의 일부위 즉, 일 예로 제2몸체(127)와 고정핀(242)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연결프레임(241)은 적재기구(100) 또는 메인바디(21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고, 양측 모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241)은 적재기구(100) 또는 동력장치(2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는 주행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적재기구
110:핸들부
111:핸들
112:제1핸들프레임
113:제2핸들프레임
114:적재프레임
114a:제1회전몸체
114b:고정마찰부재
114c::제2회전몸체
114d:받침부재
115:제3핸들프레임
120:지지부
121:지지프레임
122:슬라이딩부재
123:가이드바
124:지지부재
125:가이드부재
126:제1몸체
127:제2몸체
130:바퀴부
131:전륜
131a:전륜프레임
131b:연결부재
132:후륜
132a:제2몸체
132b:제2후륜프레임
132c:제3후륜프레임
200:동력장치
210:메인바디
211:상부바디
212:하부바디
213:제동부재
220:동력부
221:배터리
222:동력원
223:제어기
230:바퀴부
231:전륜
232:후륜
233:매개부재.

Claims (11)

  1. 핸들(111), 핸들(111)이 장착된 핸들프레임을 구비한 핸들부(110);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지지프레임(121), 지지프레임(121)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부재(122), 핸들프레임이 축회전하면 슬라이딩부재(122)를 이동시키도록 양측부가 각각 핸들프레임과 슬라이딩부재(122)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이드바(123)를 구비한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장착된 제1전륜(13)과 제1후륜(14)을 구비한 바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축회전하는 가이드바(123)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2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는 슬라이딩부재(122)에 일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25)와, 이 가이드부재(125)의 타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124)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25)가 슬라이딩부재(122)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부재(124)를 당기거나 밀면 지지부재(124)가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130)는 지지부재(124)의 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전륜(13)이 체결된 전륜프레임(131a)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124)가 축회전하면 측면상 전륜프레임(131a)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륜(13)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프레임(131a)은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지지프레임(121)에 장착되거나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126)에 장착되고, 다수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경우 지지프레임(121)에 고정되거나 제1몸체(126)에 장착된 연결부재(131b)에 의해 상호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130)는 지지프레임(121)의 후부에 장착되면서 양측부에 후륜(14)이 체결된 제1후륜프레임(132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후륜프레임(132b)에 장착된 제3몸체(132a), 일측부가 지지프레임(121) 또는 지지프레임(121)의 전부에 고정된 제1몸체(126)에 고정되면서 타측부가 제3몸체(132a) 또는 제1후륜프레임(132b)에 고정된 제2후륜프레임(132c)과, 지지프레임(121)의 후부에 고정되면서 제1후륜프레임(132b)이 장착된 제3몸체(12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적재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10)는 핸들(111)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핸들프레임(112), 제1핸들프레임(112)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핸들프레임(113), 제2핸들프레임(113)에 장착된 적재프레임(114)과, 제2핸들프레임(113)의 일측부가 고정되면서 지지프레임(121)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3핸들프레임(115)을 구비하는 적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114)은,
    상기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회전몸체(114a), 제2핸들프레임(113)에 높이 방향으로 장착된 고정마찰부재(114b)와, 제1회전몸체(114a)가 회전하면 고정마찰부재(114b)와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호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제1회전몸체(114a)의 내면과 고정마찰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2핸들프레임(113)에 대해 축회전하면서 제1회전몸체(114a)와 결합된 제2회전몸체(114c), 제2회전몸체(114c)의 선단측부위에 적재부재와 장착되는 받침부재(114d), 제2핸들프레임(113)의 외주면에 가공된 고정홈, 고정홈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도록 벌려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제작되어 제2회전몸체(114c)에 내장된 고정부재, 고정부재를 벌리거나 오므라들도록 동작시켜 고정홈과 체결 또는 체결 해제시키도록 설치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적재기구.
  8. 전동 캐리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재기구(100);와
    상기 적재기구(100)를 이동시키도록 동력부(220), 동력부(220)에 의해 운동하도록 설치된 바퀴부(230), 동력부(220)와 바퀴부(230)가 장착된 메인바디(210)와, 이 메인바디(210)와 적재기구(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를 구비한 동력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220)는 바퀴부(230)를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222), 이 동력원(22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배터리(221)와, 배터리(221)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도록 설치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220)는 메인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동력원(222)에 의해 구동하는 바퀴부(230)의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구름 운동을 증감시키도록 설치된 가속기,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구름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치된 제동기와,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력부(2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륜(231) 또는 제2후륜(232)의 구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22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40)는 메인바디(210)와, 적재기구(100)의 일부위 또는 제3몸체(127)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41)과, 이 연결프레임(241)을 메인바디(210) 또는 적재기구(100)의 일부위 또는 제3몸체(127)에 착탈 또는 축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2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KR1020140195494A 2014-12-31 2014-12-31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KR101658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94A KR101658802B1 (ko) 2014-12-31 2014-12-31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94A KR101658802B1 (ko) 2014-12-31 2014-12-31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39A KR20160081539A (ko) 2016-07-08
KR101658802B1 true KR101658802B1 (ko) 2016-09-23

Family

ID=5650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494A KR101658802B1 (ko) 2014-12-31 2014-12-31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7883B (zh) * 2017-05-16 2023-02-17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CN107972720B (zh) * 2017-11-28 2021-01-05 浙江多宝贝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采用电动自动折叠的婴儿手推车
CN109017956A (zh) * 2018-09-18 2018-12-18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一种推车车架
KR102297086B1 (ko) * 2020-05-20 2021-09-0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KR102415226B1 (ko) 2021-11-15 2022-06-29 최예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4461A1 (en) 1994-05-16 1995-12-21 Carlo Cianchetti A collapsible scooter
KR200437589Y1 (ko) 2007-02-02 2007-12-13 박태규 휴대용 보행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765B1 (ko) 2006-04-03 2010-10-26 터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데이터 취득 또는 이용 디바이스에 원격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30626A (ko)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
KR20120030621A (ko)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4461A1 (en) 1994-05-16 1995-12-21 Carlo Cianchetti A collapsible scooter
KR200437589Y1 (ko) 2007-02-02 2007-12-13 박태규 휴대용 보행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39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802B1 (ko)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CA2736129C (en) Collapsible stroller
KR101527487B1 (ko)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CN107472344B (zh) 座椅可以调整方向的婴儿车骨架
CN106572937B (zh) 具有另外的安装框架的行驶辅助装置
TWI607927B (zh) 推車
AU2013248806A1 (en) Collapsible stroller having reversible seat
CN109291982B (zh) 儿童推车
CN202724586U (zh) 一种改进型高尔夫球车
CN103802877A (zh) 可折叠婴儿车
KR102006142B1 (ko)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CN104118462A (zh) 车轮定向机构及具有该机构的儿童载具
CN102616265A (zh) 一种可变形婴儿车
CN107416006B (zh) 一种自动刹车机构、婴儿推车及其刹车方法
CN109927811B (zh) 电动移动体
CN106080732B (zh) 一种旅游用童车
JP6445249B2 (ja) 乳母車
KR101712511B1 (ko)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CN206938834U (zh) 手推车
KR20160066337A (ko)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CN104176106A (zh) 推车及刹车装置
CN118004262A (zh) 一种儿童载具
CN109625067A (zh) 一种婴儿手推车
KR20130110782A (ko) 자전거용 자동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