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615B1 -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615B1
KR101636615B1 KR1020140119105A KR20140119105A KR101636615B1 KR 101636615 B1 KR101636615 B1 KR 101636615B1 KR 1020140119105 A KR1020140119105 A KR 1020140119105A KR 20140119105 A KR20140119105 A KR 20140119105A KR 101636615 B1 KR101636615 B1 KR 10163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guide portion
concrete slab
heigh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493A (ko
Inventor
오세열
Original Assignee
오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열 filed Critical 오세열
Priority to KR102014011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6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142Dividing strips or boundary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142Dividing strips or boundary strips
    • E04F15/145Dividing strips or boundary strip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은,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크랙진행유도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마감부; 및 상기 바닥마감부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마감부 간의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바닥마감부의 경계를 규정하도록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되는 수평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Floor system 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이나 층간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에는 먼저 거푸집을 구성하기 위해 철근 구조물이나 데크 플레이트를 바닥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용 레벨봉이 사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용 레벨봉에 관한 기술 중, 한국등록특허 제10-0428284호(2004.04.09. 등록)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철근을 안착시키는 철근고임턱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고임턱의 타측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내측으로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끼움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몸체외측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하측에 위치되어 높이조절구의 높이조절 및 셋팅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직립되게 위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콘크리트 공급호스와의 접촉시에도 원위치로 복원가능한 탄성부재;와 이 탄성부재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는 캡연결나사에 나사 결합되며, 몸체 상부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점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점이 위치되고, 상기 확인점의 하부로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이 구비되는 캡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의하면, 높이조절구와 위치제어구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캡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캡부재의 높이 조절 시에 높이조절구를 여러 차례 회전시켜 원하는 높이를 맞춘 다음, 다시 위치제어구를 여러 차례 회전시켜 높이조절구를 고정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량으로 설치되는 레벨봉 각각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가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타설 시 수축, 팽창에 의해 바닥에 대한 수평성의 차이가 심하게 변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에 따른 콘크리트 레벨봉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이나 층간 슬래브 등의 바닥시공을 한 후에는 시공된 바닥에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되면, 초기에 발생한 크랙이 점진적으로 다방향으로 전이되어 상기 크랙이 바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시공의 편의성 및 크랙의 다방향으로의 전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바닥 시스템에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바닥의 수평을 정밀하면서도 간편하게 맞추어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은,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크랙진행유도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마감부; 및 상기 바닥마감부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마감부 간의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바닥마감부의 경계를 규정하도록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되는 수평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상기 크랙진행유도부는, 상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의 종료를 유도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상기 수평유도부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되어 상기 크랙진행유도부로 전이된 상기 크랙의 더 이상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상기 크랙진행유도부는, 상기 수평유도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수평유도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상기 복수의 바닥마감부가 형성되기 이전에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수평유도부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가고정시키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도포되는 가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이 기설정된 제 1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1 지점에 최초로 도포되는 제1 가고정부 및 상기 제1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타측이 기설정된 제2 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2 지점에 도포되는 제2 가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은,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제1 높이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은,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제1 높이 및 제2 높이가 되도록 조정되고, 조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유도부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도포되는 실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상기 실고정부는, 상기 바닥마감부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상기 실고정부는, 상기 바닥마감부보다 큰 경도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마감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 방법으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상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크랙진행유도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이미 형성된 홈을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하는 크랙진행유도부로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수평유도부를 삽입하는 제2 단계; 상기 수평유도부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한 후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수평유도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바닥마감부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의 폭을 상기 수평유도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상기 수평유도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상기 수평유도부를 레벨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상기 레벨측정기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상기 수평유도부의 특정 높이 지점에 일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유도부에 눈금자를 접촉시켜 상기 눈금자의 특정 눈금에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유도부를 상기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수평유도부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가고정시키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가고정부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이 기설정된 제 1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1 지점에 최초로 도포되는 제1 가고정부 및 상기 제1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타측이 기설정된 제2 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2 지점에 도포되는 제2 가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은,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제1 높이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제1 높이 및 제2 높이가 되도록 재조정하고, 재조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유도부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실고정부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미연에 방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의 수평을 정밀하면서도 간편하게 맞추어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다양한 모양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건축물의 벽면에 적용하여 상기 벽면의 크랙의 다방향 전이 방지 및 다양한 모양의 영역으로의 분할 구현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특정 바닥마감부를 생략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에 있어서,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에 사용되는 레벨측정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특정 바닥마감부를 생략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에 있어서,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에 사용되는 레벨측정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10)은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에서 발생되는 크랙(C)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 시스템으로, 크랙진행유도부(112)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10), 바닥마감부(130) 및 수평유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슬래브(110)는 건축물의 실내 기초바닥, 주차장의 기초바닥 등 모든 구조물의 기초바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예로, 기 시공된 건축물의 기초바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는 크랙(C)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C)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크랙진행유도부(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는 상기 크랙(C)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C)의 진행의 종료를 유도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는 콘크리트 슬래브(110)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특정 내부 지점에서 크랙(C)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크랙(C)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여 진행을 종료시킬 수 있다.
만약, 콘크리트 슬래브(110)에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특정 내부 지점에서 발생된 크랙(C)은 임의 방향으로 진행되는 동시에 다방향으로 진행되므로, 그만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는 콘크리트 슬래브(110)에 다른 목적으로 이미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소정 깊이의 홈이 없는 경우,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가공된 홈일 수도 있다.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는 수평유도부(120)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유도부(120)는 복수의 바닥마감부(130)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마감부(130) 간의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바닥마감부(130)의 경계를 규정하도록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일종의 줄눈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마감부(130)는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형성되는 일종의 마감재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10)에 있어서 최상층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마감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폭시, 우레탄, 모르타르, 대리석 등 다양한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유도부(120)는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아크릴 재질, 합성수지 재질, 경질 우레탄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휨 성질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유도부(120)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와의 관계에서 차단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슬래브(110)에서 발생된 크랙(C)이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로 유도된 후 더이상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단공간(S)에는 모르타르, 초속경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 등의 충전재로 충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10)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상기 복수의 바닥마감부(130)가 형성되기 이전에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삽입된 수평유도부(120)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가고정시키도록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에 도포되는 가고정부(142, 144, 도 9 및 도 1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높이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맞추거나,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높이 및 제2 높이로 맞추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레벨측정기(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벨측정기(200)는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향하여 광(R, 도 9 및 도 10 참조)을 발산하는 일종의 측정장치일 수 있다.
상기 레벨측정기(200)는 평평한 상태에 대한 레벨을 측정하는 장치로, 공지의 장치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고정부(142, 144)는 빠른 시간에 경화되어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 내에서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가고정시킬 수 있도록 초벌마감재, 초속경 모르타르, 에폭시피, 에폭시피터 또는 우레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쐐기와 같은 구조물일 수도 있다.
상기 가고정부(142, 144)가 쐐기와 같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쐐기를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전, 후면과 직교하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의 상단 테두리 상에 뾰족한 부분을 박아서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 상에 가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고정부(142, 144)는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이 기설정된 제 1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 중 제1 지점에 최초로 도포되는 제1 가고정부(142, 도 9 참조) 및 상기 제1 가고정부(142)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타측이 기설정된 제2 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 중 제2 지점에 도포되는 제2 가고정부(144, 도 10 참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은, 상기 제2 가고정부(144)의 도포 후 상기 제1 높이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 및 상기 가고정부(142, 144)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10)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10)은 상기 제2 가고정부(144)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제1 높이 및 제2 높이가 되도록 재조정될 수 있으며, 재조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유도부(120)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에 도포되는 실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고정부(150)는 초벌마감재, 초속경 모르타르, 에폭시, 우레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마감부(130)와 접착되어 상기 바닥마감부(13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고정부(150)는 상기 바닥마감부(130)보다 큰 경도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마감부(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에서 발생되는 크랙(C)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 방법일 수 있으며, 크랙진행유도부(112)를 제공하는 제1 단계(S10), 수평유도부(120)를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삽입하는 제2 단계(S20),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제3 단계(S30) 및 바닥마감부(130)를 형성하는 제4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크랙진행유도부(112)가 제공되는 제1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10)는 콘크리트 슬래브(110)에서 크랙(C)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C)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크랙진행유도부(112)를 형성하거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에 이미 형성된 홈을 상기 크랙(C)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하는 크랙진행유도부(112)로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격자를 포함한 다양한 모양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다양한 줄눈 형상일 수 있으며, 도 7에서는 편의상 일자로 형성되는 크랙진행유도부(112)를 도시하였다.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를 형성하거나,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를 제공하는 제1 단계(S10)를 완료하면, 제2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0) 완료 후 크랙진행유도부(112)에 수평유도부(120)를 삽입하는 제2 단계(S2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0)에서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폭은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수평유도부(120)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삽입된 후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삽입하게 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수평유도부(120)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의 저면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제2 단계(S20)는 완료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단계(S20) 완료 후,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레벨측정기(200)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한 후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에 고정시키는 제3 단계(S3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는 레벨측정기(200)로부터 발산되는 광(R)이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특정 높이 지점에 일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유도부(120)에 눈금자를 접촉시켜 상기 눈금자의 특정 눈금에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상기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삽입된 수평유도부(120)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가고정시키도록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에 가고정부(142, 144)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고정부(142, 144)는 제1 가고정부(142) 및 제2 가고정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단계(S30)는 첫번째로, 상기 레벨측정기(200)로부터 발산되는 광(R)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이 기설정된 제 1높이(D1)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 중 제1 지점에 제1 가고정부(142)를 최초로 도포하여,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을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가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S30)는 두번째로, 상기 제1 가고정부(142)의 도포 후 상기 레벨측정기(200)로부터 발산되는 광(R)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타측이 기설정된 제2 높이(D2)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 중 제2 지점에 제2 가고정부(144)를 도포하여,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타측을 상기 크랙진행유도부(112)에 가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타측을 상기 제2 높이(D2)가 되도록 들어올리는 경우 원래 제1 높이로 가고정되었던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은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형상의 특성 상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높이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은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위치(D3)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단계(S30)는 상기 제2 가고정부(144)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제1 높이 및 제2 높이가 되도록 재조정(D4)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재조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유도부(120)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경계에 실고정부(150)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의 수평을 정밀하면서도 간편하게 맞추어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가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유도부(120)를 경계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바닥마감부(130)를 형성하는 제4 단계(S40)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단계(S40)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10)의 시공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4 단계(S40)에서 상기 바닥마감부(130)의 상면은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상면과 대응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마감부(130)의 상면을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마감부(130)가 경화 또는 양생 등이 된 후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돌출된 부분을 절단하여 상면의 높이를 서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상면을 임시로 보호하도록 하는 비닐 등의 보호커버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수평유도부(120)의 상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바닥마감부(130)가 경화 또는 양생 등이 된 후 제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은 건축물의 벽면에 적용하여 상기 벽면에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벽면을 다양한 모양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10: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110: 콘크리트 슬래브
120: 수평유도부
130: 바닥마감부
142: 제1 가고정부
144: 제2 가고정부
150: 실고정부

Claims (16)

  1.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크랙진행유도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마감부; 및
    상기 바닥마감부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마감부 간의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바닥마감부의 경계를 규정하도록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되는 수평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랙진행유도부는,
    상기 수평유도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수평유도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진행유도부는,
    상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의 종료를 유도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도부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되어 상기 크랙진행유도부로 전이된 상기 크랙의 더 이상의 진행을 차단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상기 복수의 바닥마감부가 형성되기 이전에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수평유도부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가고정시키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도포되는 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이 기설정된 제 1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1 지점에 최초로 도포되는 제1 가고정부 및 상기 제1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타측이 기설정된 제2 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2 지점에 도포되는 제2 가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은,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제1 높이와 상이하게 변경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제1 높이 및 제2 높이가 되도록 조정되고, 조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유도부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도포되는 실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고정부는,
    상기 바닥마감부와 접착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고정부는,
    상기 바닥마감부보다 큰 경도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마감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10.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크랙이 다방향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상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크랙진행유도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이미 형성된 홈을 상기 크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하는 크랙진행유도부로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수평유도부를 삽입하는 제2 단계;
    상기 수평유도부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한 후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수평유도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바닥마감부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의 폭을 상기 수평유도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상기 수평유도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상기 수평유도부를 레벨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측정기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상기 수평유도부의 특정 높이 지점에 일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유도부에 눈금자를 접촉시켜 상기 눈금자의 특정 눈금에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유도부를 상기 설계높이로 위치 조정하는 건축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크랙진행유도부에 삽입된 수평유도부를 기설정된 설계높이로 가고정시키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가고정부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이 기설정된 제 1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1 지점에 최초로 도포되는 제1 가고정부 및 상기 제1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타측이 기설정된 제2 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평유도부의 외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 중 제2 지점에 도포되는 제2 가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은,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제1 높이와 상이하게 변경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가고정부의 도포 후, 상기 수평유도부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제1 높이 및 제2 높이가 되도록 재조정하고, 재조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유도부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계에 실고정부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0140119105A 2014-09-05 2014-09-05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3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05A KR101636615B1 (ko) 2014-09-05 2014-09-05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05A KR101636615B1 (ko) 2014-09-05 2014-09-05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93A KR20160029493A (ko) 2016-03-15
KR101636615B1 true KR101636615B1 (ko) 2016-07-05

Family

ID=5554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05A KR101636615B1 (ko) 2014-09-05 2014-09-05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271A (zh) * 2019-05-18 2019-09-06 陕西建工第五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超平地坪免切缝施工方法
CN110685424A (zh) * 2019-09-05 2020-01-14 东莞市鲁班装饰工程有限公司 楼地面找平防裂施工方法及楼地面找平防裂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8530B (zh) * 2016-06-29 2019-01-0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大面积地坪施工方法
CN110158394B (zh) * 2019-05-18 2020-12-04 陕西建工第五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超平地坪免切缝施工结构
CN110952752A (zh) * 2019-11-21 2020-04-03 浙江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铺盖防裂抗起砂耐磨地面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67Y1 (ko) * 2000-05-08 2000-11-01 박광돈 바닥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767A (ko) * 2009-02-23 2009-03-23 성안산업주식회사 줄눈대 및 그 줄눈대를 이용한 바닥마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67Y1 (ko) * 2000-05-08 2000-11-01 박광돈 바닥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271A (zh) * 2019-05-18 2019-09-06 陕西建工第五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超平地坪免切缝施工方法
CN110206271B (zh) * 2019-05-18 2020-10-23 陕西建工第五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超平地坪免切缝施工方法
CN110685424A (zh) * 2019-09-05 2020-01-14 东莞市鲁班装饰工程有限公司 楼地面找平防裂施工方法及楼地面找平防裂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93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615B1 (ko)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US6964115B2 (en) Levelling r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20110146200A1 (en) Tile leveling process and apparatus
US6322045B1 (en) Rapid forming system for tilt-up pre-cast concrete wall panels (tilt panel screed system-tipss)
US801116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aying marble tile flooring
US20210032883A1 (en) Tile spacer
WO2020053888A1 (en) Ceiling, internal and external wall render finishing machine
CN107060171A (zh) 大面积超平钢筋砼楼面与彩色金刚砂面层一次成型方法
US20180010348A1 (en) Floor Levelling Arrangement and Method Therefor
US20190003190A1 (en) Shower Floor Mud Forming Device and Methodology
KR20210002301A (ko) 건축바닥면에 미장마감되는 슬러지형 모르타르타설 면의 진동고름대
JP2020172785A (ja) コンクリート床面施工具及びコンクリート床面施工法
CN115749193A (zh) 一种超大面积地坪平整度与防裂控制施工方法
US1710891A (en) Screed support
WO2017115254A1 (en) Assembly for applying a screed and method for applying a screed
KR101912562B1 (ko) 모르타르 타설높이 측정 장치와 진동고름대를 이용한 모르타르 타설 시공방법
KR20160049885A (ko) 충전재 마감작업용 주걱
JP4665245B2 (ja) 床工事用レベル出し用具及びレベル出し工法
US1653863A (en) Apparatus for use in erecting walls of blocks, bricks, or the like
US20200248466A1 (en) Shower Floor Mud Forming Device and Methodology
US344727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leveling floors
CA2362868A1 (en) Quoin template
US20220154477A1 (en) Hinged Hawk Board
US2174394A (en) Method of building
CN209990027U (zh) 楼板厚度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