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812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812B1
KR101655812B1 KR1020100042619A KR20100042619A KR101655812B1 KR 101655812 B1 KR101655812 B1 KR 101655812B1 KR 1020100042619 A KR1020100042619 A KR 1020100042619A KR 20100042619 A KR20100042619 A KR 20100042619A KR 101655812 B1 KR101655812 B1 KR 10165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iew image
map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141A (ko
Inventor
김범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12B1/ko
Priority to US13/016,137 priority patent/US8648877B2/en
Priority to EP11002639.0A priority patent/EP2385500A3/en
Priority to CN201110119623.7A priority patent/CN102238282B/zh
Publication of KR2011012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28Multiple view windows (top-side-front-sagittal-ortho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획득하는 단계; 및 프리뷰 영상과 맵이 결합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프리뷰 영상과 맵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위치를 보다 생동감있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실세계 영상과 부가 정보, 특히, 상기한 실세계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증강 현실 기술이라고 한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환경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어 실세계 영상과 정보가 혼합된 현실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증강 현실로 인해 사용자는 실세계와 관련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증강 현실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프리뷰 영상을 기준으로 맵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이 결합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획득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맵이 결합된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뷰 영상과 맵을 정합시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리뷰 영상과 맵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위치를 보다 생동감있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영상에 표시되는 않는 주변 지역의 정보가 위치와 함께 맵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관심있는 정보와 위치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객체 정보가 변경된 프리뷰 영상이 자동으로 저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과거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변경된 프리뷰 영상의 저장으로 사용자는 현재의 증강 현실 뿐만 아니라 과거의 증강 현실도 다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재생된 증강 현실 모두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증강 현실을 저장하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에서의 객체 정보를 맵 증강 현실에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프리뷰 영상에 맵을 결합하여 맵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에 의한 증강 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에 의한 증강 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에 의한 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의한 참조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과 맵 증강 현실이 결합된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바디 등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접센서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검출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키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기울거나 흔들면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자이로센서(142)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 각도, 속도, 세기, 현재 위치 등 움직임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180)는 자이로센서(142)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트랙킹한다. 자이로센서(142)를 구성하는 부품에 따라 자이로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정보를 다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검출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자이로센서(142)가 구비된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자이로센서(142)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d),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프리뷰 영상에 맵을 결합하여 맵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맵 모드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카메라(121)의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다(S4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매뉴얼 등을 통해 촬영 모드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될 영상을 미리 보여주는 프리뷰 영상(이하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또는 ‘프리뷰 영상’이라 한다)이 표시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42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GPS 모듈(119)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카메라(121)는 휴대 단말기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카메라(121)의 위치 정보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정보로서의 GPS 정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휴대 단말기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사업자 망으로부터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받아서 사용하는 A-GPS(Assisted GPS) 방법, 갈릴레오(Galileo) 또는 글로나스(Glonass) 위성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WPS(Wifi Position Service) 방법,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Cell ID를 이용하는 Cell-ID 방법,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RFID를 이용하는 방법 등도 활용가능하다.
특히, 휴대 단말기가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GPS 모듈(119)을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7)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8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맵을 획득한다(S425) 즉,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메모리의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다. 상기 맵은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보다 넓은 지역을 나타내는 맵이거나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과 인접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맵 데이터베이스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맵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외부기기의 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맵 데이터베이스에는 맵과 맵이 나타내는 지역의 위치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맵은 특정 지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 등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를 획득한다(S430).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는 카메라(121)에 부착되어 있는 방향 센서(미도시)로부터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121)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중이면 위치 정보의 변위 정도로부터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내의 객체에 대해 형상 인식을 수행한다(S435). 형상 인식의 대상이 되는 객체는 제한되지 않지만, 어느 정도 크기를 갖으면서 객체 정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물 등이 형상 인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서 객체 정보란 객체의 명칭, 기능, 출처 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객체가 건물인 경우, 상기한 건물의 명칭, 상기한 건물에서 수행되는 각종 서비스 등의 종류, 서비스를 제고하는 제공자의 정보 등이 객체 정보가 된다.
형상 인식은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된 모델 클래스에 속하는 물체 형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물체 형상의 기하학적 정보를 복원하는 것으로, 통제점 검출 방법, 물체 형상 표현 방법 등이 적용된다. 형상 인식 기술은 현재 활용되는 형상 인식 기술을 적용하며,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 및 객체의 형상 인식 결과를 기초로 맵에 프리뷰 영상을 결합하여 증강 맵을 생성한다. (S440).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 및 객체의 형상 인식 결과를 기초로 맵 중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인접한 지역을 나타내는 맵 부분을 추출하여 결합한다. 프리뷰 영상과 맵을 결합함에 있어서, 프리뷰 영상과 결합된 맵이 연속적인 지역을 나타낼 수 있도록 프리뷰 영상과 맵이 지오레퍼런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맵에 프리뷰 영상을 결합하기 위해,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형상 인식 결과를 이용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180)는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형상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세 가지 요소를 모두 이용하는 것은 보다 정교하게 지오레퍼런싱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증강 맵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증강 맵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축소된 프리뷰 영상과 맵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 프리뷰 영상의 일부와 맵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사용자 명령 및 프리뷰 영상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맵을 표시하기 위한 제3 사용자 명령이 그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경우, 제1 사용자 명령은 멀티 터치로 입력되고, 제2 사용자 명령은 드래그로 입력되며, 제3 사용자 명령은 원터치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상에 복수 개의 터치포인트가 동시에 생성하면 멀티터치후 드래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터치스크린상의 하나의 터치포인트가 생성된 후 상기한 터치포인트가 연속적인 궤적을 형성하면 드래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며, 생성된 하나의 터치포인트가 이동없이 종료하면 원터치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한편, 멀티터치후 드래그는 멀티터치의 일종으로 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증강 맵 표시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증강 맵을 생성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고, 증강 맵 표시 명령이 입력된 후 그에 대응되는 증강 맵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S420 내지 S440은 S450, S460 및 S470이후에 수행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멀티터치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450).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함으로써 멀티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멀티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450-Y), 제어부(180)는 증강 맵을 기설정된 축소율로 축소시키고 축소된 프리뷰 영상 및 맵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455).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멀티터치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축소율로 증강 맵을 축소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멀티터치 후 드래그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축소율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축소율로 증강 맵을 축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멀티터치로 증강 맵을 확대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멀티터치 후 터치된 손가락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으로 제1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상기한 제1 사용자 명령을 증강 맵을 축소시키는 명령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터치된 손가락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으로 제1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상기한 제1 사용자 명령을 증강 맵을 확대시키는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증강 맵이 일정 축소율로 축소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정 지역을 기준으로 상기한 지역과 멀어질수록 축소율이 증가되면서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드래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460).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한 후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그러면 드래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460-Y),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방향으로 증강 맵을 이동시키고, 프리뷰 영상의 일부와 맵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게 한다(S465). 증강 맵의 이동 정도는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드래그된 거리에 무관하게 이동 정도가 기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원터치, 즉, 원터치 후 드래그없이 터치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S470-Y), 제어부(180)는 원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증강 맵을 이용하여 결정하고, 원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맵을 획득하여 표시한다(S475). 원터치에 의해 표시되는 맵은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맵은 원터치된 영역의 위치에서 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와 동일한 방향으로 주변 지역을 바라보았을 때의 주변 지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맵일 수 잇다.
이와 같이, 프리뷰 영상과 맵을 지오레퍼런싱시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리뷰 영상과 맵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위치를 보다 생동감있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영상에 표시되는 않는 주변 지역의 정보가 위치와 함께 맵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관심있는 정보와 위치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뷰 영상과 맵을 지오레퍼런싱시킨 후 증강 맵을 표시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을 축소시킨 후 맵을 지오레퍼런싱시킴으로써 증강 맵을 생성할 수도 있고, 프리뷰 영상과 맵을 표시함과 동시에 지오레퍼런싱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맵은 구성요소의 측면에서 기호나 문자로 구성된 기호 맵과 영상으로 구성된 영상 맵으로 나눌 수 있고, 높이 정보의 유무에 따라 2차원 맵과 3차원 맵으로 나눌 수 있다. 본 프리뷰 영상과 지오레퍼런싱되는 맵은 상기한 모든 맵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넓은 지역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2차원의 기호 맵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좁은 지역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3차원의 영상 맵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프리뷰 영상과 2차원의 기호 맵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3차원 맵 또는 영상 맵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참조 도면을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과 맵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에 의한 증강 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이하 참조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 명령도 입력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었다고 가정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5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멀티터치를 입력한 후 터치된 영역 간의 거리를 줄이는 방향으로 드래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증강 맵을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하여 축소시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증강 맵(520)을 표시한다. 상기한 제1 증강 맵(520)은 축소된 프리뷰 영상(522)과 축소된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연속적인 지역을 나타내는 맵(524)이 지오레퍼런싱된 것으로서, 상기한 축소된 프리뷰 영상(522)은 터치스크린의 중앙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증강 맵의 축소율이 너무 작아서 주변 정보를 파악하기 힘들다고 판단되면, 표시된 증강 맵을 확대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멀티 터치한 후 터치된 영역간의 거리가 커지도록 드래그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증강 맵을 확대시키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하여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되는 확대율로 표시된 증강 맵을 확대시켜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증강 맵(530)을 표시한다.
도 5의 (b) 및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축소된 프리뷰 영상(522, 532)이 표시된 영역이 작을수록 맵(524, 534)에 나타난 지역의 범위는 넓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증강 맵은 동일한 축소율로 축소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거리에 따라 축소율이 달라질 수도 있다. 즉 프리뷰 영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축소율이 점진적으로 커지고 프리뷰 영상의 가장자리에 적용된 축소율로 맵을 축소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와 멀어질수록 증강 맵의 축소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증강 맵을 축소시킬 수 있음도 물론이다.
멀티 터치에 의한 증강 맵을 표시함에 있어서, 프리뷰 영상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의 중앙에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멀티터치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프리뷰 영상의 터치스크린 상에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고정한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을 좌하방향으로 드래그한다면, 터치스크린에서는 축소된 프리뷰 영상이 터치스크린상의 좌측 하단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에 의한 증강 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6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후 좌측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증강 맵을 이동시켜 제3 증강 맵(620)을 표시한다. 제3 증강 맵(620)은 프리뷰 영상의 일부 즉, 우측 프리뷰 영상(622)과 우측 프리뷰 영상(622)에 대응되는 지역과 연속적인 지역을 나타내는 맵(624)이 지오레퍼런싱된 것이다.
다시, 사용자는 터치 후 좌측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드래그된 거리에 대응되는 증강 맵의 이동으로 인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맵 중 프리뷰 영상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지 않고 맵(630)만 표시될 수 잇다. 이와 같은 경우, 휴대 단말기는 맵만을 표시하면 되므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에 의한 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710)에서, 사용자는 특정 영역(712)을 터치한 후 드래그없이 터치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터치된 특정 영역(712)의 위치를 결정하고, 터치된 특정 영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맵(720)을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여, 도 7의 (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원터치에 의한 맵은 프리뷰 영상과 맵이 지오레퍼런싱ㄷ되지 않았다. 그러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특정 지역의 맵을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넓은 의미의 증강 맵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증강 맵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터치, 드래그 및 원터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입력들의 상호 조합으로 증강 맵에 대한 표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상에서 터치에 의한 사용자 명령으로 증강 맵 표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션 센서 및 카메라 센서를 통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프리뷰 영상과 함께 맵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을 표시함으로써 시간적으로 확장된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카메라(121)의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다(S8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메뉴얼 등을 통해 촬영 모드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될 영상을 미리 보여주는 프리뷰 영상(이하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또는 ‘프리뷰 영상’이라 한다)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내의 객체에 대해 형상 인식을 수행하여 프리뷰 영상내의 객체를 식별한다(S820). 형상 인식의 대상이 되는 객체는 제한되지 않지만, 어느 정도 크기를 갖으면서 객체 정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물 등이 형상 인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 인식은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된 모델 클래스에 속하는 물체 형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물체 형상의 기하학적 정보를 복원하는 것으로, 통제점 검출 방법, 물체 형상 표현 방법 등이 적용된다. 형상 인식 기술은 현재 활용되는 형상 인식 기술을 적용하며,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식별된 객체를 메모리(160)에 기저장되어 있는 이전 프리뷰 영상의 객체와 비교하여 프리뷰 영상내 객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830). 상기한 이전 프리뷰 영상은 가장 최근에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뷰 영상에 객체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S830-Y),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를 획득한다(S84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GPS 모듈(119)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121)에 부착되어 있는 방향 센서(미도시)로부터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를 획득한다. 카메라(121)는 휴대 단말기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카메라(121)의 위치 정보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정보로서의 GPS 정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휴대 단말기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사업자 망으로부터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받아서 사용하는 A-GPS(Assisted GPS) 방법, 갈릴레오(Galileo) 또는 글로나스(Glonass) 위성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WPS(Wifi Position Service) 방법,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Cell ID를 이용하는 Cell-ID 방법,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RFID를 이용하는 방법 등도 활용가능하다.
특히, 휴대 단말기가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GPS 모듈(119)을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7)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방향 센서로부터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이외에도, 카메라(121)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중이면 위치 정보의 변위 정도로부터 카메라(121)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방향센서를 통해 방향 정보를 획득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초기 위치정보 및 초기 방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80)는 초기 위치정보 및 초기 방향 정보를 기준으로 자이로센서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형상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변경된 객체의 객체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50). 즉,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객체의 객체 정보가 메모리(160)의 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외부기기의 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객체 정보가 상기한 객체 정보를 갖는 객체의 위치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21)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형상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객체의 객체 정보를 획득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형상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세 가지 요소를 모두 사용하는 것은 객체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80)는 획득된 객체 정보를 프리뷰 영상의 객체와 연관시켜 표시할 뿐만 아니라, 객체 정보가 표시된 프리뷰 영상을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860, S870).
본 실시예에서 이전 프리뷰 영상과 비교하여 객체 정보가 변경된 프리뷰 영상을 저장한다고 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프리뷰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리뷰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리뷰 영상이 기준 영상 또는 이전 프리뷰 영상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 등일 때 프리뷰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플레이백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880). 프리뷰 영상을 통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이전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상의 객체 정보를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프리뷰 영상내 객체의 빠른 이동으로 인해 객체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경우, 이전의 프리뷰 영상을 다시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 할 수 있다. 상기한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51)상의 플레이백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표시 영역의 일 영역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명령으로 입력될 수 있다.
플레이백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880-Y),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서 기저장된 프리뷰 영상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프리뷰 영상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890).
본 실시예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프리뷰 영상을 표시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저장된 프리뷰 영상 중 특정 시점의 프리뷰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60)에 기저장된 프리뷰 영상의 양을 프로그래스 바 형식으로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시작 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이전 프리뷰 영상의 표시 시점을 선택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프리뷰 영상 전체를 플레이백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만을 플레이백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와 같은 경우, 객체 정보가 변경된 프리뷰 영상이 자동으로 저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과거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이하 참조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 명령도 입력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었다고 가정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910)에서 자동차(922)가 진입하게 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920)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 그러면, 자동차(922)라는 객체가 추가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자동차에 대한 객체 정보를 객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객체 정보(932)를 표시하고, 자동차(922) 및 자동차에 대한 객체 정보(932)가 포함된 프리뷰 영상(930)을 저장한다. 그리고, 자동차가 지나감에 따라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940)이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는 자동차의 객체 정보를 확인하고자 플레이백 명령을 입력하고자 터치스크린의 일영역을 터치한 후 우측으로 플리킹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이전 프리뷰 영상(930)을 독출하여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와 같이, 객체 정보가 추가 또는 삭제됨으로써 프리뷰 영상상의 객체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을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변경된 프리뷰 영상의 저장으로 사용자는 현재의 증강 현실 뿐만 아니라 과거의 증강 현실도 다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재생된 증강 현실 모두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증강 현실을 저장하기 때문에 메모리(160)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에서 획득된 객체 정보가 맵 증강 현실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역동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에서 획득된 객체 정보를 맵에 추가함으로써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증강 현실로 맵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과 맵 증강 현실이 결합된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1010)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도 10의 (b)에 도시된 프리뷰 영상(1020)으로 변경된다.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1020)내 객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변경된 객체의 객체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한 객체 정보(1022)를,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영상(1020)에 표시하고 상기한 객체 정보(1022)를 맵에 업데이트한다. 다시 사용자의 이동으로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영상(1030)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맵 모드로 변경시키고, 좌측방향으로의 드래그를 입력한다. 그러면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증강 맵(1040)이 표시된다. 상기한 제4 증강 맵은 터치스크린의 좌측영역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의 일부(1042)와 터치스크린의 우측 영역에 표시된 상기한 프리뷰 영상의 일부(1042)와 대응되는 지역과 연속적인 지역을 나타내는 맵(1044)이 지오레퍼런싱되어 있다. 또한, 제4 증강 맵(1040)에는 객체 정보(1022)가 업데이트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체 정보의 존재 유무로 맵상의 지역이 자신이 지나간 경험이 있는 지역인지 유무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에서의 객체 정보를 맵 증강 현실에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프리뷰 영상상에서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프리뷰 영상을 고정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고 휴대 단말기의 자세 등을 변경시킨 후 상기한 맵 증강 현실 및 이전 시점의 증강 현실을 구현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40)

  1.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이 결합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을 결합하는 방식은,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이 결합된 영상은,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이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된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은,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인접한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프리뷰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에는 상기 맵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 영역이 작을수록 상기 맵이 나타내는 지역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된 프리뷰 영상은 상기 축소된 프리뷰 영상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율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축소되고, 상기 맵의 축소율은 상기 프리뷰 영상의 가장자리의 축소율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된 프리뷰 영상은 일정한 비율로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가 축소되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에는 상기 맵 중 상기 축소된 프리뷰 영상의 일부에 대응되는 지역과 관련된 맵이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와 결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가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에 상기 맵 중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에 대응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이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와 결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맵은,
    특정 지역의 상태를 기호나 문자로 구성하거나, 상기 특정 지역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맵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외부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획득하며, 상기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상기 맵이 결합된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을 결합하는 방식은,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이 결합된 영상은,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이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된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은,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되는 지역과 인접한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상기 프리뷰 영상을 축소시켜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나머지 영역에 상기 맵을 상기 축소된 프리뷰 영상과 결합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나머지 영역에 상기 맵 중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에 대응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상기 프리뷰 영상의 일부와 결합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객체에 대해 형상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정보 및 상기 형상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맵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맵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객체에 대해 형상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정보 및 상기 형상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과 상기 맵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제스쳐 입력 수신 시, 상기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상기 맵 영상을 포함하는 제2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맵 영상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2차원 맵 또는 3차원 맵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 내 객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프리뷰 영상 내 객체에 대한 형상 인식 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 내 객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객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맵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외부기기에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맵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제2 제스쳐 입력 수신 시,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제1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30. 삭제
  31.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에 대응하는 지역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 영상을 획득하며, 제1 제스쳐 입력 수신 시, 상기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상기 맵 영상을 포함하는 제2 화면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맵 영상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2차원 맵 또는 3차원 맵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 내 객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 내 객체에 대한 형상 인식 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 내 객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객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7. 제31항에 있어서,
    맵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맵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8. 제31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에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맵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제스쳐 입력 수신 시,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제1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0. 삭제
KR1020100042619A 2010-05-06 2010-05-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19A KR101655812B1 (ko) 2010-05-06 2010-05-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3/016,137 US8648877B2 (en) 2010-05-06 2011-01-28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1002639.0A EP2385500A3 (en) 2010-05-06 2011-03-30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ultiplayer g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110119623.7A CN102238282B (zh) 2010-05-06 2011-05-06 能够提供多层游戏的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19A KR101655812B1 (ko) 2010-05-06 2010-05-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141A KR20110123141A (ko) 2011-11-14
KR101655812B1 true KR101655812B1 (ko) 2016-09-08

Family

ID=4427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619A KR101655812B1 (ko) 2010-05-06 2010-05-0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48877B2 (ko)
EP (1) EP2385500A3 (ko)
KR (1) KR101655812B1 (ko)
CN (1) CN102238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4898A1 (de) * 2009-01-16 2010-08-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arstellung zweier unterschiedlicher Bilder eines Fusionsbildes und Vorrichtung hierfür
KR101606727B1 (ko) * 2010-06-25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5791256B2 (ja) * 2010-10-21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KR101306286B1 (ko) * 2010-12-17 2013-09-09 주식회사 팬택 X-레이 뷰 기반의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860717B1 (en) 2011-03-29 2014-10-14 Google Inc. Web browser for view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responsive to a search query
US8576223B1 (en) * 2011-03-29 2013-11-05 Google Inc. Multiple label display for 3D objects
US20130104032A1 (en) * 2011-10-19 2013-04-25 Jiyoun Le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257862A1 (en) * 2011-11-29 2014-09-11 Wildfire Defense Systems, Inc. Mobile application for risk management
US9026951B2 (en) 2011-12-21 2015-05-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on of views in a three-dimensional map based on gesture inputs
US9208698B2 (en) 2011-12-27 2015-12-0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a three-dimensional map view based on a device orientation
CN104040292B (zh) 2012-01-12 2016-05-04 三菱电机株式会社 地图显示装置以及地图显示方法
US9761205B2 (en) 2012-01-12 2017-09-12 Mist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WO2013105249A1 (ja) 2012-01-12 2013-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KR101923929B1 (ko) 2012-06-06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증강 현실 서비스에 대한 화면으로의 화면 전환 방법
WO2014014238A1 (en) 2012-07-17 201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KR102101818B1 (ko) * 2012-07-30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데이터전송 제어장치 및 방법
US9953618B2 (en) 2012-11-02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apping and localization
KR102081932B1 (ko) * 2013-03-21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258350A (zh) * 2013-03-28 2013-08-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3d图像的方法及装置
EP2824649A1 (en) * 2013-07-12 2015-01-14 GN Store Nord A/S Audio based learning system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n audio unit and plurality of zones
KR20150018264A (ko) * 2013-08-09 201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경형 단말기의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6257255B2 (ja) * 2013-10-08 2018-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CN104636358B (zh) * 2013-11-08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地图叠加方法和电子设备
CN104333689A (zh) * 2014-03-05 2015-02-04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拍摄时对预览图像进行显示的方法和装置
CN104680588B (zh) * 2015-02-13 2017-11-24 上海同筑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bim的事件标示方法和***
EP3319361A1 (en) * 2016-11-03 2018-05-09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N107230237A (zh) * 2017-06-19 2017-10-03 歌尔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7661630A (zh) * 2017-08-28 2018-02-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射击游戏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终端
CN107741819B (zh) * 2017-09-01 2018-11-23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648848B (zh) * 2017-09-01 2018-11-1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07890664A (zh) * 2017-10-23 2018-04-1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US20210102820A1 (en) * 2018-02-23 2021-04-08 Google Llc Transitioning between map view and augmented reality view
CN113110779B (zh) * 2021-04-21 2023-03-0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地图显示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4051100B (zh) * 2022-01-13 2022-07-0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实时共享拍照信息的方法、***及其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627A (ja) 2002-09-03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と認識対象物案内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17315B1 (ko)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그의 pip 화면 제어 방법
JP2008085488A (ja) 2006-09-26 2008-04-10 Sky Kk カメラ付き携帯機器
US20090167919A1 (en) 2008-01-02 2009-07-02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an Indication of an Object Within a Current Field of View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970A (en) * 1993-05-21 1997-05-20 Hsu; Shin-Yi Process for identifying simple and complex objects from fused images and map data
KR100627378B1 (ko) * 1996-08-28 2006-09-22 임베디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터치 스크린 장치 및 방법
JPH11108684A (ja) * 1997-08-05 1999-04-23 Harness Syst Tech Res Ltd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050175253A1 (en) * 2002-01-22 2005-08-11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Method for producing cloud free and cloud-shadow free images
WO2005124594A1 (en) * 2004-06-16 2005-1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real-time, superimposed labeling of points and objects of interest within a view
JP4363642B2 (ja) * 2004-07-02 2009-11-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地図表示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4583258B2 (ja) * 2004-07-12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
AU2005332711B2 (en) * 2005-06-06 2010-12-02 Tomtom Navigation B.V. Navigation device with camera-info
KR100672390B1 (ko) * 2005-10-1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도 작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약도 작성 방법
JP2007213385A (ja) * 2006-02-10 2007-08-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876969B2 (ja) * 2007-02-26 2012-02-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75473B2 (ja) * 2007-05-17 2012-1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及び情報記憶媒体
CN101109648A (zh) * 2007-08-22 2008-01-23 广东瑞图万方科技有限公司 导航电子地图生成方法
JP4959812B2 (ja) * 2007-12-28 2012-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619976B (zh) 2008-07-01 2016-01-2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位置定位检索装置和方法
US20100001961A1 (en) * 2008-07-03 2010-01-0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ettings Adjustment
US8237807B2 (en) * 2008-07-24 2012-08-07 Apple Inc.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US8284170B2 (en) * 2008-09-30 2012-10-09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on-screen objects without using a cursor
JP5392900B2 (ja) * 2009-03-03 2014-01-22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の操作装置
KR101560718B1 (ko) * 2009-05-29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US9488488B2 (en) * 2010-02-12 2016-11-08 Apple Inc. Augmented reality ma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627A (ja) 2002-09-03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と認識対象物案内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17315B1 (ko)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그의 pip 화면 제어 방법
JP2008085488A (ja) 2006-09-26 2008-04-10 Sky Kk カメラ付き携帯機器
US20090167919A1 (en) 2008-01-02 2009-07-02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an Indication of an Object Within a Current Field of Vie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48877B2 (en) 2014-02-11
CN102238282A (zh) 2011-11-09
KR20110123141A (ko) 2011-11-14
US20110273473A1 (en) 2011-11-10
EP2385500A2 (en) 2011-11-09
EP2385500A3 (en) 2017-07-05
CN102238282B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8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38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67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0672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773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08000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7221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748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61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57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147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0147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14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61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993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55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38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824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80705A (ko) 메시지 송수신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918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4953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